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구마 연작지에서 객토와 경운 깊이에 따른 고구마의 생육과 괴근 특성

        이형운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우리나라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최근 증가 추세이나,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2006년 이후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2011년과 2012년은 1,415 kg/10a, 1,490 kg/10a으로 1965년 이후 가장 낮았다. 고구마의 수량 감소의 원인으로는 연작으로 인한 토양물리성 악화, 병해충 발생 증가, 이상기상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구마 연작지에서 토양 경운 깊이와 객토 처리에 의한 토양물리화학성의 변화와 이러한 변화가 고구마 품종의 지상부 생육과 괴근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심토의 용적밀도는 2년간 심토파쇄+로터리 처리구에서 2년간 로터리 처리구에 비해 낮아 심토파쇄에 의한 심토의 물리성 개선 효과가 있었으나 표토는 공통적으로 로터리 처리가 되었기 때문에 물리성이 개선되는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객토 후 경운 깊이를 깊게 한 경우 심토의 물리성 개선은 되지 않았으나 표토의 경우 로터리시 용적밀도와 경도가 낮은 경향이었다. 경운 깊이에 따른 상품괴근수량은 2년간 심토파쇄+로터리 처리구가 2년간 로터리 처리구보다 많았으며, 객토를 실시한 경우는 심토파쇄 처리구보다 로터리 처리구에서 표토의 토양물리성이 개선되어 상품괴근수량이 많았다. 주당상저수는 객토 처리구에서 많았으며, 경운 깊이가 깊을수록 감소하였다. 객토+50cm 심토파쇄 처리구에서 주당상저평균중이 212 g으로 가장 무거웠으나 장폭비는 1.57로 가장 짧았다. 당도와 총유리당 함량, 전분가와 전분함량, 베타카로틴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총폴리페놀함량은 객토 여부와 관계없이 경운 깊이가 깊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객토 처리구+로터리 및 객토 처리구+50cm 깊이의 심토파쇄 처리구 모두에서 시비량을 표준시비량의 150%를 시비하였을 경우, 상품괴근수량과 주당상저수, 장폭비, 전분수량이 증가하였으며, 주당상저평균중, 당도, 총폴리페놀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총유리당 함량과 베타카로틴 함량은 증가하였다.

      • IbAGPaseS의 과발현이 고구마의 탄수화물 조절 유전자에 미치는 영향

        배수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Starch is the most abundant storage carbohydrate in plants. Starch mainly exists in seeds, fruits, tubers, roots. The sweet potato is the seventh in the side of the main food production in the world and the root of sweet potato can be used in new industrial materials such as pulp industry, bio-plastics, and bio-energy. ADP-glucose pyrophosphorylase (AGPase; EC 2.7.7.27) is central position of the starch metabolism. There was no access through the overexpression of AGPase small subunit (AGPaseS) in sweet potato with previous studies. Here we isolated IbAGPaseS gene from sweet potato and overexpressed endogenously of a cDNA encoding IbAGPaseS with constitutive promoter in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Lam. cv. Yulmi] for this reason. IbAGPaseS cDNA was 1,539 bp long encoding 512 amino acids and its molecular weight was 126,874. Amino acid alignment of IbAGPaseS showed homology with AGPase proteins of other plant species. The southern hybridization analysis conducted in ten cultivars of sweet potato demonstrated that IbAGPaseS gene might cause the difference of starch content among cultivars. IbAGPaseS was expressed in every tissue and revealed high activity in thick-pigmented roots and developing tuberous roots. It is supposed that the main role of IbAGPaseS is the starch biosynthesis accumulating sink tissues during sweet potato root development. The overexpression of a cDNA encoding 35S::IbAGPaseS in sweet potato was generated to elucidate the function of IbAGPaseS. It was confirmed the eight independent 35S::IbAGPaseS transgenic lines through southern hybridization analysis. The IbAGPaseS mRNA transcription levels of five independent lines were higher than wild-type plant. The expression patterns of genes related in carbohydrate biosynthesis were identified and it is considered that AGPase gene affects the expression levels of carbohydrate regulated genes and sporamin biosynthesis. Furthermore, the leaf of transgenic lines showed morphological differences. We assume that these results were affected by involvement of environmental stimulus, T-DNA insertion location or different expression level of IbAGPaseS gene.

