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진로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 : 진로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향상을 중심으로

        김상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국내외 금융권에 취업을 희망하는 여대생 7명을 대상으로 진로 준비를 돕는 멘토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진로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기여하는 멘토링 프로그램의 영향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조사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멘토링 프로그램이 진로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본 다음, 반구조화된 심층면접과 관찰 분석을 사용한 질적 연구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의 요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멘토링 프로그램은 S여대의 취업 경력 개발 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취업관련 동문 멘토링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실시된 것이다. 국내, 외국계 금융기관에서 원하는 인재상에 맞추어 18회기의 멘토링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초반부는 금융기관에 취업을 하기 위한 사전 준비 과정으로서, 업무 내용 및 필요한 자격증과 언어 등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하였다. 중반부는 기업 업무 현장을 체험하기 위한 현장 학습이 주 내용이며, 후반부에서는 직장 생활에 필요한 지식 등을 교육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멘토링의 심리사회적 기능, 경력개발 기능, 역할모델 기능, 연결망기능에 대한 선행 연구에 근거해 개발된 것이며, 멘토의 외국계 은행에서의 25년간 근무경험과 업무 지식이 활용된 것이다. 진로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향상의 판별을 위해서는 멘토링 프로그램 실시 전과 사후의 두 번에 걸쳐 진로효능감(Betz, Klein, & Taylor, 1996)과 진로준비행동 평가 검사(김봉환, 1997)를 실시하여, 사전과 사후의 검사 점수의 차이를 보았다. 표본의 수가 매우 적어 대응표본 t-검증과 같은 통계적 검증은 실시하지 않고, 검사 점수의 향상 여부만을 보았다. 진로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향상에 기여하는 멘토링 프로그램의 영향 요인의 구체적인 파악은 질적 연구 즉, 사전·사후의 반구조화된 심층면접과 관찰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멘티들의 사전·사후 면접 기록, 의사소통의 게시판인 사이월드에 올려진 멘티의 반응들을 질적 연구의 자료로 했다. 각 개인의 진로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총점 점수별 결과는, 7명중 5명의 진로효능감은 사후에 점수가 높아졌고, 한 멘티는 변화가 없었으며, 한 멘티 만이 사후에 점수가 2점 하락하였다. 진로준비행동의 점수는 7명의 멘티 모두 향상되었다. 사전·사후 면접 기록, 사이월드의 멘티 반응 축어록들을 분석한 결과, 진로준비행동에 관련된 공통적 경험은 현장학습으로 나타났다. 현장학습은 멘티들이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진로준비활동 즉, 진로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 및 목표 추구 활동의 향상에 영향을 미친 요인이었다.또한 금융계 업무에 대한 자신감, 취업에 필요한 자격증 획득에 대한 자신감과 같은 진로효능감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이외의 요인은 멘토링의 기능 중 역할모델 및 멘토의 연결망 경험이었다. 현업에 종사하는 선배들과의 만남을 통해 일어난 그들을 닮고자 하는 의욕, 멘토링의 역할모델 경험이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현장학습, 대리학습은 멘토의 연결망을 멘티들이 체험한 것에 속하였으며, 특히 연결망 경험은 취업에 어려움이 있는 현실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function of career mentoring related to mentee's experience, who found improvement in their career self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following the mentoring program. A total of seven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conducting this research.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the main objectives of this program: First,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mentoring program to elevate career decision making? Second,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mentoring program to develop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is study was held as a part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areer Development Center's alumnus career mentoring program. The 18th mentoring program session was designed to concentrate on ideal candidates for financial institutions. The early part of this course was focused on preparation to get a job in the financial industry to be qualified for their job prerequisites such as related certificates and linguistic abilities. The second part of the program was field training to experience the actual feeling of on-site job forces. Then the latter half was designed for training on basic knowledge for the job. This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psychological, career development, role modeling and net working functions by mentors who has more than 25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nancial and banking industries with full of job experience and knowledg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ere used for this study. Firstly, all mentees were placed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ests before and after the mentoring program. Firstly,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observation,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which factors influenced career self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mprovement. For qualitative analysis of this study, interview was record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Cyworld was used a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mentors and mentees. By the result of t-test, there were no major difference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but significant variance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could be observed. After an analysis of the result through careful review of the mentee's feedback through Cyworld, it was found that core influence factors included field training, role modeling and self-study of recommended books by mentors, which contributed to the mentee's development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rd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Cyworld was used for communication channel. By the result of t-test, there was significant varia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ut no difference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The result of analysis on interview record, website's statement, the core influence factor was field training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esides, Role Model, Net working, recommendation books for their education were also effected.

