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상스포츠 참여 만족이 여가몰입에 미치는 영향

        전환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는 현대인들은 변화 속에서 적절하게 대처하면서 살아가고 있는데 그중에서 자연친화적이며 역동적인 수상스포츠가 각광받고 있으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상스포츠의 참여 만족요인과 여가몰입에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망원지구, 뚝섬지구에 있는 수상스포츠를 즐기고 있는 성인 남, 여 10세 이상을 대상으로 총 250명을 편의표본추출 하였으나, 이 중 232명의 유효표본 자료를 연구에 이용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개인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 연령, 경험, 경제수준, 경력, 최근참여기간, 과거청소년 때 참여 등을 묻는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신이 현재 참여하고 있는 수상스포츠에 어느 정도 몰입되어 있는 가를 측정하는 여가몰입 측정도구는 기존의 Csikszentmihalyi(1975)에 의해서 개발되고 Jackson & Marsh(1996용하)에 의해 사용 되어진 몰입척도(Flow State Scale: FSS)을 참고로 기초하여 김영재(2010)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개발한 여가 몰입 설문지를 이였다. 또한 여가만족의 측정도구는 기존의 Beard와 Ragheb(1980)가 개발한 여가만족척도 Lss 원본 51개 문항을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김영재(2004)가 번역한 여가만족척도 설문지를 수정하여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거쳐 자료 분석 목적에 따라 SPSS WINDOW 18.0을 활용하여 T-검증, 일변량분석(ANOVA), 상관분석 및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에 따른 자료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연령, 경험, 경제수준, 경력, 최근참여기간, 과거참여기간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만족이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여가몰입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성별, 연령, 경험, 경제수준, 경력, 최근 참여기간, 과거참여기간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여가몰입이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과 여가몰입 요인은 상호 유의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상스포츠 참여에 따른 만족 중 자의식의상실을 제외한 명확한 목표, 시간감각 왜곡, 도전과 기술의 균형, 자기 목적적 경험, 즉각적인 피드백이 여가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eople are well adapting to rapidly changing situations these days. Water sports which is nature-friendly and dynamic are drawing attention as a breakthrough in their somewhat stressful lives. However, researches are insufficient for further studies. Therefore,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factors of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immersion in their leisure activities, water sports. To do so, the survey had been conducted targetting people over 10 year-old who enjoy water sports in Mang Won and Ttukseom, Seoul. the result from 250 biased sample has been calculated and 232 valid sample of them has been used in this paper. The survey questions are used as a research tool and the questions about sex, age, experience, level of economy, career, participation time, experience in adolescent period, etc. are used to specify personal factors. To measure the level of immersion in the leisure activities, which explains how much people are immersed in their currently enjoying water sports in this paper, the survey questions developed by Kim, Young Jae(2010)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Korea which is based on Flow State Scale (FSS) developed by Csikszentmihalyi(1975) and used by Jackson & Marsh(1996), are used as a measurement tool. Also, 51 questions, which is translated by Kim, Young Jae(2004) considering the cultural differences based on Leisure Satisfaction Scale (LSS) developed by Beard and Ragheb(1980), are used as the measurement tool. Collected data has been through factor and credibility analysis and used in conducting T-verification, univariat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DOW 18.0 according to the object of this paper. The following results are through those analysis above. First, the level of satisfaction seems to correlate with the personal factors. Second, the level of immersion does not seem to correlate with personal factors, but the result shows that it partially correlates with some factors. Third,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immersion seem to interrelate with some factors. Except for the loss of identity, the satisfaction factors in participating in water sports, such as certain goals, forgetting track of time, balance between challenge and techniques, deliberate experience, instant feedback, influence on how much people immerse in their leisure activities, the water sports.