      • Bacillus subtilis JS에 의한 담배 및 고구마의 생장 촉진 작용 기작

        김지성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15

        식물생육촉진 근권세균 (PGPR)이란 근권에 존재하는 박테리아로 식물 생장을 촉진하는 세균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PGPG인 Bacillus subtilis JS에 의한 식물생장촉진과 병 저항성 증대 효과를 보이고 그에 관한 분자생물학적인 기작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배양 용기 내 실험에서 B. subtilis JS의 휘발성 물질은 담배 유묘의 지상부 생체중을 증가시키고 곁뿌리와 뿌리털의 수 및 주근의 길이를 증가시켰다. B. subtilis JS의 휘발성 물질에 의한 식물생장촉진 현상의 기작을 밝히고자 식물호르몬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량을 조사하고 애기장대 호르몬 생성 및 신호전달 결여 라인에 대한 생장촉진 효과를 조사하였다. B. subtilis JS의 휘발성 물질 처리는 브라시노스테로이드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Cytochrome P450 CYP85A1과 지베렐린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GA20-oxidase의 발현량을 증가시켰고 사이토키닌에 의한 세포분열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CyCD3.1 및 CycD3.2의 발현량도 증가시켰다. 애기장대 돌연변이 라인 실험에서 에틸렌에 의한 신호전달 경로가 결여된 애기장대 라인은 B. subtilis JS의 휘발성 물질에 의해 생장 촉진효과를 나타내는데 반해 사이토키닌 및 에틸렌 생합성 경로가 동시에 결여된 애기장대 라인에서는 생장촉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SSH) 기법을 이용하여 B. subtilis JS의 휘발성 물질에 반응하는 담배 내 유전자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65개의 발현유전자 단편이 검출되었고 이중 24개의 유전자의 발현량이 증가하고 12개의 유전자의 발현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대표적으로 chlorophyll a/b binding protein과 chloroplast sedoheptulose-1,7-bisphosphatase 및 P-Protein을 코드화 하는 유전자는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항산화효소로 알려진 Glutathione S-transferases 와 methionin R sulfoxide reductase를 코드화하는 유전자는 발현량이 감소하였다. 병저항성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β-1,3-glucanase를 코드화 하는 산성 및 염기성 PR-2 유전자와 chitinase를 코드화 하는 산성 PR-3 및 PR-4와 lignin forming peroxidase를 코드화하는 산성 PR-9와 lipid transfer protein을 코드화 하는 염기성 PR-14 유전자의 발현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휘발성 물질과 병저항성간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B. subtilis JS의 휘발성 물질을 처리한 담배잎에 Phytophthora nicotianae와 Rhizoctonia solani를 접종한 결과 병반의 면적이 감소하였다. 포장에서의 B. subtilis JS의 생장촉진 효과를 조사하고자 고구마 유묘포장에 B. subtilis JS를 처리한 결과 고구마 유묘의 지상부생장이 촉진되고 작은 유묘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큰 유묘의 비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PGPR) were beneficial soil bacteria promote plant growt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lant growth promotion and plant disease resistance by Bacillus subtilis JS and the molecular mechanism of plant growth promotion and disease resistance conferred by B. subtilis JS. B. subtilis JS markedly increased tobacco seedling growth by emission of volatiles in vitro. Shoot fresh weight, number of lateral roots and root hairs, and primary root length of tobacco seedling were increased. To clarify pathway responsible for the induction of plant growth promotion by volatiles of B. subtilis JS, transcriptional gene regulation of plant hormones biosynthesis and/or response genes and arabidopsis mutant lines which is deficient in hormone related pathway were employed. The result of RT-PCR showed that Cytochrome P450 CYP85A1 in brassinosteroid biosynthesis, GA20-oxidase in GAs biosynthesis, and CyCD3.1 and CycD3.2 in cytokinin signal pathway were remarkably up-regulated by treatment. In Arabidopsis mutant assay, while ethylene (eir1-1, etr1-1, ein2-1) signaling pathway deficient lines presented growth promotion by volatiles, cytokinin and ethylene deficient line (ein2-1) did not showed increased plant growth. Also we screen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y B. subtilis JS volatiles using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SSH). From the results of BlastX search, sixty five ESTs presented known putative function were acquired. Among the 65 selected genes, 24 were confirmed by RT-PCR analysis to be up-regulated and 12 to be down-regulated. The 24 up-regulated genes included photosynthesis and development related genes such as chlorophyll a/b binding protein, chloroplast sedoheptulose-1,7-bisphosphatase and P-Protein. The expression levels of antioxidant enzyme encoding genes like Glutathione S-transferases and methionin R sulfoxide reductase were de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pathogen-related genes, acidic and basic PR-2 (β-1,3-glucanase), acidic PR-3 (PR-P and PR-Q, chitinase) PR-4 (chitinase), basic PR-4 and acidic PR-9 (lignin forming peroxidase) Basic PR-14 (lipid transfer protein) were increased by volatiles of B. subtilis J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volatiles of B. subtilis JS confer disease resistance to tobacco plant or not, Phytophthora nicotianae, the causal agent of Black shank and Rhizoctonia solani, the causal agent of root rot of tobacco were inoculated to leaf surface of two month old tobacco. In both Phytophthora nicotianae and Rhizoctonia solani inoculation test, the lesion of tobacco leaves treated with B. subtilis JS was smaller than those of untreated leaves. In field application to determine the growth promotion effect on sweet potato seedlings, shoot fresh weight of the sweet potato treated with B. subtilis J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approximately 26%) compared to control plants.