      •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박진향 숙명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implement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and test its effects on their career awareness and career guidance behavior.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should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be organized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Second, does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career awareness? Third, does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career guidance behavior? A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gram model development procedure of Kim Chang-dae et al.(2017) and designed in a way to enable constant revision and review in total four stages of setting goals, organizing the program, doing preliminary research/enhancing long-term effects, and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program.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based on several researches on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including. Children who raise dreams, parents who help, Jang Seok-min(2000), Kim Ji-hyeon(2007), which developed a career guidance program for children to target parents, Heo Eun-suk(2004), whi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oup career counseling based on the simultaneous participation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on the career maturity and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e Hee-seong(2011), which developed a Holland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to enhance the career awareness of parents, and Cheon A-rong(2014), which examined the effects of a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on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 career support behavior of parents.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program was based on the Adult MBTI form M and its manual by Korea MBTI Research Institute, Simplified MBTI test for children, Holland MCI for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by Korea Guidance, and "Aro Junior Program" by CareerNet, all of which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the study. In addition, CareerNet's online test for vocational values, vocational cards, and their manual(Kim Bong-hwan et al., 2004) was used along with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s video materials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ed of total six sessions with each session lasting 150 minutes. The subjects include total 35 parents that wished to participate in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arents' career education at S and M Elementary Schools in Cheonan City, Chungcheongnam Province.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 of 18 and the control group of 17. Tests on parents' career awareness and career guidance behavior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 paired-sample t-test was performed for each condition to examine changes to the pre- and post-test measurements within each condition.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with d value of Cohen(1988). Finally, repeated-measure ANOVA was carried out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changes of each condit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which indicates that the treatment applied to the experiment group had clear effects. There was no voluntary improvement or accidental change in several variables to measure parents' career guidance behavior and career awareness for six weeks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 program.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offered positive assistance to the parents' career awareness and career guidance behavior and helped the parents offer career guidance to their children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nterest and ability of their children. It has implications that it can be effectively used in school or counseling so that parents expand their viewpoint of the career world that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and utilize it in their career guidance for their children. In addition to these implications,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the direction of follow-up study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학부모의 진로의식과 진로지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 둘째,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학부모의 진로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가, 셋째,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학부모의 진로지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본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김창대 외(2017)의 프로그램 모형 개발 절차를 참고하여 1단계 목표수립, 2단계 프로그램의 구성, 3단계 예비연구/장기적 효과제고 노력, 4단계 프로그램의 실시와 평가의 총 4단계의 프로그램 개발과정으로 계속적인 수정과 검토가 이루어지도록 구안하였다. 초등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장석민(2000)의 꿈을 키우는 자녀, 도와주는 부모, 김지현(2007)의 부모를 위한 자녀 진로지도프로그램 개발 연구, 허은숙(2004)의 부모-자녀 동시참여 진로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희성(2011)의 학부모의 진로의식 향상을 위한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천아롱(2014)의 부모참여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과 부모의 진로지원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본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또한 한국MBTI연구소의 성인용 MBTI Form M과 매뉴얼, 자녀용 간이 MBTI검사, 한국가이던스의 Holland MCI 초등고학년용, 커리어넷의 ‘아로주니어 프로그램’을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활용, 커리어넷 직업가치관 온라인 검사 활용, 직업카드와 활용 매뉴얼(김봉환 외, 2004), 한국고용정보원 초등학생 학부모용 동영상 등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운영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총 6회기 회기당 150분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천안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2곳 S초등학교와 M초등학교에서 학부모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를 희망하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총 35명을 모집 후 무작위로 실험집단 18명과 통제집단 17명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학부모의 진로의식과 진로지도행동 검사를 실시하고, 각 조건 내에서의 사전-사후 측정치들 간의 변화의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조건별로 대응 표본 t 검증을 수행한 후, Cohen(1988)의 d 값을 산출하여 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조건 간의 변화량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통제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실험 집단에서는 사전-사후 간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실험 집단에 제공한 처치가 뚜렷한 효과를 보였음을 나타낸다. 부모 진로지도행동과 진로의식을 측정하는 여러 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사전과 사후 사이에 이르는 6주의 시간 동안 자발적으로 호전되거나 혹은 우연적으로 변화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부모들의 진로의식과 진로지도행동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부모들이 자녀의 특성인 흥미와 능력을 고려하여 자녀의 진로지도를 하게 되었고 시대의 흐름에 변화하고 있는 직업세계에 대한 안목이 넓어져 자녀진로지도에 활용 할 수 있도록 학교나 상담 장면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사점이 있다. 이러한 시사점과 더불어 중, 고등학생용 프로그램 개발 등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이정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및 자아탄력성은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진로문제를 좀 더 다각적,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대학생이 진로문제 및 취업 스트레스를 극복하여 좀 더 실질적으로 진로준비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진로지도 및 상담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진로준비행동, 자아탄력성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및 자아탄력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가, 셋째, 자아탄력성은 대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가이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의 5개 대학교에서 총 424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진로준비행동, 자아탄력성을 측정하였다.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박지원(1985)이 개발한 척도를 조명실(2007)이 수정한 척도를,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김봉환(1997)이 개발한 척도에 문항을 추가한 임은미, 이명숙(2003)의 척도를,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2009)이 개발한 청소년용 한국형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 및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및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사회적 지지, 진로준비행동 및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아탄력성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학년에 따라서는 자아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경우 구체적인 집단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진로준비행동의 경우 4학년이 1, 2, 3학년에 비해 적극적으로 진로준비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준비행동, 자아탄력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 진로준비행동과 자아탄력성 모두 서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외적인 변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내적인 변인으로 자아탄력성을 설정하였는데, 두 변인 모두 진로준비행동과 관련해 중요한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통제성과 긍정성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며, 사회성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의 부분매개효과를 입증하였고, 진로준비행동과 관련하여 직·간접적으로 작용하는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변의 다양한 지원적인 환경을 늘리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저학년부터 진로를 준비하고 행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개인별, 학년별로 체계적인 진로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며,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개인 내적 개념인 자아탄력성을 높여서 진로문제 및 취업 스트레스를 극복하여 좀 더 실질적으로 진로준비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진로지도 및 상담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활동의 필요성을 확인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제어: 사회적 지지, 진로준비행동, 자아탄력성

      • 성인 발달장애인의 학습된 무기력과 가족 지지가 진로 장벽 지각에 미치는 영향

