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근거이론을 활용한 부사관의 전역 후 삶의 경험 연구

        조금랑 협성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15

        국문초록 근거이론을 활용한 부사관의 전역 후 삶의 경험 연구 협성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전공 조금랑 지도교수 김익균 본 연구는 부사관이 전역한 후 지역사회에서 경험한 적응의 총체적 내용, 과정, 적응유형, 지역사회는 물론 중 범위 가족, 거시차원에서의 상호작용 결과를 도출하여 전역 부사관의 지역사회 적응에 대한 실체이론(Substantive theory)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부사관의 전역 후 삶의 의미는 어떠한가? 둘째, 부사관의 전역 후 삶의 내용은 어떠한가? 셋째, 부사관의 전역 후 적응과정은 어떠한가? 넷째, 부사관의 전역 후 적응유형은 어떠한가? 다섯째, 부사관의 전역 후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 참여자는 전역한 부사관 총 14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8년 1월에서 2018년 10월이었다. 연구 참여자들과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원자료를 구성했고 원자료는 코빈과 스트라우스(Corbin & Strauss, 2015)가 제시한 개방 코딩(Open coding), 축 코딩(Axial coding), 선택 코딩(Selective coding) 순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들과의 면담 기록을 전사한 원자료를 근거이론 자료 분석의 원칙인 줄 단위 분석(Line by analysis)을 하여 218개의 개념을 도출하고, 유사하거나 공통적인 것들을 63개의 하위범주로 구성했고, 이를 다시 21개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Corbin과 Strauss(2015)가 제시한 패러다임 모형에 개방 코딩에서 구성한 범주, 하위범주들을 재배열하여 드러난 현상은「사회적 위축」,「기로에서의 혼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에 영향을 미친 인과적 조건은 「퇴출 증후군」,「생활의 무게」,「가족이 박은 대 못」,「문화 지체」,「세상에 버려진 느낌」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위축」,「기로에서의 혼란」이라는 현상에 간접적 영향을 주는 맥락적 조건으로는 「왜곡된 사회적 군인 상」,「경력 자본 활용 불가능」,「허울뿐인 전역자 지원」,「지역의 국외자」,「속절없는 세월」로 나타났다. 현상을 다루고 조절하는 데 있어서 영향을 주는 중재적 조건으로는「노동생산성 보존 노력」,「과업에서 놓여나기」,「최소한의 경제적 안정기반」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작용/상호작용은 「지역과 융화」,「현실 직시」,「인생 2막 발판준비」로 나타났다. 결과로는 「자기만의 안정적 삶 가꾸기」,「가족의 힘 재발견」, 「자기효능감 확인」 등이 도출되었다. 선택코딩 과정 분석에서는 전진을 위한 퇴각단계, 자기 자원 재정비 단계, 재출격 단계를 거쳐 자기만의 「안정적 삶 가꾸기」,「가족의 힘 재발견」,「자기효능감 확인」에 도달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 『인생 절정기에 예고된 전역을 맞아 혼란의 기로(岐路)에 서서 현실을 직면하고 자기 차원의 삶을 재구성하여 인생 2막의 발판을 놓는 삶』이었다. 이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의 전역 경험 과정에 따른 유형들을 분석한 결과 '인적자본 개발형', '사회적 관계지향형', '숙원계획 실현형', '동반성장형'의 네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상황 조건들이 상호작용한 결과, 개인 차원에서는 소속감 양가감정과 용도폐기 자괴감, 가족 수준에서는 가족의 배반과 동시에 가족의 탄력성이 발현,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상호작용은 사회 초년생이나 신입생 같은 심리, 국가·사회적 차원에서의 상호작용은 우리 환경의 급속한 변화로 인한 낙오감과 함께 불안감을 경험하고 그런데도 연구 참여자는 핵심범주에서 본 것처럼 인생 2막의 발판을 준비하고 자기만의 안정적 삶 가꾸기, 자기효능감 확인, 가족의 힘 재발견이라는 상호작용 모습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현재 국방부에서는 부사관의 사회 재적응을 위해 전역 전 전직지원교육에 배치하고 이 기간을 이용하여 자격증 취득 또는 사회기술 훈련 등을 시행하고 있지만, 제도의 내실 없음과 시간의 짧음을 한계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과의 갈등, 지역주민과의 통합 더 나아가 사회적 관계의 부족 등 다양한 문제가 도출됨에 불구하고 현재 부사관의 전역 지원프로그램은 주로 직업 쪽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따라서 전직지원교육 기간의 연장, 사회통합프로그램, 사회 재적응프로그램, 가교적 일자리 창출 등의 정책적, 실천적 과제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the Life Experience of Discharged Noncommissioned Officers using Grounded Theory Cho, Geum-Rang Dept. of Social Welfare Hyupsu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Ik Gy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ischarged noncommissioned officers (noncom) with a substantive theory for community adjustments, by drawing interaction and outcomes from macroscopic view, including overall adaptation contents, process and categories, which noncom experience in the community as well as the mid-range of family after discharge. The fourteen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hosen 218 concepts from open coding, and it classified the similar and common things as 63 subcategories, and then it divided into main 21 categories again. The phenomenal facts revealed in the process of axial coding were social withdrawal and a state of utter confusion at the crossroads of life. In the analysis process of selective coding, it is revealed that most of participants came to recognize their own "cultivating a stable life", "rediscovering the emotional forces of family", and "confirming self-efficacy" going through the stages which comprised of stepping back for advancing, realignment for their own resources, and carrying out sortie once again. The core category may be summed up as: “It was life as establishing a foothold for the second act of life through looking reality in the face and reconstructing just their own lives standing at the crossroads of confusion, in which they meet the expected discharge in the prime of life.” In the analysis of categories, it came out that there are four types of categori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social relations-oriented tendency”, “achieving long-cherished wish”, and “growing together for win-win.” The interaction and it’s outcomes are like this: in the individual level, they experienced ambivalence over a sense of belonging and a sense of shame from abolition of use, and in the family level, they did betrayal of the family and a manifest resilience of family at the same period, and in the interaction at a level of community there was an indication of mentality like newcomers to the society or fresher, and also in the level of country and society, they suffered from the feeling of loser not to mention anxiety. In the final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an extension of a class for vocational guidance, which is a year of educational process before retirement, social integration and readjustment program, and also temporary bridge-building job creation, as a political and practical tasks.

