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퓨전 일식당 메뉴 분석에 관한 연구 : 오사카키친 대구공항점을 중심으로

        이승원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제 1 장 서 론 1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연구배경 넓은 의미에서 메뉴는 외식업체 전체의 개념(concept)을 나타내는 기능을 담당하며 고객중심의 마케팅적 측면과 경영자중심의 관리적인 측면이 모두 포함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나정기, 2005). 이러한 의미에서 나정기(2005)는 메뉴를 “내부적인 통제도구일 뿐만 아니라 판매, 광고, 판매촉진을 포함하는 마케팅도구(marketing tool)”라 정의하였다. 모든 외식경영체에게 메뉴는 주요한 경영수단인 동시에 수익의 원천이므로 여러 가지 메뉴 분석 기법들을 활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변광인․이소영(2007)은 빠른 유행의 흐름을 파악하고 소비자 욕구에 부합하는 메뉴의 출시는 메뉴 관리와 개발의 주요한 목표라 하였으며, 이를 위해 메뉴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외식업체에게 있어 메뉴란 사업의 중심이므로 외식경영자가 메뉴를 분석한다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사실이므로 특별한 것이 없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러나 메뉴를 분석한다는 것은 끊임없는 과정으로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메뉴를 분석하는 방식은 전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전술의 상이함으로 인해 다양한 메뉴 분석 기법들이 제시되었고, 제시된 다양한 분석 기법들의 목적은 현재의 메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다는 점에서 동일하며 이를 위해 정량적인 접근과 정성적인 접근이 모두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Mifli, 2000). Filimonau, Lemmer, Marshall & Bejjani(2017)의 연구에서도 메뉴의 정성적인 측면의 중요성에 대해 탐색한 바 있다. 메뉴는 마케팅 측면과 관리의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다는 점에서 진양호․배인호(2016)는 메뉴의 인기성과 수익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영업상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고 기술하였다. 마찬가지로 메뉴 분석 기법들은 이 둘을 비교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했다. 1980년대에 출발한 메뉴 분석의 초창기 방법들은 포트폴리오(portfolio) 분석에 바탕을 둔 것으로 고객의 선호도에 근거한 판매량 또는 판매비율과 관리적 측면에서 원가 또는 공헌이익을 이용하여 2x2 형태의 분석을 시도했다(정우석․변광인․박성수, 2008; 이해영 외, 2003). 대표적인 방법으로 Miller(1980)의 Menu Analysis Model, Kasavana & Smith(1982)의 Menu Engineering, Pavesic(1983)의 Cost/Margin Analysis 등이 있다. 이들의 방법은 고객측면과 관리측면을 고려해 메뉴를 분석했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실질적인 분석에 있어 사용되는 기준이 다름으로 인해서 결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트폴리오 분석기법은 계산의 용이성과 유용성으로 인해서 여전히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판매시점(point-of-sale) 관리시스템의 보급과 더불어 활용이 더욱 쉬워졌다. 그러나 접근방법에 따라 다소 상이한 결과가 나타나므로 2개 혹은 그 이상의 방법들을 이용해 주기적으로 메뉴를 분석하는 것이 좋다는 학자들의 의견이 제기되었다(구원일, 2015; 정우석․변광인․박성수, 2008; 변광인․이소영, 2007; 이해영 외, 2003). 시간적으로 포트폴리오 방식보다 앞서는 가장 간단한 메뉴 분석 기법으로는 ABC 분석방법이 있다. 이는 전체 결과의 80%가 전체 원인의 20%에서 일어하는 현상을 의미하는 파레토 법칙(위키피디아, 2019)에 근거한 분석방식이다. 즉, 고객의 선호가 일부 메뉴에 국한되는 현상을 바탕으로 매출액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메뉴에 높은 비중을 두고 관리하기 위한 중점적인 관리방식이다. 주로 전체 매출에서 누적액의 75%에서 80% 정도를 차지하는 메뉴를 A로, 85%에서 90%를 차지하는 메뉴를 B로, 나머지를 C로 분류한다(진양호․배인호, 2016). ABC 메뉴 분석은 직관적이며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고객의 선호라는 메뉴의 마케팅적 측면은 포함하고 있지만, 매출액을 포함하고 있기는 하지만 원가를 다루지 않음으로써 수익성, 즉 관리적인 측면에 대한 고려는 미흡하다는 한계가 있다. 외식업체에 있어 메뉴경영의 중요성으로 인해 메뉴 분석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는 않았으나, 외식경영자를 비롯해 연구자들에게도 꾸준히 관심을 받아온 주제이다. 메뉴 분석은 외식경영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메뉴계획과 개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기 때문이다. 메뉴계획이란 상품화 할 메뉴의 종류, 가격, 재료, 제공량, 디자인, 마케팅 등과 관련되는 것으로 메뉴를 통해 고객만족과 경영목표의 달성이 주목표이다(김동진 외, 2013). 따라서 ABC 메뉴 분석과 더불어 초기에 제안된 포트폴리오 방식의 메뉴 분석 기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들이 메뉴 분석을 위해 제안되었다. 3차원 메뉴 분석, 목표 가치 분석, 활동기준원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현실적으로 많은 외식업체들이 여전히 체계적인 메뉴 분석을 시행하지 않고 있고, 메뉴 분석을 시행을 하더라도 하나의 방식에만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지금까지 제시된 여러 가지의 메뉴 분석 기법들 가운데 특정 메뉴 분석기법이 우월하다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 우선적으로 각 기법들을 제안한 연구자들의 관점에 따라서 강조하는 부분들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또한 새롭게 제안되는 분석기법은 기존의 방법들이 주목하지 않았던 부분을 강조함으로써 탄생했다는 점이다. 새로운 관점으로 인해 메뉴 분석에 있어 개선되는 부분이 있기도 했지만 상대적으로 미흡하게 되는 부분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기도 했다. 한편으로 새로운 방식들에서는 분석방법이 복잡해지면서 보다 많은 계산과정을 요구해 실질적인 사용에 어려움이 따른다는 단점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불어 각 외식업체마다 경영환경이 다름으로 인해서 적합한 분석기법이 다를 수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된 메뉴 분석 기법들이 대부분 정량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음으로서 정성적인 요인들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 일본 현대건축의 생성적 공간 구형 특성 연구