      • LED 전광판 시스템의 VLC 데이터 송수신 모듈 구현에 관한 연구

        박길성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논문에서는 기존 전광판 시스템이 갖는 수 많은 케이블이나 커넥터에 의한 전기적인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가시광 통신방식을 적용한 LED(Light Emitting Diode) 전광판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그리고 구현한 시스템은 풀 컬러 LED 전광판 표출부의 LED 모듈을 연결하는 병렬 데이터와 LED 모듈 유닛별로 표출을 제어하는 SCU(Section Control Unit)의 병렬 데이타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적색, 녹색, 청색의 컬러 데이터(Color Data)와 래치(Latch), 아웃-인에이블(Out Enable), 시프트 클록(Shift Clock) 신호 및 라인 디코더(Line Decoder) 신호는 묶어서 4개의 채널에 할당하고 동기화하여 송신하였고, 전송되어온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여 병렬 데이터로 변환해서 LED 모듈에 표출토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LED 전광판 내부의 플랫 케이블(Flat Cable)과 커넥터의 복잡한 배선연결 구조를 가시광 통신(VLC)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로 개선하였다. 본 연구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한국조명ICT연구원에 의뢰한 개발제품 실험에서 연구에서 제시한 200Mbps의 전송속도에서 전송거리 2m 이상에서 측정한 데이터와 일치된 결과를 얻었으며, 지금까지의 모든 실험절차와 결과가 정확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로 LED 전광판 내부의 배선을 가시광통신방식으로 설계하여 하드웨어 구조를 단순화한 풀 컬러 LED 전광판 시스템의 구현은 향후 풀 컬러 LED 전광판 시장 및 관련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중국 오페라 <백모녀(白毛女)>에 나타난 무대분장에 관한 연구

