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ngroup favoritism overrides fairness when resources are limited

        채지환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Ingroup favoritism and fairness are two potentially competing motives guiding intergroup behaviors in human. Here, we investigate if and how limited resources can modulate the way these two motives affect individuals’ decisions in intergroup situation. In the present study, participants (N = 58) were asked to accept or reject three types of resource allocation proposals generated by a computer: the ingroup advantageous condition, outgroup advantageous condition, and neutral condition. In general, participants were more willing to accept the proposals in the ingroup advantageous condition than the outgroup advantageous or the neutral conditions, and also in the moderate inequality than the extreme inequality condition. This may indicate that people sought a careful balance between ingroup favoritism and fairness, although we also found marke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ir preferences for ingroup favoritism or fairness. Importantly, as predicted,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show ingroup favoritism only when limited resources affect the well-beings of ingroup members. The present study provides novel insights into the situational and personality factors affecting human intergroup behaviors, shedding lights on motives underlying intergroup conflicts prevalent in human societies. 내집단 편향과 공정성에 대한 욕구는 집단 간 상호작용 시 나타나는 주 된 동기들로, 종종 서로 상충되곤 한다. 본 논문은 제한된 자원이라는 상황적인 맥락이 집단 간 의사결정 상황에서의 내집단 편향과 공정성 욕구를 어떻게 조절하며 최종적으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였다. 참가자들은(58명) 컴퓨터를 통해 내집단이 유리한 분배, 외집단이 유리한 분배, 그리고 중립적인 분배제안을 받고, 해당 제안을 수락하거나 거절하는 선택을 하였다. 그 결과 집단수준에서 참가자들이 내집단이 유리한 분배제안을 다른 두 조건에 비해 더 많이 수락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극단적으로 불공정한 제안보다는 온건한 수준에서 불공정한 제안을 더 많이 수락하였다. 이는 사람들이 내집단 편향적 선택과 공정한 선택 사이에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내집단 편향과 공정성 중 어떤 동기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지에 있어서 상당한 개인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가용자원이 부족할 때에 참가자들의 내집단 편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본 실험의 가설과 일치한다. 본 연구는 상황적 성격적 요인들이 집단 간 상호작용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 더 나아가 인간 사회에 만연한 집단 간 갈등의 기저에 있는 동기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 Role of the rostromedial prefrontal cortex in tactical self-enhancement

        윤이현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Motivation for self-enhancement is the most potent and prevalent motivation guiding our daily social behaviors. However, as such motivation for self-enhancement often conflicts with social norms and long-term benefit, people tend to express this motivation in a more indirect and sophisticated way by engaging in tactical self-enhancement. Despite of the known functions of tactical self-enhancement, its neural basis and developmental trajectory have rarely been investigated. In this thesis, in two neuroimaging experiments utilizing novel behavioral tasks designed to probe tactical self-enhancement, I investigated the neural mechanism for tactical self-enhancement and its development trajectory. In the first experiment, I investigated the neural mechanism underlying increase in socially desirable self- and friend-evaluation under social observation. The behavioral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under social observation demonstrated more socially desirable self- and friend-evaluation than those without social observation. The fMRI results indicated that such an increased socially desirable target-evaluation under social observation was accompanied by increased activity in the rostromedial prefrontal cortex (RMPFC) as well as the anterior insula (AI). In the second experiment, I investigated the neurodevelopmental mechanism of age-related shift in strategy for self-enhancement, using the Reciprocal Artwork Evaluation Task. In this experiment, late childhood/early adolescents showed direct and immediate self-protective evaluation bias due to the current negative feedback, whereas young adults showed indirect and delayed self-protective evaluation bias due to accumulated evidence of negative feedbacks from previous partners. The fMRI results showed that, unlike the 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 (VMPFC) mediating self-defensive behavior due to both current and accumulated feedbacks, the RMPFC was found to mediate self-defensive behavior exclusively due to accumulated feedbacks.