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도살풀이 춤의 대금반주선율 연구 : 서용석의 시나위와 산조를 중심으로

        오경수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Korean music lays emphasis on the flow and Jungjungmori and Gutgeori take the form of creating one rhythm with 12 beats but give different feeling through the difference in dynamics. Also, even music played by the same Gutgeori rhythm shows melodic difference when it starts with just instrumental music and dance accompaniment. The concept of rhythm is being handled with complacency in theory even though it is a factor that musicians need to perceive accurately. Suh, Yong Seok, a maestro of Namdo music, made a profound effect in the field of Namdo music in the past. Among them, Daegeum Sanjo of Suh, Yong Seok is the music that gets performed the most by musicians than Daegeum Sanjo of different group. This study analyzed how difference in Gutgeori rhythm and Jungjungmori rhythm of Gutgeori rhythm among dance accompaniments of live recordings of Namdo Salpuri, Gutgeori rhythm among Daegeum sinawi of Suh, Yong Seok, and melody of music composed with Jungjungmori 12 beats among Daegeum Sanjo of Suh, Yong Seok appear in performances through performances by maestros and investigated the melodic use of Namdo melody. First, this study analyzed and investigated Suh, Yong Seok’s life, and analyzed his music life and achievements he has made on Namdo music. Secondly, prior to the melody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dance of Namdo sinawi with Namdo Sinawi as an accompaniment. Thirdly, this study analyzed Jungjungmori rhythm among Daegeum Sanjo of Suh, Yong Seok, Gutgeori rhythm among Daegeum sinawi of Suh, Yong Seok, and melody of Gutgeori rhythm(live performance by Suh, Yong Seok) among dance accompaniments of Namdo Sinawi by structure of sound, cadence, and structure of melody. Fourthly, based on the analysis on melody above, this study compared Gutgeori rhythm used in dance accompaniment of Namdo Salpuri, Sinawi melody only composed with instrumental music, and concordant modified melody of Sanjo’s Jungjungmori rhythm to investigate how melody(rhythm, composition) that Suh, Yong Seok prepared progresses and changes in melody by the same performer based on the data of his lifetime. It is easy to understand Gutgeori rhythm and Jungjungmori rhythm of Korean music as the same concept by treating the two rhythm as the same 12 beats from Western musical perspective. However, the melody composition of Suh, Yong Seok’s performance that appeared in the two rhythm showed clear difference as well. First, among Daegeum Sanjo of Suh, Yong Seok,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Jungjungmori rhythm, Daegeum sinawi of Suh, Yong Seok, and Sinawi melody of Namdo Salpuri dance accompaniment is that there was note transposition in Sanjo by changes of tonality, but Salpuri was maintained in one tonality. There was a similar melody among melody used in Daegeum Sanjo and melody performed in Sinawi, but showed difference in breathing and accent. Daegeum sinawi of Suh, Yong Seok and sinawi of Namdo Salpuri dance accompaniment are the same tonality and beat but showed difference in melody. Compare to the Daegeum sinawi of Suh, Yong Seok that accentuates characteristics of Daegeum, it starts with the dance accompaniment of sinawi of Namdo Salpuri dance accompaniment and similar melody existed as Daegeum melody was performed with dance, beat, and different instruments in harmony. Through this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Suh, Yong Seok changed his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musical characteristic and situation, and added the depth of music by composing melody that can accentuate the melody of Daegeum. Also, he is a man with outstanding musicality, but he was a major influence on Korean classical music that feeling and musical propensity of Suh, Yong Seok can be seen not only in Daegeum but in pipe, Haegeum, and Ajaeng melody as well. 한국음악은 흐름과 호흡을 중요시한다. 장단의 주기 또한 중중모리와 굿거리는 한 장단을 12박으로 가지고 가는 형식을 취함에도 강약의 차이와 호흡의 주기를 달리 함으로써 서로 다른 느낌을 준다. 예컨대 같은 굿거리장단으로 연주되는 음악임에도 기악만의 음악과 춤 반주로 들어가는 음악은 선율적으로 차이를 보인다. 장단에 대한 개념은 연주자들이 정확히 인지하고 있어야 하는 요소임에도 이론상은 안일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서용석은 남도음악의 대가로 과거 남도음악 분야에서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 중 서용석의 대금산조는 다른 류파의 대금산조보다 연주자들에 의해 가장 많이 연주되는 음악이다. 이 연구는 서용석이 연주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생전의 실황녹음 서용석의 남도살풀이 춤의 굿거리 대금반주선율과 서용석의 대금 시나위 중 굿거리 선율, 서용석의 대금산조 중 중중모리 선율로 12박 구성의 악곡들의 선율을 대가의 연주를 통해 굿거리장단과 중중모리장단의 차이가 연주에 나타나는지 분석하며 남도가락의 선율적 쓰임을 연구한다. 첫째, 서용석의 생애를 분석하며 살펴보고 그의 음악세계와 남도음악에 끼친 업적을 살펴본다. 둘째, 선율분석에 앞서 남도시나위가 반주로 들어가는 남도 살풀이춤을 분석한다. 셋째, 서용석의 남도살풀이 춤의 굿거리 대금반주선율(지음회-서용석 연주실황)과 서용석의 대금 시나위 중 굿거리 선율(오경수에게 사사), 서용석의 대금산조 중 중중모리 선율(황규일 채보)의 음의구조, 종지형, 단락별 선율의 짜임새를 분석한다. 넷째, 위에서 연구한 선율분석을 토대로 서용석의 남도살풀이 춤의 굿거리 대금반주선율(지음회-서용석 연주실황)과 서용석의 대금 시나위 중 굿거리 선율(오경수에게 사사), 서용석의 대금산조 중 중중모리 선율(황규일채보)의 유사일치 변형선율을 비교하여 서용석이 짜놓은 가락(리듬, 조성)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생전의 자료를 바탕으로 동일 연주자에 의한 선율을 비교 연구한다. 한국음악의 굿거리장단과 중중모리장단을 서양 음악적 시각에서는 두 장단을 동일한 12박의 박자로 취급하여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고 넘어가기 쉽다. 하지만 두 장단에서 보이는 서용석의 연주의 선율구성 또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먼저 서용석의 남도살풀이 춤의 굿거리 대금반주선율과 서용석의 대금 시나위 중 굿거리 선율, 서용석의 대금산조 중 중중모리 선율의 가장 큰 차이점은 청의 변화로 대금산조는 변청이 있었지만, 남도 살풀이 춤의 반주음악과 대금 시나위는 한가지의 청으로 유지되었다. 대금산조에서 쓰인 가락과 대금 시나위에서 연주된 선율 중 유사선율이 존재했지만 호흡, 강세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남도살풀이 춤의 반주음악과 대금 시나위는 같은 청과 같은 장단임에도 가락에서 차이를 보였다. 대금의 특성이 잘 살아나는 대금 시나위에 비하여 남도살풀이 춤의 반주음악(시나위)의 대금반주선율은 대금만의 선율이 돋보이는 것이 아닌 춤과 장단의 호흡, 그리고 다른 악기와의 호흡이 더해져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서용석은 음악적 특성과 상황에 맞게 연주를 달리하였고, 대금의 선율이 돋보일 수 있는 가락을 구성하여 음악의 깊이를 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인적인 음악성이 매우 뛰어나며, 대금뿐만 아니라 피리, 해금, 아쟁 가락에서도 서용석의 느낌과 음악적 성향을 알 수 있다.