        오주희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s aimed to verify and analyze the effect of learned helplessness and family support on career barrier perception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so that the study can be utilized as a helpful material to career guidances and counsels in the future. The problem statements are as follows; Firstly,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career barrier, and family support? Secondly, does the learned helplessnes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ffect the career barrier perception? Thirdly, does the family support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fect career barrier perception? Lastly, what is the relative Effect of learned helplessness and family support on the career barrier perception?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study questions, we conducted 250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19 to 49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Excluding 25 non-response and unreliable ones among total 213 copies, the remaining 188 copies were used in the result analysis. In the questionnaire contents, some of the words or sentences difficult to understand by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revised by consulting three specialists. To prepare for difficulty in checking the response due to the disorder characteristics, we recommended that the special teachers or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attend the questionnaire, but do not reflect their subjective view to the response. The learned helplessness scale, family support scale, and career barrier scale were utilized as the measurement tools for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program. Firstly,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Then, technical statistics were conducted for each variable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each variable. Multiple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rned helplessness, career barriers and family support,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analyze relative effec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with each variable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was shown between the learned helplessness, family support, and career barrier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ed helplessness and career barriers, and four sub-factors of the learned helplessnes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In addition, family support and career barrier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nd three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also indicat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learned helplessness affects career barriers, the learned helplessnes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barriers. Each sub-factor also showed similar results except for the factor of lack of self Definiteness. Thirdly,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f the learned helplessness on family support. However, it was verified that only some factors were affected with respect to the learned helplessness sub-factors. Last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Effect of learned helplessness and family support on career barriers, the lack of confidence, a sub-factor of learned helplessness, was the most effective, followed by the lack of continuity and depression. It is significant that under the circumstance that there is insufficient studies related to the career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tudy presented in this paper broadens the scope of study on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ovides the basis for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by verifying the major Effect on career barrier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의 학습된 무기력과 가족 지지가 진로 장벽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이후 발달장애인의 진로교육 및 상담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발달장애인의 학습된 무기력, 가족지지, 진로 장벽 지각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성인 발달장애인의 학습된 무기력은 진로 장벽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성인 발달장애인의 가족 지지는 진로 장벽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학습된 무기력과 가족 지지가 진로 장벽 지각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의 구직 활동 중이거나 직업 생활을 하고 있는 만 19세~49세 성인 발달장애인 25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회수된 213부 중 무응답 또는 불성실한 응답 25부를 제외한 188부를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 내용 중 발달장애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나 문장 일부는 전문가 3인의 자문을 구하여 쉬운 내용으로 수정하였고, 기본적으로는 각 현장의 담당자 판단 하에 자가 문답이 가능한 대상을 선정하였으나, 장애 특성으로 인해 응답 체크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특수교사 혹은 직업훈련교사가 동석하여 설문을 수행하였고, 설문 과정에서 조력자의 주관적 견해가 반영되지 않도록 하였다. 측정 도구는 학습된 무기력 척도, 가족 지지 척도, 진로 장벽 척도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각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습된 무기력과 진로 장벽과 가족 지지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각각 중다회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집된 발달장애인의 학습된 무기력의 하위 요인은 수동성이 2.4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신감 결여가 2.2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가족 지지는 문항 수가 작아 별도로 하위 요인을 나누지 않았으며, 평균 3.6점으로 산출되어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장벽 지각은 총 6개 요인 중 자기 명확성 부족이 2.6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장애 관련 요인이 2.23점으로 가장 낮게 산출되었다. 둘째, 각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습된 무기력, 가족 지지, 진로 장벽 지각 간에는 서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학습된 무기력과 진로 장벽 지각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각 하위 요인 또한 학습된 무기력의 4개 하위 요인이 모두 진로 장벽 지각 하위 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가족 지지와 진로 장벽 지각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진로 장벽 지각의 하위 요인 또한 총 3개 요인이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습된 무기력이 진로 장벽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학습된 무기력은 진로 장벽 지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하위요인 또한 자기 명확성 부족 요인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학습된 무기력이 가족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습된 무기력 하위요인과 관련해서는 일부 요인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학습된 무기력과 가족 지지가 진로 장벽 지각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학습된 무기력의 하위 요인인 자신감 결여가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이후 지속성 결여, 우울 순으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아무리 힘들고 어려운 사건이라 하더라도 개인이 그것을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따라서 크게 좌절하고 낙담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차근차근 극복하면서 성숙하게 거듭나는 사람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진로 장벽 지각에 미치는 주요한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현실적 장벽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극복해 나아갈 수 있는 긍정적인 힘을 기르기 위한 진로 교육 및 상담의 근거를 제공하였으며, 발달장애인의 진로와 관련된 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연구의 폭을 넓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상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교육 및 상담에 대한 제언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 초기부적응도식이 성인의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조절효과

        유민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부적응도식과 성인의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역할을 밝히는 것이다. 이는 지연행동을 통해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성인들을 위해 구체적 상담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 지연행동의 원인에 대한 발달적 이해과 성인의 지연행동 연구를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의 지연행동, 초기부적응도식,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초기부적응도식과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성인의 지연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셋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성인의 초기부적응도식과 지연행동과의 관계를 조절하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총 580명에게 지연행동 척도(GP), 초기부적응도식 척도(YSQ-S), 사회부과 완벽주의 척도(HMPS)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척도의 신뢰도와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Hayes(2013)의 Macro와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통해 조절효과 회귀식 기울기의 유의성을 확인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부적응도식은 지연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r=.51, p<.01), 사회부과 완벽주의와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60, p<.01). 즉 초기부적응도식이 높을수록 성인의 지연행동과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초기부적응도식은 성인의 지연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508, p<.001), 사회부과 완벽주의도 성인의 지연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β=.400, p<.001). 셋째, 초기부적응도식과 성인의 지연행동과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초기부적응도식의 하위 영역 중 단절 및 거절 도식, 손상된 자율성 및 손상된 수행 도식, 타인 중심성 도식은 각 도식이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손상된 한계 도식과 과잉경계 및 억제 도식이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양한 연령층의 성인을 대상으로 심리적 부적응을 유발하는 지연행동으로 인해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자들에게 발달적 변인인 초기부적응도식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역할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즉, 상담자는 지연행동이 불안을 포함한 인지적 초기부적응도식에 원인이 있다는 인식에 바탕을 두고 사회부과 완벽주의를 적절하게 다루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는 실제 상담 장면에서 인지적 도식 치료를 통해 성인의 지연행동에 대한 전문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 시사점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 the influence of early maladaptive schema on adult procrastination. This research is aimed for the procrastinated adult i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to give them concrete counseling intervention. Also, it gives developmental understanding and baseline data for adult procrastination research. The study issues associated are as follows. First, how do correlations between adult procrastination,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cond, how do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ffect adult procrastination? Third, doe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moderate the influence of early maladaptive schema on adult procrastination? The research is based on measures of Genaral Procrastination (GP), Young Schema Questionnaire – Short form (YSQ-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HMPS) from 580 adults. The data have been analyzed by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In addition, Reliability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lso,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implemented to figure out the presence of significant influence of moderate effect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 the influence of early maladaptive schema on adult procrastination. Moreover, macros and bootstrapping method has been employed to find out the influence validation of moderating effect by slope levels. The analytic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represents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procrastination have positive correlates(r=.51, p<.01)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lso have positive correlates(r=.60, p<.01). Second, it reveals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β=.508, p<.001)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β=.400, p<.001) affect adult procrastination. Thir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moderates the influence of early maladaptive schema on adult procrastination. This research confirms the influence of early developmental maladaptive schema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for various aged adult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counselors who treat procrastinated client should be aware that procrastination is based on cognitive schema involved in anxieties so they deal wit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 a useful way.