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an additional model-based fMRI analysis with a reinforcement learning model revealed an age-related increase in deep feedback integration, which was mediated by the activity of core nodes of default mode network (DMN), including RMPFC, encoding the discrepancy between current social feedback and previously estimated value of self-protection. In conclusion, these two studies provide novel evidences supporting the crucial role of RMPFC in tactical self-enhancement. I believe that the present thesis would contribute to a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neural basis for social motivation, which can be also beneficial for developing scientific programs for promoting one’s socioemotional adaptive functioning. Future studies with diverse and more systematic research methods would be necessary to elucidate the neural mechanisms underlying various ways of expressing self-enhancement motivation under different social contexts. 자기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자 하는 자기 향상 동기는 생존과도 밀접하게 관련되는 인간의 가장 보편적이고 강력한 동기이다. 하지만 이 동기는 종종 사회적 규범 혹은 장기적 이익과 상충하기 때문에 정교한 방식의 표현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자주 사회적 규범을 따름으로써 자신의 가치를 높이거나 혹은 정확한 현재 자기 평가를 통해 미래의 자기 향상을 추구하는 간접적인 자기향상 행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간접적이고 정교한 자기 향상 행동의 신경학적 기전과 그 발달 경로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논문은 입쪽내측전전두엽(Rostromedial prefrontal cortex)의 복잡한 사회적 정보처리기능에 기반해 이 영역이 정교한 자기 향상 동기의 발현 및 발달에 주요한 기능을 담당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첫번째 실험에서는, 실험자의 관찰로 유도된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자신 혹은 타인 평가행동의 신경학적 메커니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행동자료의 분석 결과, 실험자들로부터 관찰될 것이라는 지시를 받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좀더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식으로 자기 자신과 자신의 친구를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뇌영상자료의 분석 결과, 이러한 인상 관리 행동은 앞쪽 뇌섬엽과 함께 입쪽내측전전두엽의 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번째 실험에서는 창의적 작품에 대한 상호평가과제를 사용해 나이에 따라서 변화하는 자기 보호 행동의 발달신경학적 메커니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행동 결과에 따르면 후기 어린이 및 초기 청소년들은 자신의 작품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사람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충동적인 자기보호 행동을 보인 반면, 어른이 될수록 사람들은 이전에 받았던 평가들을 누적치에 기반하여 간접적이고 지연된 자기 보호 행동을 보였다. 뇌영상자료의 분석 결과, 복내측전전두엽은 모든 연령대에서 나타나는 자기 보호 행동을 매개하는 반면, 입쪽내측전전두엽은 누적된 평가에 기반한 지연된 자기 보호 행동만을 매개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두번째 실험에서는 강화 학습을 활용한 계산모형분석을 통해 나이에 따라 증진되는 피드백 정보의 통합기능과 이를 매개하는 뇌 기전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른이 될 수록 피드백 통합기능이 증가하며 이는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주요 뇌영역들이 부호화하는 피드백 예측 오류 신호에 의해 매개되었다. 본 논문에 포함된 두 실험들은 입쪽내측전전두엽의 기능이 정교한 자기 향상 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주장을 지지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사회적 동기의 신경학적 기반을 깊이 이해하는 데에 기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사람들의 사회정서적 기능과 사회적 적응능력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에 보다 다양하고 체계적인 연구기법들을 활용하여 자기 향상 동기가 변화하는 맥락에서 다양한 유형으로 발현되는 방식들에 대해 신경학적 수준에서의 규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Neural basis of positivity bias and its modulation by social distance

        유민희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긍정 편향이란 긍정 특성은 과대 추정하고 부정 특성은 과소 추정하는 행동 경향성을 의미한다. 긍정 편향의 정서/동기적 기제에 대한 많은 이전 연구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심리적 현상의 신경학적 기제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 편향을 가치 기반 의사결정의 일부로 개념화하여 내적 혹은 외적 가치 계산 시스템의 관여 여부가 평정 대상에 따라 달라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37명의 참가자들이 실험에 참가하였고, 각 실험참가자는 매 시행마다 제시된 성격 특성 형용사가 대상을 잘 설명하는지 평정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나, 친한 친구, 그리고 지인이 평정 대상으로 제시되었고, 48개의 성격 특성 형용사 (부정 특성 24개, 긍정 특성 24개)가 대상과 함께 제시되었다. 행동 분석 결과, 특성 평정 응답비율과 반응시간에서 평가대상에 따른 긍정 편향의 양상이 달라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긍정 편향은 특성 평정 응답과 반응시간 모두에서 세 대상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대상에 따른 긍정 편향 정도의 차이는 특성 평정 응답에서만 유의했다. 