        전해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ontemporary meaning of generative space and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space realizaion. This research is focused on contemporary Japanese Architecture because they show the space that have potential diversities in terms of multi-layer and inter-relation among human, architecture, nature, cities, communities, and the environment, beyond the morphological dimension. As a collection of diverse and disparate phenomenon about specificity, flexibility, and the potential, modern society is changing into the ecological and non-determinism thinking systems accommodating things from physical, fixed, definitive to non-physical, flexible, indeterminate. The Contemporary paradigm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is moving to ‘Becoming’ that taken place in reviewing at the relation of various concepts. Contemporary becoming thought pays attention to not itself but ‘event created by different’, has the variation and motility. Also, it can be overlapped without any central or purpose. Becoming thought focuses on a variety of the qualitative in differences producing another difference formed by varying the composition. After modern architects recognized concept of abstract space of the modern architecture of the lock-in, they attempted to potential space available a variety of meanings and interpretations as the place where it happens to put out numerous environment. In Japan, After the collapse of modern architecture has been declared ‘Metabolism’ is appeared. They tried to apply organism’s metabolic system to buildings based on ecological thoughts. But Metaboilsm’s projects had revealed limitations of representation that the city on the mechanical system became a huge scale. As a result, It caused a break the cultural context of the region in Japan. After then, Japanese Architects expressed a pluralistic aspects of modern society for the restoration of disconnected cultural context. From this perspective, The thought of ‘becoming’ is a new role for Contemporary Japanese Architect. They realize the space on becoming thought and present the architectural non-represented space that is flexible, unfixed, and changing organ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becoming thought are as follows. First, indeterminate space implies infinite potential reconstructed features moving the user's behavior and fragmented events subsequently through the flexible program changed in the flow of time. Second, architecture and disparate properties of the surrounding are Conflicted or disjunctive from the exterior and interior. It causes multi-layered relationship by accident. Last, new architectural expressions are tried to make a volume at the facade or transform the structure. Also, archtects express the spatial transparency or reverse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 by utilizing of the material properties complexly. These spatial communication through ambiguous boundary leads the user’s interaction with the sensory.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realization on becoming thought classfy the 'Emergent processes', 'non-hierarchical and decentralized’, ‘potential of indeterminate space’, ‘expansive boundaries of structure’, ‘non-representative sensory experience'. From the side of spatial, all spaces are Consisted equally erasing customary spatial hierarchy through the integration process of emergent diagrams. In the de-centered space are overlapped and conflicted mutually by disparate elements, users will experience with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new network. In addition, contemporary Japanes Architects research the new type of structure for applying architectural concept acting an expansionary role of space and Neutralizing ideological hierarchy of structure had a strong order. Furthermore, while taking advantage of various properties of the material, users are recognizing the space with various sense depending on the situations as creating space for non-material. Moreover, becoming space in contemporary Japanese architecture develops into the expansive and specific meaning according to the flow of contemporary philosophical discourse- Phenomenology, spleen, plastic, everydayness, etc. - after Gilles Deleuze. Based on the becoming thought, contemporary Japanes Architects experiment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new becoming space by recognizing and re-interpreting the new elements of meaningless routine and applying to the architecture. The becoming space to draw the user's subjective perception and appreciation, and Encompass a variety of phenomena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emergence of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implying user-construction-natural, and the relationship of even urba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본 연구는 형태적 차원을 넘어서 인간, 건축, 자연, 도시, 사회, 주변 환경과의 다층적이고 상호 관계적 측면에서 잠재적 다양성을 보이는 공간을 발견할 수 있는 일본의 현대 건축가 및 작품들을 대상으로 생성적 공간 구현 특성 및 방법과 공간적 체험특징들을 분석하고, 나아가 이러한 특성들이 시사하는 생성적 공간의 현대적 의미와 발전 가능성을 밝히고자 한다. 