      • 여가스포츠 참여유형에 따른 참여자의 여가열의와 여가몰입 관계 연구

        서미래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imed at recognizing differences between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ba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figuring out how leisure engagement influences leisure flow in order to find out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and therefore studying for these two factors which are significant factors in determining continuous participations of leisure spor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of leisure sport activitie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528 people in total. Method of this study is survey method, based on Young-Jae Kims(2012)’s 15 questions for measuring leisure engagement and Young-Jae Kim’s(2010)’s 30 questions for measuring leisure flow.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using SPSS 20.0 ver programs to analyz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Moreover, in order to figure out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of leisure sport participants, firstly Person correlation were confirmed, t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two factors. The positive analysis of this study were all interpre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f significance level( p value) is p<0.5. The conclusion based on data analysis using above procedures is following. The results of hypothesis 1’s differences in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ba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showed first, in differences of leisure engagement based on participants’ sex and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tion, males had higher efficacy than females for differences in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by participants’ sex, and differences in sub-factor of leisure engagement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bsorption, dedication, and efficacy, except for vigor. In absorption and dedication,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in efficacy,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week participants showed higher results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Furthermor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participants’ sex of leisure sports and frequency were only significant in vigor. Giving closer look to the vigor by participants’ sex and frequency, i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2~3 times/week participants females showed higher vigor than males, and in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males had higher vigor than females. In differences of leisure flow based on participants’ sex of leisure sports and the frequency, males were higher in only 2 sub-factors of leisure flow, which are challenge skill balance and sense of control. In differences of sub-factors of leisure flow based on the frequency, 6 sub-factors except altered sense of time, which are clear goals, loss of self-consciousness, challenge skill balance, autotelic experience, immediate feedback, and sense of control, were higher; in clear goals, challenge skill balance and immediate feedback,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in loss of self-consciousness, 1 time/week participants and 2~3 times/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and in autotelic experience and sense of control,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Moreover, interaction effects of leisure flow based on participants’s sex of leisure sports and the frequency were only significant in clear goals. Looking clear goals specifically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s’ sex and frequency, in 1 time/week participants, males showed higher clear goals than females, in 2~3 times/week participants, females showed clear goals than males, and in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males showed higher clear goals than females. Second, in differences of leisure engagement based on leisure sport participants’ types of leisure sport participation and the frequency, group sports showed higher efficacy than individual sports, and in differences of sub-factors based on the frequency,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showed higher absorption and dedication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showed higher efficacy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Moreover, in vigor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but in Scheffe,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1 time/week participants,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In differences of leisure flow based on participants’ types of leisure sport participations and the frequency, group sports showed higher altered sense of time and challenge skill balance than individual sports for differences of sub-factors based on types of participations, and vice versa for immediate feedbacks. In differences in sub-factors of leisure flow based on the frequency, 6 factors except altered sense of time, which are clear goals, loss of self-consciousness, challenge skill balance, autotelic experience, immediate feedback, and sense of contro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ear goals, challenge skill balance, and immediate feedbacks,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in loss of self-consciousness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2~3 times/week participants. In autotelic experience and sense of control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s that show hypothesis 2’s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have correlation, the effects of hypothesis 3’s influence of leisure sport participants’ leisure engagement on the leisure flow were studied, and result was that 4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which are absorption, efficacy, vigor, and dedication,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leisure flow. The result of figuring out influences of leisure engagement factors on sub-fators of leisure flow was, first, all 4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absorption, efficacy, vigor, dedic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clear goals, altered sense of time, and autotelic experience. Second, absorption and 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loss of self-consciousness and challenge skill balance, which are leisure flow’s sub-factors. Third, absorption, vigor, and dedication, which are the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altered sense of time,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flow. Fourth, absorption, efficacy, and dedication,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immediate feedbacks, the sub-factor of leisure flow. Fifth, absorption, efficacy, and vigor,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sense of control. According to these results, leisure sport participants’ leisure engagement influenced on leisure flow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most cases. Based on this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leisure engagement positively influences on leisure flow.