특성 평정 응답에서는 다른 두 대상에 비해 자신에 대한 긍정 편향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뇌영상 분석 결과에서는 왼쪽 뇌섬엽에서 대상에 관계없이 긍정 편향을 거스르는 반응 (부정 특성에서 그렇다, 긍정 특성에서 아니다)을 할 때 더 높은 활성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배내측 전전두피질과 우측 하전방이랑은 자신을 제외한 두 대상에 대한 평정 시, 긍정 편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반응을 할 때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자신과 타인을 위한 긍정 편향이 내적 혹은 외적 가치 계산 시스템이라는 구분된 신경학적 경로를 통해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 positivity bias refers to the behavioral tendency to overestimate positive traits and underestimate negative traits. Though numerous studies suggest emotional and motivation foundations of the positivity bias, its precise neurobiological mechanism has not been much studied yet. Conceptualizing the positivity bias as value-based decision ma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positivity bias could be differentially subserved by an external or internal valuation system depending on the target of evaluation. 37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decide whether a given personality trait describes a target well or not. Self, a close friend, and an acquaintance were displayed as a target, and 48 personality traits (24 negative, 24 positive ones) were presented along with the target. People showed a positivity bias for all targets both in the trait judgment and reaction time, but the magnitude of the positivity bias for self was smaller than that for others in the trait judgment. Neuroimaging analyses revealed that left anterior insula showed greater activation when one made a response against the positivity bias regardless of the evaluation target. On the contrary, activity in dorsomedial prefrontal cortex and right inferior frontal gyrus increased when one made a response in opposite to the positivity bias for others, but not for self.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positivity bias for self and others are served by the internal and external valuation system, respectively.

      • 신뢰게임에서 피투자자 정보유형이 착각적 상관에 미치는 영향

        김민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착각적 상관은 사례 수가 다른 두 집단(다수 vs. 소수) 구성원들의 행동(바람직함 vs. 바람직하지 않음)에 노출될 때, 다수집단을 소수집단보다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착각적 상관이 단순히 지각적 오류뿐 아니라 실제로 사회적 상호작용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의사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참가자들이 다수 혹은 소수집단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경제적 투자여부를 결정하는 신뢰게임(trust game)을 실시하였다. 또한, 식별가능성(identifiability)이 착각적 상관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 연구들과 유사하게 집단 구성원의 개인정보를 문자형태로 제시해준 조건(아이디조건)외에 피투자자의 얼굴 윤곽을 제시해준 조건(얼굴조건)을 추가하여 비교해보았다. 총 46명의 참가자들이 실험에 참여하여 신뢰게임을 수행하였고, 화면에 등장하는 피투자자의 집단정보 및 개인정보(아이디/얼굴)를 토대로 투자액수를 결정하도록 지시 받았다. 개인정보유형 조건들의 제시순서(즉, 아이디-얼굴 또는 얼굴-아이디)는 역균형화를 통해 피험자 간 요인으로 포함되었다. 실험 결과, 전반적으로 참가자들은 아이디조건에서 얼굴조건보다 더 높은 투자금액을 보였고, 평균투자금액에 있어 정보유형과 집단조건 간 상호작용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는 얼굴조건에 비해 아이디조건에서 다수집단에 더 많이 투자하는 경향성을 보였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착각적 상관이 신뢰게임을 통한 사회적 의사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집단 구성원의 식별가능성이 낮을 때 이러한 편향적 의사결정이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Oxytocin differentially affects moral judgment of permissibility and punishment

        이민우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When moral evaluation is made upon others, we consider both intentional and causal properties associated with actors’ behaviors. The extent to which a decision is affected by information about actor’s mental state or its behavioral consequence, however, could vary across the different classes of moral judgments.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effect of the evolutionarily preserved neuropeptides oxytocin (OXT) on two distinct moral judgments, namely permissibility and punishment judgment, to investigate whether relative dependence on either intentional or causal assessment during each type of moral decision making would lead to differential susceptibility to the peptides’ role in modulating a wide range of emotional/motivational processes in the brain. In a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experiment, 38 male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nd self-injected 40 IU/ml of oxytocin or placebo using intranasal sprays. Participants were then read a series of hypothetical vignettes in which information about intention (neutral vs. negative) and outcome (neutral vs. negative) of protagonists’ behaviors is independently manipulated in a 2 x 2 design.