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곡교천유역의 원삼국문화의 특징과 변화과정 연구

        신동제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study of Won Samguk culture in the Gokgyocheon Stream area was based on the excavation of the historical site in Dujeong-dong, Cheonan. However, rather than individual studies of the Gokgyocheon Stream basin, the research was often conducted as a part of the larger category, with a focus on the transition period from Mahan to Baekje. In addition, the focus was on individual studies such as residential areas, tombs, earthenware, and ironware, and there was little research on the overall remains and relics that would encompass the culture of the original Three Kingdoms. Therefore, the analysis is intended to be conducted on residential, analytical, and excavated artifacts identified in the Gokgyo Stream basin in the 2nd and 4th centuries. Based on the analysis, we want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the culture of the original Three Kingdoms and study the transformation proces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cultural factors identified in the Gokgyo Stream area. Based on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original Three Kingdoms culture found in the Gokgyo Stream area, we will review the connection with the southern region of Gyeonggi Province. First, the type classification and change patterns were identified by conducting an analysis of the properties of the dwelling, analysis, and excavated relics found in the Gokgyo Stream basin. Based on this, only the tomb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process of step-by-step changes in the dwelling and the excavated relics, and the stages of the Yugae Daejo (Step I-1), where the residential area is identified, and the main building of the Jugu Sogwangmyo Shrine (Step I-2) were subdivided into the points at which the dwelling is identified in Step I. The main building was identified and the tomb of the tomb was gradually changed to the form of a simple earth mine (Step II). Based on these results, a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culture of the Three Kingdoms was derived. In the case of residential areas, it was confirmed that the main building was centered on four-week pouches of the square, and in the case of the tomb, a simple earthen tomb with the shape of the tomb was also identified,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ination of the relics excavated were changed from time to time.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 elements, the patterns of the main building are first identified in the Grotto and Yeongi and Hwaseong areas, and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it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stream that has an advantage as a production facility and location in the vicinity of the main building identified in the Gokgyo Stream. The main building identified in the Hwaseong area has been identified in the steel production site, and in the smoke area, there are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the trade center that can be moved to the Yeongnam area. Based on this aspect, the main building is considered to have one specific characteristic for exchange between the two Koreas from the Gokgyo Stream basin to the Yeongnam area, and to be a well-connected one with the production facilities. In addition, as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Yeongnam area, such as the main construction of the Yugae Daejo Lake's tomb, were identified in the Gokgyecheon basin, active exchanges were made, and it seems that one large group of logistics groups grew by placing the main building on the road as a component of the exchange. 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relics such as the Great Lakes, the symbol of the Three Kingdoms' culture, such as the Yugae Great Lakes, Simbal-type earthenware + Wonjeogyeong Lake, cylindrical earthenware, and Ma Hyung-daegu, in addition to the main building, smoke can be set based on the east by the north. In the en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woodland, which is the central force of Mahan, Mars and smoke must have exerted some influence on the boundary. 곡교천유역의 원삼국문화 연구는 천안 두정동 유적의 발굴을 토대로 분묘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다만, 곡교천유역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보다는 큰 범주안에서 하나의 부분으로 연구가 진행된 경우가 많으며, 마한에서 백제로의 전환기에 중점을 둔 연구가 주를 이루어서 진행되었다. 또한, 주거지·분묘·토기·철기 등 각각의 개별적인 연구에 초점을 두었으며 원삼국문화를 포괄할 전반적인 유구 및 유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4세기 곡교천 유역에서 확인되는 주거지·분묘·출토유물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도하고 자 한다. 분석을 토대로 원삼국문화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며, 곡교천 유역에서 확인되는 특징적인 문화요소를 토대로 변화과정을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곡교천유역에서 확인되는 원삼국문화의 특징적인 요소를 토대로 경기남부 지역과의 연관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먼저 곡교천유역에서 확인되는 주거지·분묘·출토유물의 속성분석을 실시하여 형식분류 및 변화양상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주거지·분묘 의 단계별 변화과정과 출토유물의 변화를 토대로 분묘만이 확인되며, 유개대부호가 특징적으로 확인되는(Ⅰ-1단계), 주거지가 확인되며 분묘 에서는 주구토광묘가 주를 이루는(Ⅰ-2단계)단계를 Ⅰ단계에서 주거지 가 확인되는 시점으로 세분화 하여 설정하였다. 주구부건물지가 확인되 며 분묘의 묘제가 점차적으로 단순토광묘의 형태로 변화하는(Ⅱ단계)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특징적인 원삼국문화의 양상을 도출 하였다. 주거지의 경우는 방형의 4주식의 주공을 중심으로 주구부건물지가 확인되며, 분묘의 경우 묘제의 양상으 단순토광묘도 확인되지만 주로 주구토광묘가 특징적인 요소로 볼 수 있으며, 출토되는 유물의 조합상의 특징이 시기별로 변화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특징적인 요소를 토대로 살펴보았을 때, 먼저 주구부건물지의 양상이 곡교천유역 과 연기·화성지역에서만 확인되며, 곡교천유역에서 확인되는 주구부건 물지의 주변으로는 생산시설과 입지로서의 유리함을 지닌 하천변에 위치한다는 특징이 존재한다. 화성지역에서 확인되는 주구부건물지의 경우 제철생산유적에서 확인되었으며, 연기지역의 경우 영남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교역의 중심지에서 확인되는 특징이 존재한다. 이러한 양상을 토대로 주구부건물지는 곡교천유역에서 영남으로 교류를 위한 하나의 특수성을 지닌 유구이며, 생산시설과의 친밀한 관련이 있는 유구로도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유개대부호의 양상 분묘의 주공이 확인되 는 양상 등 영남지역의 특징적인 요소들이 곡교천유역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활발한 교류를 이루었으며, 교류의 한 가지 요소로 주구부 건물지를 교통로에 배치하여 하나의 대규모 물류집단이 성장하였을 것 으로 보인다. 한편, 주구부건물지 이외에 원삼국문화의 특징적인 요소인 단순토광묘· 주구토광묘에 유개대부호, 심발형토기+원저단경호, 원통형토기, 마형대구 등 유물 조합을 토대로 살펴보았을 때, 목지국의 세력권으로 볼 수 있는 지역으로 북으로는 화성 동으로는 연기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결국 마한의 중심세력인 목지국의 특징적인 요소를 토대로 보았을 때, 화성·연기를 경계로 어느정도의 영향력을 행사하였을 것이다.