      • 보육교사의 노화불안 및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이성우 협성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 문 초 록 보육교사의 노화불안 및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협성대학교 대학원 아동보육학과 이성우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수도권 내 보육현장에 종사하고 있는 보육교사 400명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표집은 편의표집을 통해 이루어졌으 며, 본 조사는 2019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 까지 하였다. 구조화된 설문 지에 자기입식으로 직접 기입하도록 하였으며, 400부를 회수하였다. 회수 된 설문지 중 응답에 불성실하거나 누락이 많은 설문지는 분석에 제외하 였으며, 실제 분석에는 38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가 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의 특성에 따라 노화불안, 희망퇴직, 노후 준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검증 결과, 부분채택 되었다. 가설 2. 노화불안은 노후 준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검증 결 과, 부분채택 되었다. 가설 3. 노화불안이 노후 준비에 영향을 미칠 때 희망퇴직의 조절효과 가 있을 것이라는 검증 결과, 부분채택 되었다. 전체적인 결과를 요약하면,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의 특성(연령, 학력, 전 공, 근무기관, 보육경력, 직위, 월평균 보수)에 따라 노화불안(상실 두려움, - vi - 노인 두려움, 신체적 외모걱정, 심리적 불안정)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검증 결과, 부분채택 되었다. 그리고 노화불안은 노후 준비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칠 것이라는 검증 결과, 부분채택 되었다. 노화불안이 노후 준비 에 영향을 미칠 때 희망퇴직의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검증 결과, 부 분채택 되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노화에 대한 불안, 희망퇴직, 노후 준비를 주요 변수로 하여 노화불안이 노후 준비에 미치는 인과관계 및 영향과 희망퇴 직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희망퇴직의 조절효과를 알 아본 결과, 심리적 불안정, 희망퇴직과 관련해서 사회적 준비의 좋지 않 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리적 불안정이 높아지고 사회 적 준비를 잘 하는데, 이 과정에서 희망퇴직 남은 기간이 길어질수록 더 부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즉 희망퇴직 기간이 너무 길다는 것은 보육교사의 불안적 요소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전체적으로 보육교사들의 불안한 업무환경과도 밀접 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보육교사의 노화불안은 노후준비 과정에게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불안한 미래와 연결시 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상황이 매우 만족한다면 미래의 노후 불안도 적을 것이다. 즉 노화불안이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칠 때 희망퇴 직의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검증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보육교사도 일반적인 직업과 같이 희망퇴직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을 본 연구의 제언을 제시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속 늘어나고 있는 노년기에 대한 관심이 사회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노후준비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보육교사들은 그들 - vii - 의 노후에 대해서 어떻게 바라보고, 준비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관심이 미약했다. 그리고 보육교사들의 불안한 노후대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는 보육교사의 처우개건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야 한다. 보육교사의 처우 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시점에서, 보육교사의 노후대비와 노후보장 의 근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후불안을 감소시키고, 노후대비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서는 현재의 자신의 위치가 안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보육교사들은 자신 의 현재의 위치가 불안하기 때문에 노후불안을 느끼지 못하고 노후대비가 약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럼으로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자신의 미래에 대한 확실을 줄 수 있는 정책적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보육교사의 안정된 노후대비는 보육교사들의 대한 처우개선 뿐만 아니라 보육교사의 열악한 임금 수준은 보육교사가 노후준비를 하는 데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 그리하여 보육교사의 노후준비 부족은 심리적 위 축감으로 인하여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보육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보육교사의 임금인상이 요구된다. 최근에 보육계는 최저임금으로 인한 보육교사들의 임금문제가 주요한 문제로 등장하고 있 다. 보육교사는 분명히 전문적이다. 그럼으로 전문직에 대한 적당한 임금 을 지원해야 한다. 노후불안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 신체적, 정 서적, 경제적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나 이 중에서 보육교사의 가장 심 각한 문제는 보육교사의 실질적인 처우개선의 문제이다. 즉 보육교사의 노후불안에 대한 대책으로 보육교사의 실질적인 처우개선을 보장해 주어 야 할 것이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의 개선의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보육교 사의 노후대비정책에 대한 기본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즉 - viii - 보육교사들이 노후준비를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노년기에 대한 견해, 노후대비의식, 성공적인 노화인식으로 연결되어 보육교사들이 효율 적으로 노후대비를 할 수 있는 대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즉 보육교사의 열악한 직무환경은 신체적, 정서적으로 매우 나쁘다. 그럼으로 보육교사 들이 좋은 업무환경에서 근무하도록 교사 대 아동수의 조절, 대체교사의 학보, 실질적 휴가제도의 확립, 적절한 방학의 실시 등 다양한 업무환경 개선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 아동의 공격행동이 학교적응에 미치는영향 :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와 행복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양현숙 협성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아동의 공격행동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와 행복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양 현 숙 아동보육학과 협성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공격행동이 의사소통능력을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복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의 10차 년도에 해당하는 2017년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모든 변인에 응답한 아동 592명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 통계, 신뢰도 분석, t-test, One-way ANOVA를 실행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3.0을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에 따라 공격행동, 의사소통능력, 행복감 및 학교적응의 차이를 분석결과, 공격행동은 남아가 여아보다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의사소통능력은 