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evaluate the scenario in terms of (i) permissibility and (ii) punishability on the 7-point likert scale. While drug treatment did not significantly alter the overall patterns of moral judgments rating, participants in OXT condition demonstrated significantly slower reaction times and tended to make more lenient evaluative decisions to the cases with intermediate level of negative emotional salience. Such behavioral indices of OXT treatment were more reliably identified in punishment judgments compared to permissibility judgments. Here, prolonged RT and decrease in punishment rating could be attributed to upregulation of affiliative motivations and approach-related behavioral tendency following OXT treatment. In particular, such differential sensitivity towards OXT effects could also imply distinguishable neural dynamics among the key brain regions (e.g. amygdala, tempoparietal junction, DLPFC, etc.) involved in intentional and outcome analyses during permissibility judgments vs. punishment judgments. 어떤 행위의 도덕적 정당성과 법적인 처벌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행위자의 의도와 행위에 뒤따르는 결과에 대한 통합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주로 편도체amygdala의 활동 조절을 통해 사회적 정보 처리 및 친사회적 접근행동경향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옥시토신oxytocin이 의사결정 과정에서 의도와 결과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는 정도에 차이를 보이는 도덕적 용인가능성 판단permissibility Judgment 과 처벌판단punishment Judgment 이라는 두 종류의 도덕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모든 실험 참가자들은 이중맹검 절차에 따라 옥시토신(40IU) 또는 위약placebo을 자가주입 후 총 32 시행으로 이루어진 두 종류의 도덕적 의사결정 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 자극물로서 행위자의 의도(중립 vs 부정의도)와 행위의 결과(중립 vs 부정결과)가 다양하게 조합된 시나리오들이 제시되었으며, 각 참가자들은 시나리오가 묘사하는 인물의 특정 행위가 도덕적으로 용인가능한지(도덕적 용인가능성판단), 또한 얼마나 큰 처벌을 받아야 하는지(처벌판단) 평정하였다. 실험결과, 오직 처벌판단 과제에서만 옥시토신의 유의미한 처치효과가 관찰되었다. 옥시토신 집단의 참가자들은 전반적으로 위약집단의 참가자들에 비해 긴 반응시간을 나타났으며, 특히 위약 집단간의 반응시간 차이는 개별 시나리오들이 지닌 감정적인 현저성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 시나리오에 수반하는 부정적 정서강도(상, 중, 하)를 구별한 추가분석에서, 옥시토신 집단의 참가자들은 중간범위에 속하는 시나리오들에 대해 특히 더 너그러운 처벌판단을 내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옥시토신이 촉발하는 사회적 동기와 접근경향성을 반영하는 한편, 도덕적 용인 가능성 판단과 처벌 판단이-그 외형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상호 구별되는 신경학적 기제에 기초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Medial prefrontal cortical activity promotes reputation management during self-referential task

        김광욱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Self-referential task, where participants are asked to judge self-descriptiveness of various adjectives describing personality traits, has been frequently used to examine the behavioral and neural basis underlying self-referential processing. Although a number of studies have reported the activity of 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vmPFC) and rostromedial prefrontal cortex(rmPFC) during self-referential task, it still remains unclear what is their specific role. At the same time, another line of research revealed that vmPFC and rmPFC activate when people concern about other people’s observation or evaluation to them. Here I proposed the idea that the psychological processing and neural activation elicited by self-referential task and reputation concern may have some overlapped features, “social valuation”. Two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xamine this idea. In both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asked to make judgments regarding the relevance of a series of adjectives to their own or their friends’ personality traits. In Study1, participants of reputation condition, who were observed their performances by the experimenter during self-referential task, were more biased by word’s relationship between reputation when they judge about themselves, whereas participants of control condition were likely to affect by word’s relationship between valence. In Study2, fMRI data revealed that participants of both groups showed heightened vmPFC activity when the stimuli have higher reputational value. PPI analysis revealed tha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putation group showed increased functional connectivity between rmPFC and vmPFC when the word’s reputational values were increased during self-target trials. A group comparison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of reputation condi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mPFC activity and each participant’s degree of behavioral bias into word’s reputational value during self-target trial vs. other-target trial.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mPFC and rmPFC may be critical in the processing of social valuation which elicited by reputation concern during self-referential task.