      • 百濟 都城 道路의 構造와 變遷

        강혜림 용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re have been a few studies on roads of the Baekje Dynasty so far and they stayed at conducting a structural analysis from an engineering perspective, concentrating on restoring a traffic network by roads. It is regarded that more thorough research is needed for roads identified at the capital since they are dealt with as evidence for the capital system in a significant way. Hence, centered on roads built inside the Baekje capital in periods Hanseong~Sabi,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way roads were constructed and changed in the Baekje capital and understand the system of Baekje city planning roads. As a result of examining environments around Seoul Pungnaptoseong Fortress․Mongchontoseong Fortress, Gongju Gongsan Castle, Buyeo capital and analyzing construction methods of roads, it showed that its method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opographic conditions rather than by periodic differences. Besides, this study questioned the analysis using figures as they are given by reports when estimating the specification of a road so remeasured it by unit of 1m. Hence, it shows that as for the entire width of roads they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Namjo scale (=25㎝), a major reference scale and in general concentrated on 16, 20, 23, 25 cheok. However, the width of a road did not follow the reference scale so it is estimated that it is influenced by the space used for passage including the traffic volume of a cart. In such a process, examination on carts shown in Baekje was done and carts in the Hanseong period show the direct proportion of the interval and width of a wheel unlike analyses in precedent studies. As a result of measuring traces of a cart wheel in Baekje and analysing the traffic volume of a cart, roads may be divided into a narrow-middle-main roads(1,2,3) and it reveals that main road 3 had a specific purpose including the procession shown from tomb murals in the Goguryeo Dynasty. It was identified that roads in the capital had taken a grid type since the Hanseong period and their structure and the road network changed systematically during the Hanseong~ Ungjin~Sabi periods. In particular, as for roads around the Sabi capital where Baekje road sires are excavated on a large scale, evident traces of repair ․reinforcement, reconstruction and remodelling are found out frequently. It suggests that capital roads were constructed and managed under the national initiative.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ization of roads varied as times by region. It was identified that roads playing a role of a passage for building up the capital were constructed at the outskirts of the capital, landmark roads were constructed at the center of the capital, and then under such a reference grid typed roads were planned and constructed in the neighborhood along with a grand scaled maintenance of the capital. 지금까지 百濟 道路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며, 그마저도 工學的인 측면에서 구조 분석을 실시하거나 도로의 존재를 통해 交通網을 복원하는 데 중점을 두어 연구되었다. 도성에서 확인되는 도로는 都城制의 증거로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만큼 조금 더 정치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백제 한성기~사비기 백제 도성 내부에서 확인된 構築道路를 중심으로 백제 도성에 도로가 어떻게 축조되고 변화하는지 분석하여 백제 計劃道路 시스템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서울 풍납토성․몽촌토성, 공주 공산성, 부여 도성일대의 주변환경을 검토해 도로의 축조방법을 분석한 결과 축조방법이 시기적인 차이보다는 지형조건에 큰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동안 도로의 제원 추출과정에서 보고서에 제시된 수치를 그대로 분석에 이용한 것을 문제점으로 보고 1m단위로 도로의 제원을 재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도로의 전체 폭은 백제의 전 시기동안 주된 기준척이였던 南朝尺(=25㎝)에 맞추어 축조되었으며 대체로 16척, 20척, 23척, 25척에 집중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노폭은 기준척을 따르지 않는 모습을 보여 노폭은 수레의 통행량 등 실제로 통행에 이용되는 공간에 영향을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백제에서 확인되는 수레의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분석한 바와 달리 백제 한성기의 수레는 軌幅과 輪幅이 정비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백제에서 확인되는 수레바퀴흔을 측정하여 수레의 교행량을 분석한 결과, 소로-중로-대로(1,2,3)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중 대로3에 해당하는 도로는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보이는 儀仗行列 등과 같은 특수한 목적을 중점에 두었음을 알 수 있다. 도성 내 도로는 한성기부터 격자형의 형태를 띠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한성~웅진~사비기를 거치며 그 구조나 도로망이 체계적으로 변화하였다. 특히, 백제의 도로유구가 집중적으로 확인되는 사비도성 일대의 도로는 다른시기의 도로에 비해 補修․補强흔적과 改․補築 흔적이 뚜렷하고 빈번하게 확인된다. 이는 도성도로가 국가의 주도하에 축조․관리되었음을 시사한다. 한편 사비도성의 경우 시기변화에 따라 지역별로 도로의 집중도가 다르게 확인된다. 도성을 구축하기 위한 통행로 역할을 하는 도로가 도성 외곽부에 축조되고→도성 중심부에 기준이 될 도로를 축조하였으며→그 기준에 따라 대대적인 도성 정비와 함께 주변지역으로 격자형의 도로가 계획되어 축조되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 2˜4世紀中西部地域 周溝土壙墓와 馬韓中心勢力의 變化推移

        신기철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2~4세기 중서부지역의 분묘는 주구토광묘가 사용되고 원저단경호와 심발형토기를 세트로 부장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이를 지역별로 구분해 보면 차이점이 드러난다. 이러한 차이가 있음에도 지금까지의 연구는 개괄적이거나, 부장품의 형식변화 또는 신기종의 등장에만 주목하였으며, 지역적 분묘의 특징 및 변화과정은 배제되었다. 연구의 지역적 범위도 대부분 천안 및 청주 지역에 한정되었으며, 동시기 지역 간의 분묘형태나 부장양상의 비교를 통한 지역권 설정과 중심 세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서부지역의 묘제를 편년하여 그 특징과 분포양상을 단계별로 비교·검토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세부지역권을 설정하고 중서부지역 중심세력권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서부지역의 분묘는 주구 유무와 목관, 목곽의 형태에 따라ⅠA,ⅠB,ⅠC,ⅡA,ⅡB,ⅡC 6가지로 구분된다. 그리고 세부형식을 조합하면 25가지로 세분된다. 여기에 부장품의 공반관계, 주구토광묘의 출현과 소멸, 목곽의 사용, 합장묘의 등장 등을 종합해보면 세 단계로 그 시기를 설정 가능하 다. Ⅰ단계는 단순토광묘만 채용되었다. Ⅱ단계에 이르면 주구토광묘가 주로 사용되고, Ⅲ단계가 되면 주구토광묘의 사용이 중단되거나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을 보인다. 지역권 설정은 분묘형태, 하천과 산맥 등의 자연지형,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부장품을 기준으로 하였다. 그 결과 중서부지역은 곡교천유역권, 산방천유역권, 미호천상류권, 미호천중류권, 미호천하류권, 남한강유역권, 정안천유역권, 갑천유역권으로 구분된다. 유적의 규모, 부장품의 양, 지역적인 부장품의 중심지역, 위계 등을 살펴보았을 때 곡교천유역권과 미호천중류권을 원삼국시대 중서부지역의 중심세력으로 볼 수 있었다. 한편 Ⅱ-3단계 이후가 되면 중서부지역에서는 주구토광묘의 축조가 중단 혹은 감소되는데, 그 원인에는 백제의 성장과 더불어, 3세기 후반을 기점으로 더 이상 중국 사료에 마한이라는 명칭이 존재하지 않는 것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곡교천유역권에서는 Ⅲ단계까지 지속적으로 주구토광묘가 축조되는데 이를 보아 곡교천유역권은 외부의 압박에도 자신들의 세력을 다른 지역보다 오래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미호천중류권은 곡교천유역권과 달리 Ⅲ단계부터 단순토광 묘가 집중적으로 축조되고, 유견호 등의 새로운 토기가 부장된다. 이는 당시 미호천중류권이 보다 적극적으로 외부의 문물을 받아들인 결과이다. Tombs at midwest regions in 2nd~4th centuries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each other in that Jugu-Togwangmyo was used and also a rounded based jar with a short neck and deep bowl pottery were buried together as a set. However, classification by region shows difference. Despite such a distinction, research so far has been too general or paid attention only to a formal change of burial accessories or appearance of new kinds of goods, excluding a regional characteristic or transition of a tomb. Research range has been mainly limited to Cheonan and Cheongju regions and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central power along with setting of a regional zon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n a regional tomb type or burial aspect during the same period. Hence, this paper conducted chronology of a tomb system at the midwest regions, comparing and examining its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al aspects by step. Through such a process, it set a detailed regional zone and considered the central power at midwest regions. Tombs at the midwest regions are divided into 6 including ⅠA,ⅠB,ⅠC,ⅡA,ⅡB,ⅡC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Jugu or not in addition to a type of a wooden coffin and a wooden-frame. Besides, according to combined detailed forms, they may be segmented to 2. Futhermore, considering association of burial accessaries,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Jugu-Togwangmyo, use of a wooden-frame and appearance of a tomb buried together, their period may be set as three phases. Ar the phase Ⅰ, only a simple Togwangmyo was excavated. At the phase Ⅱ, Jugu-Togwangmyo was mainly used, and it was stopped or decreased rapidly at the phase Ⅲ. Regional zone was set based on a tomb type, natural topography including river and mountain and accessories showing difference by region. As a result, midwest regions are divided into a basin zone of Gokkyo River, basin zone of Sanbang River, upstream zone of Miho River,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downstream zone of Miho River, basin zone of South Han River, basin zone of Jeongan River and basin zone of Gap River. Considering a scale of ruins, amount of burial accessories, central region and hierarchy of buried goods, it is possible to regard a basin zone of Gokkyo River and a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as the central power of the midwest regions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On the other hand, at the midwest regions, construction of Jugu-Togwangmyo was ceased or decreased after the phase Ⅱ-3 and it is assumed to be connected to a fact that a name Mahan did not appear on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any more from the late 3rd century along with growth of Baekje. On the contrary, Jugu-Togwangmyo was constructed continually to the phase Ⅲ at the basin zone of Gokkyo River so it is regarded to maintain its power longer than other regions though there were external pressures. However, at the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unlike the basin zone of Gokkyo, a simple Togwangmyo was constructed intensively and new potteries were buried including a shoulder shaped jar from the phase Ⅲ. It resulted from active acceptance of an external culture by those days'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 파주 덕진산성의 축성법과 점유세력의 변화