      • 서도소리 <배따라기>의 창극화에 대한 고찰 : 서도소리보존회 제11회 정기공연 서도소리 창극 <배따라기>를 중심으로

        이현정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배따라기>는 오늘의 평안남도와 평안북도, 황해도에 이르는 관서지방을 중심으로 전승되어져 오고 있는 서도소리이다. <초한가>, <공명가>, <연변가>, <제전> 등과 함께 대표적인 서도좌창(잡가)으로 분류된다. 사설의 내용은 어부로서의 삶에 대한 고단함과 생사를 넘나드는 애절함을 표현하고 있다. 생사를 넘나드는 극단적 체험과 우여곡절 끝에 귀향에 이르는 드라마틱한 서사 속에 내포된 애절함과 애상적인 정서는 서도소리의 깊은 감성과 슬픔의 미학을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서사적 완결성은 서도좌창(잡가)의 대표곡으로서 <배따라기>의 위상과 문화적 보존, 전승 가치를 재확인할 수 있으며, 사설의 서사적인 구조와 극적인 요소는 서도소리 창극의 새로운 음악 양식으로 발전할 수 있는 창의적인 주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서도소리 창극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면 다음 몇 가지로 요약 정리된다. 첫째, 서도소리의 발생과 분류 과정을 검토하고, 서도소리 <배따라기> 사설의 서사적, 구조적 특징 분석을 통해 독자적 전승 과정과 사설의 완결성을 확인하게 되었으며, 시대적 변화의 흐름 속에서 분단 이후 남쪽의 예술인들에 의해 명맥을 유지하고 전승, 발전되어온 소중한 전통 문화적 가치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서도소리 창극 <배따라기> 탄생 과정에서 서도소리의 대중화라는 시대적 과제가 사설적, 연극적 측면의 변화 과정을 거치며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가는 모멘텀을 발견하였고, 전통 문화적 가치를 지키며 현대적 대중 문화 예술로서 서도소리 창극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위의 두 가지 측면의 고찰을 토대로 2015년 서도소리보존회 제11회 정기공연 서도소리 창극 <배따라기>를 중심으로 높은 예술성과 독자적 서사의 백미인 <배따라기> 사설의 전통 문화적 가치를 토대로 현대적 소재를 접목한 서도소리 창극 <배따라기>의 사설과 정서적 합일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종합 무대 공연 예술로서 서도소리의 대중적 확장성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서도소리 창극은 시대에 맞는 변화를 모색하고 창조적 작업을 지향하며 발전해 나가야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국가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와 함께 총체적 공연 예술로 창작된 서도소리 창극 <배따라기>를 전통 문화적 가치를 넘는 현대적 소재를 접목한 보편성을 담은 공연 예술로 오래 향유되기를 소원하며, 독창적이고 지속가능한 대중성을 지향하며 발전해 나가야 한다. 이 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서도소리 창극이 대중들에게 오래도록 남을 공연예술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 해 나갈 수 있도록 많은 공연 창작자와 서도소리 전문 전승인들의 많은 관심과 노력이 더해지길 바라며, 서도소리의 보급과 발전, 활성화와 대중화를 위해 다양한 계층의 관심과 노력이 한층 더 확산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관산융마>의 음악적 수용에 대한 고찰

