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품(逸品)화풍 수묵화를 통한 초현실적 심상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은형 서울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15

        이 논문은 본인의 초현실적 주제를 가진 수묵화 작품을 바탕으로 하며, 그 배경이 된 일품(逸品)화풍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작품의 배경 및 내용을 고찰하며 이를 통한 창작론·작가론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본인 수묵화 작품의 특징은 발묵(潑墨)·파묵(破墨), 호방한 붓질을 활용한 표현성과, 초현실적 상상력을 통한 자유로운 주제의 심상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미술사 및 화론의 일품론·일품화풍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일품론의 핵심은 기존의 화풍에 구애받지 않고자 하는 불구상법(不拘常法)의 정신이며 이는 작품 창작론에 기초가 되었다. 일품화풍은 창작론 측면의 일품론과 실제 작가들의 일품화풍으로 분류 할 수 있고, 이는 모두 작품 창작의 근거가 되었다. 일품화풍은 당대(唐代)에 발현되어 주경현(朱景玄)의『당조명화록(唐朝名畫錄)』에서 그 의미가 형성이 되고, 황휴복(黃休復)의『익주명화록(益州名畫錄)』에 이르러 화론사에서의 입지를 굳히게 된다. 작품창작에 근거한 일품화풍의 특징은 이러한 당·송대의 특징이며, 원·명·청에 이르러서는 그 의미가 세분화 및 일반화 되는 경향이 있어 본고에서 다뤄지는 창작론과는 거리가 생긴다. 그러나 명·청대의 개성적 화가들 중에서 당대의 일품화풍을 계승한 작가들 서위(徐渭), 팔대산인(八大山人), 석도(石濤) 등은 작품에 참고하였다. 이들의 작품은 고전적 일품화풍인 석각(石恪)과 양해(梁楷) 형식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는 표현적인 작품들이다. 화론의 일품연구를 바탕으로 본고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창작론은 첫째, 기존의 화법에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운 화풍의 추구, 둘째, 시대의 흐름과 변화를 반영하는 화풍의 추구, 셋째, 화가의 감정과 개성을 강조하는 화풍의 추구이다. 작품 전체의 주제배경으로는 ‘장자’와 ‘서구의 초현실주의’, ‘도석인물화’ 및 ‘풍류’에 나타난 초현실성이 있다. 장자와 초현실주의 비교는 작품 전체의 주제와 관련된 철학적 배경이다. 장자와 초현실주의는 전쟁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 이후에 나타났다는 점, 현실극복의 의지가 있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차이점은 장자의 경우 현실 초월을 통해 궁극적·정신적 해방을 추구했으나, 초현실주의의 경우는 현실에 대한 불안과 억압된 정신 상태를 여과없이 표현했다는 것이다. 이 두 측면은 본인의 작품에서 복합적으로 나타나는데, 장자의 사상을 그대로 시각화하며 소요유(逍遙遊)의 노닒을 나타낸 작품군이 있는 반면, 현시대와 자아의 심리상태에 나타나는 불안의 요소들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작품군도 있다. 장자의 소요유를 작화태도 및 작품 구상법으로 삼았는데, 심재·좌망(心齋·坐忘) 및 무위(無爲)는 노닒의 경지인 소요유를 위한 마음가짐의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무위를 초현실주의자들의 자동기술법(automatism)에 비유했다. 본인 작품의 도상을 만들어내는 근거 중의 하나로 초현실주의자들의 작품에서 나타났던 ‘사물의 변형’을 들 수 있고, 그 사상적 근거는 제물론(齊物論)이라고 할 수 있다. 초현실성의 몽환적 측면과 관련해서는 호접몽(胡蝶夢)과 정신분석학의 꿈을 작품의 기반으로 삼았다. 도석인물화에는 각종 신선과 그들의 마법이 등장하는데 이를 초현실성의 두 번째 주제로 설정했다. 중국의 방대한 신선관련 기록은 한국의 팔선도와 이를 그린 도석인물화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를 주관적으로 변형하여 본인의 수묵화에 반영했다. 풍류의 초현실성은, 그 목적성에 있다. 풍류 역시 장자와 마찬가지로 현실을 초월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기에 초현실성의 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다. 김홍도의 풍류그림과 신윤복의≪혜원전신첩≫에 나타난 풍류의 다양한 모습은 본인의 작품 중에서 음악 및 극예술에 영감을 받아 만든 것들에 참고가 되었다. 일품화풍 수묵화와 연관된 기법으로는 발묵, 파묵, 감필(減筆)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감필의 전형적인 특징은 두드러지는 발묵과 파묵 효과, 형태의 요체파악을 통한 간략화이다. 화론에서 언급한 석각, 양해, 팔대산인, 석도에서 이러한 특징들이 나타나며, 황신(黃愼) 및 김홍도의 작품에서는 각 작가의 개성이 두드러지는 감필법이 나타난다. 김성희의 연구 중에 복잡한 구도 안에서 부분적인 감필법을 찾아낸 부분이 있었는데, 이는 본인 작품의 복잡한 구도를 설명하는 근거가 되었다. 부분적으로는 미점준(米點皴)을 활용하여 대기표현을 하였고, 성김[疏]·빽빽함[密], 이완[鬆]·긴장[緊]의 기준을 화면구성의 원리로 삼기도 했다. 또한 다양한 시점을 적용하여 중첩과 겹침을 표현하고 포치(布置)와 포백(布白)을 기준으로 구도를 만들기도 했다. 이 모든 요소들은 본인 화면의 시각적 서술구조를 만들어 내는데 활용되었다. 작품의 주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는 ‘방’의 개념을 활용한 방법론을 사용한다. ‘방’의 개념은 임모(臨摹)의 발전적 개념으로 원본 및 고인의 작품들을 근거로 하여 주관성을 펼치는 방법을 말한다. 이를 일품화풍 수묵화의 주제도출 및 화면구성의 방법으로 활용했다. 주제를 찾을 때 전통회화, 공연예술, 대중예술 등 다양한 다른 분야를 참고한 점은 방작을 현대적으로 활용한 부분이다. ‘방’을 통한 방법론은 현대미술에서 중요해지고 있는 원본과 작품의 관련성과 연결지어 생각해볼 수 있는 부분이다. 지금까지 언급한 전체적인 주제, 기법, 방법론을 기초로 하여 제작한 수묵화의 주제들은 다양하게 세분화 된다. ‘자아탐구’, ‘신선의 마법’, ‘춘화’, ‘현실비판’, ‘마음의 휴식’, ‘시공의 초월’과 같은 주제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공연예술 및 행위예술과 연관성을 갖는 작품들이 있는데 이는 수묵화 작품을 삼차원 공간 안에서의 요소로 고찰하면서 실험한 작품들이다. 특히 당대 일품화가들의 행위예술적 특징들을 백남준의 퍼포먼스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일품화풍을 종합예술의 형식으로 접목시킬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본인의 퍼포먼스 기획작품 <일(逸): 달아나다>에는 신윤복 작품들을 안무로 만든 부분이 포함된다. 작품에 부분적으로 적용한 방작의 개념은 화면 안으로 전통회화 및 다른 장르의 요소들을 불러올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특히 확장적·창의적 개념의 방작으로 오페라, 음악, 문학 등을 반영한 작품들을 만들었는데 ‘니벨룽의 반지’ 시리즈 에서는 벽화, 설치, 수묵화의 요소들이 한데 어우러진다. 공연예술과 행위예술의 시도를 통해 얻은 아이디어들은 다시 오페라, 재즈, 연극, 문학 등의 요소로 수묵화의 주제가 된다. 본인의 일품화풍 수묵화는 불구상법의 창작론, 장자, 초현실주의, 도석인물화, 풍류의 초현실성, 발묵·파묵·감필의 기법을 통해 형성되었고 음악·극예술·행위예술로 확장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현대미술의 분위기 속에서 전통회화와 화론을 기반으로 한 창작론 및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어 : 일품(逸品)화풍, 수묵화, 초현실성, 장자, 도석인물화, 방(倣) 학 번 : 2013-30357 Surrealistic Expression in the Yipin Style of Ink-and-wash Painting -based on my works- Kim, Eun Hyung Department of Fine Arts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was based on my own works of ink-and-wash painting on surrealistic themes, with a focus on the yipin(逸品, “careless”) style that serves as its backdrop. The purpose was to examine the work’s background and content to suggest of a discourse of creation and the artist. The yipin style may be categorized into “yipin theory” in terms of creative discourse and yipin practice by actual artists, both of which served as a basis for my creation. Yipin emerged as a style during the Tang(唐) Dynasty, with its meaning formulated in Zhou Jingxuan’s Tangchao Minghua Lu(唐朝名畫錄, Record of Famous Tang Painters); its stature in the history of art discourse had become firmly established by the time of Huang Xiufu’s Yizhou Minghua Lu(益州名畫錄, Record of Famous Painters of Yizhou). Rooted in my artistic creation, the characteristics of yipin w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ng and Song Dynasty. By the subsequent Ming, and Qing Dynasties, the meaning of yipin exhibited tendencies of differentiation and generalization that result in some differences from my artistic discourse