      • Diminished neural responses to contextual modulation of facial emotion expression in narcissistic people

        김누리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나르시시즘 (narcissism, 자기애)은 자기 자신에 대해 과도한 애정을 품는 성격특성을 가리키며, 다양한 종류의 부적응적 사고 및 반사회적 행동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empathy)의 결여는 나르시시즘을 특징짓는 핵심 지표로서 임상심리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의 공감결여 특징에 대한 신경학적 기제를 밝혀내는 연구는 진행된 적이 거의 없고, 그로 인해 아직까지도 나르시시즘을 가진 사람들이 왜 공감능력이 떨어지는지에 대한 생물학적인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적자기공명영상 (fMRI)을 활용하여 자기애 수준이 높은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공감능력 차이와 연관된 신경기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들에게 수행 된 공감과제는 총 80개의 영상자극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각 영상은 등장인물이 컵에 담긴 액체의 냄새를 맡는 모습을 담고 있었으며 어떠한 냄새를 맡던지 무표정을 짖게 하였다. 해당 영상이 재생되기 이전에 액체의 냄새에 대한 단서(냄새조건: 소변, 생선, 장미, 생수)가 제시되었다. 참가자들은 총 80개의 영상자극을 시청했고, 매 영상이 끝나자 마자 각 영상 속 인물의 기분에 대해 평정(매우 나쁨, 나쁨, 중간, 좋음, 매우 좋음)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자기애성 기질 점수에 따라 두 집단(고-자기애 vs. 저-자기애 그룹)으로 구별되었다. 분석 결과, 자기애성 기질 점수와(고-자기애성 vs 저-자기애성) 냄새조건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저-자기애성 집단의 참가자들은 고-자기애성 집단의 참가자들에 비해 영상 속 인물들이 나쁜 냄새(소변, 생선)에 대해서는 더 부정적으로, 좋은 냄새(장미)에 대해서는 더 긍정적으로 느꼈을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는 자기애 수준이 낮을수록 타인의 내적 상태가 상황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더 정확한 표상을 형성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피험자가 높은 자기애성 기질점수를 가질수록 공감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뇌섬엽(Insula) 및 복내측 전전두엽(vmPFC)의 활동이 낮아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뇌섭엽과 복내측 전전두엽이 공감과제를 수행할 때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한다는 여러 기존 연구결과들을 고려할 때, 이상의 결과는 자기애성 성격집단의 피험자들이 보통사람들보다 왜 낮은 공감능력을 보이는지 설명해준다. Narcissism, defined as an unusually high affection towards oneself, can be primarily characterized by lack of empathy. Although this feature is the signifier in diagnosing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NPD) for clinicians and is a common impression of narcissistic people in the lay public, few studies empirically investigated biological evidence supporting this core feature of narcissism. As a result, the present understanding of its neural correlates remains limited. In this study, we aimed to discover the neural responses of empathy differentially modulated by the degree of narcissism. We hypothesized that people high in narcissism would show reduced empathic responses, accompanied by neural responses distinguished from those of individuals low in narcissism. 38 non-clinical female participants with different degrees of narcissism scor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40) participated in fMRI experiment. Subjects performed context-dependent facial emotion reading task designed to measure true neural empathy processing. This task consists of eighty-identical video clips presenting posers who lean forward to sniff into a glass of liquid content placed in front of them. After sniffing, posers displayed neutral facial expressions. Immediately before viewing the video clips,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one of four odor word cues, which conveyed contextual information of the following video to inform participants about the contents of the glass (i.e., urine, fish, rose, water). At the end of every trial,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how the poser in the video might feel after sniffing the content of the glass, and their goal was to understand the poser’s feeling correctly and quickly. For analyzing the behavioral results, we split 38 participants into low and high narcissism groups based on their narcissism scores. There was a marginally