        정지영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관산융마>는 서도소리로 전승·보존되고 있다. 1969년 <수심가>와 함께 국가무형문화재 제 29호 서도소리로 지정되었다. <관산융마>는 본래 영조때의 문인 석북(石北) 신광수(申光洙)의 공령시(功令詩)로 과시(科詩)이지만, 서도지방의 영시(詠詩) 또는 율창(律唱)이라 하여 시창(詩唱)으로 불려지고 있다. <관산융마>에 대한 선행연구는 문학적 연구와 음악적 특징 연구가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시(詩)에 음율을 얹어 시창으로 불리어지고 전승되어진 음악적 수용에 대한 연구는 다루어지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고는 <관산융마> 시창에 대한 음악적 수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관산융마>의 음악적 수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우선 <관산융마>의 전반적인 연구를 다룬 문학계의 석북시 연구물과 <관산융마>와 관련된 현전하는 자료를 통한 연구를 통해 접근하였다. <관산융마>의 창자인 석북 신광수의 삶과 작품배경을 살피고 내용과 형식에 대하여 파악한 후 <관산융마>가 시창으로 전승되어진 역사적, 문화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관산융마> 시창의 음악분석 및 미의식에 대한 연구는 서도소리예능보유자로 현대 서도소리 보급에 큰 공로자인 오복녀의 음반을 대상으로 연구한 자료를 통하여 접근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산융마>는 영·정조대 최고조에 이른 과시체(科詩體)의 정종으로 문학사적 의의를 가지며, 과시가 대중가요로 발전하는 속화의 과정에서 그 당시 예술의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조선후기의 과시가 정통문학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독자적인 미학을 확보해가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우리민족의 성음구기(聲音口氣)를 잘 살리고 압사하여 민족의 성정(性情)으로 읊어놔 듣기가 좋은 것이다. 그래서 비록 과시의 형식으로 창작된 것이지만 이 시의 형식, 그리고 주제와 내용이 가창하기에 적합하고 좋았기 때문에 이 시가 발표되자마자 평양의 기생들에게 애창 되었고 이때부터 서도창에 실려 현재까지 200년간 불려왔다.

      • 송서,<삼설기>의 역사성과 음악어법에 관한 고찰

        이기옥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examines the musical expression of reading out the novel titled <Samsahoeng-ib Hwang Cheon-gi> also known as <Nakyang Samsagi> contained in the Hangul short novel, <Sam sol gi>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tory is based on a satirical Buddhism tale as follows. Once upon a time, three scholars living in the town called Nakyang Dongcheon had a spring picnic to Mt. Baekg-ak. While drunk. they were mistakenly taken into the underworld (Huang-cheon) by Grim Reapers. The scholars, one of whom was so greedy that he fell into Hell, demanded compensation for the mistake and made their wishes known to the King of the underworld, This method is a branch of traditional music in which scholars in the Joseon Confucian society studied Songseo or recited the text (Toksŏsŏng), a way of reading scriptures and novels aloud. The history and the musical expression of the Songseo, preserved today, are summarized as below. Songseo was first handed down by Lee Moon-Won who was a famous master singer and highly lliterate, to Mug Gye-Wol (Autonym: Lee Kyung-ok 1919~2014)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Mug Gye-Wol i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Gyeonggi Folk Song No. 57 artisan. Next, it was passed down to the Seoul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41 Songseo artisan, Yu chang (Autonym: Yoo Eui-ho, 1959∼) and is preserved today. The artistic value of the musical expression is the unique singing style of Songseo, which is located in a in sorrowful, strong, firm, ‘pressed’, and ‘belting’ voice. The composition scale and melody are composed of Bangyeongtoli (La, Do, Re, Me, Sol) affected by Gyeonggi music whose music expressions are mixed with Gyeonggi and Gyeonsang-do music. The composition of the melody consists of 5 basic variation melodies, and the same melody is not used consecutively. It being the melody of the recitation, the pitch progression (jumping progression) occasionally appears. Therefore, it can be performed well only after repeated practice. On the whole, the melody has a bow-shaped structure. The rhythm has no particular beats, though there are some syllables divided into 5-beats or 8-beats. The recitation rhythm without a jang-gu beat is the primary feature of this. Finally, the lyrics of the Songseo which is the editorial affixes are generally on the basis of a syllable with 2 small beats, 2 syllables with a small beat + 2 small beats, 3 syllables with a small beat + 2 small beats, and 4 syllables are formed with a small beat + 2 small beats + a small beat + 2 small beats. However, there are also rules that half of the editorial affixes' last syllable is given 2 beats, and the part immediately preceding is based on a letter with 2 small beats, and 2 letters with 2 small beats.