        장월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 중국식 오페라는 독특한 사회적, 문화적 배경에 흡수되고 배합되어 공연예술의 한 장르로 형성되면서 중국에서의 토착화를 이루었다. 무대 공연의 내용뿐만 아니라 조명, 의상, 무대분장, 무대장식 등의 표현형식도 서양 오페라와는 차별성을 가지고 중국적 특색을 나타내며 다양한 발전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특히 중국의 신가극 <백모녀>가 중국에서 신가극이라는 장르를 성립시킨 대표적인 작품이라는 것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원작 <백모녀>를 모티브로 한 신가극 <백모녀>는 서구의 오페라가 중국에 유입되어 토착화되었고, 1945년 중국에서 스탈린 문화상을 받아 영화, 경극, 가극, 무용극 등으로 공연되어 국제적 명성까지도 누리게 된 작품이다. 오페라가 공연예술의 극치라고 한다면 무대분장은 공연예술의 한 분야로서 흥미를 주는 상징적인 종합예술이 아닐 수 없다. 대본을 바탕으로 무대라는 공간에서 캐릭터를 나타내는데 강한 표현력을 부여하고 극의 주제를 반영하며 인물의 건강, 연령, 직업, 사회적, 심리적 상태까지 드러내게 되어 관객이 극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오페라 역사에서 대표적으로 큰 공헌을 한 <백모녀>의 등장인물 6인을 대상으로 인상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무대분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즉 무대분장의 성격적 특성을 디자인함에 있어 인상학적 특성, 즉 얼굴, 눈썹, 눈, 코, 입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인상학적 이미지를 정리하여 배역이 가지고 있는 성격적 특성에 적용함에 있어 극 중 인물의 인상 및 성격적 특성이 부각 될 수 있는 무대분장 디자인의 이미지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머리카락이 희게 변하기 전 희아는 모델의 얼굴 모양 그대로 캐릭터를 표현하였고, 머리카락이 하얗게 변한 희아는 눈썹은 가늘고 선명하게 표현하고 검은색 아이섀도를 사용하는 등 침착한 성격을 표현하였다. 양백로는 갈색 라이닝컬러를 사용해 노화된 얼굴 근육을 만들 고 주름을 그려 넣었다. 미간이 먼 눈썹을 만들어 인내심 있고 온화한 인상을 주도록 하였으며, 화이트 라이닝 컬러로 눈썹과 수염을 칠해 노역임을 표현하였다. 주관이 없고 자존심이 약한 성격을 나타내기 위해 코를 낮게 표현하며, 강조한 곡선의 형태로 코에 윤곽을 주었다. 황세인은 인상학적으로 음흉하고 권위 있어 보이도록 두꺼운 눈썹을 표현하였다. 눈꼬리는 올라가도록 그려 날카로우며 고집스럽고 이기심이 많은 인상으로 보이도록 표현하였다. 아이섀도 역시 오렌지를 선택하여 사치스럽고 놀기 좋아하는 성격을 드러냈고 블러셔는 레드 컬러를 사용하여 충동적이고 감정기복이 심한 사람으로 보이도록 하였다. 무인지는 집사로 간사하고 아첨하는 위선적인 성격을 나타내기 위하여 피부색을 밝게 표현하였으며 브라운 라이닝컬러를 사용해 노화된 얼굴 근육을 만들고 주름을 그려 넣었다. 황모는 부를 추구하는 인물표현을 위하여 브라운 라이닝컬러를 사용해 노화된 얼굴 근육을 만들고 주름을 그려 넣었다. 눈의 모양은 가혹하고 야박한 성격을 드러내기 위해 사선형으로 표현하였으며 눈꼬리를 길게 그렸다. 왕대춘의 눈썹은 두꺼운 모양의 일자형 눈썹으로 표현하여 현명하고 호탕하며 의지가 강한 눈썹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입술은 립 라인을 그리고 본래 입술 색에 가까운 색상을 선택하여 단호하고 확고한 성격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분장으로 말미암아 모델 본인이 가진 인상에서 배역이 가진 인상 및 성격적 특성으로 변화하고 부각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인상학이 그 방법 중 하나가 된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분장에 있어서 컬러가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분장디자인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인 컬러를 다루지 않았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컬러가 분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진행되길 바라는 바이다. 주제어 : 중국 오페라, 백모녀, 무대분장, 인상학