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에 따른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차이를 알아보고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가열의는 여가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하여 여가스포츠의 계속적인 참여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이 두 가지 요인에 대하여 연구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및 인천 지역에서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남, 여 총528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설문지로서 김영재(2012)의 여가열의를 측정하는 15문항, 김영재(2010)의 여가몰입을 측정하는 30문항 등을 기초로 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v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여가열의 및 여가몰입의 구성요인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wo-way ANOVA(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여가스포츠 참여자들의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두 변인 사이의 관계 형성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Person 적률상관관계(correlation)를 확인한 후,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은 모두 유의도(확률수준:p value)가 p <.05인 경우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에 따른 자료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설1의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에 차이를 알아본 결과, 첫째,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의 차이에서는 주 효과 성별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 차이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 효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의 차이에서는 활력을 제외한 몰두, 효능감, 헌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몰두, 헌신에서 주1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 참여자가 더 높았으며, 효능감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2~3회참여자와 주4회이상 참여자가 더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의 상호작용 효과는 활력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상호작용 활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1회, 주2~3회 참여자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활력이 더 높고 주4회이상 참여자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활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의 차이에서는 주 효과 성별에 따른 여가몰입하위요인의 차이는 도전과기술의균형, 통제감에서만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주 효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하위요인의 차이에서는 시간감각왜곡을 제외한 몰입의 하위요인 6가지 명확한목표, 자의식의상실, 도전과기술의균형, 자기목적적경험, 즉각적인피드백, 통제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명확한목표와 도전과기술의균형, 즉각적인피드백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2~3회 참여자와 주4회이상 참여자가 더 높고, 자의식의상실에서는 주1회참여자와 주2~3회 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았으며, 자기목적적경험, 통제감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의 상호작용 효과는 명확한목표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상호작용 명확한목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1회 참여자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명확한목표가 더 높고, 주2~3회 참여자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명확한목표가 더 높으며, 주4회이상 참여자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명확한목표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참여유형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의 차이에서는 주 효과 참여유형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의 차이에서 단체종목이 개인종목보다 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주 효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의 차이에서 몰두, 헌신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고, 효능감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2~3회참여자와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은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활력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긴 하였지만 사후검증결과(Scheffe)에서는 주1회참여자와 주2~3회참여자, 주4회이상참여자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참여유형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의 차이에서는 주 효과 참여유형에 따른 여가몰입하위요인의 차이는 시감감각왜곡, 도전과기술의균형에서 단체종목이 개인종목 보다 높게 나타났고, 즉각적인피드백에서는 개인종목이 단체종목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 효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하위요인의 차이에서 시간감각왜곡을 제외한 6가지요인 명확한목표, 자기목적적경험, 도전과기술의균형, 자의식의상실, 즉각적인피드백, 통제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명확한목표, 도전과기술의균형, 즉각적인피드백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2~3회참여자와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았으며, 자의식의상실에서는 주1회참여자와 주2~3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 참여자가 더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자기목적적경험과 통제감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2의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난 결과에 따라, 가설3의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열의가 여가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여가열의요인이 여가몰입 전체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가열의의 하위요인인 몰두, 효능감, 활력, 헌신 4개의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여가열의요인이 여가몰입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첫째, 여가열의하위요인 4가지(몰두, 효능감, 활력, 헌신)모두가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명확한목표, 자기목적적경험에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여가열의의 하위요인 몰두, 효능감이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자의식의상실, 도전과기술의균형에서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여가열의의 하위요인 몰두, 활력, 헌신이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시간감각왜곡에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여가열의의 하위요인 몰두, 효능감, 헌신이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즉각적인피드백에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열의의 하위요인 몰두, 효능감, 활력이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통제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열의는 여가몰입에 거의 대부분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남으로써, 여가열의는 여가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렸다.