      • 범패 어장 마일운의 안채비소리 선율 분석 연구

        마기창(정교)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범패는 바깥채비소리와 안채비소리로 나눌 수 있다. 이 바깥채비소리는 짓소리와 홋소리로 구분 짓는다. 이 바깥채비소리는 많은 사람들이 꾸준히 연구하고 있지만, 안채비소리는 평염불이라는 인식이 강할 뿐만 아니라 불교의식의 전체적인 흐름이 안채비소리로 시작해서 안채비소리로 끝나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연구하는 사람들이 드물다. 또한 첫 째, 안채비소리의 종류에 대해 첫 째 기존 학계에서는 4성 체계에 입각해 유치성, 착어성, 편게성, 개탁성 이렇게 4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 4가지에, 청사성, 소 성을 추가해서 6가지로 구분 하였다. 둘 째, 안채비소리의 선율 분석 연구를 위해 마일운스님의 제작음반인 ‘수행자의 하루Ⅰ’에서 6가지 안채비소리에 대한 내용을 채보하였다. 그 악보를 기반으로 선율 분석을 하였고, 악보 안에서 마일운스님의 안채비소리에 특징을 찾아 보았다. 셋 째, 안채비소리의 선율구조는 <소 성>은 ①주요골격 선율진행은(미→라)의 완전4도 도약, (라→솔→미)의 순차하향진행이고, ②‘미솔라도레’의 음계지만 G(시)음이 꾸밈음으로 자주 등장한다. ③ 주선율은 C→F(미→라), F→Eb→C(라→솔→미), C→Eb→C(미→솔 →미)의 선율을 가지고 있다. <유치성>은 ①솔선법 평조는 아니며, 미선법이나 라선법으로 보인다. ②주요골격 선율진행은 (미→라)의 완전 4도 도약, (라→솔→미)의 순차 하행진행이다. ③ ‘미솔라도레’의 음계이나 G(시)음이 꾸밈음으로 자주 등장하고 쿡쿡 눌러치는 시김새가 자주 등장한다. ④떠는 음은 착어성의 완전 4도(미→라)와 다르게, 단3도(라→도)를 떤다. <착어성>은 ①주요 골격 선율진행은 (레→솔), (솔→도)의 완전4도 도약이다. ②‘솔라도레미’로 구성된 솔선법이지만, 솔음 아래의 완전 4도 아래의 하행골격(Tetra)을 가지고 있다. ③선법은 레-솔-라-도‘-레’(최저음이 레 인 솔선법)이다. <편게성>은 ①주선율은 E→D→B(라→솔→미)이다. ②선법은 미-솔-라-(시)-도‘(꾸밈음이 있는 메나리 선법)이며 시김새가 자주 나타난다. ③상행진행시에는 B→E(미-라)로 솔을 생략한 완전 4도 도약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메나리의 특징이다. <청사성>은 ①주요 골격진행은 F→Eb→C(라→솔→미)이며 중심음은 F(라)이다. ②편게성과 마찬가지로 라→솔→미의 메나리토리의 시김새가 자주 나타난다. 편게성 보다 음들을 짧게 끊어 발음하며 토속민요인 정선아리랑과 유사하다. ③주선율은 F→Eb→C(라→솔→미)와 F→Ab(라→도)이다. <개탁성>은 ①일정한 박자로 빠르게 읽어 내려간다. ② 안채비소리와 바깥채비소리에서 동일하게 사용한다. ④소리를 길게 짓는 부분에서 시김새의 퇴성같이 비슷하게 가창한다. ⑤일자다음과 일자일음의 혼합된 형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 째, 안채비소리는 불교가 우리나라에 수용된 이후 가장 한국전통의 음악적 성향이 내재되어 있는 우리만의 한국불교음악이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 좋은 본보기이다. 따라서 본 연구로 범패 어장 마일운스님의 안채비소리를 중심으로 선율분석은 물론 안채비소리의 종류와 음악적 우수성과 특수성을 심도있게 살펴보게 되었다. 염불이라는 것이 지루하고 따분한 것이라고 생각 할 수도 있겠지만, 안채비소리 안에서 사용되는 여러 시김새 종류의 창법이 두루 사용된다는 점에서 안채비소리가 불교 범패의례에 미친 영향이 얼마나 큰 줄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안채비소리의 음악적 우수성과 특수성을 살필 수 있을 것이다. Beompae (梵唄) primarily consists of Baggatchaebi sori and Anchaebi sori. As for the former, there are two kinds of sori’s, namely, Jit-sori and Hot-sori. The whole process of the Buddhist ritual starts from Anchaebi sori and ends with the same sori. Whereas the Baggatchaebi sori has been steadily and generally studied, Anchaebi sori has been comparatively less investigated. In part, that is caused by the strong recognition that Anchaebi sori is just Pyeong-Yeombul. First, regarding Anchaebi sori, the existing taxonomy classifies it into Yuchi-seong, Chakeo-seong, Pyeongye-seong, and Gaetak-seong, based on the system of the four kinds of voice tone. However, this study adds two more, specifically Cheongsa-seong and So-seong, making six kinds of voice tones. Second, for the analysis of the melody of Anchaebi sori, the content of six kinds of Anchaebi sori was selected from “A day of some practitioner I”, a disc produced by Monk Ma Il-un. Then, the melody was analyzed based on the score,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Mont Ma Il-un’s Anchaebi sori were explored. Third, the Anchaebi sori’s melody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were analyzed regarding “So-seong”, “Yuchi-seong”, “Chakeo-seong,” “Pyeongae-seong,” “Cheongsa-seong,” “Gaetak-seong.” Finally, Anchaebi sori is an example of natively Korean Buddhist music in which Korea’s most traditional musical propensity has existed sinc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to our country Accordingly, through this study deeply analyzed the type, musical superiority, and particularities of Anchaebi sori as well as an analysis of its melody centering on Anchaebi sori of Monk Ma Il-woon, the singer of Buddhist ritual songs. Although Yeombul is sometimes regarded as fairly tedious, several kinds of Sigimsae singing in Anchaebi sori are widely used. From this, it is recognizable how substantially Anchaebi sori influenced the Buddhist Beompae ritual, and further it is musically superior and special.