        서승완 용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삼국시대에 이르러 국가 간의 전쟁이 본격적으로 전개되면서 성곽의 축조가 급증하였으며, 축성법 또한 급격한 발전을 이루게 된다. 축성법은 고도의 기술력으로서 국가에 따라 특징이 다르게 확인된다. 본고에서는 국가별로 특징이 잘 확인되는 축성법의 시간적 변화가 가장 쉽게 확인되는 외벽축조기법과, 부대시설물을 분석하여 경관의 변화를 통해 덕진산성의 축성법과 점유세력의 변화에 대한 검토를 시도하였다. 외벽축조기법의 구분은 신라~통일신라성곽에서 4유형으로 구분되며, 부대시설물, 출토유물들을 함께 살펴보았을 때, 덕진산성의 변화는 크게 3기로 구분되었다. 덕진1기는 고구려가 처음 덕진산성을 점유한 시기로 6세기 중~후엽경에 해당된다. 초축성벽의 축조는 같은 방어선상에 위치하고 출토유물의 양상이 유사하게 확인되는 호로고루와 당포성의 축조시기와 비교해 볼 때, 6세기 중~후엽에 축조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출토유물은 장동호, 시루 저부편, 고구려 기와 편 등이 확인된다. 이 시기는 신라가 한강 유역에 진출하면서 북쪽과 서쪽경계에서 전쟁을 반복하던 시기이다. 신라는 점차 북진하여 한강유역을 장악해나갔으며, 호로고루와 당포성이 새롭게 석축성벽으로 개축되면서 신라에 대한 방어선을 강화하는 시점에 덕진산성의 초축성벽 또한 함께 쌓은 것으로 보인다. 덕진2기는 신라가 한강유역을 완전히 확보하고 임진강 북안으로 진출 하는 시기로 7세기 중엽~후엽경에 해당한다. 신라가 축조한 1차수축성벽은 외벽축조기법과 방형집수지, 출토유물들을 비교해볼 때, 7세기 중~후엽경에 축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장경식철촉, 고구려계 복합문와당, 인화문토기, 대부완 등이 이 시기와 관련된 유물이다. 고구려와 당을 대비하여 발달된 축성법이 국경지역에서 바로 보급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고구려계 축조기법이 확인되는 치3의 기단보축이나, 고구려계 막새를 모방한 것을 이용하는 등 지방세력에 의한 영향이 확인되는 것으로 볼 때, 중앙에 의한 직접지배보다는 양주 대모산성과 같은 주·군·현성과 같은 지방거점성에 의해 간접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덕진3기는 통일신라가 덕진산성을 재정비하는 시기로 8세기 초엽 이후 에 해당한다. 신라는 나당전쟁 이후 북쪽지역에 대한 군사적긴장감이 높았으며, 당과 발해의 공격에 대비하여 북쪽지역에 대한 성곽의 정비와 지방제도의 정비가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2차수축성벽은 1차수축성벽의 보축성벽으로 8세기 이후 축조된 성벽과 유사한 축조기법이 확인된다. 출토유물은 후기양식의 인화문토기와 대부완, 암키와, 막새와 출토된 대다수의 금속유물이 이 시기에 속한다. 원형집수지와 출토유물에서 경주와 통일신라시대의 성곽의 출토유물들과 유사한 문화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양상으로 볼 때 중앙에서 관리를 파견하여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통일신라시대에도 덕진산성을 지속적으로 중 요하게 이용하였다. 덕진산성의 시간적 변화와 역사적 배경에 대한 검토를 외벽축조기법과 부대시설물의 분석으로 경관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을 통하여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 특히 신라~통일신라성곽의 외벽축조기법의 분석은 다른 성곽의 시간적 변화를 살펴보는데 있어서 보다 유용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먼저 축조가 이루어진 성곽에 대한 신라의 수·개축의 양상은 다른 성곽의 분석에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덕진산성은 고구려에 의해 초축되어 신라가 점령한 이후 중요도가 높아졌으며, 성 내의 변화는 당시 군사적 긴장감이 높았던 삼국시대의 긴박한 정세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속에서 덕진산성을 비롯한 중요한 성곽들은 지속적인 정비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The construction of fortresses increased as wars between nations began in earnest by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consequently, their construction methods also advanced dramatically. As a highly advanced technology, fortress construction methods display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country.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review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Dukjinsanseong fortress and its change in occupying forces through changes in landscape by analyzing its ancillary facilities and outer wall construction techniques which most easily reveal changes in construction method. Outer wall construction techniques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spanning Silla and Unified Silla fortresses, and an examination of their ancillary facilities and excavated artifacts within largely display three periods of changes to the Dukjinsanseong fortress. The 1st period of the Dukjinsanseong fortress falls under the mid to late 6th century period when Goguryeo initially occupied the Dukjinsanseong fortress. The first wall is located on the same defense line and seems to have been constructed during the late 6th century when compared to the construction periods of the Horogoru and Dangposeong fortresses where similar excavation artifacts appear. Artifacts include Jangdongho, Siru base fragments, and Goguryeo roof tile fragments. This was the period when Silla made entry into the Han river basin, repeatedly engaging wars on its north and west boundaries. Silla gradually took over the Han river basin by marching north, and the first wall of the Dukjinsanseong fortress seems to have been constructed at a point when defenses were being strengthened through the new construction of stone walls in the Horogoru and Dangposeong fortresses. The 2nd period of the Dukjinsanseong fortress falls under the mid to late 7th century period when Silla took over the Han river basin and entered into the northern coast of the Imjin river. The 1st wall improvement seems to have been conducted during the mid to late 7th century when comparing the outer wall construction methods, the square collecting reservoir, and excavated artifacts. Iron arrowheads, Goguryeo style roof-end tiles with the composite designs, pottery decorated with stamped designs, and footed bowls are artifacts related to this period. During this period, Silla completely took over the Han river basin and warred with Baekje and Goguryeo. Advanced fortress construction methods were immediately applied to the border region, and the 1st wall improvements and the 1st chi of the Dukjinsanseong fortress also seem to have been constructed in preparation against Goguryeo and the Tang.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the local forces in the use of stylobate reconstruction or Goguryeo style round roof-end tiles, which confirm elements of Goguryeo, the fortress seems to have been controlled indirectly by local strongholds at the state, county, and village level, as demonstrated by the Daemosanseong fortress in Yangju nearby, rather than direct control by the central government. The 3rd period of the Dukjinsanseong fortress falls under the period after the early 8th century when Unified Silla refurbished the Dukjinsanseong fortress. Silla continued to increase military tensions in the north in preparation of attacks by the Tang or Balhae and carried out the reorganizing of its northern defenses and local institutions. The 2nd wall improvement is an additional wall to the 1st wall improvement, and the walls subsequent to the 8th century have excavated artifacts including concave roof tiles, roof-end tiles, and most metal artifacts inside the fortress belonging to this period. Furthermore, the excavated artifacts and cultural images within display similar aspects to the those found in Gyeongju and Unitied Silla fortresses. In view of such aspects, it seems that the Dukjinsanseong fortress continued to be used with importanc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hat officials sen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exerted their influence directly. The temporal changes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Dukjinsanseong fortress can be easily approached by understanding change in landscape through the analysis of its outer wall construction techniques and ancillary facilities. In particular, analysis of the outer wall construction techniques spanning the period of fortresses from Silla to Unified Silla is expected to present a useful standard in examining the visual changes of other fortresses. Furthermore, the aspects of improvements and renovations of fortresses that were constructed earlier can provide important data for analyzing other fortresses. In this way, the Dukjinsanseong fortress increased in importance after being occupied by Silla before being first constructed by Goguryeo, and the changes within the fortress demonstrate how the importance of fortresses like the Dukjinsanseong fortress enabled continued refurbishments due to their close association with changes to the tense situation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which military tensions continued to increase at the time.