addressed in this thesis. At the same, some idiosyncratic painters from the Ming and Qing Dynasties who carried on the same legacy of Tang-era yipin painting served as references for my thesis. A particular underpinning for the art/artist discourse is a mindset of not being bound to preexisting artistic styles(不拘常法). This key element of yipin bears some connections with Zhuangzi(莊子), surrealism, and the concept of fangzuo(倣作, creative imitation). Both Zhuangzi and the surrealists sought to transcend and overcome their tumultuous historical circumstances, an attempt that led in turn to artistic thinking and creation. The fangzuo concept may be seen as connected to the yipin ethos of intangibility in its departure from the retreading of original works and its added element of subjective interpretation. Thematically, the context for my work as a whole can be found in Zhuangzi, the Western surrealists, and the surrealism manifested in Daoist/Buddhist figure painting(道釋人物畵) and pungryu culture (風流, meaning “to enjoy arts”). A comparison of Zhuangzi and the Western surrealists serves as a philosophical backdrop in terms of the work’s overall themes. Zhuangzi and the surrealists bear similarities in having emerged in the wake of war and the resulting social turmoil, and in having been committed to overcoming their circumstances. One difference is that Zhuangzi sought ultimate spiritual liberation through transcendence of reality, whereas the surrealists explored the unconscious by using art in an unfiltered expression of their practical fears and oppressive mental state. These aspects are both manifested in complex ways in my work: some visualize Zhuangzi’s ideas directly to depict “strolling within stillness(逍遙遊),” while others give direct expression to the elements of anxiety existing in the present era and the ego’s psychological state. Part of the process of exploring my work’s themes was a research effort in which elements associated with Zhuangzhi and the surrealists were paired: wuwei(無爲, non-action) with automatism, the “equivalence of things(齊物論)” with transformations, and the butterfly dream(胡蝶夢) with dreams within psychoanalysis. Daoist and Buddhist portrait paintings include images of various spiritual beings and their associated magical powers; these transcendent and mystical capabilities were treated a theme of my artwork in terms of surrealism. China’s vast literature on spiritual was a source of influence on Korea’s “Eight Immortals” imagery and its rendering in Daoist/Buddhist portrait art. A subjective transformation of this was incorporated into my surrealistic ink-and-wash painting. The surrealism of pungryu culture lies in its goal-directedness. As in Zhuangzi’s case, pungryu could be classified as a surrealistic theme in the sense that it had the goal of transcending reality. This study of surrealism had a particular influence on my works inspired by music and the dramatic arts. Representative examples of techniques associated with yipin ink-and-wash painting include splashed ink(潑墨), broken ink(破墨), and abbreviated brush drawing(減筆). These techniques influenced the basic canvas composition and served as basis for creating new compositions applying different standards. “Mi dots(米點皴)” were used to render the atmosphere, while standards of sparsity/denseness(疏·密) and tension/relaxation(鬆·緊) were applied as compositional principles. Superimposition and overlapping were also included through the adoption of different perspectives, while the layout of imagery and negative space(布置·布帛) served as standards in developing the composition. The methodology for selecting the themes of my work incorporated the concept of fang(倣, imitation). A conceptual advancement on the linmu(臨摹) approach, fang refers to a form of subjectivity based on original art masterpieces, which were adopted as means to identify themes for my ink-and-wash painting in the yipin style. The use of different genres including traditional painting, performing arts, and popular art as references for selecting themes was an example of a modern application of fangzuo(倣作). This imitation-based methodology warrants emphasis in traditional art discourse terms in connection with the relatedness between artworks and “originals,” which is a matter of increasing importance in contemporary art. My themes were differentiat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surrealistic themes into various works of art, and subjective interpretations were produced according to different criteria including “exploration of the self,” “mystical powers,” “pornography,” “critiquing reality,” “dramatic art,” “theater,” and “music.” Through its partial application to works of art, the fangzuo concept in particular formed a basis for introducing elements of traditional painting and other genres into the canvas. The creative fangzuo concept was applied first analogically to music and then expanded into different genres from there. Connections with performance art and dramatic art were established through analysis of the ink-and-wash work in terms of elements within space beyond two dimensions, with the prominent presence of performance art characteristics in the work of yipin painters adopted as a reference. My works of ink-and-wash painting in the yipin were developed first through an artistic discourse of intangibility, the surrealism of Zhuangzi and the Western surrealists, and the use of splashed ink, broken ink, and abbreviated brush painting as techniques; from there, they were expanded into the realms of music, dramatic art, and performance art. My aim with this research was to propose a discourse of creation and method for the contemporary art environment based on traditional painting and painting theory research, while suggesting how this could be applied broadly to a range of artistic forms. keywords : Yipin Style(逸品畫風), Ink-and Wash Painting, Surreality, Zhuangzi(莊子), Daoist/Buddhist Figure Painting(道釋人物畵), Fang(倣) Student Number : 2013-30357