      •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역기능적 태도 및 학업정서의 차이

        이예건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역기능적 태도와 학업정서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는 것이다. 즉, 대학생이 가지고 있는 학업스트레스의 수준으로 인해 심리적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역기능적 태도는 인지적 측면으로, 학업정서는 정서적 측면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곧 정신건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심리적 적응”이라는 관점으로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지 경험적 연구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역기능적 태도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학업정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학업스트레스를 구성하는 각 하위요인의 수준에 따라 역기능적 태도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넷째, 학업스트레스를 구성하는 각 하위요인의 수준에 따라 학업정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은 편의표집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국내 7개의 대학을 섭외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설문지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배부되었으며, 총 464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되는 과정에서 손실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하여, 총 400부가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배부된 설문지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학업스트레스 척도(Academic Stress Scale), 역기능적 태도 척도(Korean Dysfunctional Attitude Scale; K-DAS), 학업정서 척도(Academic Emotions Scale)이다. 특히, 학업스트레스 척도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어서, 예비연구(Pre test)와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통해 문항을 재구성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ANOVA),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AMOS 18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역기능적 태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험 스트레스 집단이 잠재집단과 건강집단 보다 더 역기능적 태도를 지니고 있었으며, 특히 역기능적 태도 중에서도 성취지향성과 자율성이 두드러지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학업정서 또한 다르게 나타났다. 고위험 스트레스 집단이 더 부정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건강 집단은 긍정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잠재집단과 고위험 스트레스 집단의 차이에서는 잠재집단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었다. 셋째, 학업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시험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 공부스트레스가 각 수준의 집단에 따라 역기능적 태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진로스트레스에서는 각 집단 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현재 대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고민과 걱정으로 받는 스트레스가 수준을 떠나, 동일하게 많을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넷째, 학업스트레스 하위요인과 학업정서에서는 시험스트레스에서만 각 수준의 집단에 따라 학업정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역기능적 태도 및 학업정서를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연구하였다는 것에 있어 그 의의를 지닌다. 특히 학업스트레스의 긍정적 역할(유스트레스, Eustress), 그 가능성을 언급했다는 것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거나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적 적응을 위해 어떠한 요인이 적용될 수 있을 지에 대해서도 언급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학업과 진로 상담의 상담현장에서 대학생의 삶과 정신건강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탐색된 요인과 변인들을 통해 학업스트레스 조절과 심리적 적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매뉴얼 등 실제적이고 다양한 적용을 기대한다.