      • 쿠션 파운데이션 내 스펀지와 분첩의 미생물 오염도

        김가나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의 메이크업 화장품은 다양한 기능성을 갖추고 세분화되어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발전 되고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사용이 빈번한 제품으로 서적, 매스컴, 제품 사용 설명서 등을 통해 바르는 방법은 잘 인지하고 있지만 위생적인 측면에서는 인식이 부족함이 현실이다. 화장품은 장기간 지속적으로 인체 모든 부위에 사용됨으로 안전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화장품 시장은 안전성과 위생적인 부분은 배재된 상태로 화장품의 기능 또는 효과 위주로 소비자에게 광고하며 판매 하고 있다. 화장품의 기능과 효과가 발달할수록 화장품의 올바른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 및 위생에 대한 지식을 인지하고 알려야한다. 왜냐하면 화장품은 미생물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2년 한 해 최고의 판매 누적을 올린 쿠션 파운데이션을 사용 후 파운데이션 스펀지 및 분첩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 오염도를 측정하여 구체적인 사용방법을 설정하고 위생에 관한 교육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쿠션파운데이션 40개를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여대생들에게 나누어 주고 한 달간 하루에 2번 사용하도록 하고 파운데이션 내 스펀지와 사용된 분첩을 분리하여 수거한 후 호기성 세균, 곰팡이와 병원성 세균(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분첩에서 일반 세균과 효모가 검출되었고 병원성 세균 중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황색포도상구균은 검출되었다. 파운데이션 내 스펀지에서는 일반 세균과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또한 분첩에서 파운데이션 내 스펀지보다 많은 미생물이 검출되어 손을 통한 미생물 오염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화장품회사에서 제품의 효능과 장점만을 부각시켜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일으키고 있다. 그런데 화장품과 화장도구의 잘못된 사용방법이나 관리 방법으로 인해 미생물을 증식시켜 피부에 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위생적인 사용방법을 인지하고 시행할 수 있도록 알리는 것이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관리 하는 방법이라고 본다. 기업에서는 안전에 대한 책임을 갖고 화장품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품의 용기를 디자인하고 번갈아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여유분의 분첩을 포장하거나 살균 및 소독의 필요성과 방법을 가시성 높게 제품에 기재하여 알리는 것도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미용을 교육하는 교육기관에서도 위생적인 화장품 사용과 올바른 소독 방법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강조되어야 하겠다.

      • 증강현실 뷰티 어플리케이션 체험과 화장품 구매 행동의 차이연구

        주효원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첨단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대중화, 코로나 19로 인한 언택트 문화는 뷰티 산업에도 깊숙이 자리 잡았기에 소비 트렌드에 맞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체험 마케팅과 비대면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뷰티와 첨단기술의 융합으로 다양한 체험서비스가 제공되고 있고, 변화된 소비문화에 발맞춰 고객의 체험에 중점을 두는 체험 마케팅으로 시·공간의 제약이 없으며,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는 인터넷, 스마트폰, 태블릿 등 디바이스의 특성을 이용한 차별화 전략을 앞세운 마케팅이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뷰티 산업에서 또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매장에 증강현실이 도입된 디바이스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제품의 체험이 이뤄지며 소비자는 직·간접적인 체험을 통해 구매까지 이어져 단순히 체험에만 그치지 않고 새로운 마케팅 요소로 서비스가 변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소비 경향에 맞춰 Pine and Gilmore(1999)의 체험경제 이론의 체험요소를 기반으로 교육성, 현실 도피성, 심미적 요인과 화장품 구매 행동의 차이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광주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40대 이하 남녀 2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0년 5월 2일부터 6월 2일까지 예비 조사를 거쳐 2020년 7월 15일부터 8월 12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50부의 설문지를 연구에 동의한 자에게 배부하여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33부를 제외한 총 217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증강현실 뷰티 어플리케이션의 체험요소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몰입감’(M=3.47)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호작용성(M=3.21), 현존감(M=3.22), 현실도피성(M=3.21), 교육성(M=3.08), 심미성(M=3.06)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증강현실 뷰티 어플리케이션의 체험요소는 평균 3.23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보았을 때, 250명 중 뷰티 산업 특성상 여성이 더 많은 관심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전반적인 연령대는 20대가 가장 많이 분포되었고, 결혼여부는 기혼이 미혼보다 많았으며, 학력별로는 대학교 졸업이상(2년제 포함)이 가장 많이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학생과 회사원이 비슷한 분포율을 보였으며 월평균 소득은 300-400만 원 미만이 가장 많은 분포율을 나타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증강현실 뷰티 어플리케이션의 체험요소 차이는 성별의 경우 남성이 심미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현실도피성과 몰입감이 높게 나타났고 연령에 따라서는 심미성, 상호작용성의 요소가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혼이 미혼보다 현실도피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미혼의 경우는 기혼보다 심미성이 높게 나타났다. 화장품 구매 행동에 따른 증강현실 뷰티 어플리케이션의 체험요소에서는 전반적으로 체험요소와 하위요인별 교육성, 현실도피성, 상호작용성, 몰입감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기능성 제품들을 구매했을 때 교육성, 상호작용성, 몰입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메이크업 화장품을 가장 많이 구매하는 경우는 현실도피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소비의 형태가 변화하고 비대면 시대로 접어들며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뷰티 산업 또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응하며 새로운 플랫폼을 통하여 소비자의 욕구에 맞추어 변화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증강현실의 체험요소들이 구매 행동 결정의 중요 요인으로 작용 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증강현실의 체험요소가 포함된 뷰티 산업 마케팅에 다양한 플랫폼을 개발하며 다양해지는 소비형태에 맞추어 뷰티 산업에서 증강현실 체험서비스를 통한 다양한 마케팅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색조화장의 인식에 따른 여대생의 외모 만족도와 기대감