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행복감과 학교적응은 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는데 행복감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고, 학교적응은 남아가 여아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아동의 공격행동, 의사소통능력, 행복감 및 학교적응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분석한 결과, 공격행동은 의사소통능력, 행복감, 학교적응과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능력은 행복감과 학교적응과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복감과 학교적응도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공격행동과 학교적응 사이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공격행동은 의사소통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의사소통능력도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공격행동과 학교적응 사이에서 의사소통능력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사소통능력과 학교적응 사이에서 행복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의사소통능력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쳤고, 행복감도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쳤으며, 의사소통능력과 행복감의 상호작용 항에서도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의 공격행동이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행복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규명한 결과, 아동의 공격행동은 의사소통능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사소통능력은 학교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쳐 각각 간접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격행동은 학교적응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행복감은 학교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능력과 행복감의 상호작용 항은 학교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쳐 조절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의 공격행동이 의사소통능력을 경유하여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행복감은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공격행동, 의사소통능력, 행복감, 학교적응,

      • 보육교사의 보상체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교사 효능감의 조절 효과 검증

        정윤경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보육교사의 보상체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 검증 협성대학교 대학원 복지서비스경영학과 정윤경 최근의 사회적인 많은 변화와 더불어 조기 퇴직자의 직업군 변경 대체로 보육교사에 도전하는 교사들의 양적팽창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영유아들을 담당하고 있는 보육은 공적인 성격은 포함하여 많은 변화가 있었다. 에서 당면한 과제라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아직까지 보육교사의 보상체계는 다른 직업에 비해서는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이러한 보육교사의 보상체계의 미흡으로 인하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매우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보육을 둘러싼 환경적 변화를 이해하고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보육교사의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보상체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보상체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수도권 내 보육현장에 종사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2020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 까지 400명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했다. 자료수집은 연구자 및 훈련된 조사자가 조사하고 분석에 적합한 설문지는 총 350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보상체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보육교사의 보상체계는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2. 보육교사의 보상체계는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있는가? 전체적인 결과를 요약하면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보상체계 중 화폐적 보상체계와 비화폐적 보상체계는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보상체계와 행복감 간에는 서로 관계성이 있었고 그 중에서도 비화폐적 보상체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조절감과 도전감은 조절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Compensation System on Happiness: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effectiveness Graduate School of Hyosung University Department of Welfare Service Management Jung Yoon-Kyung In addition to many recent social changes,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childcare, including public character, due to the increasing quantitative expansion of teachers who generally challenge childcare teachers. It can also be said that it is a task at hand. And since the compensation system for child care teachers is still very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jobs, the teacher's effectiveness is greatly reduced due to the lack of such child care teachers' compens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se environmental changes surrounding childcare and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In response,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compensation system of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facilities on happiness and aimed at verifying the effect of the adjustment of teacher efficacy in the effect of the compensation system of childcare teachers on happiness.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sit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400 students were selected from May 1 to June 30, 2020.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research and analysis by researchers and trained investigator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djustment of teacher efficacy in the effect of the teacher's compensation system on happiness.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he reward system for child care teachers affect their happiness? Research Question 2. Does the teacher's compensation system have a controlling effect on the sense of happiness? To summarize the overall results, the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and non-monetary compensation system among the compensation system of nursery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happiness of nursery teachers.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nsation system and the euphoria of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these daycare centers, and among them, self-control and challe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monetary compensation system and euphoria proved to be controlled.