      • 경기대풍류의 느린허튼타령과 전주농삼현의 느린타령 악곡 비교 분석

        이성도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삼현육각(三絃六角)은 피리2, 해금, 대금, 장고, 북으로 편성으로 이루어진 한국전통음악의 악곡(樂曲) 또는 이러한 편성(編成)으로 연주하는 악곡을 의미 하며. 삼현육각이란 용어는 삼국사기나 고려사 악지에 보이지 않으며 조선전기 박연(朴淵)의 유언(遺言)에 처음 나타난다.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삼현육각 편성은 조선후기에 이루어 진 것으로 보인다. 삼현육각은 각 지역별로 독특하게 전승 되어 지역적 특징과 악곡구성이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었지만 그 음악의 근원은 모두 서울 삼현육각에서 퍼져나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승과정에서 그 역할이 축소되거나 끊겨 삼현육각의 보존과 전승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재 삼현육각은 서울과 경기도의 경기삼현과 황해도의 해주삼현, 영남 충무 통영에 통영삼현. 전라도 지역의 나주삼현과 전주지역의 농삼현과 민삼현이 전승되고 있다. 특히 전주지역의 삼현육각은 다른 지방의 악곡명과 다르게 연주곡 중심의 민삼현과 무용반주를 위한 농삼현으로 악곡을 구분 하고 있다. 삼현육각의 연구는 이보형의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이후 지역적, 음악적, 기능적, 역사적, 교육적 분야 등 다양하게 연구 되었다. 본고에서는 삼현육각의 다양한 악곡 가운데 전승(傳承)과 보전 (保全)이 가장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경기대풍류의 허튼타령과 전주농삼현의 타령을 대상으로 한다. 대풍류의 허튼타령과 농삼현의 타령은 무용반주에 사용 되고 있어 그 역할(役割)이 유사(類似)하며 같은 타령장단을 사용하는 공통점이 있어 비교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경기대풍류의 허튼타령과 전주농삼현 타령의 음계, 선율, 리듬을 비교 분석을 통해 두 지역의 삼현육각 타령 음악의 특징을 살펴보고 서울 경기 삼현육각과 전라삼현육각 농삼현이 상호간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였다. 삼현육각은 각 지역별로 그 기능과 악곡구성이 다양하게 전승되고 있는 우리 전통음악의 대표적인 기악곡 합주곡이다. 이렇듯 전통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향제 삼현육각의 음악의 보전과 전승이 원할 하게 이루어지고, 다양한 음악적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대구검무의 전승과 춤사위 연구

        박선영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e process of the emergence and evolution of human beings, the sword was a primitive tool which was essential to basic human life. Not only did humans utilize the sword for hunting and battles, but they also celebrated it in dance, which led to the birth of the sword dance. In Korea, traces of the sword dance go back to ancient times,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Gor-yeo and Joseon dynastie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word dance is one of the oldest dances in Korea. In the mid Joseon, taking one more step in the artistic development of the genre, the female entertainer's sword dance emerged, conducted by a gisaeng (female entertainer) who, unlike in the past, did not wear a mask. Later, female entertainers from each rural area, who participated in the royal court banquet, spread the sword dance across the country, and it changed and developed demonstrat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n the era of the colonial administration of imperial Japan, the gisaeng association, the commercial organization of Korean artists, was forced ton change into ‘Kwon-Bun(券番)’ by Japanese soldiers. They were created in various parts of the country, leading to the spread of dance and traditional arts, including the sword dance. Dae-gu plays a role as a main region of the nation's Yeong-nam dance, along with two other places: Dal-seong Kwon-Bun and Dae-dong Kwon-Bun. The Dae-gu area dance that started with Park Ji-hong has led to Kwon Myung-hwa, and has remained distinct. Although Kwon is one of the intangible heritages of Dae-gu, it has not yet been comprehensively studied. In this backdrop,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ystematic theory of the Dae-gu sword dance. As it is one of the Korean sword dances with a long histor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value of the Dae-gu sword dance and catalogued its contents as basic data required for future research.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a few conclusions were drawn.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female entertainers’ sword dance of Dae-gu was based on a “female entertainers’ sword dance” that was led by an institute run by local government. This is because it was started by ParkJi-hong at Dae-dong Kwon-Bun, which inherited the traditional art of the institute, and this dance has been being carried on by Kwon Myung-hwa. Considering relevant characteristics of it, it is based on the ‘double sword dance’, which is conducted by a pair of two dancers. The dance consists of various actions without repetition. The dance is a masculine dance, which requires a lot of energy, with various actions of both the lower and upper body, and many sophisticated movements. It is a rough yet sharp dance that goes on for about 10 minutes. Instrumental accompaniment is composed of the ‘Jang-gu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instrument)’, ‘Jing (a brassware instrument)’, and ‘Jang-gu Jae-bi’, and the music goes through various changes; this is an exclusive characteristic of the sword dance of Dae-gu. Even though this characteristic is perfectly adequate to establish itself as independent, no proper research on it has been carried out to date. As a person who performed the sword dance of Dae-gu onstage after learning it from Kwon Myung-hwa, representing the art of Dae-gu region, and as a person who inherits and carries on the tradition of the dance,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fulfill a personal responsibility to learn and organize the Dae-gu sword dance. The intent is for this research to be ongoing. Further,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would become a touchstone and promote other wide and deep studies of the dance.