불확정적이고 유동적인 현대 사회는 특이성, 유연성, 잠재성 등을 중요시 여기는 다양하고 이질적인 현상들의 집합체로서 물질적인 것에서 탈물질적인 것, 고정적인 것에서 가변적인 것, 확정적인 것에서 불확정적인 것을 수용하는 생태적이고 비 결정론적인 사고 체계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복잡하고 다양한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현대의 패러다임들은 개별적인 사고 체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다양한 개념들을 연결하여 관계성을 검토하고, 그 사이에서 일어나는 ‘생성becoming’을 사유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현대의 생성은 생성 자체가 아닌 ‘차이가 만들어내는 사건’에 주목하며, 변화와 운동성을 가지는 생성은 곧, 인간적 차원, 의미의 차원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다룬다. 또한 사이에서 일어나는 ‘차이’를 사유함으로써 어떠한 중심이나 목적 없이도 중첩 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가변적인 구도를 형성하여 또 다른 차이를 생성 해낼 수 있는 내적인 차이의 질적 다양성에 대해 집중한다. 이러한 생성적 사유를 바탕으로 현대축가들은 고착화된 근대건축의 추상적인 공간개념과 형태미학의 한계를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획일적이고 고착화된 공간을 벗어나 건축적 공간이란 그 곳에서 일어나는 무수한 환경들을 담아내는 장소로써 다양한 의미와 해석이 가능한 잠재 공간으로의 전환을 시도하였다. 이처럼 일시성, 불확정성, 가변성 등 현대적 개념들을 수용하고 건축과 도시의 관계를 재설정 해가는 다양한 시도들은 현대건축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었으며, 새로운 개념과 구조를 창조하는 과정적 역할에 대한 가능성을 동반하였다. 이러한 시대를 바라보는 세계관의 변화와 흐름 속에서 1960년대 근대건축의 붕괴가 선언된 후, ‘성장과 변화’라는 이슈로 등장한 일본은 건축 집단인 메타볼리즘은 성장한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생태적 측면에서 생명체의 신진대사 시스템을 건축물에 적용하려고 하였다. 고도의 기술에 뿌리를 두고 진행된 메타볼리즘의 프로젝트들은 거대해진 도시스케일 상의 모순과 함께 정작 건축 및 도시적 디자인의 적용과정에 있어 기계적 시스템에 국한되어 있는 표상(representation)적 한계를 드러내고 말았으며 도리어 일본 지역 내 문화적 맥락의 단절을 불러일으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타볼리즘의 생태적 사고는 1990년 이후의 작품들에 생성적 사유로 연결되어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후 일본 건축은 단절된 문화적 맥락의 회복을 위해 건축내면의 사상이나 주체적 고유함과 지역성을 찾으려고 노력하면서 현대 사회의 다양성과 복합성을 수용하는 다원적 양상을 표출하는 방향성을 보이고 있다. 이 가운데 생성의 사유는 일본 현대 건축가들에게 새로운 자극제 역할을 하고 있다. 일본의 현대건축가들은 생성적 사유를 건축에 내재된 생성적 공간으로 구현함으로써 가변적이고 고정적이지 않은, 유기적으로 변화하고 연계되는 비표상적인 공간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건축적 관점에서 적용되는 생성적 사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의 흐름 속에서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유동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의 행위와 그 곳에 담기는 파편화된 사건이 연속적으로 흐르면서 성격이 재구성되는 불확정적인 공간으로 무한한 잠재성을 내포한다. 둘째, 건축과 주변의 이질적인 속성들을 외부와 내부에서 이접 혹은 충돌시켜 우연을 발생시키거나 서로 중첩·병치하여 다층적 관계를 도출한다. 셋째, 건축의 외피에 볼륨을 형성하여 공간화하거나 구조적 변형을 통해 새로운 건축적 표현을 시도한다. 또한 재료의 물성과 건축적 표현을 복합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내·외부 공간을 역전시키거나 외피에 의한 공간적 투명성을 표현한다. 이러한 모호한 경계의 공간적 소통을 통해 사용자의 감각적 상호작용을 유도한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갖는 생성적 사유를 바탕으로 일본의 현대건축가들은 생성적 공간 구현을 통해 사용자-인간-자연의 잠재적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다양한 공간적 체험과 특성을 경험하게 한다. 생성적 공간 구현의 특성은 ‘창발적 프로세스’, ‘비위계와 탈중심’, ‘불확정적 공간의 잠재성’, ‘구조의 확장적 생성경계’, ‘비표상적 감각경험’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현대의 생성적 사유는 일본현대건축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잠재성을 내포한 생성적 공간으로의 끊임없는 새로운 건축적 실험으로 이어지도록 하였다. 공간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창발적 다이어그램들 통합의 과정을 통해 모든 공간들이 관습화된 공간적 위계를 소거하고 동등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이질적 요소들이 상호 중첩 및 충돌하는 탈중심적 공간에서 사용자들은 우연한 경험과 함께 새로운 네트워크를 통한 비위계적 관계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강력한 질서를 내포하던 구조의 관념적 위계를 중립화하고 또 다른 의미를 내포하는 공간의 확장적 역할을 수행하는 건축적 개념으로 적용하면서 구조적 측면에서 새로운 구조의 유형에 대해 연구한다. 뿐만 아니라, 재료적 물성의 다양한 특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공간의 성격이 모호해지는 비물질적인 공간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감각으로 인식되도록 하고 있다. 나아가 일본현대건축에 내재된 생성적 공간은 들뢰즈 이후 현대에 대두되고 있는 철학적 담론-현상학, 비장소성, 일상성 등-의 흐름에 따라 보다 구체적이고 확장적인 의미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반응하는 생성적 사유를 바탕으로 일본의 많은 현대 건축가들은 지루하거나 친근한 존재로 건축에 내재되어 있는 무의미한 일상적 요소들을 새롭게 인식하고 잠재적 의미를 내포하는 재해석을 통해 건축 전반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생성적 공간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실험하는 단계에 있다. 사용자의 주관적인 인식과 감상을 도출하고, 다양한 현상들을 내포하는 생성적 공간은 사용자-건축-자연, 나아가 도시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과의 관계를 내포하는 새로운 창발적인 관계와 소통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적용한 중국 연해항만의 경쟁력 분석

