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휴대용 기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변형과 지적재산권침해 : 특허권과 저작권을 중심으로

        최진수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사용자인터페이스는 디지털기기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은 자명한 일이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역할은 사용자가 고도화되고 있는 디지털화 된 휴대용기기들을 좀더 효율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하게끔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라 함은, 일반 사용자들이 컴퓨터 시스템 또는 프로그램에서 데이터 입력이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 혹은 기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는 고도화된 기술과 다양한 컨텐츠가 복합화된 고도화된 디지털기기를 좀 더 쉽게 운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라 정의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변형 및 배포에 대해 아직까지 자세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며,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형과 침해, 보호범위 등에 대하여 논하였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당연히 적법하게 보호받아야 되는 지적재산권이며, 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기술적인 부분과 컨텐츠적인 부분으로 나누어 논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술적 사상을 발명으로 보고 이를 특허법에 요건으로 제시하는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사상의 창작으로 볼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법에 의해 보호 받을 수 있다. 결국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술적 사상으로서 특허권을 인정한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변형을 가할 시 그 물리적 명령체계의 기술을 변형할 경우, 당초 제품의 특허권의 소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특허권자의 특허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전적으로 특허의 대상이 되기는 힘들기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술적인 사상을 제외한 이미지, 사운드, 폰트 그리고 프로그램 코드 즉, 컨텐츠 부분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다. 이러한 컨텐츠의 경우 저작권을 통해 침해범위와 보호를 논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형 시 사용된 이미지가 저작권자 자신이 스스로 사용할 경우와 저작권자의 동의를 얻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형 시 사용하여 2차적 저작물을 만들어 냈을 경우 위법이 되지는 않지만,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무단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형에 사용하여 2차적 형태인 변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미지를 만들었을 경우 이것은 침해가 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형 시 음원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형에 사용할 경우 자신이 정당한 권리로 구입하여 자신 스스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형에 사용하였을 경우 이것은 침해가 되지 않지만, 불법으로 유통된 음원을 자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형에 사용하였을 경우 이것 또한 침해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형에 있어 폰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형에 사용할 경우 저작권이 있는 폰트를 다른 편집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또 다른 2차적 저작물에 이미지화 하였을 경우 이것은 폰트에 대한 저작권의 효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는 현행법상 침해로 볼 수 없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로그램코드에 의해 타이핑시 폰트가 원하는 데로 생성되는 경우 이것은 침해가 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로그램코드를 변형하였을 경우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오픈소스일 경우 이것은 공개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일정하게 판매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로그램코드를 변형하여 전송 배포하였을 경우 침해가 된다.