        서하나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화장행위는 여성들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여성들은 화장을 통해 본인 외모의 결점을 커버하고 장점을 살려 만족감을 느낀다. 이러한 화장을 즐기는 연령층이 점점 낮아지고 있고 현재는 여대생이 주 연령대가 되었다. 정형화된 미모보다는 자신만의 개성을 추구하고 유행에 민감하며 이 모든 것을 선두의 자리에서 이끌어 가려고하는 여대생에게 있어서 외모는 매우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색조화장의 인식에 따른 여대생의 외모 만족도와 기대감을 알아보았다. 조사기간은 2012년 2월 10일부터 3월 19일까지 29일 동안 실시하였고 총 350부 중 323부 회수하여 응답방법에 오류가 있는 경우를 제외한 293부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SPSS 19.0 ver.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빈도, 퍼센트,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량과 신뢰도(Cronbach's alpha)값을 산출하였다. 또한 카이제곱 통계량, Fisher's exact 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독립 T-검정, 공분산분석(Ancova)을 실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대다수가 색조화장이 성형효과를 준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는 색조화장이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살리는데 효과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색조화장의 빈도는 매일 하지 않는 학생의 빈도가 높았으며 소요되는 시간은 1시간 이내라는 응답자가 많았고 학년, 전공, 성격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색조화장을 처음 시작한 시기와 색조화장을 하는 정도에서는 전공별 차이를 보였는데 인문/자연계열이 대학교 입학 전·후, 예체능/미용계열이 고등학교 때 화장을 처음 시작하였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것은 전공으로 인한 혹은 관심에 의한 차이라고 볼 수 있다. 얼굴의 어디까지를 색조화장이라고 생각하는지에 관한 범위에 있어서는 얼굴전체에 화장을 해야 색조화장이라고 생각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평소 색조화장을 어느 정도로 하고 있는지에 관한 표현 정도에 대해서는 피부, 눈썹, 눈, 입술, 볼 등을 모두 포함한 얼굴전체에 색조화장을 한다는 응답이 많이 나타나 색조화장의 범위와 표현 정도는 서로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색조화장 전 외모 만족도, 외모 관심도, 색조화장에 대한 기대감이 클수록 색조화장 후 외모 만족도가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색조화장의 인식과 경향에 대해 학년별로는 큰 차이가 없는 반면 전공이나 성격별로는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체적으로 화장 전 보다 색조화장 후 외모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색조화장에 대한 생각과 행동에 따라 외모 만족도에 차이를 보이므로 색조화장의 이해와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여성이 사회의 중심이 되어가고 있는 이 시대에 화장은 단순히 미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개념을 넘어 심리적인 부분을 효용함으로써 화장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지속되어져야 하겠다.