        두, 동쉐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항만은 현대 물류업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다양한 운송 방식의 합류 지점으로 항만 에 의해 구축된 현대 물류 체계로 경제 발전에 효율적이고 편리한 물류 서비스를 제 공한다. 이를 바탕으로 항만 효과 및 항만 도시의 발전 능력과 산업을 이끌 수 있다. 항만의 독보적인 이점을 살려 항만물류 발전을 가속화하고 자원의 집중과 조달, 경제 발전 방식의 전환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중요한 길이다. 중국 시진핑(習近平)주석은 ‘실크로드 경제벨트(丝绸之路经济带)’와 ‘21세기 해상실크로드(21世纪海上丝绸之路)’ 로 구성된 '일대일로(一带一路)' 정책을 통해 국제 경제 발전을 도모하였다. 해상 무역의 거래 플랫폼으로서 항만도 국제 운항의 중심 주체가 되었다. 일대일로(一带一路) 전략 에서는 중국 연해항만군에 환발해 경제지역 (环渤海经济带), 장감 삼각주(长江三角洲), 주강 삼각주(珠江三角洲)와 동남 연해지역(东南沿海地区)과 서남 연해지역(西南沿海地 区)5개 항만군을 분석한다. 이 논문은 Entropy 방법 및 TOPSIS 방법을 이용하여 중국 연해 항만에 있는 상하이 항(ShangHai), 톈진항(TianJin), 닝보-저우산항(NingBo-ZhouShan), 광저우항(GuangZhou), 선전항(ShenZhen), 잔장항(ZhanJiang) 등 항만 대상으로 항만의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 항만 화물 물동량, 여객물동량, 항만안벽길이, 항만 수심, 항만 생산성 선박 숫자, 만톤 급 이상 선박, 연간하역능력, 선박접안능력, 갠트리 크레인, 트랜스퍼 크레인, 이용외자, 고정자산투자, 항만도시GDP성장률 등 여러 각도 의 합리성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14개 항만 요인의 종합경쟁력 순위에서 상하이항이 1위, 선전항이 2위, 잔장항 이 3위이다. 옌타이항, 닝보-저우산항, 샤먼항, 톈진항, 다롄항은 4 ~ 8위에 위치한다. 광저우항, 칭다오항, 푸저우항, 잉커우항 롄윈강은 9 ~ 13위이다. 키워드 : 중국 연해항만, Entropy-TOPSIS 방법

      •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인성과 효능감의 매개효과

        임미례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현대사회는 여성의 활발한 경제활동과 사회참여로 맞벌이 가정이 계속 증가하고, 가정 내 양육기능이 부모에게서 보육교사에게 이양되고 있어 보육의 실제적인 변화에 대한 기대는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여 양질의 보육서비스 방향을 제시하며,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 인성과 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보육교사의 전문성은 겉으로 드러나는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뿐 아니라, 보이지 않는 가치나 태도, 열정, 몰입과 같은 내적 특성이며, 상호작용은 보육의 운영과정 중에 보육교사와 영유아와의 긍정적 상호교류가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으로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보육의 질을 가늠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주목 받고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6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WIN 25.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변인 간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과 인성과 효능감에 모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성과 효능감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전문성은 인성과 효능감을 매개하여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연구변인의 하위변인별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전문성의 운영관리능력은 보육교사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전문성의 의사소통능력은 보육교사의 인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전문성의 보육보호능력은 보육교사의 효능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보육교사의 인성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보육교사 효능감의 개인적 효능감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향상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언한다.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기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보육교사의 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 보조교사 등의 인력지원이 더 필요하다. 셋째,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보육교사의 인성교육의 함양이 절실히 필요하다. 넷째, 보육교사들의 효능감 향상을 위해 학력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 다섯째, 보육교사들의 처우개선을 위해 재정적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여섯째, 학부모들의 다양한 교육욕구충족을 위해 민간 자율형 어린이집을 인가하여 영유아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시킬 수 있는 보육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관계에서 인성과 효능감이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전문성의 중요성에 대한 영향력 분석을 통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성과 효능감이 높을수록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이 높아진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향상하고 인성과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복합강재 제진시스템의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