      • 馬韓․百濟圈域 鐵鋌의 系統과 變化

        홍석영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마한․백제권역에서 출토된 철정의 계통과 변화를 파악하여, 그동안 철정연구에서 모호했던 변화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철정은 육안 관찰을 통해 판상인 것과 봉상인 것으로 대별된다. 판상철정은 시간적 변화를 잘 반영하는 신부 형태를 기준으로 4개의 대형식으로 분류되며, 단부 형태와 전장의 속성조합에 따라 15개 소형식으로 분류된다. 봉상철정 역시 신부 형태를 기준으로 대형식 3개, 소형식 7개로 분류된다. 철정은 그 형태가 단순하고 잔존상태가 양호하지 않아 공반토기를 토대로 변화상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판상철정은 크게 Ⅰ형식 → Ⅱ형식 → Ⅲ형식 → Ⅳ형식으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반면 봉상철정은 Ⅰ․Ⅱ형식과 Ⅲ형식 간에 시간적 공백이 심하며, 그 변화과정은 단절적으로 파악되었다. 그 다음 각 철정의 형식별 변화를 토대로 단계설정을 하였다. 2세기 후엽부터 3세기 중엽에 해당하는 Ⅰ단계는 진․변한으로부터 유입된 봉상철정과 판상철정이 출현되는 시기, 3세기 후엽부터 4세기 전엽에 해당하는 Ⅱ단계는 진․변한계통의 판상철정이 본격적으로 유입되어 확인되는 시기, 4세기 중엽부터 5세기 전엽에 해당하는 Ⅲ단계는 백제권역에서 판상철정과 봉상철정의 형태가 획기적으로 변화하는 시기, Ⅳ단계는 5세기 중엽 이후로서 판상철정이 소형화되며, 유적에서 출토빈도가 줄어드는 시기로 특정할 수 있었다. 철정의 계통에 대해서는 마한권역에서 처음 출현하는 Ⅰ형식 판상철정을 진․변한권역에서 출토된 철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판상철정은 진․변한 철정과 그 제작기술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 변화가 단절되는 봉상철정은 두 가지 계통이 있으며 Ⅰ․Ⅱ형식은 당시 사회적 상황과 공반유물을 통해 진․변한에서 유입된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 Ⅲ형식 봉상철정은 백제가 진천․충주지역에 진출하여 대규모 제철 조업을 시작함으로서 철소재 용도의 봉상철정이 제작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철정의 변화는 백제가 마한을 병합해가는 역사적 배경을 토대로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먼저 대규모 전투이었던 기리영 전투(234년)에 앞서 다량의 철제무기와 함께 Ⅰ․Ⅱ형식 봉상철정이 진․변한지역에서 마한 목지국으로 유입된다. 이후 백제가 마한을 병합하는 과정에서 철제무기를 비롯한 많은 철기 및 철소재가 필요함에 따라 진․변한지역에서 다량 확인되는 판상철정 Ⅰ․Ⅱ형식이 유입되며, 앞서 수용된 제철기술을 바탕으로 마한권역에서도 철정을 자체 제작한다. 4세기 중엽 이후에는 제철기술의 발전과 함께 판상철정은 보편적으로 Ⅰ․Ⅱ형식에서 Ⅲ․Ⅳ형식으로 형태가 변화하며, Ⅲ형식 봉상철정이 새롭게 등장한다. 이러한 백제식 봉상철정은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철제무기 또는 대형의 공구류들을 제작하는데 활용된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5세기 중엽 이후 백제의 쇠퇴와 고구려와 신라에 대항하여 한강유역을 차지하기 위한 수많은 전쟁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철소재로서 기능을 수행했던 철정은 정복전쟁에 필요한 물자제작을 목적으로 국가에 전량이 집중되어 무덤이나 주거지에서 더 이상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추측된다. This study aimed to trace the meaning of changes that have been ambiguous in the studies of Cheoljeong (Iron mass) thus far by identifying the system and changes of Cheoljeong excavated from the Mahan and Baekje regions. Cheoljeong is typically classified into a plate shape and a rod shape through visual observation. The plate-shaped Cheoljeong is classified into 4 major categories based on the body part that reflects temporal changes well, in turn, further classified into 15 sub-categories according to the shape of both end parts as well as the combination of attributes in the entire length. The rod-shaped Cheoljeong is also classified into 3 major categories based on the body part and 7 sub-categories. Since the shapes of Cheoljeong are simple and the preserved conditions of the remained ones are not good, the changing history of Cheoljeong was identified based on the associated earthenwar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late-shaped Cheoljeong was largely changed in order of Type I → Type II → Type III → Type IV. On the other hand, the rod-shaped Cheoljeong revealed a severe temporal gap between Types I and II and Types III, and its change process was identified intermittently. Next, this study has set the stages of Cheoljeong based on its type change. This can be characterized as; Type I is the time when the rod-shaped iron axe introduced from Jinhan and Byeonhan is confirmed, Type II, corresponding to the period between the second half of the 3rd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is the period when the plate-shape Cheoljeong of the Jinhan and Byeonhan systems is confirmed to be introduced in full-scale, Type III, corresponding to the period from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to the late 4th century, is the period when the rod-shaped Cheoljeong of the Baekje system appeared, and Type IV indicates after the 5th century, the period when the plate-shaped Cheoljeong becomes miniaturized, and the frequency of excavation from the historical sites becomes less. With regard to the system of Cheoljeong, if comparing the plate-shaped Type I that first appeared in Mahan region with Cheoljeong excavated in Jinhan and Byeonhan regions, it was revealed that the plate-shaped Cheoljeong of Mahan was based on the Cheoljeong and its fabrication technique that were introduced from Jinhan and Byeonhan. On the other hand, the rod-shaped Cheoljeong of which its changes are discontinued intermittently, has two systems, and it is identified that the Types I and II have been introduced from Jinhan and Byeonhan according to the social situation at the time and relics accompanied with. The Type III rod-shaped Cheoljeong was identified to appear when Baekje moved to the Jincheon and Chungju regions to start the large-scale steel operations.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contained in the change of Cheoljeong were identified throug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merging Mahan by Baekje. In terms of changes in Cheoljeong of the Mahan and Baekje regions, the rod-shaped Type I and II were flowed into the Mahan Mokjigook along with iron fabrication techniques from the Jinhan and Byeonhan regions. Since then, as Baekje needed a lot of iron and iron materials, including iron weapons, in the process of merging Mahan, a large amount of the plate-shaped Cheoljeong Type I and II, which were found a lot in Jinhan and Byeonhan regions, flowed in, and based on the steel fabrication techniques previously accepted, Cheoljeong was produced on their own in the Mahan region. After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Baekje-style rod-shaped Cheoljeong appeared as the iron bases of Baekje were built in Chungju and Jincheon regions, and many of this Baekje-style rod-shaped Cheoljeong were used to fabricate iron weapons or large-scale tools required by the state. However, after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he three kingdoms have engaged in numerous wars to advance into the Hangang river region. It was identified that Cheoljeong, which functioned as an iron raw material, was no longer found in tombs or residences because all of them were concentrated in the state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materials necessary for the conquest war. It was found that Cheoljeong, which functioned as an iron material, was no longer identified in tombs or residences because all of it was concentrated in the state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materials necessary for the conquest war.