      • 미용 교육과정 만족도가 진로 인식성숙도 및 직무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김도희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앞으로 미용 관련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와 같은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하여 미용 교육과정 만족도가 진로 인식성숙도와 직무이해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미용 관련 고등학생에 진로 인식성숙과 직무이해에 관하여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에 필요한 자료수집을 위해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경상북도에 있는 4곳의 미용 관련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교육과정 만족도에 차이 분석결과, 학년, 가정 월평균 소득, 관심 미용 분야, 학교규율에 따라 교육내용 만족도와 교육환경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진로 인식성숙도에 차이 분석결과, 학년, 관심 미용 분야, 학교규율, 학교성적에 따라 계획성, 성향, 타협성, 결정성이 높다는 결과로 진로 인식성숙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직무이해도에 차이 분석결과, 학년, 가정 월평균 소득, 관심 미용 분야, 학교규율에 따라 직업 종류 이해도, 직업전망 이해도, 직무 자체 이해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미용 교육과정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교육과정 만족도, 교육내용 만족도, 교육환경 만족도는 진로 인식성숙도의 하위요인별 계획성, 성향, 타협성, 결정성과 유의미한 정(+)으로 나타났고, 직무이해도의 하위요인별 직무 자체 이해도, 직업 종류 이해도, 직업전망 이해도와 유의미한 차이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 교육과정 만족도가 진로 인식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결과, 계획성, 성향, 타협성, 결정성에 교육과정 만족도, 교육내용 만족도가 유의미한 정(+)을 나타냈고, 성향과 타협성만이 교육환경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용 교육과정 만족도가 직무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결과, 직무 자체 이해도, 직업 종류 이해도, 직업전망 이해도가 교육과정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을 나타냈고, 직무 자체 이해도만이 교육환경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진로 인식성숙도가 직무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결과, 직무 자체 이해도, 직업 종류 이해도, 직업전망 이해도가 계획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직무 자체 이해도는 타협성에, 직업전망 이해도는 성향에 각각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미용 관련 고등학생의 미용 교육과정 만족도가 진로 인식성숙도 및 직무이해도에 영향을 미치고, 진로 인식성숙도가 직무이해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앞으로 진로선택에 있어 학생들이 본인에게 맞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도가 필요할 것이다.

      • 20대 여성의 뷰티 동영상 관심도가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 구매의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혜경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사회가 스마트미디어 시대에 진입하면서 동영상 서비스 이용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다양한 소셜 미디어 서비스 플랫폼이 등장하였다. 1인 미디어들이 생산하는 뷰티 동영상은 소비자가 시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든지 이용 가능한 소셜 미디어 시스템으로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으로 그 영향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소비와 유행의 첨단 계층인 20대 여성들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외모관리 정보 습득 등을 위하여 뷰티 동영상을 시청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최근 미용 산업에서 다수의 기업이 소셜 미디어 시스템을 활용한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화장품 마케팅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 시스템의 뷰티 채널과 콘텐츠는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도구이자 제품 정보제공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화장품 시장의 주요 고객층인 20대 여성의 뷰티 동영상 관심도 중 어떤 요인이 화장품 구매의도와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뷰티 동영상 관심도의 요인을 분류하고, 조사대상자의 뷰티 동영상 관심도가 화장품 구매의도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뷰티 동영상 관심도의 요인이 화장품 구매행동과의 관계에서 화장품 구매의도를 매개 변인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뷰티 동영상, 화장품 구매행동, 화장품 구매의도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성 검정을 통해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였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2020년 8월에 실시한 본 조사는 총 350부를 수집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거한 후 최종 323부를 최종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문제의 실증적 분석과 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일원변량분석, 던컨 검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20대 여성의 뷰티 동영상 관심도가 화장품 구매의도 및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나이가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화장품구매 주기가 짧고 비용이 많을수록 뷰티 동영상 관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0대 여성의 뷰티 동영상 관심도가 화장품 구매행동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20대 초반의 여성들은 화장을 통해 매너를 드러내고 가치를 표현하며, 일반적으로 유명 브랜드보다 저가 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장품 구매행동의 하위요인별 브랜드 추구성, 가격 고려성, 구매 지속성, 기분 전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뷰티 동영상 및 화장품 구매의도에 관한 관심, 뷰티 동영상 및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관심, 화장품 구매의도와 화장품 구매행동을 긍정적으로 생각할수록 화장품 구매의도 및 구매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0대 여성의 뷰티 동영상 관심도와 화장품 구매행동의 관계에서 화장품 구매의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화장품 구매의도는 뷰티 동영상 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브랜드 추구성, 가격 고려성, 구매 지속성, 기분 전환성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장품 구매의도는 뷰티 동영상 관심도의 하위요인별 흥미성과 가격 고려성 간의 관계, 화장품 감상과 구매 지속성의 관계, 뷰티 동영상 관심도의 유용성, 상호작용성, 편리성과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대 여성의 뷰티 동영상 관심도에 따라 화장품을 구매, 경험해 보고자 하는 소비자의 구매행동, 구매의도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뷰티 관련 기업에서 1인 미디어를 통한 K-Beauty 세분 시장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