      • 칭명염불(稱名念佛)에 관한 연구

        박형진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염불의 불교 사전적 의미는 “부처님을 염하는 것이 염불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염(念)’은 범어 ‘스므르티(smrti)’의 번역으로, 일찍이 경험한 것을 밝게 기억하여 잊지 않는다고 하여 ‘상기’ · ‘기억’의 뜻을 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염불수행에서 주로 나무아미타불의 6자 또는 아미타불 4자를 염송하거나 외우는 칭명염불을 주목하여 그 연구범위로 삼고, 연구 방법은 칭명염불에 따른 제1회 – 하청, 제2회 – 중청, 제3회 – 상청, 제4회 – 대청, 제5회 – 고청, 제6회 – 연청 등 6회 염불법의 음곡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제 1회 하청은 낮은음에 해당하며 낮고 굵은 형태의 소리로 가장낮은 음으로 점차 올라가는데 중점을 둔 소리의 흐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제 2회 중청은 여자든 남자든 평상시 가장 편하게 내는 일반적인 음의 형태를 말하며, 배에 별다른 힘을 주지 않고 낮은 미- 파 - 솔의 음계에 해당하는 평안한 발음으로 소리를 내고 있다. 셋째, 제 3회 상청은 상기된 소리로 격양되거나 고무된 ‘중청’보다 아랫배에 힘이 들어간 평상시 목소리 보다 조금 높은 소리를 내며 성난 목소리같이 윗 가슴에 힘이 들어가서 아랫배의 힘에 의해 은근하게 밀어내서 내는 소리 흐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제 4회 대청은 남자의 소리로 넓게 퍼지며 아랫배에 힘을 잔뜩 주고 최고의 높은음은 아니지만 센 입김을 힘껏 내뱉는 소리였으며, 다섯째, 제 5회 고청은 남녀구분 없이 소리의 최고높이로 힘차게 내는 소리이다. 음의 길이를 감안하면서 높은음을 한껏 뱃심으로 내뱉으며 지르는 높은음을 말한다. 뱃심으로 최대한 끌어올려 지르는 소리로 그리 오래 지르지 못하는 한계는 있지만, 목소리로는 가장 높은 소리로 질러내는 고성에 해당한다. 여섯째, 제 6회 연청은 ‘천상의 소리’라고 하기도 하며 머리 백회를 뚫고나오는 광범위하고 센소리이다. 음의 옥타브의 높이는 수행자의 기량에 따라 그 높고 낮은 음고의 차이는 조금씩 다르지만, 하늘 소리의 천둥소리를 본뜬 일종의 특별한 소리범주를 말한다고 하겠다. This study focused on Chingmyeong-Yeombul performance(칭명염불수행) among Yeombul performances which are known as the Talyeog performance(타력수행). Chingmyeong-Yeombul performance (칭명염불수행)call or memorize Amitabha Buddha(나무아미타블)'s or Amitabha's Myung-ho(명호). Here, the calling of Myung-ho is a firm belief in the word and is the same as calling the word, "I am not going to be a Buddha if people of the whole world don't come to my country and grow even though they were trustful and delightful with extreme heart and sang my Myung-ho only ten times to come to my country and grow in my country when I became a Buddha, Namely whether day or night, whichever poses you choos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people praise the virtues of Amitabha Buddha and sang the Myung-ho. The sutra that stresses such Chingmyeong-Yeombul(칭명염불) is the gwanmulyangsugyeong(관무량수경). Here, it says, "Even though many of the sins that have been perpetrated during the reign of all living things are numerous, it is Chingmyeong-Yeombul(칭명염불) that can be used to make a living in the kingdom of heaven.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virtues of Chingmyeong-Yeombul(칭명염불), that six-Buddhist prayer law, namely 1st- hacheong(하청), 2nd-jungcheong(중청), 3rd-sangcheong(상청), 4th- Daecheong(대청), 5th-gocheong(고청), 6th-yeoncheong(연청) etc. We examined the different musical aspects of the late and urgent turn of the six songs (tune songs) according to the six-Buddhist prayer law.