      • 여가참여 액티브시니어의 여가몰입이 웰다잉(well-dying) 인식에 미치는 영향

        공아영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 목적은 여가참여 액티브시니어의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라 여가몰입 및 웰다잉 인식에 대한 차이와 여가 참여 액티브시니어의 여가몰입이 웰다잉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 방법은 서울, 경기권 소재 노인정, 문화센터, 동호회, 공원 등을 방문하고, 50대 커뮤니티를 통해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설문지 응답 방식은 자기평가기입형으로 연구 대상자 344명 중 불성실 답변, 설문 중도 포기 등 8명을 제외한 총 336명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월소득, 교육정도, 주관적 건강상태(신체, 정신), 여가유형, 여가 빈도, 여가기간, 여가시간)은 10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여가몰입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여가몰입 척도는 기존 영어권에서 Csikszentmihalyi(1975)에 의해서 개발된 몰입척도(Flow State Scale: FSS)의 질문지를 번역 후 한국형으로 재구성한 김영재(2010)의 한국형 여가몰입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웰다잉 인식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Schwartz 등(2003)이 개발하고 국내 연구자들이 번역한 척도를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통계 프로그램 SPSS(Ver.29.0)을 사용하였으며 타당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하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독립 T-test, 일원변량분석(ANOVA), 사후검정(Scheffe), Pearson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여가참여 액티브시니어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몰입에 미치는 변인은 연령, 월 소득, 주관적 신체 건강, 주관적 정신 건강, 여가 유형, 여가 빈도이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참여 액티브시니어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웰다잉 인식에 미치는 변인은 성별, 여가 빈도이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참여 액티브시니어의 여가몰입은 웰다잉 인식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여가참여 액티브시니어의 여가몰입 중 즉각적 피드백, 시간감각왜곡, 통제감은 임상증상 웰다잉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참여 액티브시니어의 여가몰입 중 시간감각왜곡, 통제감은 친밀감 웰다잉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여가참여 액티브시니어의 여가몰입 중 즉각적 피드백, 통제감, 도전과 기술의 균형은 자기조절감 웰다잉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여가참여 액티브시니어의 웰다잉 인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인구통계학적 영향과 여가몰입을 고려한 웰다잉 인식의 영향력을 분석 결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leisure flow and well-dying awarenes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ctive seniors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as well as the impact of leisure flow on their well-dying awarenes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visiting senior centers, cultural centers, clubs, and parks in Seoul and the Gyeonggi area, and through a community of people in their 50s. The survey responses were self-assessed, and out of 344 participants, 336 were finally selected after excluding 8 due to insincere responses or incomplete survey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monthly income, education level, subjective health status (physical, mental), type of leisure, frequency of leisure, duration of leisure, leisure time) were composed of 10 questions. To measure the degree of leisure immersion, the Korean Leisure Flow Scale developed by Kim Young-jae (2010), which was reconstructed from the Flow State Scale (FSS) developed by Csikszentmihalyi (1975), was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well-dying awareness, the scale developed by Schwartz et al. (2003) and translated by domestic researchers was used. The data analysis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Ver.29.0).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validity,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verify reliability.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post-hoc tests (Scheff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leading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Variables affecting leisure flow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ctive seniors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were age, monthly income, subjective physical health, subjective mental health, type of leisure, and frequency of leisure,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Variables affecting well-dying awarenes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ctive seniors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were gender and frequency of leisure,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Leisure flow of active seniors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ell-dying awareness. Fourth, Among the leisure flow factors of active seniors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immediate feedback, time distortion, and sense of contro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clinical symptoms well-dying awareness. Fifth, Among the leisure flow factors of active seniors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time distortion and sense of contro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intimacy well-dying awareness. Sixth, Among the leisure flow factors of active seniors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immediate feedback, sense of control, and balance of challenge and skil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self-regulation well-dying awarenes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understanding of well-dying awareness among active seniors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was enhanc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influences and leisure flow on well-dying awareness.

      • 댄스스포츠의 재미요인이 여가열의에 미치는 영향

        이혜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개인의 여가열의에 기여하는 요인은 건강 증진 이외에도 여럿 존재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정 종목의 재미요인은 여가열의에 관계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댄스스포츠의 재미요인을 밝히고 이러한 재미요인들이 여가열의에 어느 정도 관계되어 있는 지를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댄스스포츠 참가자와 지도자들에게 댄스스포츠 참가 효과와 지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서 댄스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남녀 422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연의 측정도구는 김영미, 한혜원(2005)의 재미를 측정하는 15문항, 김영재(2012)의 여가열의를 측정하는 11문항 등을 기초로 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재미요인 및 여가열의 구성요인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검정, 다변량분산분석을 사용하였고, 분석 후 결과가 유의미한 경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댄스스포츠 참여대상자들의 재미요인이 여가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미요인 및 여가열의에 따른 성별, 연령, 교육정도, 결혼여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 교육정도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별과 결혼여부별 차이는 여가열의에서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미요인이 여가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여가열의의 몰두 하위요인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재미요인의 클럽분위기, 인정, 유능성지각이고, 여가열의의 효능감 하위요인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재미요인의 유능성지각, 활기, 클럽분위기이며, 그리고 여가열의의 활력 하위요인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재미요인의 활기, 클럽분위기, 인정 하위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re might be sever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an individual's leisure engagement. Among them, enjoyment of certain sports is likely to relate to leisure eng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factors of enjoyment in dance sports, and the effect of enjoyment on leisure engageme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mplication ar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participants and leaders of dance spor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2 participants attending dance spots club in Seoul and Gyeong-gi areas. The enjoyment rating scales' 15 items developed by Young Mee Kim and Hae Won Han (2005) were used to measure enjoyment, and the leisure engagement rating scales' 11 items developed by Young Jae Kim (2012) were used to measure leisure engagement.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Windows 20.0 Version was used to conduct an independent samples -test,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btain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differences in gender, age, education status, and marital status by sub-factors of the enjoyment, and leisure engagemen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marital status by sub-factors of the leisure engagemen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nd education status. Second, as the result of the effect of enjoyment on the leisure engagement, club atmosphere, acknowledge, and perception of competency of enjoyment's sub-factors effect on absorption of the leisure engagement. Perception of competency, vitality, club atmosphere of enjoyment's sub-factors effect on self-efficacy of the leisure engagement. And vitality, club atmosphere, acknowledge of enjoyment's sub-factors effect on vigor of the leisure engagement.