        김민성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저항복강(HSA80)과 탄소강(SS275)을 결합한 복합강재 제진시스템의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저항복강으로 제작된 강재댐퍼와 탄소강으로 제작된 강재댐퍼의 항복내력비를 1.0, 1.5, 2.0으로 상이하게 설정하여 3가지 케이스의 복합강재 제진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정적가력실험 및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내력저하가 가장 적게 발생하는 복합강재 제진시스템을 선정하였다. 복합강재 제진시스템을 적용한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학교건물을 대상으로 비선형 동적해석을 수행하였다. 복합강재 제진시스템으로 보강된 학교건물은 7개의 지진파에 대해서 층간변형각, 최상층 변위 응답, 최상층 최대 가속도가 감소된 결과를 보였으며, 복합강재 제진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에너지를 소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선정된 복합강재 제진시스템은 안정적인 이력거동을 통해 우수한 에너지소산능력을 발휘하였으며 전체적인 학교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 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환경이 사회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현민석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환경이 사회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영향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환경에 대한 지원 방안과 자아존중감을 높여 능동적인 사회참여활동을 증진 시키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여 지역사회 안에서 활동하고 있는 노인복지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복지관, 노인회관, 경로당 이용 노인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거주노인 3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5.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건강상태가 사회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건강상태는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의 하위변인의 경우 신체적 건강상태와 사회적 건강상태는 사회참여활동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신적 건강상태는 사회참여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생활환경이 사회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생활환경은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환경의 하위변인의 경우 물리적 환경은 사회참여활동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문화 환경과 서비스 환경의 경우에는 사회참여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건강상태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건강상태는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상태의 하위변인의 경우 신체적 건강상태, 정신적 건강상태, 사회적 건강상태 모두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생활환경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생활환경은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환경의 하위변인의 경우 물리적 환경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문화 환경과 서비스 환경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은 사회참여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아존중감은 노인의 건강상태 및 생활환경과 사회참여활동 간의 관계에서 직접 효과는 확인되었으나 간접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환경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지 않고 직접 효과로서 사회참여활동을 높이는 변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정책의 주요 대상자인 노인의 특성과 초고령사회를 직면함에 따른 다양한 건강상태 욕구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복지 수요를 이해하고, 사회참여활동으로서의 사회서비스와 제도적 지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초고령사회를 눈앞에 둔 우리나라 사회적 문제의 대응 차원에서 노인의 생활환경에서 물리적 환경의 개선과 사회참여활동의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건강해지는 우리나라 노인들의 특성과 원인을 파악하여 경제·여가·봉사 등의 자립적인 사회참여활동을 독려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과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환경, 그리고 자아존중감이 사회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현재를 살아가는 노인이 사회참여활동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주는지 새롭게 확인하고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참여활동의 다양한 모델제시와 초고령사회에서의 변화된 노인의 욕구파악 및 요인들의 변화 확인, 노인복지 증진에 이바지 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health status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and support measures for the health status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and self-esteem. It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welfare of the elderly in the local community by deriving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o promote active social participation by raising th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elderly who used senior welfare centers, senior centers, and senior citizens' center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and 353 senior citizens aged 65 and over living in local communiti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WIN 25.0 and AMOS 25.0 programs,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ffect of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statu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the case of sub-variables of health status, it was found that physical health status and social health statu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but mental health statu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Second, in the effect of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the living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the case of sub-variables of the living environment,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but in the case