      • 교과연계 독서토론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의왕지역 중학교를 중심으로

        차준우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 시대의 교육은 학생들을 리더십과 창의성, 인성을 갖춘 미래의 인재로 양성시키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독서토론은 책을 읽고 난 후, 학생이 적극 참여하여 창의성 및 사고력 증진에 효과적이며, 교과와 연계하여 진행되는 경우 교과 지식은 물론 자기주도적인 학습력을 기르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과연계 독서토론에 대한 인식도와 활성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현재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한 중ㆍ고등학교 교사와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분석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교과연계 독서토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에 대한 흥미와 시간이 필요하다. 학생들의 경우 독서에 대한 흥미와 동기부여, 독서 시간 부족으로 인해 토론활동에 주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는 교과와 연계하여 진행되는 독서토론의 특성상 독서가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독서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방안과 독서를 할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필요하다. 이러한 방안이 제시된다면 교과와 관련된 도서를 충분히 활용하여 교과연계 독서토론이 활성화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둘째, 교과연계 독서토론을 위한 환경적인 요소들도 마련되어야 한다. 가장 시급한 부분으로 교과와 연계한 자료이며, 이는 교과연계 독서토론의 큰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 자체적으로 교과과정에 맞는 도서를 선정하여 자료를 구입, 제공해줌으로써 수업 시간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교사를 위한 전문적인 독서토론 연수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부족한 지식과 운영의 미흡 등의 요소는 교사 스스로 독서토론에 참여하지 못한 이유로 연결될 수 있다. 교과연계 독서토론 수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 교과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토론방식을 습득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는 본인의 교과에 접목시켜 운영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보다 전문적인 연수 교육이 절실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넷째, 교육과정의 자율화와 평가에 일부 반영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은 교사의 일방적인 교수학습지도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수동적인 자세로 변하시킬 수 있다. 하지만 교육과정의 자율화로 독서토론이 교과 수업에 정착되어 운영된다면 학생들은 수업 진도의 부담에서 벗어나 능동적인 자세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교과별로 수행평가와 연계하여 진행하면서 독서토론 수업에 대한 인식을 높여주는 방안도 필요하다. 학교 현장에서 교과와 연계한 독서토론 방식의 수업은 아직 활용도가 높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분명 이러한 교육방법은 미래가 요구하는 인재가 되기 위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교과와 연계한 독서토론이 활성화 되려면 많은 구성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정책적 재정적으로 끊임없는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교과와 연계한 독서토론이 교과와 지역의 구분 없이 학교현장에서 적용되어 진행되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를 기대해 본다. Today’s education aims to raise future-oriented students equipped with leadership, creativity and good personality. In oder to realize it, various ways are used in education. Among them, reading debate is an effective way of improving creativity and thinking sills through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lso, when reading debate is connected textbooks, it can play a crucial role in heightening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as well as textbook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in Ui-wang Kyungki province in order to investigate awareness and activation ways of reading debate connected to textbooks. First, time for interest and time for reading is needed. Students lack interest and motivation for reading due to shortage of time for reading, Also, reading should be preceded given that reading debate is connected to textbooks. Therefore, ways of inducing students’ interest in reading and time for reading are required. Once ways are provided, reading debate using books related to textbooks will be greatly activated. Second,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for reading debate connected to textbooks. The most urgent thing is materials related to textbooks, a big problems of textbooks related reading debate. Thus, schools should select and purchase books that correspond to curriculum and provide students with them so that they actively use in class. Third, professional reading training for teachers are provided. Factors such as lack of knowledge and operation can be reason that teachers do not want to participate in reading debate. In order to activate reading debate connected to textbooks, teachers should learn various types of debate that can apply to each textbook. Thus, professional training for teachers are desperate. Fourth, ways that reflect liberalization and evaluation of curriculum are needed. School education is conducted by a once-sided teaching of teachers, which make students inactive. However, reading debate is liberated from curriculum can induce students’ active attitudes toward it. In addition, connecting reading debate to performance assessment is a way of heightening awareness. It is true that reading debate connected to textbooks is not activated. However, such education is necessary to be the right people for the future. Also, school members’ efforts are needed in order to activate reading debate connected to textbooks. Lastly, reading debate should be supported by policy and constant finance. Further study of specific ways in order for reading debate connected to textbooks to be applied to school regardless of textbooks and regions is expected.