      • 특허권 공동침해에 관한 연구

        김선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Recently due to development of computer and IT technology, it has been made possible for a patent of invention to be worked not just by a single person but by several people jointly. The number of invention which is composed of multiple elements using server and terminal is increasing in the area of invention base on network. Also in case of process patent, especially Business Model patent, the claim itself is often based on the premise that it is worked by several people. When a patent of invention has multiple elements and several people jointly work it, no single person may be considered to work all the element of the patent. In that case liability for infringement of patent can be avoided easily by the conventional patent infringement theory which considers such infringement is constituted, not like tort, only when a single person work the whole elements of patent. The judgement of patent infringement is decided by the various rules, for example, direct infringement, indirect infringement, or incomplete infringement, on the ground of All Element Rule. By contrast, where the patented invention is “performed” by multiple entities, there is a lack of statutory basis allowing for finding a joint infringement, and under the well-established doctrine requiring performance of all steps of a method patent to be attributable to a single party, the patent invention is deemed as not exploited by anyone. As such, when a process or method invention is exploited by multiple entities, it should be deemed that a joint, direct infringement cannot be found to be attributable to those multiple entities. As to an indirect infringement attributable to multiple entities, it would be difficult to fulfill the so called “only-” and “use-” conditions as required under the Korean Patent Act to find an indirect infringement. As such, it is not possible to find an indirect infringement attributable to each individual entities. Alternatively, tort liability under the Civil Act leaves room for finding a joint tort liability against multiple entities under the Civil Act in certain cases. Under the Civil Act, even when a specific right is not considered to have been infringed upon, tort liability may be found so long as there is an infringement upon an interest deserving of legal protection. As the Korean precedent does not require subjective common intent for joint tort liability, the joint performance of a patented invention by itself may lead to finding an objective common intent. Still, each of the entities’ actions would have to constitute a tort. Depending on the precedential attitude, if each of the entities’ actions are strictly required to constitute a tort, then it would be difficult to view each entity’s action by itself as a tort when patented invention is performed by multiple entities. Thus, it is anticipated that recognizing joint tort liability against multiple entities would not be easy. One way to find illegality of the overall performance of a patented invention by multiple entities would be to consider that the performance of a patent by multiple entities would eventually lead to the exploitation of a patent that could have been an exclusive right of the patentee. Namely, the exploitation would inevitably lead to an infringement upon an interest to which the patentee is entitled. If the standard of joint tort liability is the unity of imputability, it would be easier to find liability when there is subjective common intent among multiple entities, and hence, lead to the finding of a joint tort liability against multiple entities. Further, one entity among multiple entities which exploits only non essential elements would not be patent infringer, but the other entity which exploits essential elements could be incomplete infringer. In the case that one entity induces the other entity (contractor) to exploit one or some elements of patent claim, it is desirable that just one entity one or some elements or patent claim, it is desirable that just one entity will be liable for patent infringement in view of the exploitation of one entity as an inducer or supervisor.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judgement of patent infringement is preferentially decided by the prior rule as much as possible, with exceptional cases that superior one entity inducing the other entity to exploit some or all elements of patent claim would be liable for patent infringe or joint tort. Key words : All Element Rule, Indirect Infringement, multiple entities, joint direct infringement, joint tort liability, claim

      • 퍼블리시티권의 법리와 입법방안에 관한 연구

        김성환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599

        Reflections on the Publicity Right ; Its Legal Ground and Enactment. The right of publicity was first known to the Korean legal society in 1995 when damages were sought with a totally new cause of action in the name of ‘an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publicity’ by the descendants of a late Korean-American atomic physicist whose name and portraits were alleged to have been appropriated in two novels published in Korea without plaintiff’s prior consent. Though the plaintiff lost the case for failing to satisfy the requirements for damages, the court made a memorable holding in which the concept of the publicity right was first recognized in Korea’s legal history. From this case on, an increasing number of famous entertainers have begun to exploit the publicity right to gain economic profit from their persona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entertainment and professional sports business in Korea, the image of a famous person has acquired an ever growing potential for significant economic value. Historically, the concept of the right of publicity was conceived in the 1950’s in the common law of America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legal protection to the natural persons, whether famous or not, who have commercial value in their personae. The publicity right has its root in the privacy right. Yet, it has been moving forward constantly in the direction of getting recognition as a kind of property right having the nature of intellectual property. However, publicity right has been under unstable recognition in United States common law, mainly because of the lack of uniformity in its application. For this reason, some 19 U.S. states have incorporated the right of publicity in their codes, and U.S. legal society are making efforts for a uniform code of publicity right to preempt various state laws. Under this historical background, Korea is advised to take the following discussions in its approach to the right of publicity for its incorporation into her laws. (1) Publicity right has its root in the right of privacy. Yet it is not the right direction to apply the privacy doctrines to the publicity right cases, because privacy rules are negative to the property nature of the rights arising from human personality, one of which is the right of publicity. (2) Publicity right should provide protection to the persona of natural persons, not to that of things or animals, because the right is based on the personality of natural persons. Protection should be extended to ‘all persons’, not only to the famous ones. For publicity right purpose, it would be fair to treat all persons equally but in proportion to the commercial value carried in his persona. (3) Since publicity right is a private property owned by a person, it may well be subject to the legitimate public interest including the freedom of press. America is a good example where various tests were used in case laws for harmonizing the private interest of publicity right and the public interest of the society. Out of these tests applied in America, the ‘transformativeness test’ and the ‘doctrine of fair use’ could be the two most appropriate tests applicable in Korea. (4) The right of publicity should be allowed to be transferred or decscended. Otherwise, it would be meaningless to take the right as a ‘property right’. However, the right is transferable or descendible with the restraint in its exercise arising from its nature as a personal right. For, example, a law could regulate the publicity right to last only for limited period after death of the right holder, so that the right would come to an end with the gradual diminution of the value of the right. Since publicity right is a sort of property right, all remedies in civil actions should be recognized, including damages, unfair profit, or injunctive relief. (5) Publicity right is a kind of property right having the nature of intellectual rights. Hence, publicity right could be enacted in the civil laws or intellectual property laws like copyright law. A record is confirmed that Korean parliament has proposed in 2005 an amendment to the Copyrighr Law for the purpose of incorporating the publicity right in its ambit, but failed in its enactment. However, it is not the right idea to resort to the copyright law for providing legal ground to the publicity right, because copyright differs from the publicity right in that copyright protects the creation from human efforts (e.g., the book, the artistic performance), while publicity right protects the by-product from the human efforts (e.g., the image of a famous baseball player). America is a significant example in that most states have enacted the publicity right law in the civil code, not in the copyright code. Up to now, not a single publicity right case was tried in Korea’s Supreme Court. Korean courts in general seem to be neutral for any concrete step either in the positive or negative direction regarding the right of publicity. Courts just watch the Parliament exerting to enact a law of publicity right. There seems to be some negative stances in the law schools against the hasty enactment of the right of publicity, and there also seems to be wary voices over the inconsistent holdings and decisions from the courts over many legal issues of the right of publicity including its descendibility and period of its existence after death of the right holder. From the past experiences in both the United States and Korea, publicity right will get growing importance as a legal tool to gain commercial profit for the persons having commercially valuable fame. Publicity right is sure to take its place somewhere in the legal system in the near future. Intellectual property laws including copyright law is not a plausible alternative. The answer should be the sphere of civil laws under which publicity right would have its home either in the code or in the common law.