      •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신예희 협성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감성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직무만족도에 대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토대로 원장의 감성리더십,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의 관계를 살펴보고, 감성리더십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매개하는가? 셋째,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은 매개하는가? 넷째,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은 이중 매개효과가 있는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령이 높은 교사가 감성리더십을 보다 높게 인식하였고, 국공립어린이집 교사들이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세 변인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에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에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섯째,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은 이중 매개효과가 있었다.

      •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

        김현희 협성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현대사회에서 보육교사의 중요성은 더욱더 강조되고 있다. 보육서비스는 더 이상 일부의 영유아들에게만 국한된 서비스가 아니라 전 국민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점점 유아교육기관의 역할이 강화되고, 보육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다.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보육교사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직무환경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을 개선하여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을 증진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인 분석을 위하여 서울·인천·경기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최종 384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환경의 하위 요인 동료와의 관계, 운영 및 의사결정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환경의 하위 요인 동료와의 관계, 운영 및 의사결정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인 동료와의 관계와 운영 및 의사결정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동료와의 관계 정도와 운영 및 의사결정이 긍정적일수록 직무만족이 높을 것으로 해설할 수 있다. 셋째, 직무환경의 하위 요인 동료와의 관계, 운영 및 의사결정은 종속변수인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인 동료와의 관계와 운영 및 의사결정은 교사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은 종속변수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만족은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도 높을 것으로 해석된다. 다섯째, 교사효능감은 종속변수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효능감은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직무환경_동료와의 관계 및 직무환경_운영 및 의사결정과 삶의 질 관계에서 직무만족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직무환경_동료와의 관계 및 직무환경_운영 및 의사결정과 삶의 질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보육교사의 실천현장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에서 각종 직무환경에 대한 접근방향을 다양화해야 한다. 즉, 보육교사의 고용 안정성을 보장받는 동시에 비화폐적 직무환경으로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근무시간과 휴가 등에 대한 기본적인 처우가 보장되도록 제도적 장치를 보장해야 한다. 둘째, 보육교사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조절할 수 있는 교사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보육교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보육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직무환경과 관련된 사회적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보육교사의 임금상승을 포함하여 휴가제도의 확대, 부담임제도의 도입, 현실적인 재교육 제도의 도입 등을 통하여 보육교사의 삶의 질의 상승을 통해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보육교사의 삶의 질은 다른 직업에 비해서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근본적으로는 급여의 수준을 현실적으로 인상해야 하고 동시에 직무환경도 빠른 시일 내에 개선되어야 한다. 보육교사의 보육환경을 개선하고 더 나아가 그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을 보장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기관과 국가 차원의 배려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직무환경, 삶의 질, 교사효능감, 직무만족 간의 높은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직무환경과 삶의 질이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가 해 보육교사의 삶의 질과 직무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과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의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very meaningful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effect of job environment of childcare teachers on life of childcar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0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and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he questionnaires were finally selected and 384 respondents were finally selected.,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3, 2021 to January 30, 2021.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job environment, life satisfaction,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2.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environment, life satisfaction,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3. Does the job environment and quality of life of childcare teachers affect teacher efficacy? 4. Is there a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effect of job environment of childcare teachers on life satisfaction?

      • 보육교사 놀이성의 타인지향성, 전문성 인식, 교수 창의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간의 구조적관계