      •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태도와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신세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tivity-oriented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career-attitude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problems were set as follows : First, Are there the efficacy of activity-oriented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career-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Are there the efficacy of activity-oriented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 students in the sixth grade at K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Kwangmyung, Kyeonggi, Two classes are selected as experiment group, the others are selected as regulation group to evidence for effects of the research object. Activity-oriented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xperiment group was conducted for a total 15th sessions, three times in a week, one requires 40 minutes and researcher has counseled in firsthand. The control group is not taken effects of activity-oriented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collective career counseling program used in the research,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Daegu Education & Science Research Institute(2002), CDP-E Dream Cultivating Program co-develop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2005), 'S&#12539;Kids Camp Dream Cultivating Program by Center for Glob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2007). For verification of program effects in this study, MANOVA was carried out for pre- and post-score tests between the groups and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look into the changes within a group by using SPSS/WIN(version 12.0)in terms of statistical analyses. In statistical verification, a qualitative analysis was implemented through writing an impression report per program session and overall impression repor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so as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a quantitative analysis.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ost test for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difference verification of post and pre-test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areer attitude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ut as a result of post test for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ub-factors of career attitude,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nning.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decidedness, career disposition and independence. But the difference verification of post and pre-test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sub-factors of career attitude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nning, decidedness and career disposition. Therefore, Activity-oriented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to the improvement of career attitude and in some variables of the career attitude's sub-factors. Second, as a result of post test for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difference verification of the pre- and post-test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achievement motiv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result of post test for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ub-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persisting in task and energetic renovation. But of the sub-factors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self-confidence, interest in the long-term future, interesting in result, appropriate adventure and self-responsibility significantly improved. But the difference verification of post and pre-test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sub-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persisting in task, energetic renovation and self-confidence. Therefore, Activity-oriented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to the improvement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in some variables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s sub-factors. Third, we can see that the activity-oriented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provided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s to search their own character, interest, and aptitude, and broadly encounter the world of occupations. Also, we can infer that the students had active and developmental attitudes towards future dreams and their current efforts. As noted above, the activity-oriented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proved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to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career-attitude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some variables. Accordingly, an effort to help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hance career attitude and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ect proper career is needed by letting them experience positive self-search and developmental future plans through a utilization of the activity-oriented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in counseling and guiding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태도와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성취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광명시에 소재한 K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진로태도와 성취동기의 사전검사 동질성이 검증된 2개 학급을 선정하여 각각 한반은 실험집단, 한 반은 통제집단으로 하였고 각 집단은 30명으로 구성하였다. 검사도구로는 진로태도의 측정은 곽광선(2004)의 진로태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성취동기의 측정은 주윤응(2000)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제작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대구광역시 교육과학연구원에서 개발한 재량활동을 위한 초등학교 진로교육프로그램I(2002), 중앙고용정보원 및 서울대학교(2005)에서 공동개발한 CDP-E 꿈가꾸기 프로그램, 숙명여대 글로벌인적자원개발센터와 교육심리학과(2007)가 공동으로 개발한 ‘S&#12539;Kids 캠프 상담사용 프로그램’의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6주 동안 주 3회씩, 매 회기당 40분씩 총 15회기의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실험이 끝난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SPSS WIN(version 12.0)을 이용한 검사지 반응 분석과 각 회기별 소감문, 프로그램 종결 후 아동 설문지, 연구자의 관찰을 통한 분석을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검사지 반응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초등학생이 적용하지 않은 초등학생보다 진로태도 사후검사에서 진로태도 전체와 하위영역 중 계획성에서 높은 향상이 있었다. 또한 실험집단 내의 진로태도 하위영역 사후검사에서는 결정성, 계획성, 성향, 진로태도 전체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초등학생이 적용하지 않은 초등학생보다 성취동기 사후검사에서 성취동기 전체와 하위영역 중 과업지향성, 정력적 혁신성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또한 실험집단 내의 성취동기 하위영역 사후검사에서는 과업지향성, 자신감, 정력적 혁신성, 성취동기 전체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성취동기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질적 분석을 통해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에게 성격, 흥미 등 자신에 대해 탐색해 보고, 직업의 세계에 대하여 폭넓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미래의 꿈과 현재의 노력에 대한 적극적이고 발전적인 태도를 갖게 되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같이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태도와 성취동기의 일부 하위변인들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상담 및 지도에 있어서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긍정적인 자아탐색과 발전적 미래 계획 등을 경험하게 하여 진로태도와 성취동기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자아탐색을 통한 인성교육, 직업 가치관의 정립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만큼 학교 교육 현장에서 진로상담이 확대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미술매체를 이용한 집단상담이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김소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Child Abuse by his/her parents affects the 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hild's self--esteem. As a child copies the aggressive behaviors of his/her parents, his/her aggression increas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one way to help the abused child to adapt and develop normally through the art group therapy.