      • 百濟 漢城期 物流體系 形成과 그 社會·經濟的 背景 硏究 : 京畿南部 地域 竪穴 倉庫(群)의 分析

        김왕국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Cross-section of a flask-shaped storage pits in the area of ​​the Baekje is confirmed. To date, more than 1000 were investigated. The quantity and distribution pattern seen Baekje society and that can be very relevant. however, So far, the cross section of an flask-shaped storage pit of Baekje studies on the there is a problem. It is that very microscopic. In the meantime, the study of storage pits didn’t pay attention to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implications. Only by focusing on the temporal changes were studied.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focused on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implications of the cross section of an flask-shaped storage pit. First, the study area is 64% of the total storage pit had an Osan river. And the specialized storage pit ruins are made from 4 century, starting from the late fourth century in the fifth century was the presence of the large number of storage pits specialized storage pit ruins. And 84% of the entire storage pits in 1.5km from the nearby river When created the accessibility of the river was very important to know that. Especially, storage pits depending on the river, depending on the distance of the river, or depending on the ruins of the average diameter of the bottom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This is when you create the storage pits seem to be the effect of a certain standard. The Hansung Baekje of the logistics system and the tax system related to the area inside the large area. And through the distribution of the storage pits of the Hansung Baekje could see various logistics systems. It is the center of much of the logistics system and regional and inter-regional and inter-regional logistics system is divided into. Warehouse operations and remains the way through the existence of the central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goods was unknown. And review the results of the regional logistics transportation hub in between were able to determine the logistics system could also check. Finally,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of the Osan river was the place. So the Osan river basin was a center of Max logistics in Baekje Hansung period. Overall, The cross-section of a flask-shaped storage pits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was in social of Hansung Baekje. So That is well as social data that can be represented. In this study, through these storage pits the change of a social aspect of Hansung Baekje and the distribution system was found. 단면 플라스크형 저장수혈은 백제의 영향권에서만 확인되는 것으로 현재까지 1000여기 이상이 조사되었다. 그 수량과 분포양상을 보아 이 저장수혈은 백제 사회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백제의 단면 플라스크형 저장수혈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시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온 문제점이 있었다. 이 저장수혈이 백제 사회에 가지는 정치·사회·경제적인 의미를 밝히는 것에는 등한시 한 채 시간적인 변화상에만 주목하여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단면 플라스크형 저장수혈의 정치·사회·경제적 의미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연구대상 지역인 경기남부 지역의 저장수혈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전체의 64%가 오산천유역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4C 전반부터 저장수혈이 집중적으로 축조된 저장전문유적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4C 후반∼5C 전반에 가장 많은 수의 저장수혈군 유적이 존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저장수혈군을 조성할 때에는 수계와의 접근성이 매우 중요시되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전체 저장수혈의 84%가 인근 수계와 1.5km 이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저장수혈들은 수계에 따라, 수계와의 거리에 따라, 혹은 유적에 따라 분류하여도 평균 바닥지름은 2.3∼2.5m로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저장수혈군 조성시에 일정한 기준이 도입된 결과로 파악되었으며 기준이 적용된 저장수혈군이 입지하고 있는 지역은 한성백제의 물류체계영역 내이며 국가 존립에 있어서 중요한 기반인 조세·수취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역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저장수혈군 유적의 분포를 통해 한성백제에는 다양한 물류체계가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는데 크게 중앙과 지방간의 물류체계와 지방과 지방간의 물류체계로 대별할 수 있었다. 중앙과 지방간의 물류체계는 주창고와 보조창고가 동시에 운영되는 이원적인 창고운영방식과 창고군을 관리하는 관리동의 존재를 통해 한성백제 중앙의 창고운영방식이 지방의 물류거점에서도 똑같이 운영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질적인 유물을 통해서도 중앙과 지방간의 활발한 물자의 유통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지방과 지방간의 물류체계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기준은 수·륙의 교통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검토 결과 각각의 교통요지에 주요 유적들이 위치하여 지리적 이점을 이용해 지방물류거점으로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음을 파악하였다. 경기남부 지역의 저장수혈군들은 주요 수계에 따라 그 분포양상과 물질문화 양상이 약간씩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러한 현상은 당시 해당 수계 지역의 자연지리·정치·사회·경제적 배경이 달랐기 때문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오산천유역은 지리적으로 한성백제 중앙과 접근성이 좋고 하천주변으로 넓은 충적지가 잘 발달되어 있어 높은 농업생산력을 기대할 수 있는 지역이었다. 또한 정치적으로도 안정되어 있어 다른 하천들에 비해 저장수혈의 축조가 매우 활발하였으며 한성백제 최대의 물류중심지로 기능하던 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단면 플라스크형 저장수혈은 당시 백제사회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백제의 사회상을 잘 대변해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저장수혈을 통해 한성백제 사회의 변화상과 당시 물류체계의 일면을 파악할 수 있었다.