        이윤주 협성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교사 놀이성의 타인지향성, 전문성 인식, 교수 창의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 놀이성의 타인지향성, 전문성 인식, 교수 창의성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 놀이성의 타인지향성, 전문성 인식, 교수 창의성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교사 놀이성의 타인지향성, 전문성 인식, 교수 창의성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이를 검증하고자 경기도 N시 소재의 국공립(직장, 법인 포함)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50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양적연구 방법으로 SPSS 24.0을 사용하였고, 주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AMO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측정모형, 구조모형,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 놀이성의 타인지향성, 전문성 인식, 교수 창의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 놀이성의 타인지향성, 전문성 인식, 교수 창의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 놀이성의 타인지향성, 전문성 인식, 교수 창의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측정모형이 자료에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보육교사 놀이성의 타인지향성, 전문성 인식, 교수 창의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적합도 및 효과검증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보육교사 놀이성의 타인지향성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직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놀이성을 단독 변인으로 하여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면 경로의 유의성이 나타났으며, 전문성 인식, 교수 창의성을 완전매개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보육교사 놀이성의 타인지향성, 전문성 인식, 교수 창의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직․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보육교사가 지닌 교사 놀이성의 타인지향성, 전문성 인식, 교수 창의성이 교사가 영유아와 상호작용을 할 때 영향을 줌으로 인해 영유아의 자발적이면서 즐거운 놀이를 통해 전인적 발달과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보육현장에서 영유아 보육의 질을 높이고, 재미와 몰입이 있는 교육과정의 다양성, 영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책무성, 놀이의 다양성, 영유아의 유능함을 통하여 함께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에 현직교사, 교직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 영유아 교사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으며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임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toward othe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for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First, what is the overall trend of playfulness toward othe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toward othe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ird,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toward othe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o verify this, a study was conducted on 504 teachers at daycare centers in national and public (workplaces, including corporations) daycare centers, private daycare centers, and home daycare centers located in N-si, Gyeonggi-do. This study used SPSS 24.0 a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the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easurement model, structural model, and mediating effect were verified using the AMOS 24.0 program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layfulness toward othe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ended to be high overall.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it was playfulness toward othe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found that the correlation was all significant. Third, looking 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 it was playfulness toward othe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confirmed that the measurement model is suitable for data.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toward othe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established i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odel suitability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were confirmed. As a result, playfulness toward othe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but the path was significant when analyzing whether playfulness affects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action as a single variable, and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creativity were completely mediated. It was confirmed that thi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layfulness toward others ,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eaching creativity,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action through direct or indirect channels. This suggests that teachers' playfulness toward ot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 teachers when they interact with infants, helping them develop and grow through voluntary and enjoyable play. It also suggested that the curriculum created together through the diversity of fun and immersive curriculums in the educational field,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versity of play, and infant competence is very important for incumbent teachers and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 및 조직몰입과의 구조관계 분석