      • 의정활동지원을 위한 정보공유에 관한 연구 : 광역지방의회를 중심으로

        양성자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에서는 지방의회 의정정보와 국가적 수준의 의정정보와의 공유가 필요함을 논의하고 의정정보 공유를 위한 콘텐츠 구성요소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지방의회의 목적과 기능, 지방의회 사무기구의 역할에 대해 파악하였다. 그리고 국가적 차원의 의회도서관과 지방의회 차원의 의회도서관의 의정활동지원 서비스를 파악하기 위해 미국, 일본, 우리나라 3개 국의 의회도서관과 메릴랜드 주 의회도서관, 동경도의회 도서관, 서울특별시 전문도서관을 운영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17개 광역지방의회의 「의회자료실 설치 및 운영규정」 과 「사무기구 및 사무분장규칙」을 근거로 지방의회자료실의 의정정보지원 기반을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17개 광역의회 지방의회자료실 의정정보지원 기반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지방의회자료실의 공통적인 이용자 범위는 의원, 의회사무처 직원, 자치단체 직원, 정부기관, 공공단체이다. 둘째, 지방의회자료실의 비치자료 유형은 각종 법령집, 통계자료, 회의록을 포함한 의정활동기록, 향토자료, 세미나·공청회 자료 등이다. 셋째, 의회자료실 소관부서는 의정정보와는 관련 정도가 낮은 부서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넷째, 지방의회자료실 업무가 자료수집, 의회자료실 운영 등 전통적 도서관 역할에 치우쳐 있었다. 지방의회자료실과 의회 홈페이지를 통해서 제공되고 있는 정보들과 국회도서관을 통해 제공되고 있는 정보에는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기관이 보유한 정보들이 충분히 활용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지방의회 홈페이지에서는 의정활동 과정에서 생산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지만, 각 의회별로 홈페이지의 구성과 메뉴에 차이가 있었고 동일한 정보유형에 대한 통합검색이 지원되지 않고 있는 등 정보의 접근과 활용에 있어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회도서관과 지방의회자료실 간의 의정정보 공유체계의 필요성이 대두되며 그 콘텐츠의 내용과 유형을 분석하였다. 의정정보 공유의 필요성과 그 콘텐츠 구성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원의 입법과정 자체와 그 결과물이 국가 전체에 미치는 막대한 영향을 고려한다면, 의정정보의 체계적인 통합과 공유는 중요하다. 둘째, 의정정보 공유의 범위는 지방의회자료실이 보유하고 있는 의정정보와 입법부 대표도서관으로서 국회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의정정보가 되어야 한다. 셋째, 지방의회와 국회의 활동과정에서 생산되는 의정정보 또한 공유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넷째, 의정정보 공유 콘텐츠에 포함하여야 하는 정보의 유형은 의회구성원 정보, 회의록, 의안정보, 의회 및 의원의 활동정보, 법률정보, 의회간행물, 정책정보, 통계정보, 보도자료, 도서관 소장자료 정보이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need of legislative information sharing between local assemblies and the national assembly.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information content components to support local legislative process. The purpose and function of local assemblies, and the role of the local council bodies were identified for the study, Operation practices of the three national congress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as well as operation practices of The Department of Legislative Services in General Assembly of Maryland, The Tokyo Metropolitan Assembly Library, and The Seoul Metropolitan Assembly Library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identify current supporting practices for legislative process in different countries. Current supporting basis of Korean metropolitan assembly libraries was research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ssembly Library Establishment and Operating Regulations" and "Organization and Staff Manual Provisions" in 17 metropolitan assemblies. Current status about supporting legislative process in the 17 metropolitan assembly libraries was examined in this study. The information at local assembly web-sites and their libraries and the information at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have many similariti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information held by these institutions have been fully utilized. Therefore, information sharing system between the local assembly librarie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is needed. The researcher also analyzed the information contents and types of the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ut legislative information sharing and the content components are as follows. First, integrated and systematic sharing of legislative information is important when we consider the huge impacts of the legislative processes and their results.   Second, the scope of legislative information sharing should include the information that is held by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local assembly libraries. Third, legislative information produced in the course of the local assembly activities and the national assembly activities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information sharing.   Fourth, the types of contents in sharing legislative information may include assembly membership information, conference minutes, bill information, assembly and congressmen activity information, legal information, assembly publications, policy information, statistics, press releases, and library resources.

      • 오픈액세스 포털 사용자의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류은영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오픈액세스 확산에 따른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오픈액세스 포털의 품질에 대한 사용자 만족 및 재사용 의도에 영향 요인을 파악해보고, 어떠한 품질 요인이 사용자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품질에 대한 재사용 의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 시스템 품질, 사회적 품질을 요인 변수로 선택하였고 이를 통하여 분석 결과들이 사용자 만족 및 재사용이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제로 오픈액세스 포털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433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이중 42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회귀분석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오픈액세스 포털의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 시스템 품질, 사회적 품질은 사용자 만족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재사용 의도에는 정보 품질, 시스템 품질, 사회적 품질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서비스 품질은 재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자 만족은 재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어 사용자 만족이 높을수록 재사용 의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오픈액세스 포털 품질이 재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사용자 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오픈액세스 포털 품질이 재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사용자 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정보 품질, 사회적 품질에는 사용자 만족이 재사용 의도에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시스템 품질에는 사용자 만족이 재사용 의도에 완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품질에는 재사용 의도와의 관계에서 사용자 만족이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액세스 포털 품질 요인에 대하여 사용자 만족이 재사용 의도에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음에 따라, 오픈액세스 포털 품질 요인과 재사용 의도와의 관계에서 사용자 만족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오픈액세스 포털의 사용자 입장에서의 품질 요인에 대한 개발 및 재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서비스 품질의 개선을 통하여 오픈액세스 포털에 대한 이용률 증대와 더불어 오픈액세스 서비스에 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eping up with the times where open access portals are being widely spreaded,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user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the portals and the influence factors on their intention to reuse, and which of the factors affect users the most. To analyze the intention to reuse on the quality of the portals, their information, service, system, social qualities were chosen as variable, and how the analysis result influences us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se was investigated. A survey targeting 433 people who have used open access portals was conducted, and 422 people's survey resul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actual proof analysis, SPSS 18.0 was used and hypotheses were verified by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the information, system and social qualities of the portals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reuse while their service quality do not. Besides, it was found out that user satisfaction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reuse. As user satisfaction improves, the intention to reuse increased as well. After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mediator effect of user satisfaction on the influence of the quality of open access portals on the intention to use, it was found out that user satisfaction does perform as a mediator on it. Especially, user satisfaction partially performed as a mediator on information and social quality, while it completely performed as a mediator on system quality. Nevertheless, user satisfaction did not perform as a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the intention to use. Since it was found out that user satisfaction performs as a mediator between the quality of open access portals and the intention to reuse, the importance of user satisfaction between quality factors of open access portals and the intention to reuse was reveal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re should be increase of open access portals use and more researches on them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through development on quality factors from users' side and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which does not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reuse.