      • 2~3세기 마한과 진변한의 철제무기 교류와 그 배경

        이용범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2~3세기 마한과 진변한의 교류에 관한 연구는 1991년 진천 송두리 유적의 발굴과 함께 많이 진행되었고, 2000년대 이후 중서부지역에서 진변한과 형태적으로 유사한 철제무기가 다량으로 출토되면서 무기를 통한 교류에 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다만, 대체로 특정유물과 지역을 선별하고 있으며, 당시 주요 교류품인 철제무기를 통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또한, 교류의 배경을 시대적 상황으로만 해석하고 있으며 교류의 주체인 마한과 진변한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3세기 두 집단 간의 주요 교류품인 철제무기의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그리고 교류의 배경에 있어서 주변사회의 관계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행위의 주체인 마한과 진변한의 관계도 중점적으로 파악해 봄으로써 두 집단 간의 철제무기 교류에 어떠한 직간접적인 배경이 작용하고 있는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먼저 양 지역에서 출토된 철제무기를 집성하여 속성분석을 실시하여 형식분류 및 변화과정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양 지역간 철제무기의 형식별 출현과 증가 등을 획기로 철제무기 교류의 시작(Ⅰ단계), 자체생산 및 무기 교류의 성행(Ⅱ단계), 철제무기 교류의 감소(Ⅲ단계)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그 속에서 몇 가지 특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한강하류의 경우 부여ㆍ고구려계 이주민을 통한 ⅢA식 철검과 같은 무기의 유입과 소수이기는 하지만 철촉의 경우 북한강 유역과 교류하면서 진변한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과도 다원적인 교류를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마한의 맹주국인 목지국의 위치로 비정되며, 중서부의 다른 지역으로 손쉽게 연결되는 곡교천유역에서 모든 형태의 철제무기가 분포하는 것으로 볼 때, 당시 마한과 진변한의 교류는 목지국(곡교천유역)이 중간링커가 되어 진변한(동남부지역)->목지국(곡교천유역)->마한 제집단(중서부 여러지역) 이라는 방식으로 교류가 진행되었다. 다만, 한강하류의 경우와 금강유역과 낙동강하류의 관계를 볼 때, 일부는 곡교천유역을 거치지 않고 다른 지역과 직접적으로 교류를 진행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2세기 후반부터 곡교천유역에서 슬래그와 봉상형 철정이 확인되고, 3세기 후반 한강하류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도 철정이 확인되어 2세기 후반을 시작으로 점차 철제무기의 자체생산을 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두 집단 간에 집중되는 철제무기의 기종별 형식의 차이가 있는데 특히 주요기종인 철모에서 두드러진다. 따라서 2세기 후반부터 완제품과 함께 자체생산품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 마한과 진변한의 철제무기 교류의 배경은 당시 환령지말과 대방군의 韓濊공격, 기리영 전투와 같은 사회적인 상황 속에서 군현과 인접한 마한은 자신들의 힘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군현 등 외부세계로 부터의 위협을 방어하기 위하여 철제무기의 대량 확보를 선택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군현의 지속적인 견제와 압박 속에서 2세기 후반부터 자체생산을 할 수 있음에도 필요한 수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 했다. 따라서 마한은 당시 풍부한 철광산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군현과의 거리가 멀어 안정적으로 철제무기의 생산이 가능했던 진변한으로 철제무기를 공급받았다. 그리고 이는 상하관계가 성립되어 있던 진변한에 압력을 행사하여 교류라는 명목하에 대량의 철제무기를 공급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간접적 배경인 요동치던 시대적 상황과 교류 주체 집단 간의 상하관계라는 직접적인 배경이 절묘하게 맞물리면서 2~3세기 마한과 진변한의 철제무기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이다. There were lots of excavations from the area of Jinchun Songduri ruin in 1991 that drew the researches from the 2nd century to 3rd century of the exchange between Mahan and Jinbyeonhan. After the noughties, from the Midwest states, there were many iron weapons were excaved, which also could make the researches going well. However, the researches were pointed on the specific relics and area which feel like not entirely satisfactory about the iron weapons, important for the exchange at that time. Also, the researches were only focused on the conditions of time of background of exchange, which means that there are no interpretations of circumstance inbetween the area of Mahan and Jinbyeonhan. Therefore, in this manuscript, it focused on the iron weapons, the importance of the two areas from the 2nd century to 3rd century. Also the research would show about the relations for other neighboring societies and the two communitie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y looking of exchanges the weapons. First, aggregated the iron weapons, excavated from two areas, and attributed analytically that could grasp the form classification and the process of change. Based on that result, it could make some distinctive deductions by 3 steps. The start of the exchange iron weapons (I step). The self-production and prevalence of the exchange iron weapons (II step). The dcrease of the exchange iron weapons (III step). In case of the Han river downstream, it could be checked that Mahan had been plural exchanges not only Jinbyeonhan but also other areas by seeing the influx iron swords like the type of IIIA, which was come through Buyeo and Goguryeo emigrant, and the iron arrowhead from the north Han river basin. Showing all the shapes of iron weapons in Asanman Region, Mahan’s main captial Mokjjiguk and could contact to other areas easily, it could be find our the sequences of exchanges between Mahan and Jinbyeonhan. Mokjjiguk(Asanman Region) was the role of main link of exchange system like Jinbyeonhan(South-East) -> Mokjjiguk(Asanman Region) -> small states for in Mahan(the Midwest). some of relics, the area of Geum river and Nakdong river, were exchanged directly by not through the area of Han river. Meanwhile, there were some slagged and stem formed of iron nail not only in Asanman Region, 2nd century, but also the other area in 3rd century exept the Han river downstream. Which means that there were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y by self-product later 2nd century. The area of Mahan and Jinbyeonhan showed some differences in the iron weapons, especially the iron helmet. So later 2nd century, there were probably complete producted and self-producted iron weapons. The reasons why Mahan and Jinbyeonhan exchanged many iron weapons were to enhance and defense their territories from the outside world such as counties and prefectures that motivated the Hanye(韓濊) attacks of Hwanryunjimal and Daifang Commandery, and the Kiriyoung combat. However, the time of later 2nd century, Mahan could not make iron weapons by themselves because of checking and pressuring from the counties and prefectures. That was why they supplied the weapons from Jinbyeonhan even they had lots of iron mines. Becau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Mahan pushed lots of pressures to Jinbyeonhan which caused not only having active exchanges but also getting so many iron weapons in the time of 2nd and 3rd century.

      • 原三國〜百濟 漢城期 中部地域 製鐵基地의 造成과 變化 過程

        정경화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원삼국∼백제 한성기 마한문화권의 중서부지역과 예계문화권의 중동부지역에서 확인된 제철로와 제철관련 유물의 분석을 통하여 제철로를 형식분류하고 시기별 변화상을 파악하였다. 나아가 중부지역에서 전개되었던 제철조업의 지역성과 시기별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원삼국∼백제 한성기 중부지역에서 조사된 제철로를 집성하고 공정에 따라 제련로·정련로·단야로로 구분하여 속성분석을 실시하였다. 제련로는 노 하부구조의 축조방식과 외경값에 따라 총 18가지 형식으로 분류된다. 정련로는 노의 평면과 단면형태, 단야로는 노 하부구조의 축조방식에 따라 각각 2가지 형식으로 분류된다. 그 다음 제철로와 공반하는 유구와 유물의 양상을 토대로 단계를 설정하여 제철로의 변화상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기원전 3세기∼기원후 2세기 전엽에 해당되는Ⅰ단계에는 별도의 제철로가 확인되지 않으며 단조기술을 기반으로 소형단조철기 제작이 주로 이루어진다. 기원후 2세기 중엽∼3세기 중엽에 해당되는 Ⅱ단계에는 2세기 전엽 진·변한 지역으로부터 유입된 제련기술을 토대로 경기남부 지역에 마한의 제철기지가 조성되며, 예계문화권인 북한강 유역과 임진강 유역에서는 단련단조와 성형단조 위주의 제철조업이 이루어진다. 기원후 3세기 후엽∼4세기 전엽에 해당되는 Ⅲ단계에는 미호천 유역에 마한 제철기지가 조성되어 신식 제련로와 정련로가 축조되는 등의 발전이 이루어진다. 예계문화권은 북한강 유역과 임진강 유역에서의 조업이 축소되는 대신 강원 영동지역 대규모 취락을 중심으로 정련과 단련단조 등의 제철조업이 전개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원후 4세기 중엽∼5세기 중엽에 해당되는 Ⅳ단계에는 미호천 유역에 조성되었던 마한 제철기지를 백제가 장악하고 남한강 유역의 충주지역에 제련을 전문으로 하는 새로운 제철기지가 조성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철소재 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제철조업의 거점 역할을 했던 제철기지는 진·변한으로부터 수용된 제철기술을 바탕으로 2세기 중엽부터 마한의 중심세력이었던 목지국에 의해 경기남부 지역에 조성된다. 이후 3세기 후엽 경기남부 지역에 대한 목지국의 통제력 약화로 제철기지는 미호천 유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마한 제철기지는 4세기 중엽부터 백제가 본격적으로 미호천 유역에 진출하면서 기존의 마한 제철기지를 장악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더불어 양질의 철산지와 백탄요가 다수 입지하고 있던 충주지역에 제련을 전문으로 하는 대규모 제철기지가 조성된다. 이러한 백제 제철기지의 조성 배경은 당시 고구려·백제·신라 모두에게 전략적으로 중요한 요충지이며 제철조업에 최적의 조건을 갖춘 충청 내륙지역의 지정학적 중요성에 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and classify iron production sites and the relevant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western-central region covering Mahan cultural area from proto three-kingdom period to Baekje Hansung phase and eastern-central region covering Yegae cultural area and identify how the transformation developed by period. Furthermore, the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period-based locality and characteristics of iron-making process itself which particularly developed in central region. To begin with, the study took a clsoe look at iron production sites excavated from the central region which used to be under proto three kingdom era and Baekje Hansung phase, collect iron production sites identified and classify them into smelting, refinement and smithery hearth sites by process to analyze the properties. Smelting sites are categorized into a total of 18 types depending on construction type of the bottom structure and exterior value. Refinement site is divided into 2 types depending on plane and cross-sectional type of the site, while smithery hearth is classified into 2 types depending on construction type of the bottom structure. After that, the study focused on defining stage based on archaeological clues and artifacts that came with the iron production sites in order to figure out transformational process of the iron production sites. As a result, Stage 1 which covers period spanning the 3rd century B.C. through early 2nd century A.D. finds separate iron production site absent and forge welding skill-based small-sized forge welding production practices prevailing. Stage 2 covering period spanning from 2nd century A.D. through mid 3rd century finds that Mahan iron production sites started to spring up in South Kyeonggi Province based on refinement skill obtained from Jin and Byeonhan region in early 2nd century, while iron production with focus on iron-tempered and molding forge welding prevailed in the region around Bukhan River and Limjin River which used to be Yegye cultural area. Stage 3 covering period spanning from late 3rd century to early 4th century finds that iron production sites developed along Miho River, leading to development of brand new smelting and refinement sites. Yegye cultural area saw iron production sites scaling back along the Bukhan River and Limjin River and instead iron production sites with focus on refinement and iron-tempering forge welding prevailing particularly around Youngdong region in Gangwon Province. Stage 4 covering period from 4th century A.D. to mid 5th century finds that Baekje dominated Mahan iron production hub built along Miho River with new iron production hub focusing on refinement being developed in Chungju along Namhan River. The iron production hub playing a pivotal role in delivering irons started to be developed by Mokjiguk, central power of Mahan, in South Gyeonggi Province from mid 2nd century based on iron production skill obtained from Jin and Byeonghan. In late 3rd century, such hub was shifted to areas around Maho River as Mokjiguk's power was weakened over South Gyeonggi Province. As Baekje's advance into Maho River areas picked up speed in mid 4th century, it was revealed that Baekje dominated the traditional Mahan iron production hub. In addition to this, large scale of iron production hub was developed in Chungju where good quality of irons and charcoals were deposited in large numbers. This is how Baekje iron production hub was developed as a strategically important place for all of three kingdoms, as a geographically important place in Chungcheong Province and as a place with optimal conditions for iron production.