of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the service environment, it was found not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Third, in the effect of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on self-esteem, health statu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Fourth, in the effect of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on self-esteem, it was found that the living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However, in the case of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service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Fifth, in the effect of the elderly's self-esteem 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Sixth,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status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but it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as there was no indirect effect. As a result of the abov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health status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do not have self-esteem as a medium, but rather as a direct effect, increase social participation.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ho are the main targets of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and the welfare needs to respond to the changes in the needs for various health conditions in the face of an ultra-aged society, and to make efforts to provide social services and institutional support a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 Second, social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ensure accessibility to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in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in order to respond to the social problems in Korea facing a super-aged society. Thir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the elderly in Korea who are becoming healthy, and to seek institutional support to encourage independent social participation such as economy, leisure, and volunteer work, and to seek various ways to enhance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In this study, by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health status, living environment, and self-esteem of the elderly on the use of social welfare services, this study newly confirmed and suggested what factors affect th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n social welfare services. It is meaningful. In future research,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welfare of the elderly by presenting various models of social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dentifying the needs of the elderly in a changed super-aged society, confirming changes in factors, and improving the welfare of the elderly.

      • Fuzzy LP를 이용한 물류센터 입지선정에 대한 연구 : 하북성 H사 물류센터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리우, 치엔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물류는 오늘날 사회에서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고 물류유통은 전체 물류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물류시장의 지속적인 발전과 더불어 물류산업을 위한 개발 플랫폼을 제공함과 동시에 기업은 서비스 수준의 제고에 대한 요구도 커지고 있다. 기업은 물류 서비스를 선택하면서 물류비용이 기업의 시장경쟁에 이익을 가져올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물류회사로서 물류 구매자에게 전문적인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기업의 물류비용을 관리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효율적이고 빠른 물류서비스 수준을 위해 합리적으로 계획된 물류센터 위치는 기업의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하다. 중국 경제의 급속한 발전으로 물류관리에 대한 강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현재 전통적인 제조업체들은 거대한 시장 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변화와 업그레이드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으며, 제조 회사는 전통적인 판매 모델에서 전통적인 판매 모델 + 전자 상거래 모델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주문이 더 분산되고 B2C의 비율이 증가하고, 물류비용의 증가 또한 기업에 더 큰 효율성 압박을 가하여 수익 및 시장 축소의 큰 손실을 초래한다. 물류공급체인의 전반적인 최적화를 통해 비용 절감 및 효율성이 향상되는데,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은 비용을 줄이고 개발 동향에 따라 물류비용을 줄이는 것이다. 물류센터는 공급망 상류와 하류를 연결하는 핵심 노드이며, 물류센터의 입지는 공급망의 속도를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물류센터 입지선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설명하고, 다른 입지선정 방법의 장점과 단점을 비교하였다. 중국 하북성 H사의 입지선정을 위해 Fuzzy선형계획 모델을 통해서 최종 입지 선정방안을 도출하였다. 결과는 생산량과 수요량 변동 폭이 15%시 물류회사가 총 물류비용이 최소로 도출되었다. 물류센터w1, w2, w4가 선택되고 공장 f3, f4를 폐쇄해야 하고 이때 최적 값이 295913.3195위안이다. 본 논문에서는 LINGO 소프트웨어로 모델의 해답을 구하였다.