      • 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 현황 및 디브리핑 운영에 대한 연구

        김미강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s descriptive investigation study tried to present basic materials for efficient simulation curriculum later and to prepare ground materials for debriefing by analyzing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urrent status and debriefing in connection with simulation educators in nursing college which enforces debriefing in nursing education based on simulation. The subject of study is educator experienced in instructing simulation over 1 semester in 5 recent years in nursing colleges nationwide. When calculating with p=.50, t=1.65 while Population size is 150 persons at least with categorical data(margin of error=.05) by utilizing Cochran's sample size formula (Bartlett, Kotrlik & Higgins, 2001), the formula to calculate standard size of investigation study, the value is 95 persons. Excluding the redundant persons out of 130 heads of simulation center of nursing college nationwide and 104 members of Korea nursing simulation society (as of 2014) and considering wastage rate in some 10%, 110 persons are finally chosen for convenience. Excluding 2 units due to omitted record out of the 98 collected question papers(collection rate in 89%), 96 units are finally taken for study. The study tool is Final Survey Questions: Debriefing Practices developed by Fey(2014), which is composed of 40 questions related to recognition and present situation of debriefing. After being allowed by the original author to use, this researcher translated the tool into Korean language so as to complete question papers after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through verification of the feasibility of contents by domestic experts in simulation, namely, 4 professors of nursing college and 2 professors of medical college. To treat the collected materials, SPSS WIN 21.0 statistical program is used to analyze the general property of subjects and value of each variable by real number and percentage and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and contents analysis are performed for the result of response in each item. Whether debriefing technique is instructed or verification of difference in recognition is analyzed in cross by chi-square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With respect to characteristic of the simulation utilization institutions and faculty, all institutions operated curriculum based on simulation, 87.3% if simulation education is required course in the faculty and 12.7%, if not. Further, 52.7% if simulation education substitutes practice in the clinical site and 47.3% if not. 2. With respect to the simulation-based education current status, 95% more than the percentage which is utilizing ‘almost all education’ that the high response rate was simulation running before, pre-briefing whether progress in 78.1%, learning objectives proposed activities for students in 67.7%. 3. With respect to the debriefing current status, 84.4% of the respondents are found to be instructed of debriefing education and 54.7% of them use guide model for debriefing. The most frequently used guide model is Gather-Analyze-Summarize(GAS) in 40.6%. Further, 17.7% of them use evaluation model for debriefing and the most preferred evaluation model is Debriefing Assessment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DASH) in 10.4%. 4.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complete the education of debriefing, those who completed it are fou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vision of opportunity for students to debate emotional reaction(=4.509, p= 0.034) & provision of feedback among students(=4.998, p=0.025), showing the relation that mak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5. With respect to the contents analysis on the instructor reflection of debriefing, self introspection of students and acquisition of confidence, provision of opportunity to speak, building learning environment, motivation, enhancement of the ability to solve problem are considered significant in the viewpoint of learners and encouragement of students and communication, educational evaluation and debriefing technology, the role of promoter are considered significant in the viewpoint of instructors.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debriefing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becomes higher and the rate of simulation faculty to complete on debriefing education becomes higher, but guide model using for debriefing or evaluation model is not actively used in the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standardized guideline of debriefing and method of educational evaluation should be studied later to realize more effective simulation education for learners.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이 있는 간호 교육자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과 디브리핑 운영현황을 파악하여 추후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교육과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 바람직한 디브리핑을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전국 간호대학에서 최근 5년 안에 1학기 이상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이 있는 교수자를 대상으로 조사연구 표본크기 산출 공식인 Cochran's sample size formula(Bartlett, Kotrlik & Higgins, 2001)를 활용하여 Categorical data (margin of error=.05)에서 Population size(모집단 크기)가 최소 150명일 때 p=.50, t=1.65 로 산출하여 95명이다. 