      • 통일신라~조선시대 지진구의 변천과 지진의례 연구 : 건물지 지진의례를 중심으로

        오샛별 용인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地鎭具는 건물을 짓거나, 도로를 낼 때, 또는 농경지나 무덤 등을 만들 때 땅의 기운을 누르기 위해 묻는 의례용 유물이다. 이러한 지진구에 대하여 그동안 몇몇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대부분 특정지역이나 특정시기에 한정되었으며, 지진구로 사용된 유물의 변화양상이나 매납방법․내용물의 변화 등에 대한 단편적인 지진구 자료 그 자체에 대한 검토가 대부분이었다. 최근 건물지 발굴조사의 증가로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시기의 건축물과 관련된 고고학 자료가 축적됨에 따라 지진유구 및 지진구 자료도 증가하게 되었다. 이를 통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진구의 기종․매납위치 및 매납방법 등의 변화를 어느 정도 알 수 있게 되었으며, 거기에 반영된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건축과정에서 행해졌던 의례에 담긴 관념과 사상 등을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이 확보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지진구 매납의 본래 목적과 의미라 할 수 있는 의례적 관점에 주안을 두고, 여러 건축과정에서 이루어졌던 지진의례의 의미․내용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통일신라시대 이전의 건축․건물지와 관련된 지진구 자료를 검토하여 지진구 인식의 유래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진구는 농경생활의 시작으로 定住하게 된 신석기시대부터 주거지에서 나타난다. 신석기시대나 청동기시대에는 주로 기둥의 아래 부분에 토기 등을 놓았던 것이 확인된다. 주혈의 내부나 초석 아래에서 출토된 토기편 중에는 불에 그을르거나, 인위적으로 파손시킨 흔적이 있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예들은 시원적 형태의 지진유구․유물이라 할 수 있다. 삼국시대 이후가 되면 지신에 대한 관념이 한층 더 구체화되고 뚜렷해져 지진의례가 더욱 성행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고의 연구대상 시기인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건축과 관련된 지진구의 출토양상을 통하여 건축의례의 제유형과 그 변천과정에 대해서 파악하였다. 건축의례는 건축공정단계와 매납위치에 따라서 기초시설, 기단, 적심, 중정, 담장과 문지 등 5가지 유형으로 크게 분류하였다. 그리고 지진유구․유물에서 나타나는 지진의례의 특징들을 검토하고 문헌자료와의 대비를 통하여 단계별 지진구의 의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먼저 지진구의 매납 양상은 Ⅰ∼Ⅴ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지진유구의 존속 시기에 대한 편년결과와 비교하여 그 변화양상과 원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Ⅰ유형에서 Ⅲ유형으로 점차 전환되는 것은 건축기술의 발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Ⅳ유형은 일정한 시점에 새롭게 등장한 형식으로 당시에 유행하던 사상과 관념이 반영된 결과로 나타난 유형이라 할 수 있다. Ⅰ․Ⅱ․Ⅲ․Ⅳ유형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반면에, Ⅴ유형은 전 시기에 걸쳐서 나타나고 있다. 이 유형은 지진구가 건물의 내부와 외부가 분리되는 경계에 매납된 것으로 보아, 내부의 공간을 외부와 구분되는 신성하고 중요한 장소로 여긴 관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이른 시기부터 확인된다. 다음으로 지진유구 및 지진구에 나타나는 의례 흔적들을 분석․검토해 봄으로써, 의례의 절차나 내용․의미에 접근하였다. 지진구의 매납방법 중 특히 ‘十’자 형태로 배치․매납된 것은 음양오행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지진용기의 보호 덮개시설을 분석한 결과, 토기․도기․자기․기와 등 다양한 기종이 사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보호 덮개가 2점 이상으로 중층으로 덮인 경우에는 기와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와 함께 기와 1점이 덮개로 轉用되어 사용된 경우가 다수 확인되었다. 이를 보아 용기와 덮개 자체가 건물과 지붕을 형상화하였을 가능성이 타진되었다. 또한 지진구 중에는 구연부가 국부적으로 파손된 경우가 종종 있는데, 지진의례에 봉납된 내용물의 격납을 위한 것과 의례과정 중에 의도적으로 파손시킨 것 등의 2가지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진구의 내용물로는 황칠이나 천석․숯과 같이 건축의 部材로 사용되는 것이나, 수은․유리구슬․견과류 등과 같이 특별한 의미를 지닌 것이 매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내용물은 건물의 永安이나 건물에서 지내는 사람의 無事安寧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 논의된 결과를 『林園經濟志』, 『增補山林經濟』 등의 문헌에서 확인되는 건축관련 기록과 건축의례의 하나로써 행해졌던 지진의례의 절차와 비교하여 지진구에 담긴 의미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지진구는 땅의 기운을 누르는 의미로 지신에게 봉납된 것이며, 다른 의미로는 음양설의 관념이 반영되어 땅과 건물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매개체의 역할을 한 것으로 이해되었다. 건축을 하기 위해서는 땅을 파헤치고 지형을 변화시키는 것이 불가피한데, 지진구를 매납함으로써 음과 양이 조화가 이루어서 불균형을 상쇄되었으며 기의 흐름도 활달하게 되었다. 또한 문헌사료에서 나타나는 건축의례의 단계와 지진유구의 매납 양상을 비교한 결과, 건물지에서 행해진 지진의례는 매납된 위치에 따라 각기 의미와 목적이 달랐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지진유구의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are ceremonial artifacts that were buried to press the earth’s spirit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building a road, creating farmland, or a grave. There have been previous research on these utensils, however most were limited to certain areas or times, and carried out in fragmentary studies of variation of the contents or methods of burying. Recent increase in the excavations of construction sites have risen the amount of archeological specimens referring to various eras around the nation. In addition, more information on the ancestral rites’ spacial and instrumental could be achieved. Through this, one is able to acknowledge the change of burial sites or methods of the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over time. Also, by analyzing the reflected meanings, the fundamentals of studying the ideology and philosophy have been attained. This research will mainly focus on the primary purpose of the burial of utensils, and the meaning and contents considering various construction processes. First is the origin of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by examin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buildings and sites before the unified Silla period.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can be noticed from the New Stone Age when settlement and agrarian society began. In the New Stone Age or the Bronze Age, the utensils seem to be mainly buried under the pillar or the cornerstone, and these artificial evidence can be considered as the burial sites' relic. When it comes to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he god of the earth becomes more specific and strong so that the ancestral rites are more prevalent. Next, the ritual methods and its change of the ceremony for construction study was carried out by examining the buildings and related burial sites of the excavation post unified Silla period. Ceremony for construction can b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by process or burial location; basic facilities, the stylobate, jeoksim (rocks placed inside the dug holes for firming the ground), courtyard, and wall. Comparing the ritual site evidence with the categories above, the meanings of the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can be considered. Categorizing the burial aspects of the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from type I to type V, the research began with the comparison study on each burial site's change according to its chronology, and it seemed to show a correlation. The transition from type I to type III is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in construction techniques. Type IV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ideology or philosophy that was new or popular at that period of time. While types I, II, III, and IV have changed during time, type V is evident throughtout the whole time expansion. In this type, the buried utensils are located between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This can mean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pace was accepted as sacred and important from this point. Next, the study of the meanings and contents regarding the methods of the ceremony was carried out by reviewing the burial evidence appeared in the burial sites and utensils. One of the burial methods, the ‘十’shape burial can be understoo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Meanwhile, examining the various cover models of the utensils, one can see that the middle layer cover is usually of roof tile and that there are many samples of one roof tile being utilized as the cover. With the meaning of roof tile cover, the opinion of the possibility that the cover itself could have embodied the roof of a building was tapped. The reason for the many damaged burial sites can be understood in two ways; one is due to the containment of the votive offering and another is due to artificial damage. In the end,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been compared with the meaning and contents of the ceremony for construction and by this means, the methods and procedure for the ancestral rites sited in the documents such as Imwongyeongjej and Jeungbosallimgyeongje. Consequently, the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were offerings for the god of the earth in order to press the earth's spirit. Another interpretation could be about harmonizing the earth and the building through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Digging the earth and changing the geographical features are inevitable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So by burying the utensils for ancestral rites were believed to offset the imbalance and create harmony among the Yin and the Yang. Also, by reviewing previous work and the types of burials, the meanings and purposes of the rituals could have been differ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the ceremony was carried out. Therefore the various methods in carrying out the ceremony for construction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the burial types of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and the meanings can be comprehended as a result of the ideologies and philosophy reflected on the ceremonies; such as popular beliefs,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 高麗時代 墓域式墳墓의 性格과 位階 : 남한지역을 중심으로