        정숙희 협성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행복감 및 조직몰입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행복감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514명이었다.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수 간 상관관계와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경로분석을 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자본은 조직몰입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인인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회복력 등이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인 정의적 몰입, 규범적 몰입, 근속적 몰입과 높은 관련성이 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인과 조직몰입의 하위변인 중 자기효능감은 정의적 몰입, 규범적 몰입, 근속적 몰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나타났다. 희망과 정의적 몰입, 규범적 몰입, 근속적 몰입 간에도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낙관주의 또한 조직몰입의 하위변인인 정의적 몰입, 규범적 몰입, 근속적 몰입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회복력 역시 정의적 몰입, 규범적 몰입, 근속적 몰입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행복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의 행복감은 조직몰입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행복감의 하위변인인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환경에 대한 통제력, 개인성장, 삶의 목적 등이 조직몰입의 하위변인인 정의적 몰입, 규범적 몰입, 근속적 몰입과 높은 관련성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행복감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행복감의 하위변인인 자아수용은 조직몰입의 하위변인인 정의적 몰입, 규범적 몰입, 근속적 몰입과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긍정적 대인관계도 정의적 몰입, 규범적 몰입, 근속적 몰입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환경에 대한 통제력 역시 정의적 몰입, 규범적 몰입, 근속적 몰입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의 하위변인인 개인성장 역시 정의적 몰입, 규범적 몰입, 근속적 몰입이 다소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삶의 목적도 정의적 몰입, 규범적 몰입, 근속적 몰입 모두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육기관을 관장하는 국가 및 공공기관이 보육교사들의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교육을 만들고 조직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다각적인 측면의 지원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은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은 조직몰입에 25%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정의적 몰입은 낙관주의에서 효과가 있었다. 행복감의 경우 자율성, 긍정적 대인관계, 환경에 대한 통제력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규범적 몰입과의 관계에서는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 중 희망과 회복력에서 영향을 보였고, 행복감의 경우 환경에 대한 통제력과 삶의 목적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적 몰입은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과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복감의 경우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렇듯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은 조직몰입에 중요한 내적 자원이라는 점에서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마련되어야 한다. 정기적인 세미나 및 교사교육을 통해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 관련하여 실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프로그램, 어린이집 조직에서 함께 실행할 수 있는 공동체 프로그램 등이 필요하다. 즉 조직몰입을 잘 하는 보육교사는 보다 긍정적으로 조직을 발전시킬 수 있으며 긍정적인 태도와 신념은 영유아에게 직접적인 도움과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변수인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의 수립 및 프로그램 개발 등 지원 마련이 요구된다. 주제어 : 긍정심리자본, 행복감, 조직몰입

      • 성폭력 가해 청소년 대상 성인지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조미라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exual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sexual abuse and to provide the theoretical, political and practical grounds to prevent second conviction of juvenile sexual abuse. In order to implement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40 juvenile sexual offenders in Seoul and some regions in Gyeonggi province were composed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juvenile sexual offenders participating in the sexual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compared to the juvenile sexual offenders participated in the general compulsory instruction program, three test tools were used: gender sensitivity, sexual double standard, and interpersonal empathy respon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re and post tes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8.0 Window program to check the normality, homogeneity and covariance(ANCOVA) of the measured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pre and post effectiveness tests of gender sensitiv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mproved after the program execu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openness to sexual identity, self-reflection, nonviolence, openness to gender roles and overall gender sensitivity.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openness to sexual identity, nonviolence and overall gender sensitivity. The results of the covarianc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penness to gender identity, self-reflection, nonviolence, openness to gender role and overall gender sensitivity.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sexual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gender sensitivity of the juvenile sexual offenders. Second, in the pre and post validity tests of sexual double standar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sexual double standard.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ual double standard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ost test results after controlling the pre-test score by covariance. Thus, it was found that sexual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positively affects gender double standard. Third, in the pre and post validity tests of interpersonal empathy response, the experimental group had no difference in personal pain but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perspective taking, imagining, empathic attention and interpersonal empowerment. However, for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variables.