      • 정철호의 판소리 고법에 관한 연구 : 진양장단을 중심으로

        박정철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판소리는 소리꾼, 고수, 청중이 함께 어우러지는 소리판을 말하는데, 이때의 고수 역할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예컨대 고수는 창자의 반주자 역할 뿐만 아니라, 소리판을 이끌어가는 지휘자 역할, 창자의 상대자 역할, 청중과 희・노・애・락을 함께 공감하는 매개자 역할 등 단순한 반주의 역할을 넘어 창자와 청중의 사이를 넘나들면서 자기만의 기・예능성을 토대로, 음악의 극적 효과를 이끌어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평생 예인의 길을 걸어온 국가무형문화재 제 5호 판소리 고법 정철호 보유자의 고법에 관한 연구를 통해 그의 생애와 예술활동, 고법의 특징, 가락 및 연주기법의 다양성을 진양장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정철호의 생애와 예술활동은 예술가의 집안에서 태어나 삶과 예술은 하나였으며, 특히 판소리는 임방울, 고법은 김재선, 창작은 조상선의 음악적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후일 그에게는 판소리 명창, 명고, 아쟁산조 창시자, 작창·작곡 등의 수식어를 동반하는 예인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철호와 호흡을 맞춘 김영자, 성창순, 성우향, 박송희 명창의 소리 중 진양장단을 중심으로, 그의 고법의 특징과 가락 및 연주기법의 다양성에서는 무엇보다 진양장단의 기·경·결·해의 유형이 많았다. 나아가 추임새 유형과 출현 빈도수에서, 추임새의 종류로는 ‘허이’・‘얼쑤’・‘좋다’・‘얼씨구’・‘씨구’・‘으이’・‘얼씨구야’・ ‘다~’, ‘잘헌다’・‘기다’, ‘어이’・‘좋지’・‘아~’・‘아하’・‘음’・‘으’・‘허’・‘좋쑤’ 등 20여 가지가 있으나, ‘좋다 기다’・‘좋다 기다 허이’ 등 한 박에 복수로 주서붙이는 경우도 적잖게 살필 수 있는데, 주로 ‘얼쑤’・‘얼씨구’・‘좋다’・‘허이’ 등을 사용 하고 있다. 또한 진양장단은 6박의 조합 박이므로 6박자 1장단의 추임새 출현 빈도수를 보면, 제 1박에서는 전혀 없고 제 2박에서는 23번, 제 3박에서는 9번, 제 4박에서는 62번, 제 5박에서는 25번, 제 6박에서는 69번 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 4·6박에 현저히 많이 출현하는 것은 제 4박에서 힘을 받쳐주고 제 6박에서 풀어주는 추임새를 많이 구사하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셋째, 진양장단의 판소리 북 가락의 쓰임에서는 기・경・결・해 중에서 기의 북 가락 중 제 5박을 주로 대점, 소점 자리에서 치는 타점의 특징을 살필 수 있으며, 제 6박에서 소리가 출현하거나 제 6박까지 소리를 뻗어 줄 때는 제 6박을 음박으로 처리해 소리를 듣고, 제 5·6박에서 소리의 공백이 있을 때 북 가락을 넣어 공백을 메우는 고법을 구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정철호의 판소리 고법에서는 창자의 소릿길에 따라 즉흥적이고 자상한 고법을 구사하고, 타점의 강약이나 음색적 측면에서 음양의 조화를 잘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정철호의 판소리 고법에서는 실재 판소리 창자로, 소릿길에 대한 음악적 이해력뿐만 아니라,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자기만의 독특한 기・예능적 판소리 고법의 체계를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sed on studies about the Gobeop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asset no.5 Pansori Gobeop possessor Jeong Cheol Ho who led only one way as artist, this study examined the life, art work, characteristics of Gobeop, rhythm and performing technique of Jeong Cheol Ho focusing on Jinyang rhythm. As the resul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Jeong Cheol Ho's life and art work was combined as one, as he was born in the house of artists. Especially, his Pansori received significant influences from Im Bang Ul for Pansori, Kim Jae Seon for Gobeop, and Cho Sang Sun for creation. Later, he became an artist accompanying description such as master of Pansori, Myeonggo, creator of Ajaeng Sanjo, and composer. Second, among diverse characteristics of Jeong Cheol Ho's Gobeop, tune and performing technique, Gi, Gyeong Gyeol, Hae type of Jinyang rhythm was the most common type. There were about 20 types of rejoinder. There were words connecting words in one beat like "Jotta gida", "jotta gida huy" , but he mostly used "Eolsso" ,"Eolssigu" "Jotta" "Huy". Also, as for the frequency of rejoinder of 6 beat 1 rhythm of Jinyang rhythm which is combination of 6 beats, there was no rejoinder in no.1 beat, 23 rejoinders in no.2 beat, 9 rejoinders in no.3 beat, 62 rejoinders in no.4 beat, 25 rejoinders in no.5 beat, 59 rejoinders in no.6 beat. There were large number of rejoinders in no.4 and 6 beats because the no.4 beat enhance the stress and no.6 beat release the stress. Third, among the Gi, Gyeong Gyeol, Hae type, in drum rhythm of Jinyang rhythm, the drum no.5 beat of drum rhythm in Gi was found to have the characteristic of strike point hitting in Daejeom and Sojeom. Also, when there is a sound in no.6 beat or the sound stretches until the no.6 beat, the no.6 beat is processed as sound beat to listen to sound, and if there is a blank in sound in no.5 and 6 beat, Gobeop filled in blank by inserting drum rhythm.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Jeong Cheol Ho's Pansori Gobeop is spontaneous and diverse by the Cheol Ho's Pansori Gobeop is spontaneous and diverse by the sound pathway of organs, and is in harmony of yin and yang regarding musical dynamics and tone.