significant interaction of odor conditions by group, indicating that the low narcissism group rated negatively-cued facial expressions (i.e., urine and fish) more negatively and positively-cued facial expressions (i.e., rose) more positively, compared to the high narcissism group. This finding appears to demonstrate that low narcissism group members are more likely to empathize with others by integrating the contextual information and inferring how it would affect the posers’ emotional states after sniffing the contents of the glass. Result from the fMRI data revealed that subjects’ narcissism scores and activity in the bilateral insula and the 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 (vmPFC) have negative correlations in response to negatively-cued facial expressions. This means that when a participant had a higher narcissism score, he/she showed reduced bilateral insula and vmPFC activity. These brain regions have been known to be involved in empathic processing of the human brain, and lack of these activities imply why individuals high in narcissism showed impaired understanding in inferring the posers’ feelings in the video stimuli. In sum, the present findings provide neural markers indicating impaired empathy prevalently associated with narcissism.

      • Neural basis of social valuation and decision making

        강평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Sociality is a core aspect of human life. As most of complex human behaviors and decisions are fundamentally rooted in the process of valuation, elucidating the neural mechanism of social valuation would be essential to understand the complex nature of human social behaviors. The present thesis aimed to examine how our brain, more specifically, the ventral anterior cingulate cortex (vACC), computes social valuation and how this process affects our decisions under social contexts by utilizing functional magnetic imaging techniques. In Experiment 1, I investigated how social valuation is encoded in the brain in a situation where the impression of strangers are formed and updated based on interpersonal similarity, a phenomenon known as a similarity-liking effect. Through fMRI scanning while watching updating similarity information of others, I found that the activity of vACC increased when the symbols of similar compared to the dissimilar partners was presented. Also, the greater vACC activation was associated with the behavioral bias in trust game toward the similar compared to dissimilar others. In addition, a PPI analysis using the vACC as a seed region revealed greater functional connectivity with the right TPJ for the events of same compared to different choices by similar partners. In Experiment 2, I examined how social valuation influences on economic decision-making in a context that elicits social comparison and whether and how cultural membership, particularly independent versus interdependent cultures, may differentially shape the neural processes underlying social comparison. I examined the behaviors and neural response patterns of Korean (i.e., interdependent culture) and American (i.e., independent culture) participants while performing a financial gambling task simultaneously and independently with a partner. Upon seeing the partner’s income, greater modulation of the activity in the ventral striatum (VS) and the 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 (vmPFC/vACC) by relative gain was observed in Korean than American participants, suggesting greater sensitivity of Koreans toward social comparison. The strength of functional connectivity between the VS and the vmPFC/vACC predicted individual variability in the degree to which participants’ decisions were affected by relative incomes. Additional model-based fMRI analysis further confirmed the primary role of the vmPFC/vACC in biasing decisions based on relative incomes. Both studies reported in this thesis, when combined together, emphasizes the key role of vACC in computing social valuation and affecting decision-making, serving as a hub in the essential neurocircuitry engaged in a wide spectrum of social decision-making. 