      •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들의 인성과 학업열의 관계 연구

        김승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이 학교에서 운영되는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인성과 학업열의에 관계를 규명하기 위함이며 스포츠클럽의 활성화와 체육교과목의 중요성을 재인식 할 수 있는 기초자료 사용에 목적이 있고 다음과 같은 연구대상과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하고 있는 6개의 중학교를 선정하였으며 총 1020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포 조사하였다. 조사 후 수거된 설문지 중 무응답 문항이 많은 것, 동일한 번호에 응답한 것, 인성이나 학업열의 척도 중 한쪽에만 응답한 것 등 불성실한 응답이나 무응답 자료 390부를 제외한 총 630명의 자료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Window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에서 사용된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여 각 하위척도들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hronbach's α의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측정도구에 대한 요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인성과 학업열의에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MANOVA분석을 실시하였고, 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들의 인성이 학업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성의 차이에서는 성별과 학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성하위요인인 자신감과 자기희생이 남녀 집단 특성에 따라 인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학년별에 따른 인성 하위요인으로는 자신감이 인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열의 차이에서 성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학년별에 따른 학업열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업열의에 하위요인으로 활기와 효능감이 성별 집단 특성에 따라 인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클럽 활동 변인에 따른 인성 차이에서 종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지도교사 형태에 따른 인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자신감과 긍정적인 태도가 인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클럽 활동 변인에 따른 학업열의 차이에서 종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지도교사 형태에 따른 학업열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종목별에 따른 학업열의는 하위요인인 헌신, 활기, 효능감이 학업열의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인성과 학업열의 관계에서는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인성은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 하위요인 중에서도 자신감은 학업열의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스포츠클럽 활동은 인성과 학업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을 더욱 활성화 시킴으로써 중학생들의 인성함양 뿐만 아니라 학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학업열의를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청소년 시기를 정신적, 신체적,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건강하게 보낼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academic engagement as middle school students join the sports clubs managed by the school and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activate sports clubs and to reinterpret the signification of physical education. The subject and method of study work as follows. 1,020 students of 6 middle schools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to them. After scrutinizing the returned questionnaires, 390 respondents of the data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due to incomplete reponses to the questions, leaving a total of 630 to form the basis of analysis of results in this presentation. The data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derived from Window SPSS 12.0, Chronbach's α used as an estimate of the reliability of a psychometric test for a sample of examinee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ed to uncover the underlying structure of a relatively large set of variables. Furthermore, MANOVA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academic engageme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of joining the sports club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whether personality has any meaningful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or not. The results are list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and grade in aspects of personality. Confidence and self-sacrifice had a great influence on personality by group of male and female. And confidence affected personality according to grade. Second, although gender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engagemen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grade. Vitality and effectiveness included in sub factors of academic engagement had an influence on personality by group of gender. Third, sports events did not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ity according to sports club activiti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ity by teachers traits and confidence and positive attitudes had a highly influence on personality. Fourth, academic engagement did make statistically significant score differences in sports events. The peculiar things were that there appear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traits. Devotion, vitality and effectiveness had big influences on academic engagement according to sports events. Finally, the person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joining sports clubs had great influences on academic engagement. Among the sub factors of personality, confidence had the most influence on academic engagement. Consequently, this survey shows that sports club activities would affect personality and academic engagement and activating them could help students to improve their personality and academic engagement. In addition, students can spend their time of youth on living a stable and healthy life physically, emotionally and spiritually.