      • 유아 국악교육을 위한 경기 선소리 뒷산타령의 교수 학습법 연구

        홍주연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유아기는 신체발달의 결정적 시기로, 교육 환경과 교육적 접근방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유아기의 음악교육은 전인발달의 토대를 마련할 뿐만 아니라, 신체의 균형 있는 발달은 물론 창의적 능력개발과 음악적 감수성 개발을 돕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유아기부터 자기 나라의 다양한 전통음악문화를 경험함으로써, 그 전통문화에 대한 우수성과 가치를 배우고, 다양한 창의성, 인지발달, 언어발달, 정서, 신체발달, 학습발달을 효과적으로 극대화 할 수 있는 유아 국악교육을 위한 통합적 접근에 따른 교육방법이 주목을 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경기 일원에서 정월대보름의 답교놀이와 오강(五江, 마포, 용산, 서강, 한남동, 서빙고) 등지에서 불려 지던 경기 선소리 산타령 중에서 뒷산타령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나아가 경기 뒷산타령을 중심으로 유아의 눈높이에 맞춘 교수 학습법과 교수 학습 지도안의 실제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경기 선소리 뒷산타령의 효과적인 유아국악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해 보았다. 뒷산타령의 교수 학습으로는 뒷산타령의 음악적 이해, 가창습득 단계를 통하여 창법 익히기, 노래 익히기를 하고, 뒷산타령의 소고장단 및 발림 습득단계로 소고장단 익히기, 발림을 상체․하체․이동․응용 등으로 세분하여 신체표현의 단계별 교육으로 심화하였다. 또한 경기 뒷산타령의 교수 학습 지도안의 실제에서는 음악적 이해단계, 가창습득단계 (I),(II), 소고장단 및 발림 습득단계, 신체표현 단계로 5차시 교수 학습 지도안을 통한 실제 응용프로그램을 제시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뒷산타령의 다양한 교수 학습모형을 심화시켜가며 실제 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곧, 경기 선소리 뒷산타령의 교수 학습법과 지도안의 실제 교육방법에 따른 토대 마련에 역점을 두었다.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annot be more emphasized in terms of physical development. Especially, musical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in early childhood can not only improve preschoolers’ musical ability dramatically but also develop the foundation for their character development. Preschoolers can experience a range of cultures through music. By listening to music of their own country and various cultures from early childhood, they can learn the value of diversity and achieve musical development. Therefore, the study analyzed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cused on <Deuitsan Taryeong> from Gyeonggi Province for effectiv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preschoolers. Being a beautiful, strong and exciting Sori describing natural landscape with irregular beats, Seonsori Santaryeong is a men’s song that requires various singing styles such as Sangcheong, Deolmicheong, Bicheong and Aewonseong in wider and higher registers; its music value is extraordinary. Having been originated and enjoyed by the public in Seoul, Seonsori Santaryeong was played mainly in Five Rivers and developed at festivals including bridge-crossing game and slash-and-burn game on Jeongwol Daeboreum; it has a huge significance musically and culture-historically. Seonsori Santaryeong in Gyeonggi Province that has been handed down today is supposed to be sung starting from <Nolryang> to <Apsan Taryeong>, <Deuitsan Taryeong>, <Jajinsan Taryeong> and <Gaeguri Taryeong>. Seonsori Santaryeong is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field, since its lyrics, which includes well-known mountains and rivers in each region, are sound and educational; young students can acquire rich common knowledge on their national territory and develop the spirit of team work by singing in the choir rather than singing a solo as well as various senses of rhythem in person. As such, the research studied a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 for preschoolers focusing on <Deuitsan Taryeong>, one of Seonsori Santaryeongs from Gyeonggi Province. Using a music program for preschoolers based on integrative approach, the teaching and learning guideline was divided into understanding, learning how to sing (I) and (II), learning Sogo Jangdan (beat) and Ballim, and expressing physically so as to improve preschoolers’ understanding of and interest in Seonsori Santaryeong; which consisted of 5 courses of classes. Such suggestion enables young learners to experience unique factors and various idiomatic expressions of traditional music since early childhood. Through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y can not develop self-esteem as a Korean as well as understand the unique emotion of Korean people, gaining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naturally.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study various teaching methods to help preschoolers experience and understand the excitement rather than unfamiliarity and boredo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eonsori Santaryeong has the deepest tradition among Korean Sokgas and high-levels of both musicality and public artistic valu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ert ceaseless effort to conduct research on the musically and culturehistorically very important Korean Sor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