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he art group therapy on the abused children's self-esteem?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art group therapy on the abused children's aggress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5 children in the Child Welfare Institution in S city. The children's behaviors were observed by a therapist and their guardians and these datum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by auxiliary datum are HTP test and the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Cooper Smith and translated by Kim Kung Yeon, the Aggression Scale developed by Buss & Perry and translated by Jung dong Wha. The statistic analysis program SPSS 12.0 was used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um in the Dependent t-test. The major find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sessions progressed, the children opened up their minds and became to have more confidence in themselves. The supportive behaviors for the other people increased while the behaviors of acting-out decreased. Second, the children's drawings of trees and persons were changed affirmatively. Their drawings of trees changed to bigger, stronger, and in full leaves. Their drawings of persons also changed to happy and healthy. Third, the guardians of children reported that the children's behaviors positively changed after all sessions of the art group therapy. Fourth, according to the Dependent t-test, the art group therapy increased the degree of the children's self-esteem and decreased the degree of their aggression. After putting 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together, it shows that the art group therapy positively affected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the decrease of aggression of abused children.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of art group therapy in two ways. Like most of other studies, in this study, art materials were used for the children, so that they could express themselves comfortably. Unlike other studies, on the other hand, (1) children chose art materials on their own and (2) they participated in making decision. of each session's theme. Most of studies of art group therapy used the program where art materials and themes are usually predetermined by a therapist on the basis of art therapy theories. However, a program provided by a therapist might limit children's independent thinking and expressions. In this regard, this study has taken a. different approach as an alternative method to help abused children. 부모로부터 행해진 아동학대는 아동의 자아존중감 형성과 발달에 치명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아동은 자신에게 행해진 공격적인 학대행동을 무의식적으로 학습하게 됨으로써 공격성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신에 대한 대처 능력이 부족한 아동에게 학대가 개인은 물론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데 전제하여, 신체적?정서적?성적으로 학대받은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매체를 이용한 집단상담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학대받은 경험이 있는 아동의 정서적?사회적 적응과 성장을 도울 수 있는 한 가지 중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매체를 이용한 집단상담은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둘째, 미술매체를 이용한 집단상담은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S시에 소재하고 있는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의뢰된 아동 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주2회 2시간씩 6주간 총12회의 미술매체를 이용한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상담 각 회기 아동의 작품 활동과 행동을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그리고 모든 회기를 마친 후 아동의 보호자 또는 담당교사와의 면접을 통해서 아동의 행동 변화를 조사하여 각 회기 관찰 기록 내용과 함께 분석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집단상담 실시 전과 후에 HTP검사 및 Coopersmith(1967)의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Inventory: SEI) 중 B형 척도를 김경연(1987)이 번안한 척도와 Buss와 Perry(1992)의 공격성 척도를 정동화(1995)가 번안하여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하였고, 이를 분석을 위한 보조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기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기가 지날수록 아동의 자기개방과 표현이 풍부해지고 미술작업 및 집단에서의 활동에서 자신감을 보였으며, 자신과 타인을 수용하는 변화된 태도를 보이는 횟수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소리를 지르거나 화를 내는 행동의 횟수는 감소하였고 다른 집단원을 지지하고 격려하는 등의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둘째, 집단상담을 실시하기 전과 후에 HTP검사를 실시하고 그 중에서 나무그림과 사람그림을 비교 분석한 결과, 그림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자아상을 나타내는 나무그림은 집단상담을 실시 한 후 그 크기가 커졌고 건강하고 튼튼한 나무로 묘사되었을 뿐만 아니라 잎이 풍성해지고 부드럽고 조화로운 수관을 그리는 등의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인물화 또한 집단상담 후에 세부묘사가 증가하였고, 노려보는 화난 얼굴 대신 웃는 표정의 건강한 인물로 변화된 모습으로 그려졌다. 셋째, 집단상담의 모든 회기를 마친 후 아동의 보호자 또는 담당교사와의 면접을 실시한 결과, 아동의 긍정적인 행동 변화가 보고되었다. 넷째, 집단상담을 실시하기 전과 후에 동일한 척도를 사용하여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을 측정한 후 사전/사후 점수에 대해 t-검증을 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미술매체를 이용한 집단상담이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하여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공격성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술매체의 특성과 미술작업 자체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는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기존의 미술매체를 이용한 집단상담에 대한 연구들과는 두 가지 점에서 차별화된다. 본 연구는 다른 선행연구들과 동일하게 아동으로 하여금 편안하고 안전하게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미술매체를 이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1) 모든 회기에서 아동들로 하여금 집단 활동의 주제를 결정하는데 참여하도록 유도하였고, (2) 미술매체 또한 스스로 선택하여 창의적으로 미술작업을 하도록 촉진하는 방식으로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집단상담은 미술매체의 선택과 주제를 일방적으로 상담자가 결정하는 구조적 프로그램으로 인해 아동의 자율성과 활발한 상호작용이 제한될 가능성을 최소화한 형태이다. 또한 공동작업을 통해서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미술작품을 완성한 후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나누도록 격려함으로써 집단상담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학대를 경험한 아동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 중 한 가지 형태의 집단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고등학생의 학업중단위기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권신영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 of the at-risk student for school dropout through the story of their life. A narrative inquiry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to look at the experiences of at-risk student school dropout as it is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Narrative inquiry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develop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0), influenced by John Dewey’s idea of ​​valuing human experience, and is a method of inquiry used to understand human experience. It is important to form ethical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s so that narrative inquiry is a relational inquir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ree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now attending general high schools. All of them were students who met at the school where the researcher was working. Researcher collected data from six interview from October, 2017 to July, 2018, in order to explore their experiences of at-risk.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with the agre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ransferred directly by the researcher. The procedure of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ive steps of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In the process of narrative inquiry, researcher must stay in a three–dimensional space for data analysis. The researcher also tried to analyze and interpret what the meaning of the story of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is through the three- dimensional inquiry space of temporality, sociality, and place. The research puzzle consisted of family and school life stories in consideration of the subjects or situations that have the greatest effect on the lif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uzzle are as follows.    