사회성은 인간 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인간의 복잡한 의사결정은 우리가 접하는 자극들에 대한 가치를 계산하는 것에 바탕을 두고 있으므로,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뇌에서 가치가 어떠한 방식으로 계산되어지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인간의 뇌, 그 중에서도 내측 전측 대상회피질에서 사회적 가치를 계산하는지, 이 과정이 사회적인 맥락 속에서 인간의 의사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자기 공명영상 장치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실험 1에서는 타인과의 유사성을 학습해가면서 상대방에 대한 인상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타인에 대한 가치가 뇌에서 어떻게 처리가 되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타인의 유사성 정보를 학습하는 과정을 자기 공명 영상 장치 안에서 촬영하여, 유사한 타인의 상징을 볼 때, 유사하지 않은 타인의 상징을 볼 때보다 내측 전측 대상회피질 영역의 활동이 증가된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그 차이가 유사한 타인과 유사하지 않은 타인에 대한 투자게임에서의 차이를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내측 전측 대상회 피질을 기준으로 유사한 타인의 나와 동일한 선택과 다른 선택을 내리는 것을 볼 때에 기능적 연결 분석한 결과, 우측 측두두정엽이 확인되었으며, 이 기능적 연결 또한 신뢰게임에서의 행동을 예측하였다. 실험 2에서는 사회비교가 일어나는 상황에서 사회 가치가 경제적인 의사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또한 상호의존적 혹은 상호독립적인 자기 개념을 가진 문화권에서의 사회비교 행동 차이가 뇌 수준에서 어떻게 반영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확인하였다. 상호의존적 자기 개념을 가진 한국인과 상호독립적 자기 개념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미국인이 타인과 카드게임을 수행할 때에 행동과 신경학적 반응을 비교하여. 상대방의 결과를 함께 볼 때에, 복측 선조체와 복내측 전전두엽/내측 전측 대상회피질 영역이 상대적인 수입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정도가 한국인에서 더욱 큰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복측 선조체와 복내측 전전두엽/내측 전측 대상회피질 영역의 기능적 연결 강도가 상대적인 수입에 의해 의사결정이 영향을 받는 정도의 개인차를 예측하였다. 추가적인 모델 기반 분석을 통하여 복내측 전전두엽/내측 전측 대상회피질이 상대적인 수입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의사결정 편향에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연구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는 내측 전측 대상회피질이 사회적 가치를 계산하고, 다양한 사회적 의사결정 상황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내재된 사회적 가치 계산 과정에 대한 이해가 일상적인 사회행동은 물론, 사회행동 및 정서 장애가 발생하는 기제에 대한 이론적인 체계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Neural basis of social influence on preference judgments

        정희정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People often change the course of their behavior under social pressures, as to blend in with the group. Known as social conformity, this phenomenon has been studied for decades; yet, the understanding of its neural correlates is limited.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neural processes of social conformity differentially modulated by the degree of mismatch between social pressure and individual opinion. 33 female participants performed a preference rating/choice task on typefaces for three consecutive experiments, two weeks apart. Social influence manipulation was done by placing a tag on one of the two items, ostensibly informed as the “choice of the majority”, which was intentionally orthogonalized in respect of individual’s preference across trials. We show that conformity – an adaptive decision executed by downsizing original preference and newly updating value with more weight placed on the group preference – involves activity in the lateral orbitofrontal cortex (lOFC) and requires that it override prepotent individual preference encoded by 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 (vmPFC). In addition, when participants went against the group to choose the individually preferred item versus conformed