        이원정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고려시대 묘역식분묘의 형태적 특징을 살피고 유물 편년을 통해 시기별·지역별 변화상을 파악하였다. 나아가 묘역식분묘 내의 상대적인 위계를 확인하고, 위계 차이가 발생하게 된 사회적 배경과 지역별 특징 등을 통해 고려시대 지방 지배계층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묘역식분묘는 묘역시설을 통해 묘역의 범위를 나타내는 분묘로, 묘역시설의 형태와 묘역의 규모에 따라 총 19개의 형식으로 분류된다. 각 형식은 출토유물의 시기와 해당 유적의 중심연대에 따라 총 3개의 단계로 구분되었다.1단계는 12세기 이전으로 개경 주변에 축조되던 묘역식분묘가 점차 경기 이남인 양광도 지역으로 전파되며, 소형의 묘역식분묘만이 확인된다. 2단계는 13세기∼14세기 중엽에 해당하며 본격적으로 남한지역 전반에 조성되기 시작하고, 새로이 중형의 묘역이 등장한다. 3단계는 14세기 후엽∼15세기 중엽인 여말선초기로, 가장 많은 묘역식분묘가 확인되며 대형의 묘역이 나타난다.다음으로 묘역식분묘의 위계를 알아보고자 먼저 왕릉과 일반묘와의 비교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묘역식분묘는 묘역시설의 형태 및 크기, 석재 등에서 왕릉과 차이점이 보이며, 피장자의 최하위 계층은 일반묘보다 조금 더 높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묘역식분묘 내 위계는 왕릉과 관인분묘에서 보이는 공통점을 기준으로 구분하였으며, 상대적으로 Ⅰd2·Ⅰe2·Ⅱb2식이 상위 형식으로, Ⅱb1·Ⅱc1·Ⅱd1식이 하위 형식으로 파악되었다.12세기 이후의 묘역식분묘 피장자는 공력을 투입할 수 있는 중류층 이상의 계층으로 파악되는데, 특히 상위 위계 분묘는 대체로 중앙 관인 출신으로 지방에 입향한 사족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상위 위계에서 보이는 형식의 다양성은 각 사족의 품계 및 해당 가문의 위계에 따른 차이로 해석된다. 또 지방의 향리들은 12세기부터 그 위상이 축소되는데, 이들은 관인분묘로부터 영향을 받아 하위 위계의 묘역식분묘를 조성하였을 가능성이 있다.한편 묘역식분묘는 역로, 조운로와 같은 교통망을 따라 주로 대읍 주변에 위치하는 특징을 보인다. 또 양광도 도서지역 유적들을 통해 조성집단에 따라 각 유적별 묘역식분묘의 형태가 달라졌던 것으로 파악된다.전라도와 경상도는 태조의 훈요 8조의 영향, 전라도 지역의 수탈, 경상도 지역 신흥사대부 성장 등으로 두 지역 간 묘역식분묘 조성 수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또 탐라는 원나라의 영향으로 육지보다 상위 형식이 조성되었으며, 교주도와 동계는 험한 지형 탓에 그 지역 향리층이 성장하기 어려워 묘역식분묘 역시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graveyard-typed tombs in the Goryeo Dynasty and identify their changes by period and region through the chronology of relics. In addition, it intended to find out the relative hierarchy in the graveyard-typed tombs and understand tendencies of the local ruling class in the Goryeo Dynasty via the social background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uch hierarchical distinctions. Graveyard-typed tombs refer to the tombs where the boundaries of a graveyard can be identified through its facilities and tombs may be classified into 19 types according to the type of facilities and the scale of a graveyard. Such types may be divided into 3 steps according to the period of the relics and the era of the remains. In the 1st step before the 12th century, graveyard-typed tombs which had been constructed around Gaegyeong gradually spread to Yanggwang-do, south of Gyeonggi, with small sized graveyard-typed tombs only. In the 2nd step, from the 13th to the middle of the 14th century, tombs began to be built throughout South Korea in earnest and medium sized graveyard-typed tombs appeared. In the 3rd step of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ranging from the late 14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the number of the graveyard-typed tombs recorded the highest and it is possible to see the large sized tombs. Next, comparison was conducted between royal and general tombs to investigate the hierarchy of the graveyard-typed tombs. As a result, graveyard-typed tombs differ from the royal tombs in terms of the type and size of the facilities and stone used. It is regarded that the buried in the lowest class were at a higher hierarchy that those in the general tombs. The hierarchies in the graveyard-typed tomb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similarities in the tombs for royals and officials. The type Ⅰd2·Ⅰe2·Ⅱb2 may be referred to as the higher and the type Ⅱb1·Ⅱc1·Ⅱd1 as the lower types. It is assumed that the buried of the graveyard-typed tombs after the 12th century were those of the upper middle class that could use the compulsory labor. In particular, tombs of the higher hierarchy are regarded to be the ones for the gentry(Sajok) who came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moved to certain region. Accordingly, formative diversity in the higher hierarchy can be interpreted to be resulted from differences in rank of the gentry and hierarchy of their families. Furthermore, the status of the local officials(Hyangri) began to be lowered after the 12th century and the graveyard-typed tombs for the lower hierarchy may be construct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tombs for the officials. On the other hand, graveyard-typed tombs tended to be located mainly at a big town along the traffic networks such as Yeok-ro and Joun-Ro. Besides, relics from the island areas of Yanggwang-do show that graveyard-typed tombs had the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construction groups. The study reveals that at Jeolla-Do and Gyeongsang-Do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he graveyard-typed tombs due to the influence of Eight Injunctions by Taejo, exploitation of Jeolla-Do and the growth of the emerging gentry at Gyeongsang-Do. Besides. at Tamla there were more higher types than in land under the influence of Yuan. At Gyoju-Do and Donggye, it is not possible to see the graveyard-typed tombs since rough terrains prevented local officials from growing 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