Research Puzzle 1: What is the family life story of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d at-risk of school dropout? [Lee Na-ra] has been alone since she was a child, without talking to her family. The story of the family life consisted of ‘a child who is accustomed to loneliness’ and ‘a child who was expectant’. [Jo Hyeon-a] was a resistance to his father’s coercive discipline during his childhood, so she tried to solve the anger with her friends. However, as his father change his attitude with Hyeon-a came up in high school, Hyeon-a herself gradually adjusted to school life little by little. Hyeon-a’s family life story consisted of ‘pain in childhood’, ‘conflict and reconciliation’. [Han Yu-ri] lives with her mother and sister at the time of elementary school because of divorce of parents. Since childhood, family members have been unable to form intimate relationships with their mothers because of their independent lives in a way that they are responsible for their own work. Yuri began to receive family attention as she underwent at risk. Yuri’s family life story consisted of ‘taking care of each job’ and ‘receiving interest’. Research puzzle 2: What is the school life stor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at-risk school dropout? The biggest difficulty in school life for [Lee Na-ra] was friendship. As nara began to distance herself from her friends, nara was reluctant to go to school. The conflict with these friends lasted for two years. Based on this, the school life story consisted of ‘quiet child’, ‘friends’s betrayal’, and ‘stuffy space’. The school was a place filled with joy because of the friends who paid attention to her on [Jo Hyeon-a]. However, after entering high school, the stress on study in school became increasingly difficult and the interest was lost due to friends who did not fit with their own tendencies. Hyeon-a's school life story consisted of ‘I am attracted to attention’, ‘I have a lot of fun’, and ‘I hate redemption’. Until middle school, [Han Yu-ri] was strong with her friends, and as a result, she enjoyed her school life. However, as she was unable to adapt to the competitive atmosphere high school, Yuri was not happy in her high school life and lost the reason to go to school. Yuri’s school life story consisted of ‘happiness end unhappiness’, ‘high school friends’, ‘chaos and wandering’. Research puzzle 3: What is the implication of the students’ experience of at-risk school dropout on their growth process? Although the start time and duration of the study disrup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different, everyone has come to this place after suffering the whole at-risk school dropout. Participants began to repeat their absence or absence in the expressions that they did not want to go to school, and they had to go through the at-risk while receiving help from the parents and teachers. In the course of the at-risk, the participants had time to look back only at themselves. Through these times, they were able to find their career and learned their means of having to go to school. Based on this, the story of the at-risk school dropout of [Lee na-ra] was composed of ‘at-risk, beginning’, ‘at-risk, endure’, ‘at-risk, seeking me’. The story of experience of [Jo Hyeon-a]’s at-risk school dropout was composed of ‘at-risk, blast furnace inside’, ‘at-risk, helping hand’, ‘at-risk, I am I’. The story of [Han Yul-ri]’s at-risk school dropout was composed of ‘at-risk, hate comparison!’, ‘at-risk, friend and teacher’, ‘at-risk, searching for meaning of school’.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the researcher found the following meanings.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in the at-risk school dropout was similar to the experience of crossing a long tunnel in front of me suddenly one day. Therefore, the researcher wanted to expres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students’ at-risk of the school dropout with the title of ‘meet the tunnel’, ‘tunnel, stand in it’, ‘pass the tunnel’.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itially embarrassed and even frightened and anxious in front of at-risk school dropout they had never experienced before. Although they were sometimes depressed by the loneliness of being left alone, they experienced an in-depth look at themselves through those times and also experienced new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r family and teacher. As time passed and the end of a new tunnel was visible, it was past a at-risk. The researcher realized the significance of school counseling by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 at-risk of students of the study.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emergence of personal and practical knowledge (PPK) composed by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er's career as a teacher and counselor. In addition, school counseling is a very important topic for researcher because storise to lives by (SLB) will be formed within the professional knowledge landscape (PKL) of the researcher. Therefore, the story of school counseling was discussed in the discussion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n the study of discontinuity,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was used a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f most of the studies are aimed at students who have stopped studying and are confronted with the cause of the interruption,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tudents’ at-risk. It can be said that it showed practical examples of the cause of at-risk and countermeasures.    As a suggestion for follow-up research,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extremely limited to three students attending a particular high school. It may be appropriate for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but it will also be important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various schools and more students to explore different aspects of the study with differen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업중단위기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로서 현재 고등학교 재학 중인 학생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그들의 생생한 삶의 이야기를 통해 학업중단위기의 경험이 주는 의미 탐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학생들의 학업중단위기 경험을 있는 그대로 살펴보고 그 경험이 주는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내러티브 탐구방법이 사용되었다. 내러티브 탐구는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인간의 경험에 가치를 부여한 John Dewey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발전시켜온 질적 연구 방법으로, 인간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는 탐구방법이다. 내러티브 탐구는 관계적 탐구라고 할 만큼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간의 윤리적 관계 형성이 매우 중요하며 연구 참여자 선정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현재 일반고에 재학 중인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로서 학업중단위기를 경험한 3명의 학생들이다. 이들은 모두 연구자가 재직 중인 학교에서 만난 학생들이며 연구자는 이들의 학업중단위기 경험을 탐구하기 위해 지난 2017년 10월부터 2018년 7월까지 개인당 총 5번 이상의 인터뷰 대화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터뷰 대화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은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모두 녹음하였으며 연구자가 직접 전사하였다. 연구의 수행 절차는 내러티브 탐구 절차 5단계에 따라 진행되었다. 