전국 간호대학 시뮬레이션 센터 장 130명 및 한국 간호시뮬레이션 학회 회원 104명(2014년 기준)을 토대로 이중 중복 되는 자를 제외하고 탈락률 약 10%를 고려하여 110명으로 최종 편의 표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총 98부(회수율 89%)중 기록이 누락된 2부를 제외한 96부를 최종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Fey(2014)가 개발한 Final Survey Questions: Debriefing Practices 로 디브리핑 인식과 현황으로 관련된 총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 저자의 사용 허가를 받은 후 본 연구자가 한국어로 번역하여 국내의 시뮬레이션 전문가인 간호대학 교수 4인, 의과대학 교수 2인에게서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 보완 후 설문지를 완성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각 변수의 값은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항목별 응답 결과는 빈도분석과 다중응답 분석, 내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디브리핑 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운영의 차이는 카이제곱 검정으로 교차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뮬레이션 운영 기관 및 교수자의 특성 중, 모든 기관이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었고 시뮬레이션 교육이 학부 과정에서 필수 이수 학점인 경우는 87.3%, 그렇지 않은 경우는 12.7%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임상현장실습을 대체하고 있는 경우는 52.7%, 아닌 경우는 47.3%였다. 2. 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 운영 현황에서, 대상자가 95% 이상의 ‘거의 모든 교육’에서 운영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항목은 시뮬레이션 운영 전, 사전 브리핑 진행 여부78.1%, 학생들에게 학습활동 목적 제시 67.7%였다. 3. 디브리핑 운영 현황에서, 디브리핑 교육을 이수한 대상자는 84.4%로 나타났으며, 디브리핑 시 가이드 모델을 사용하는 대상자는 54.7%였으며, 그 중 가장 많이 사용 되는 가이드 모델은 Gather-Analyze-Summarize(GAS) 40.6%였다. 또한 디브리핑 평가 모델을 사용하는 대상자는 17.7%로 가장 많이 선호된 평가 모델은 Debriefing Assessment for Simulation in Healthcare(DASH) 10.4%였다. 4. 디브리핑 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운영의 차이에서 디브리핑 교육을 이수한 대상자는 미 이수자에 비해 학생들의 감정적 반응 토론 기회 부여(= 4.509, p=0.034) 및 학생들 간의 피드백 제공(=4.998, p=0.025)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했음을 나타내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연관성이 확인되었다. 5. 디브리핑의 교수자 성찰 내용분석에서 학습자 관점에서 학생 자가 성찰과 자신감 획득, 말할 기회 제공, 학습 환경 조성, 동기부여, 문제 해결능력 강화로 나타났고, 교수자 관점에서는 학생 격려 및 의사소통, 교육 평가 및 디브리핑 기술, 교수자로서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에서 디브리핑의 중요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시뮬레이션 교수 운영자의 디브리핑 교육 이수율은 높았지만, 디브리핑 가이드 모델이나 평가 모델 등이 교육에 적극적으로 이용되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앞으로 디브리핑의 표준화된 가이드라인과 교육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학습자들에게 좀 더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교육이 진행되기를 기대해본다.

      • 소비자건강정보의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박태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소비자건강정보원들의 매체 유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정보원 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영향정도를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심도와 이해도가 높거나 이해도가 낮은 건강정보에 대하여 웹사이트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요인인 관심도, 이해도, 심각성에 따라 정보원 선호도의 양상은 각기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보원의 신뢰성과 유용성에 따른 정보원 선호도는 전문가, 기관, 전통매체, 웹사이트, 지인, SNS의 순으로 같았으나 용이성에서는 웹사이트를 제외하고 반대의 양상을 보여, 대체로 신뢰하고 유용하다고 느끼는 정보들을 얻기 힘들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 요인과 정보원 요인의 6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인 소비자건강정보원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모든 유형의 소비자건강정보원에서 정보원의 유용성, 정보원의 용이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요인인 이해도, 관심도, 심각성, 정보원 요인 중 하나인 신뢰성은 웹사이트, SNS, 전문가, 지인, 전통매체, 기관에 다양한 양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의 이해도는 웹사이트에서만, 정보원의 신뢰성은 인적정보원 중 지인에서만 영향을 미쳤다. 정보의 관심도는 SNS, 전통매체, 기관 선호도의 영향 요인으로 분석되었고, 정보의 심각성은 전문가, 전통매체, 기관 선호도의 영향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media types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 Resources and elucidates the degree of influence of the factors which can have effect on the preference for the information resourc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measured degree of preference by medium and influencing factors by class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eference for Consumer Health Information Resources into information factors and resource factor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preferred websites the most for health information with high level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and low level of understanding and they also preferred websites for information. Consumers had high preference for acquaintances for health information with high level of interest and showed different preferences for each information factors. Although degrees of preference for information resources based on reliability and usefulness of information resources were the same in the order of experts, institutions, traditional media, websites, acquaintances and SNS, availability showed opposite aspect except websites, showing that consumers generally recognize that reliable and useful information is hard to obtain.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effect of information factor and 6 independent variables of information factor on the preference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 resources, it turned out that usefulness and availability of information resources had significant effect on all types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 resources. Level of understanding, level of interest and gravity as information factors and reliability as one of information resource factors either had or did not have effect on websites, SNS, experts, acquaintances, traditional media and institutions in various aspects. Level of understanding had effect only on websites and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sources had effect only on acquaintances among human information resources. Level of interest in information was analyzed to be a factor to have effect on SMS, traditional media and preference of institution while gravity of information was analyzed to be a factor to have effect on experts, traditional media and preference of institution.