      • 위기청소년들의 신체활동 의미탐색 요인 분석

        양수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위기청소년들의 신체활동 의미탐색을 통해서 위기청소년들이 실제로 신체활동을 무슨 이유와 목적으로 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에 있는 대안교육센터에 법원, 검찰, 학교의 처분을 받은 위기청소년 404명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돌려 분석하고 보다 질을 높이기 위해 그중에 18명의 심층면접을 통해 보다 깊은 자료를 얻을 수 있었고 각 기관에 근무하시는 교사 선생님 14명의 인터뷰자료를 통해 현장에서 경험하고 느낀 바를 자료로 얻을 수 있었다. 개방형 설문지 404부 중에 미응답 및 불성실하게 답변을 한 239부를 제외한 165부를 선별하여 사용하고 위기청소년 심층면접과 교사 인터뷰 내용은 전사작업 후 의미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위기청소년의 성향은 자기통제력이 부족하여 스트레스를 받거나 화가 났을 때 잘 다스리지 못하는 성향을 갖고 있었다. 운동으로 해결을 하는 학생도 있었지만 통제력이 부족하고 공격성이 높은 학생은 해소방법을 모르거나 옳지 않은 방법으로 해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기청소년들은 신체활동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의 성격이 활동적인 성격을 갖고 동적인 움직임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자신의 건강, 진학, 여가생활 등으로 나타났다. 위기청소년들의 신체활동 이후 변화는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교우관계 개선 등 긍정적인 면이 있고 반면에 공격성이 커졌다는 부정적인 변화도 있었다. 셋째, 위기청소년들은 평소 교실에만 앉아 있는 학교생활을 지루해하는 학생이 대부분이었고 활동적이고 흥미있고 친구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새로운 운동을 배우고 체육을 통해 새로운 것에 대해 알아가는 체육프로그램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인터뷰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모든 교사가 신체활동에 대해 긍정적이었고 단체로 협동심을 유발하여 여러 학생이 하나 됨을 느끼고 명상을 통해 정신적으로 안정을 취하고 마무리되어야 한다고 했다. 향후 신체활동 시간이 늘어나야 됨을 강조하고 국가적으로 체육시설이나 시간을 늘려나가는 방침을 계획하기를 요구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reason why at-risk youths actually do physical activity through exploration of physical activity meaning.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open-questionnaires were sent to 404 at-risk youths suspended by court, prosecution and school and transferred to the alternative education center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better quality of the analysis result, we could get deeper material through in-depth interviews on 18 at-risk students. In addition, we could get the experiential material through the interview on 14 teachers at the each institution. Among 404 open-questionnaires, 239 nonresponsive and faithless papers were excepted and 165 papers were used. We analyzed the meaning of the in-depth interview on the at-risk youths and the teachers. As a result, we got these conclusion. First, the tendency for at-risk youths was uncontrolled when they get stressed or angry. There were some students who solve the problem by exercise but uncontrolled and aggressive students didn't know how to solve the problem or resolved it improperly. Second, the most basic reason why at-risk youths do physical activity was that their own personality was very active and sought the kinetic movement. Another reason was for their own health, entering university, spare time, and etc. The positive changes of at-risk youths were good health, mental health, and improvement of their friendship after the physical activity. On the other hand, an increase in aggression was negative change. Third, most of the at-risk youths were bored with just straying in the classroom and they wanted to know new things through the physical program like learning new exercise with active and interesting friends. Fourth,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with teachers, they were positive with the physical activity and wanted to arouse at-risk students' cooperative spirit and let them feel unity. Moreover, teachers wanted at-risk youths to be mentally stabilized through meditation. The teachers also emphasized that the time for physical activity should be increased and required that the policy is nationally made to increase the physical equipment and time.

      • 한국사회에서 소득과 소비의 불평등과 양극화에 관한 실증분석

        김성윤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in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of Korea between 1990 and 2011 using time series. Especially, large changes in indices on inequality and bi-polarization since the IMF crisis will be clearly shown. Representative indices for inequality are Gini coefficient, relative poverty rate, and quintile distribution ratio. Representative indices for bi-polarization are Foster-Wolfson Index and EGR Index. Data were collected through household survey data and income distribution index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Korea and the Bank of Korea. Theoretically, inequality and bi-polarization have different concepts. However, empirical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 two concepts are not much different. While income bi-polarization has recently been relieved, income inequality is becoming increasingly severe. Since expenditure characteristics are not proportional to income, they have somewhat weak variability.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s were drawn from empirical analysis. First, there is no bi-directional,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expenditure. Expenditure on education has partial influence on income inequality. Second, influence by expenditure of higher group on income increase of lower group is not large. Third, employment rate and wage level have significant effect on income inequality.