내러티브 탐구 과정에서 연구자는 자료 분석을 위해 3차원적 탐구 공간 안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 본 연구자 또한 시간성, 사회성, 장소성의 3차원적 탐구 공간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이 들려주는 이야기의 의미가 무엇인지 분석·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퍼즐은 연구 참여자들의 삶에 영향을 가장 많이 주는 대상 또는 상황을 고려하여 가족과 학교생활 이야기를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탐구하고자 하는 학업중단위기 경험이야기를 마지막 연구 퍼즐로 구성하였다. 각 연구 퍼즐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퍼즐 1은 연구 참여자들의 가족생활 이야기는 학업중단위기 경험을 어떻게 형성하는가? 이다. [이나라]는 어린 시절부터 가족들과의 대화 없이 혼자서 지낸 시간들이 많았다. 나라의 가족생활 이야기는 ‘외로움이 익숙한 아이’, ‘기대가 컸던 아이’로 구성되었다. [조현아]는 어린 시절과 달리고등학교에 올라와 현아를 대하는 아버지의 태도가 달라지기 시작하면서 현아 자신도 조금씩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게 되었다. 현아의 가족생활 이야기는 ‘어린 시절의 아픔’, ‘갈등과 화해’로 구성되었다. [한유리]는 어린 시절부터 가족 구성원들 간에 각자의 일은 스스로 책임지는 방식의 독립적인 생활을 하다 보니 어머니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학업중단위기과정을 겪으면서 유리는 가족들의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다. 유리의 가족생활 이야기는 ‘각자 일은 알아서’, ‘관심을 받다’로 구성되었다. 연구 퍼즐 2는 연구 참여자들의 학교생활 이야기는 학업중단위기 경험을 어떻게 형성하는가? 이다. [이나라]에게 있어서 학교생활의 가장 큰 어려움은 친구관계였다. 이를 바탕으로 나라의 학교생활 이야기는 ‘조용한 아이’, ‘친구의 배신’, ‘답답한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조현아]에게 학교는 자신을 주목해 주는 친구들로 인해 즐거움이 가득한 공간이었지만, 고등학교에 진학한 후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밀려오기 시작하면서 학교생활이 점차 힘들어 졌다. 현아의 학교생활 이야기는 ‘주목 받는 나’, ‘흥이 많은 나’, ‘구속이 싫은 나’로 구성되었다. [한유리]는 중학교 때까지 친구들과 사이가 돈독하였으며 그들로 인해 학교생활이 즐거운 아이였다. 그러나 고등학교에 올라와 달라진 학교 분위기와 입시경쟁의 분위기 속에서 적응하지 못하게 되면서 유리에게 고등학교 생활은 즐겁지 않았고 학교에 다녀야 하는 이유를 상실하게 되었다. 유리의 학교생활 이야기는 ‘행복 끝 불행 시작’, ‘고등학교 친구들’, ‘혼돈과 방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퍼즐 3은 연구 참여자들의 학업중단위기 경험은 이들의 성장과정에 어떤 의미를 구성 하는가? 이다. 연구 참여자들의 학업중단위기의 시작 시기와 기간은 다 다르지만, 모두들 학업중단위기를 온 몸으로 겪으면서 지금 이 자리까지 왔다. 이를 바탕으로 [이나라]의 학업중단경험 이야기는 ‘위기, 그 시작’, ‘위기, 버텨내다’, ‘위기, 나를 찾다’로 구성되었고 [조현아]의 학업중단위기 경험이야기는 ‘위기, 내 안의 용광로’, ‘위기, 도움의 손길’, ‘위기, 나답게 살자’로 구성되었다. [한유리]의 학업중단위기 경험이야기는 ‘위기, 비교가 싫어!’, ‘위기, 친구 그리고 선생님’, ‘위기, 학교의 의미를 찾다’로 구성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들려주는 삶의 경험을 통해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의미들을 발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학업중단위기 경험은 마치 어느 날 갑자기 내 앞에 나타난 긴 터널을 건너는 경험과 유사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터널을 만나다’, ‘터널, 그 안에 서 있다’, ‘터널을 지나다’라는 제목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학업중단위기 경험의 의미를 담아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의 학업중단위기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면서 학교상담의 중요성을 절실히 깨달았다. 이는 연구자의 직업이 교사이자 상담자로서 살아온 경험에 의해 구성된 개인적 실제적 지식(PPK)의 발현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앞으로도 학교라는 연구자의 전문적 환경(PKL)안에서 살아내는 이야기(SLB)가 형성되어 질 것이기에 학교상담은 연구 참여자와 연구자에게 중요한 주제이다. 따라서 학교상담에 대한 이야기를 연구의 논의 부분에서 다루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학업중단 연구에서는 드물게 연구 대상자를 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을 하였다는 것과 질적 연구 방법 중에서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끝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특정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명의 학생으로 제한적이라 할 수 있다. 내러티브 탐구 방식에는 적절할 수 있으나 다른 질적 연구 방법으로 학업중단의 여러 가지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교와 학생들의 경험을 탐구하는 것 또한 중요할 것이다.

      • 상담자의 소진(burnout)과 5요인 성격특성과의 관계

        이영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 between counselor's burn out and personality character based on the Big Five, and to explain which factor among character factor mostly impacts on counselor's burnout. Study problems to archive study purpose were as following: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on burnout depend on the Big Five. Second, relationship between Big Five and burnout. Third, which factor influences burnout most among the Big Five. Study objects were 74 counselors who work full time or part time at counsel related facility around seoul and kyungki area. Measurement tool which was used was IPIP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which was a personality measure made by Goldberg (1999) and translated by Yoo, Lee and Ashton (2004). And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by Maslach and Jackson (1996) and translated by Yu and Park(2002) was used to measure counselor's burnout degree. Collected data went through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urnout turned out to b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personality character. In emotional exhaustion,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divided by Neuroticism and Extroversion by degree, but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divided by Openness,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In depersonalizatio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wo top/down groups in Neuroticism, Extroversion and Openness grade. In burnout due to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diminution of sense of achievemen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op/down groups divided by Neuroticism, Extroversion and Openness grade. Second, in relation with burnout among the Big Five, Neuroticism showed a deep relation with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and Openness showed deep relation with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diminution of personal accomplishment. This result seems to be related with introvert character and 3 sub dimension of burnout. In total burnout, Neuroticism, Extroversion and Openness showed relationship. Third, Neuroticism showed the largest influence to burnout among the Big Five, and Extroversion showed next largest influence. In this study, I examined influence to counselor's burnout with the Big Five which can systemically explain personal character among counselor's change cause which affects counselor's burnou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ncreases understanding to counselor's burnout and it can be used as a fundamental data to precaution. 본 연구는 상담자의 소진과 5요인 성격이론에 근거한 성격특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성격 특성 중 어느 요인이 상담자의 소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 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5요인 성격 특성에 따라 소진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둘째, 소진은 5요인 성격특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본다. 셋째, 5요인 성격 특성 중에서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연구대상은 서울&#8228;경기권 소재의 상담관련기관에서 전담 혹은 시간제로 현재 상담을 하고 있는 74명의 상담자들이었다. 측정도구는 상담자의 소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Maslach와 Jackson(1996)이 개발한 MBI(Maslach Burnout Inventory)를 유성경과 박성호(2002)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5요인 성격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Goldberg(1999)가 제작한 성격척도인 IPIP(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를 유태용, 이기범, Ashton(200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진이 성격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 특성 중에서도 신경증적인 성격일수록, 내향적이고 개방성이 부족할수록 소진을 더 자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진과 5요인 성격 특성과의 관계에서 신경증은 정서적 고갈과 비인간화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고, 외향성의 경우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성취감 감소와 관련이 있는데, 이는 내향적인 성격과 소진의 세 하위 차원과 상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전체 소진과 관련하여서는 신경증과 외향성, 개방성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5요인 성격 특성 중 신경증이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다음은 외향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담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 변인 중에서 개인적인 특성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성격 5요인을 가지고 상담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이는 상담자의 소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킴은 물론, 예방 차원에서도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