      • 빅데이터를 이용한 의학도서관 웹사이트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홍윤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ntends to offer measures to improve medical library websites by analyzing the usage pattern through big data. Thus, the following web traffic information was measured as indicators: number of session; number of users; number of page views; number of pages per session; average session time; rate of leaving the website. With the indicator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users, user environment, visit status, inflow route, and the website were analyzed. The target of this study is the website of A Medical Library located in Seoul, which was analyzed through Google Analytics, a big data analysis tool. It was done for 6 months from April 1 to September 30, 2014. With the data, the website usage pattern of A Medical Library was analyzed. Based on the issues from the findings, the following are suggested to improve medical library websites. First, in general characteristics, men, with 56.37%, showed higher rate of 12.74% that of women with 43.63%, and the main user age was from mid-twenties to mid-forties(62.06%). The location was mainly in South Korea, with 97.83%, and, in South Korea, it was 80.55% in Seoul and 6.23% in Ulsan. Also, some people in the United States accessed the website with the rate of 1.59%.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d English and multiple-language versions of the support services. Second, the user environment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 Although the traffic from mobile devices (2.61%) and tablet PCs (1.80%) was not very high, the average session time of those users was longer than that of desktop users (95.59%). Average session time indicates the tendency to stay at a particular website. In particular, the average session time of tablet PC users was 5 minutes and 21 seconds, which was the longe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tablet PC website screen resolution and specifications. It will make users stay longer and improve their satisfaction. Third, the average session time of all users was 4 minutes and 39 seconds. To increase the time and number of page view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website contents steadily. By satisfying the needs and solving the curiosity of users, they are more likely to stay longer. Meanwhile, a visit analysis by day showed an average of 1,132 sessions during the wee and 499 sessions on weekends. Thus, the traffic on weekends is less than half of the traffic on weekdays. Therefore, updates, regular inspection, and management work should be done on weekends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Also,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days and time with the least number of visits. To attract more visitors, notifications, special events, and promotion via email are suggested. Fourth, in terms of inflow route, direct inflow (74.68%)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Therefore, the website address should be easy to remember and promoted. It will be more effective than using search engines for promotion. Thus, promotion should be done within the medical library. Also, links should be provided at hospital and university websites for easier access. In addition, the visit paths should be simplified. In other words, the web accessibility and user convenience should be enhanced. Finally, in terms of website pages, the main page received the most number of page views. It was followed by E-Journals. The content that medical library website users need the most is academic e-journ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ontents and manage the quality on an ongoing basis.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의학도서관 웹사이트 이용행태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제안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웹 트래픽 정보인 세션, 사용자, 페이지뷰 수, 세션당 페이지수, 평균 세션 시간, 이탈률의 측정지표를 기준으로 이용자 일반적 특성, 사용자환경 분석, 방문 분석, 유입분석, 사이트 분석 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서울에 소재한 A의학도서관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2014년 4월 1일부터 2014년 9월 30일까지 6개월 동안 빅데이터 분석 툴(tool)인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A의학도서관 웹사이트 이용자의 실제 이용행태 분석 결과 도출된 이슈들을 기반으로 제안된 웹사이트 개선방안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 일반적 특성 분석 결과 의학도서관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성별은 남자가 56.37% 여자가 43.63%가 보다 12.74%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20대 중반에서 40대 중반(62.06%)이 주 이용자층으로 나타났다. 접속 위치는 대한민국(97.83%)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국(1.59%)에서도 일부 사용자들이 접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영어 버전 및 다국어 지원 서비스를 추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사용자 환경을 분석에서 기기 종류는 아직까지 모바일(2.61%) 및 태블릿(1.80%) 트래픽이 높지는 않지만 평균 세션 시간은 데스크톱(95.59%)보다 오래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트 고착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의 하나인 평균 세션 시간이 태블릿 기기가 5분 21초로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태블릿 기기의 평균 세션 시간이 다른 기기보다 높은 점을 감안하였을 때 태블릿 기기의 웹사이트 화면해상도 및 사양을 지원함으로써 이용자의 사이트 고착성을 높이고 이용자의 만족도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방문 현황으로는 이용자의 평균 세션 시간은 4분 39초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평균 머문 시간 및 페이지뷰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웹사이트 콘텐츠를 개발하여 이용자들의 니즈와 호기심을 충족시킴으로써 사이트 고착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요일별 방문 분석에서는 평일 평균 세션은 1,132 세션, 주말 평균 세션이 499 세션으로 트래픽이 2배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웹사이트 업데이트 및 정기점검, 관리 작업을 주말에 하여 이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방문이 가장 적은 요일, 시간대를 파악하여 공지 또는 이벤트를 하거나 메일링을 통한 홍보를 함으로써 방문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유입 매체 분석 결과 직접 유입(74.68%)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검색 엔진을 통해 이용자의 방문을 유도하기 보다는 웹사이트 URL주소를 기억하기 쉽게 만들고 URL주소를 홍보함으로써 기관내 홍보를 활성화 시켜야할 것이다. 또한 병원, 대학 웹사이트에서 연결 링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방문 경로 단계를 짧게 하여 이용자의 웹 접근성 및 이용편의성을 향상시켜줄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사이트 페이지 분석결과 최다 페이지뷰를 차지한 페이지는 메인페이지 다음으로 E-Journals 페이지로 나타났다. 의학도서관 웹사이트 이용자들이 원하는 콘텐츠가 학술 전자저널이라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에 대한 콘텐츠를 좀 더 풍부하게 하고 품질관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 국외대학의 연구데이터 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이예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 및 보존하고, 공유를 활성화하기 위해 효율적인 관리정책을 제시하고자 국외 12개 대학을 대상으로 연구데이터 관리정책에 대해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중복되는 요소를 분석하여 도출된 5개의 정책요소는 수집정책, 제출정책, 보존정책, 서비스정책, 저작권 관련 정책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집정책은 수집의 범위와 대상을 특정하여 공시하고, 수집‧지원되는 파일의 형식(format)에 대하여 명시하여야한다. 일반적으로 수집대상은 대학에 소속된 모든 교직원으로 하며, 수집범위는 수집대상에 의해 생성되는 모든 연구데이터로, 이는 학술논문, 컨퍼런스 보고서, 데이터세트, 연구보고서, 멀티미디어 등을 포함하도록 한다. 수집 대상 데이터 형식으로는 주로 pdf, marc, gif, html, txt 등과 같이 무료로 쉽게 접할 수 있는 표준 형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출정책은 제출자가 리포지토리에 저작물을 게시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대해 제공하여야 하는데, 이는 크게 웹에 공시된 양식 채우고 단계별 프로세스를 거쳐 담당자의 승인하에 저작자 스스로 게시하는 셀프아카이빙(Self-Archiving) 방법과, 담당자에게 양식이 포함된 이메일을 보내어 접수 후 게시하는 방법 중 각 대학에 알맞은 방법을 채택하여 방법에 대한 프로세스를 리포지토리 접속시 이용자가 어렵지 않게 찾아보고 실행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었다. 