to the majority, greater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bed nucleus of stria terminalis (BNST), which has been reported as the neural sector of ‘threat monitoring’. Interestingly, connectivity between the BNST and lOFC during conformity trials were strong, suggesting that social arousal signals assist decision making in a complex situation where choice transitions and value update are required. Furthermore, as we were interested in the two paths that conformity may take in the absence of social influence, we analyzed trials of persistently choosing the conformed option (“internalized conformity”) versus those that did not (“transient conformity”) during Test 3. Compared to transient conformity trials, the caudate nucleus activated during trials of the internalized conformity trials while the opposite contrast showed activations in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mPFC). Moreover, smaller degree of mismatch between individual and group preference may be detected by the caudate nucleus, leading to internalized conformity, whereas greater mismatch detected by the mPFC results in only a short-termed conformity. In sum, the present findings help shed light on the underlying processes of social conformity and show that the amount of conflict leads to a specific decision made or not, in an effort to relieve unresolved conflict. 집단의 압력에 의해 개인은 종종 자신의 태도나 행동을 수정하며 다수의 타인들을 따르는 현상을 보이곤 한다. 사회적 동조 행동으로 알려진 이러한 현상의 심리학적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어왔으나 이와 관련된 신경학적 기제에 관한 이해는 여전히 제한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단순한 선호판단 의사결정 시 집단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사회적 동조행동의 신경학적 기제를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에 참여한 총 33명의 피험자들은 즉각적인 선호판단이 가능하면서도 통제가 용이한 글씨체들에 대한 선호판단을 수행하였다. 이들은 2주 간격으로 진행된 총 세 번의 선호판단과제들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선호판단과제에서는 개별 글씨체에 대한 평정이 요구되었으며 두 번째와 세 번째 선호판단과제들은 두 개의 짝지어진 글씨체들 중 보다 선호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요구하였다. 특히 두 번째 과제에 사용된 각 쌍의 글씨체들 중 하나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좋아한 자극물’임을 알리는 표시가 포함되었으며 이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피험자들의 뇌활동은 자기공명영상 기법을 통해 측정되었다. 타인들의 선호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첫 번째 과제와 세 번째 과제에서의 행동결과들은 두 번째 과제에서의 선호판단이 집단의 압력에 의해 영향 받은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뇌영상자료 분석을 위해 선호판단과제 시점들 간 선택행동의 변화에 기초하여 자신의 선호와 반대로 타인의 선호를 따라간 ‘선호역전 동조선택’ 시행들과 자신의 선호를 유지하며 타인의 선호를 따라간 ‘선호유지 동조선택’ 시행들을 구분하였다. 뇌영상 분석 결과 ‘선호유지 동조선택’에 비해 ‘선호역전 동조선택’ 시, 외측안와전두피질(lateral orbitofrontal cortex, lOFC)이 활성화 되었으며, 이와 반대의 경우 내측안와전두피질(medial orbitofrontal cortex, mOFC)이 활성화 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더불어, 자신의 선호를 유지하며 타인의 선호를 따라간 ‘선호유지 동조비선택’의 경우, 분계섬유줄(bed nucleus of stria terminalis, BNST)이 활성화되었다. 추가적으로 동조 선택 이후 집단의 영향이 없을 경우에도 선호 판단 양상이 지속되는지 분석한 결과, 내면화된 선택들은 미상핵(caudate nucleus)이, 일시적으로 동조된 선택들은 내측 전전두엽(medial prefrontal cortex, mPFC)이 활성화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집단의 의사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BNST 활성화를 바탕으로 사회적 영향력에 위배되는 선택을 할 경우, 각성 상태의 심리적 불편함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았다. 더불어, 이러한 각성 상태의 신호는 사회적 갈등이 심한 상황에서 의사결정을 보다 면밀히 하기 위해 활용되는 신호임을 확인하였다. 안와전두엽의 양측 영역이 활성화된 결과를 바탕으로 내측과 외측의 분화된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내측안와전두엽의 활동은 자신의 선호가 타인의 선호와와 부합하거나 그 차이가 크지 않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외측전두피질은 집단과 본인의 선호 불일치로 인해 자신의 선호가치를 수정 후 새로운 가치생성을 거쳐 타인의 선호를 따라 선택해야 하는 경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개인과 집단 간의 의견 차이에 따라 갈등을 신경학적 수준에서 해결할 수 있을 경우 선택이 유지되고, 해소되지 않을 경우 2주 뒤의 행동 결과가 바뀜을 관찰함으로써 내면화와 일시적 동조의 각기 다른 신경학적 기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