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juvenile sexual offenders who received sexual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showed higher gender sensitivity than those who received the general compulsory instruction program. In sexual double standar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only in adolescents who received the sexual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In interpersonal empathic response,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ub–variables of personal pain in the sexual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with the exception of personal pain. However, the adolescents who received the general compulsory instruction program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empathic response. Next, in the interviews, testimonies and satisfaction surveys to verify what has been altered to the change of perceptio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mong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sexual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was verified to be applied to juvenile sexual offend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sexual awareness of juvenile sexual offender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absolute sex education time must be secured in order to improve sexual awareness of adolescents. For this, it needs to be more than 15 hours of education that is currently implementing in school, an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and reinforce devices that mandate sex education hours. Second, sex education should be a regular subject rather than a one-time education, and it should be reconstructed as contents for improving sexual awareness rather than the current sex education contents. Third, in order to operate sexual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the administrator and the person in charge should be familiar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ffectiveness of sexual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and the way of operating the program. Fourth, sexual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should be actively operated in social welfare practice sites such as schools, probation offices, youth related institution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this end, follow-up studies of sexual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to prevent second conviction of juvenile sexual abuse should continue. 본 연구는 성폭력 가해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성인지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해 보고, 성폭력 가해 청소년들의 재범방지를 위한 이론적, 정책적, 실천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의 실행 및 효과검증을 위해 서울, 경기 일부지역의 성폭력 가해 청소년 4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검증하였다. 성인지력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폭력 가해 청소년은 일반 수강명령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폭력 가해 청소년들에 비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젠더감수성, 성이중기준, 대인간공감반응의 총 세 개의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18.0 Window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변인들의 정규성 확인, 동질성 검사,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젠더감수성의 사전·사후 효과성 검증에서는 프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의 평균이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집단의 경우, 성정체성에 대한 개방성, 비폭력, 자기성찰, 성역할에 대한 개방성, 전체 젠더감수성에 있어서 모두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통제집단의 경우에는 성정체성에 대한 개방성, 비폭력, 전체 젠더감수성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성역할에 대한 개방성, 자기성찰, 비폭력, 성정체성에 대한 개방성, 전체 젠더감수성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지력 향상 프로그램이 성폭력 가해청소년의 젠더감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성이중기준의 사전·사후 효과성 검증에서는 실험집단의 경우 성이중기준에 있어서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사후 검사결과에 대해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성이중기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지력 향상 프로그램이 성이중기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인간공감반응의 사전·사후 효과성 검증에 의하면 실험집단의 경우 개인적 고통 외에 하위 변인인 관점 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과 대인공감능력 전체에 있어서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통제집단의 경우에는 모든 변수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전체적인 결과를 요약하면 성인지력 향상 프로그램을 받은 성폭력 가해 청소년은 일반 수강명령 프로그램을 받은 성폭력 가해 청소년에 비해 젠더감수성의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성이중기준에 있어서는 성인지력 향상 프로그램을 받은 청소년들만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대인간공감반응에서는 성인지력 향상 프로그램이 개인적 고통이외의 다른 하위변인에서는 모두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 수강명령 프로그램을 받은 청소년들은 대인간 공감반응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는 양적분석을 통한 결과 중 프로그램 전·후의 인식의 변화에 무엇이 얼마큼 변화되었는지 검증하기 위한 인터뷰, 소감, 만족도 조사에서도 성인지력 향상 프로그램은 성폭력 가해 청소년들에 대한 적용 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성인지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성인지력 향상을 위해서는 절대적인 성교육 시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15차시의 성교육 시간을 더 늘려야하며, 성교육 시간을 의무화하는 장치를 보완·강화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성교육은 단회기 교육이 아닌 정규 교과목화 되어야하며 기존의 성교육 내용이 아닌 성인지력 향상을 위한 내용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성인지력 향상 프로그램 운영하기 위해서는 기관운영자와 담당자가 성폭력 가해 청소년 대상의 성인지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이해와 프로그램 운영방식을 잘 숙지하여야 한다. 넷째. 성인지력 향상 프로그램이 학교, 보호관찰소, 청소년 유관기관, 사회복지시설 등의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재범방지를 위한 성인지력 향상 프로그램의 후속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