      • 중국의 은행대출금리와 경기순환에 관한 연구

        왕, 보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Healthy development of economy is the base of bank’s operation. In recent years, because of the Economic Crisis, banking business also have been influenced so much. With the economic resurgence, banks need to release some new policies, new methods, new confidence accordingly. The research of Bank Loan Interest Rate and Economy Cycle will become more important. All the time, there are some relationships between Bank Loan Interest Rate and Economy Cycle. Facing to this view point, many researchers do lots of studies on it. This thesis uses Economic Theory and VAR Econometric Model to analyze. Aiming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Bank Loan Interest Rate Change and Economy Cycle. Better for improving the bank business management level and economic healthy development.

      • 의미분별척도를 이용한 대학생들의 여가스포츠 이미지 분석

        백은영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의미분별척도를 이용한 대학생들의 여가스포츠 이미지를 분석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연구의 대상은 선정된 3개의 대학교(C대학 350명, Y대학 150명, D대학 150명) 총 614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650부의 자료 중 조사내용이 누락되고 미비하거나 불성실하게 답변한 36부를 제외한 총 614부의 설문지를 실제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변량분석(two-way MANOVA), 탐색적 요인분석(이미지 탐색요인, 직각회전방식)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의 기술통계분석을 하였다. 48개의 형용사들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을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의 여가스포츠 이미지지의 탐색적 요인분석은 주성분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측정변인의 요인에 대한 변수의 분산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직각회전(Varimax)방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개인이 소비하는 여가시간의 충족도를 조사한 결과 대체적으로 여가시간이 충분하다고 하였으며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 경험과 여가스포츠 관련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다고 하였다. 둘째, 여가스포츠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형용사 어휘 48쌍을 선정하여 여가스포츠 이미지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로 나눠진 4개의 요인에 대해 각각 ‘유익성’, ‘강인성’, ‘신체 소진성’, ‘친근성’ 으로 명명하였으며, 연구 분석한 결과 ‘유익성’ 이라는 요인이 형용사 어휘 문항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었다. 셋째, 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여가스포츠 이미지에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여가이미지에 대한 차이에서 남학생은 신체소진성 요인에서 높은 지각을 하고 있고, 여학생은 친근성 요인에서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전공에 따른 여가이미지에 대한 차이는 체육전공 학생들이 강인성 요인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여가이미지 차이에서는 여가스포츠 이미지의 4가지 하위요인 유익성, 강인성, 신체 소진성, 친근성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대학생들의 여가스포츠 참여 종목에 따른 여가스포츠 이미지 차이 분석에서 운동비참여 대학생들이 유익성 요인에서 높은 평균을 보이고 있으며, 장비를 이용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이 친근성 요인에서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여가스포츠는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여가시간에 스포츠 활동을 활성화하여 행복하고 즐거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 스포츠 활동이 증대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semantic scale for measuring university students image of leisure sports. A total of 650 university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completed a questionnaire, however 36 had to be discarded as they were not filled in correctly or had missing data. Descriptive statistics i.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provided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tested by the use of t-tests, one-way ANOVA, two-way MANOV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EFA was carried out on the 48 factors involved in the questionnaire and a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was applied on the image of the leisure sports. To overcome the irregular distributions varimax formula was used. Here ar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general students stated that there was enough time for leisure sports and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have participated in leisure sports or had the opportunity to do so through leisure sports classes. Second, there were 48 pairs of adjectives elected that could describe the image of leisure sports and these were classified into four main factors; beneficial, tenacity, physical exhaustion, and familiarity. Of these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the how beneficial it wa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mage of leisure sports ima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students. The male university students imagery focused on the physical aspects, while the female students focused on the familiarity. There were also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 and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or focused on tenac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our years over the four factors. Fo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leisure sports, with and without equipment. The without equipment leisure sports the physical aspects were high and with equipment leisure sports the familiarity aspects were high. In conclusion, the above data shows that university students feel positively about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therefore an increased activity in leisure sports can help increase the persons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style. It is recommended that we increase the number of leisure sports facilities and opportunities for universit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