      • 특허권의 효력과 국제적 보호에 관한 연구 : 특허법조약(PLT)과 국내도입을 중심으로

        강철수 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특허권의 효력과 국제적 보호와 관련하여 특허권의 개요를 살펴보고 특허권의 효력과 특허법조약(PLT)의 주요내용에 대해 검토하였고 특허법조약의 체결이 우리나라의 특허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특허법조약(PLT)은 기본적으로 출원인 또는 발명자의 편의를 최대한 배려하고자 하는 취지를 기조로 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절차적인 요건을 최대한 완화함으로써 실체적인 특허성의 흠결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종래 출원인 또는 발명자가 감내해야 했던 불이익을 구제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허법조약의 체결로 인하여 출원인 또는 발명자는 특허제도의 활용에 있어서 시간적 및 경제적인 이득을 과거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향유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특허권의 효력과 국제적 보호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특허권의 효력범위 즉, 특허권의 보호범위를 판단함에 있어서 본 논문에서는 특허청구범위를 중심으로 하여 특허권의 효력범위를 정하는 기준과 특허권 보호범위의 해석원리와 그 판단기준에 관하여 살펴보고 국내외 특허실무와 특허소송관련 판례 그리고 제반학설이 상당부분 이미 확립된 상태이므로 새로운 시각에서의 접근보다는 기존의 학설과 판례에 근거하여 이를 재정리 하여 살펴보았다. 특허권의 국제적 보호에 관해서는 우리나라는 2000. 6월 특허법조약의 체결에 따라 국내 특허법의 개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허법조약의 제반 규정에 대해 면밀한 검토와 연구를 통해 향후 국내준비절차 및 법 개정에 관한 효율적인 대응을 통해 특허제도의 전반에 걸쳐 유·무형적 낭비요소를 근절함으로써 발명자의 권익보호 및 국가산업발전에 효율적으로 기여 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특허침해소송에 있어서 발명의 범위확정과 진보성판단사례 연구