셋째, 보존정책은 제출된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제공기간, 제출된 데이터의 수명에 대한 정책 유무와 수명 결정 기준 등을 포함하며, 디지털 연구데이터에 대해 어떤 보존 장치를 이용하여 보존할 것인지, 백업을 통한 복사본 유지로 위험 대비를 하고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리포지토리에 명시하고 있었다. 넷째, 서비스정책은 각 대학별로 다른 리포지토리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거나 특수화된 정책을 제공하는 것을 가리키며, 이를 갖추고 위해서는 해당 대학이 위치하는 지역의 특성과 역사를 파악하고 이에 대해 자료를 수집, 구축하거나 대학과 관련된 희귀자료·특수자료, 혹은 캠퍼스별·데이터별 네트워크 구축 등이 필요하다. 다섯째, 저작권 관련 정책은 대학 리포지토리에 제출되거나 저장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에 대해 법률적 사항에 대하여 공시하고 있는 것으로, 주로 리포지토리 이용자와 리포지토리 데이터 제출자, 리포지토리 데이터 사용자의 권리를 보호하거나 제한하는 저작권정책, 라이센스정책, 지적재산권정책, 개인정보보호정책 등에 관한 것을 포함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data management policy on for 12 overseas universities to collect and preserve systematically the research data to producted in domestic university and to suggest an efficient management policy for revitalizing sharing. It analyzed duplicated factors on the survey result and 5 policy factors drawn by that are collection policy, submission policy, preservation policy, service policy and copyright related policy. The summary on these is as follows. Firstly, collection policy must specify and announce publically a range and a target of collection and state the format of collected and supported file. Generally, the target of collection is all faculties in university and the range of collection is all research data produced by the target of collection, it includes a scientific treatise, a conference report, a date set, a research report and a multimedia, etc. The data format for target of collection are mostly free and accessible standard formats like pdf, marc, gif, html and txt, etc. Secondly, submission policy must suggest for a process for an introducer to post a work on repository, it is specified to select proper method for each universities between Self-Archiving method that fill the scheduled form on web, pass step process, post by writer oneself under the person in charge's approval and post method after sending the email including the form to the person in charge and receipting, And it is specified for user to find and act the process to the method without any difficulty when they connect. Thirdly, preservation policy includes access offering period for the data submitted, policy state for durability of the data submitted and decision standard of durability, etc. And it specified that use and preserve a certain preservation installation for digital research data and prepare danger preparation by maintenance of copy by backup, on the repository. Fourthly, service policy means offering other repository and differentiated service as per each universities or specialized policy. For equipping it, that must grasp characteristic and history of the region and collect and build references to it. Or rare articles and special information related with universities or network building as per campus and data are needed. Fifthly, copyright related policy specified to a point of law for all data submitted or saved on the repository of university. Mainly, it includes on copyright policy, license policy, intellectual property right policy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etc. that protects and limits right for users of the repository, propounder of repository data propounder and users of the repository data.

      • 박물관 활성화를 위한 사이버 갤러리 활용 방안 연구

        민경미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에서는 박물관의 활성화를 위하여 사이버갤러리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국외 주요 박물관과 미술관의 사이버갤러리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사이버갤러리의 발전방안을 도출하였다. 먼저 사이버갤러리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궤를 같이 하며 발전한 과정을 살펴보고, 새로운 뉴미디어 시대의 환경 변화에 따라 박물관의 새로운 전시환경으로서 사이버갤러리가 상호주도성을 바탕으로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어 국내외 사이비갤러리의 현황을 가상현실 기술의 구현, 관람객과의 소통성, 모바일 환경 활용도, 기관 간의 연합 전시 및 갤러리 구현 등을 중심으로 구성과 운영상의 장ㆍ단점을 분석하였다. 국외 주요 오프라인 갤러리로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 일본 동경 국립근대미술관의 온라인 서비스를 분석하였고, 국내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그리고 대림미술관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어서 온라인 전문 사이트로서 국외는 구글 아트프로젝트를, 그리고 국내는 박물관포털 e-뮤지엄을 선택하였다. 국내외의 박물관의 사이버갤러리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정보통신 기술과 인터넷 환경이 세계 최고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박물관에 이러한 기술이 적용되는 것이 더딘 점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 사이버갤러리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이버갤러리는 온라인 공간을 통하여 전국의 박물관에 소장된 유물을 종합하여 전시하고, 이를 3D와 가상현실 등을 통해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실시간 소통 기능은 박물관과 관람객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사이버 도슨트의 활동과 체험 학습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공공정보의 활용을 통해 사이버 갤러리만의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사이버갤러리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기존의 단순한 박물관으로서의 역할을 넘어 우리시대가 요구하는 이상적인 문화 공간으로서의 박물관의 역할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더 대중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열린 문화 공간으로서의 박물관으로 발전을 기대해 본다. This paper presents effective methods to operate cyber art gallery to revitalize art museums. For this purpose, I analyzed overview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museums and their cyber galleries in other countries and derived measures to develop cyber galleries in Korea. First, I tracked cyber galleries’ development along with the adva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demonstrated that cyber galleries, with its interactive lead, have a potential to play a central role as a new exhibition environment befitting new age; and analyze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or cyber gallery setting and operation in home and abroad, with close attention to realiz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communication with viewers, utilization of mobile environment, joint exhibition and foundation of gallery among different organizations. I analyzed online services of Metropolitan Museum of Art in New York, Louvre Museum in France,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in Tokyo as major overseas offline galleries; and those of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Seoul Museum of Art, and Daelim Museum as major offline galleries in Korea; and Google Art Project as overseas online art service site and Museum Portal of Korea as domestic art service site. The analysis of cyber galleries of art museums home and abroad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despite the world-class ICT and online environment, art museums’ adoption of those technologies is lagging behind. Then I presented measures to revitalize cyber galleries in Korea: comprehensive display of relics stored in museums around the world via online, in 3D, and through virtual reality; real-time communication on smartphone application to enable interaction between museums and viewers; cyber docents’ activities and experience programs. Going further, those museums may develop new programs exclusive for cyber galleries by tapping into public information. This study on measures to vitalize different cyber galleries presents the role of art museums as an ideal cultural place that meets the demands of our time, beyond its traditional role. I hope this study to facilitate art museums’ transformation into open cultural place closer to the general 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