      •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권리존중과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박윤희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Korea, due to the improvement of people's living standards and changes in values due to high economic growth, the problem of raising children due to work-family balance as well as the increase of dual-income families is being raised as a social issu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basic data and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respect for rights and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nursery director and the quality of service. ⁇ Servant leadership is a service desire based on altruism that provides the opportunity to trust and grow the possibility of others by respecting the employees and dedicating to satisfy the needs of the customers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The quality of service is a comprehensive service system that includes the linkage with the family to provide the best environment for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to provide high quality childcare services based on trust with parents. For this study, 329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were selected.,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WIN 24.0 and AMOS 24.0. ⁇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through the structural model,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nursery direct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spect for rights and job satisfaction, and respect for righ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rvice quality.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areas of research variable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wisdom and stewardship of the nursery director servant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rvice quality, the wisdom, persuasion, and stewardship of the nursery director servant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respect for rights, and the altruistic calling, emotional healing, wisdom, and stewardship of the nursery director servant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The right to work environment, the right to autonomy, and the right to participate in operation of respect for rights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service, and the satisfaction of supervisors, pay satisfaction, and colleague satisfaction of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service.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respect for rights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service quality of daycare center directors.,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nursery director servant leadership indirectly affects the quality of service through the mediation of respect for rights.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measures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ery service.,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pport of human resources such as assistant teachers in order to reduce the work burden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ensure the use of rest time Second,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to improve social awareness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respect human rights.,Third, programs that can improve job satisfaction are needed Fourth, it is necessary to authorize autonomous daycare centers to provide customized childcare services centered on consumer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respect for rights and job satisfaction acted as parameters in the effect of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nursery director on the quality of the nursery service.,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analyzed the influence on the importance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provided basic data for child care teachers to provide high-quality child care services to infants and toddlers by positively changing the negative emotions of child care teachers so that they can work with joy. 우리나라는 고도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과 가치관의 변화로 인하여 맞벌이 가정의 증가는 물론 일·가정양립으로 인한 자녀양육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서비스 질과의 관계에서 권리존중과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보육서비스 질을 향상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 제공과 실천적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서번트리더십은 조직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직원을 존중하고 고객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헌신하는 것으로 타인의 가능성을 신뢰하고 성장할 기회를 제공해 주는 이타성에 기초한 봉사적 욕구다. 서비스 질은 어린이집에서 영유아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하여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고 학부모와의 신뢰를 기반으로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족과의 연계를 포함한 포괄적인 서비스체계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 24.0과 AMO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변인 간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은 권리존중과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권리존중은 서비스 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변인의 하위영역 간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어린이집 원장 서번트리더십의 지혜와 청지기정신은 서비스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어린이집 원장 서번트리더십의 지혜, 설득, 청지기정신은 권리존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어린이집 원장 서번트리더십의 이타적소명, 감정적치유, 지혜, 청지기정신은 직무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권리존중의 근로환경권, 운영자율권, 운영참여권은 서비스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직무만족도의 상사만족도, 보수만족도, 동료만족도는 서비스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서비스 질 사이에서 권리존중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어린이집 원장 서번트리더십은 권리존중을 매개하여 서비스 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보육서비스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방안을 제언한다. 첫째, 보육교사의 업무 부담 경감과 휴게시간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 보조교사 등 인력지원을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동시에 인권존중을 도와주는 정책이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직무만족도의 향상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율형 어린이집 인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권리존중과 직무만족도가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으며, 보육교사의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즐거운 마음으로 업무에 임할 수 있도록 하여 보육교사가 영유아에게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