        정흥영 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특허법은 발명을 보호·장려하고 그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규정되어 있어 발명자뿐만 아니라 그 이용자의 이익도 보호하여 산업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허권의 효력으로는 특허권자가 업으로서 그 특허발명을 실시할 권리를 독점하는 것이고, 특허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고 특허법에 규정되어 있어서, 특허법 규정으로는 특허요건을 기준으로 한 발명의 범위 확정이나 특허소송에서 침해 판단시 발명의 범위확정 모두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으로 판단해야 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특허권 침해소송에서 법원판례는 그 특허출원 전 공지된 발명에 대하여는 그 특허가 무효화되기 이전이라도 특허침해를 부정하고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상세한 설명으로 뒷받침되지 아니하여 그 실시가 불가능한 부분은 무효사유에 해당되는 것이고, 그 무효사유가 포함된 특허발명의 보호범위는 제3자에게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침해소송시의 발명의 보호범위 확정은 무효사유를 가지는 부분을 제외하고 확정하게 된다. 한편, 대법원에서는 한동안 진보성이 없는 경우까지 법원이 판단할 수 없다는 취지로 판시하였으나, 2012. 1. 19. 이를 변경하였는데, 대법원은 “특허발명에 대한 무효심결이 확정되기 전이라고 하더라도, 특허발명의 진보성이 부정되어 그 특허가 특허무효심판에 의하여 무효로 될 것임이 명백한 경우에는 그 특허권에 기초한 침해금지 또는 손해배상 등의 청구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권리남용에 해당하여 허용되지 아니한다고 보아야 하고, 특허권침해소송을 담당하는 법원으로서도 특허권자의 그러한 청구가 권리남용에 해당한다는 항변이 있는 경우, 그 당부를 살피기 위한 전제로서 특허발명의 진보성 여부에 대하여 심리·판단할 수 있다.”라고 판시하여 특허침해소송에서 일반법원의 특허에 대한 진보성 판단을 허용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서 ‘권리남용이론’을 채택하였다. 이와 같이 특허침해소송에서 일반법원의 특허권에 대한 진보성 판단이 허용됨에 따라, 진보성 부정으로 무효심판에 의해 무효가 될 것이 명백함을 주장하면서 권리남용이론을 주장하는 항변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특허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특허심판원의 무효심판 및 특허법원의 진보성 판단결과와 일반법원의 특허침해소송에서 진보성 부정에 의한 민법상의 권리남용금지를 적용하여 침해를 부정하는 판결결과가 동일사건임에도 상당부분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고 이는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우리나라의 사례는 일본 대법원의 킬비판결(2000년)에서 나타난 진보성 부정에 의한 권리남용이론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생각되어 일본이 위 킬비판결 이후에 특허소송제도에서 개선한 사항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일본에서는 킬비판결 이후 특허권 침해에 관한 소송에서 당해 특허가 특허무효심판에 의하여 무효로 되어야 할 것이라고 인정되는 때에는 특허권자는 상대방에 대하여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없다는 규정을 신설하였고, 동경고등재판소 내에 특별지부의 형태로 지적재산고등재판소를 설치하여 심결취소소송과 특허침해소송의 항소심을 일원화하고, 특허침해소송에서 변리사의 공동소송대리 제도를 도입(변리사법 개정 후 2003년 시행)하는 등 특허침해소송에서의 전문성 및 일원화를 강화하는 제도를 채택하여 시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도 특허침해소송에서 일반법원이 진보성 여부를 다룰 수 있도록 대법원판결로 허용하였는 바, 비록 진보성 여부의 판단을 진보성이 없음이 명백한 경우로 한정하였다고 하더라도 “명백한 경우”의 해석에 대하여 여전히 논란이 존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침해소송에서의 판단과 특허심판원 및 특허법원에서의 판단이 상호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은 여전히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신규성이 상실되는 정도에 한하여 진보성이 없음이 명백한 경우로 한정하여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특허침해소송과 특허무효소송의 항소심을 특허법원으로 일원화시키는 것과 더불어, 특허기술분야 전문가인 변리사가 변호사와 공동으로 특허침해소송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공동소송대리 제도를 도입하여 특허침해소송에서의 전문성이 뒷받침되도록 특허소송 제도를 개선하는 것이 궁극적인 해결책이 될 것이다.

      • 인터넷 도메인이름과 상표와의 분쟁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 부정경쟁방지법과 인터넷주소법 해결을 중심으로

        조준형 한남대학교 행정정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터넷은 미국 국방성이 1969년 알파넷(ARPAnet)을 국사목적으로 개발하여 1992년에 인터넷서비스인 WWW(World Wide Web)이 시작되었으며, 수요의 급증으로 NSFnet 기간망이 사라지고 상용기간망이 등장하면서 1995년에는 상업화의 원년이 되었다. 우리나라는 1982년 서울대와 KEIT 사이에 최초의 인터넷 SDN을 구축하였고, 1994년 한국통신에서 상용서비스가 가능한 KORnet을 구축하여 상용망 서비스가 시작되었는데, 십여 년의 짧은 인터넷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인터넷 이용자는 2006년 6월 기준 3,358만 명으로 73.5%로 세계 5위의 이용률을 자랑하며, 제반기술 또한 정보통신 강국으로서의 선도적 우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렇듯 이용자의 기하급수적인 증가와 전자상거래의 활성화 등으로 도메인이름(Domain Name)의 중요성은 개인 및 기업 등을 막론하고 그 이용 및 활용가치적 필요성이 널리 인식되면서, 도메인이름이 더 이상 IP주소의 단순·편리성을 위한 주소적 기능이 아닌 상표처럼 온라인상에서 홈페이지나 사이트를 통해 관련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표시를 하는 상업적·경제적 가치로서 역할이 증대되었다. 원래 도메인이름은 연결된 네트워크의 식별자(identifier)인 숫자로 된 IP주소를 인터넷 이용자들이 알기 쉽고 기억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문자, 숫자, 일부 기호로 구성된 것인데, 이러한 도메인이름은 세계적으로 오직 하나의 도메인이름만 등록할 수 있다는 唯一性(unique), 상표와 동일·유사한 명칭을 도메인이름으로 등록·사용할 수 있다는 점, 도메인이름 등록기관이 “先申請主義(first come, first served basis)”에 따라 기존의 상표권과의 저촉 여부를 심사하지 않고 등록하여 주는 점 등이 결합되어 상표권자와 도메인이름등록자 간에 많은 분쟁이 야기하게 되었다. 특히 사이버스쿼팅행위와 같이 타인의 상표나 상호를 부정한 목적으로 도메인이름으로 등록, 사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그에 따른 분쟁도 증가함에 따라 도메인이름을 국제적으로 주관하고 있는 국제인터넷주소자원관리기구(ICANN :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는 제1차 WIPO보고서를 기초로 신속하고 저렴한 분쟁해결을 위해 “도메인이름을 부정한 목적으로 등록·사용하는 경우” 그 도메인이름을 정당한 권리자에게 등록 이전, 말소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통일도메인이름분쟁해결정책(UDRP : Uniform Domain Name Dispute Resolution Policy) 및 동 규칙(Rules for UDRP)을 제정(1999.12)하게 되었다. 이러한 UDRP체제는 일반도메인뿐만 아니라, 국가도메인에도 반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쟁은 국내적으로도 적용의 한계와 상업적 문제로 인해 국내법 보완의 필요성이 요구됨에 따라 관련법령의 제·개정의 연구와 제안이 활발해지게 되었고, 아울러 국내에서는 2004. 1. 28. 인터넷주소자원에 관한 법률(이하 ‘인터넷주소법’이라 한다.)을 제정하여 “부정한 목적의 도메인이름 등의 등록을 금지”하고 있으며, 2004. 1. 20.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부정경쟁방지법’이라 한다.)을 개정하여 제2조 제1호에 ‘아’목을 신설하여 “부정한 목적으로 국내에 널리 인식된 타인의 상표 등과 동일·유사한 도메인이름을 등록·보유·이전·사용하는 행위”를 규정함으로써 부정한 목적의 도메인이름등록에 대하여 법적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는 국·내외적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 논문은 상표와 도메인이름을 둘러싼 법적 문제와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에 의한 부정한 목적의 도메인이름의 분쟁 및 규율 상태를 재점검하여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의 미비점 또는 한계점을 찾아봄으로써 그 보완책을 제안코자 하였으며, 또한 UDRP에 의한 도메인이름 간의 분쟁조정 미비점과 인터넷주소법에 의한 분쟁조정위원회의 이용과 활용, 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에 대한 수용과 불수용 등의 현황을 검토하여 분쟁조정위원회의 역할에 대한 정립을 위한 방안을 연구함으로써 상표와 도메인이름 사이에 법적 보호의 균형과 조화를 도모하고, 분쟁의 예방과 발생시의 적정한 해결방안을 모색할 목적으로 위와 같은 검토 및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개선 제안을 피력하였다. 첫째로 인터넷상에서의 도메인이름은 출처표시적 및 품질보증적 상표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바, 최근 기업과 기술의 산업라이프사이클이 빨라지고 있으므로, 도메인이름과 관련한 분쟁은 시장에의 초기진입 기업들에게 시간적·비용적 부담과 사용저지 및 방해 등의 진입장벽들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UDRP에 불복절차 및 사법권적 결정력을 가지게 하여야 하거나 지식재산권을 총괄하는 국제적 사법기관의 신설이 필요하다고 보며, 둘째로 도메인이름의 등록·관리를 위한 근거인 ‘도메인이름등록약관’을 ‘도메인이름에 관한 법령(가칭)’을 입법화하여 분쟁의 효율적 조정이 필요하다고 보며, 또한 현재의 임의적 조정제도와 약관에 의한 조정제도를 통합하여 ‘도메인이름에 관한 법령(가칭)’에 의한 기구로 두어, 강제성(1심적 기능)과 위원회의 전문성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며, 이에 대한 상급심은 특허법원의 관할로 하는 Internet began with WWW (World Wide Web) in 1992 which the Ministry of the U.S. National Defense developed ARPAnet in 1969 for the purpose of national affairs. With the increase of its demand, the period net of NSFnet disappear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daily use period net, the year of 1995 became the first year of its commercialization. Korea established the primary internet SDN between Seoul National Univ. and KEIT in 1982. In 1994, Korean Telecommunication started daily use net service by establishing KORnet available for commercial business service. In spite of a short internet history over ten years,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estimates 3,3580000 people by 73.5%. The ratio of internet use in Korea ranked the 5th in the world in June, 2006, which means Korea is the leading country in IT fields. As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has increased amazingly above and E-Commerce has been activated, the importance of Domain Name and the necessity of its use & utilization are widely recognized by individuals and enterprises. Now, the Domain Name has emerged as the marks of the related product source and service through a homepage or a site as well as the convenience and simplicity of IP addresses. Originally, Domain Name is composed of characters, numbers, and signs so that internet users may easily understand and remember IP addresses consisting of identifier numbers of the connected network. This Domain Name has brought about many disputes between the trademark holder and the Domain Name registrant for the following reasons: the uniqueness that internationally only one Domain Name can be registered; the same or similar name as the trademark can be registered and used as a Domain Name; the Domain Name Registration Organization permits registration without examining the legality of the existing trademark right according to "first come, first served basis" Especially, as cyber-squatting that uses other's trademark, trade name by illegally registering them as Domain Names has increased, related disputes have risen up. As a result, ICANN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established UDRP (Uniform Domain Name Dispute Resolution Policy) and Rules for UDRP in Dec. 1999 for the purpose of swift and cheaper resolution of the disputes based on the first WIPO report in which if a Domain Name is illegally registered and used, said Domain Name can be registration-transferred, cancelled or changed for the legal righter. This UDRP system is reflected on the national Domain as well as general Domains. But these disputes need supplementation of National Laws because of the application limits and commercial problems domestically. So, study and suggestion of making and amending the related laws has became activated. In addition, illegal registration and illegal use of Domain Name are legally prohibited by making Internet Address Laws in Jan. 28, 2004 and Korea also regulated "Illegal Competition Prevention Laws" in Jan. 20, 2004. As a result, Korea has prepared legal foundation capable of taking a legal confrontation measure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against illegal Domain Name registration by establishing item '아 Article 2 No. 1 and restricting the registration, possession, transfer, and use of the same or similar Domain Name as illegally recognized other's trademark. This thesis aims to provide supplementary policies of Amendment Illegal Competition Prevention Laws by rechecking illegal problems of trademarks and Domain Names and disputes & rule states of illegal Domain Names caused by Amendment Illegal Competition Prevention Laws. Besides, to achieve balance and harmony of legal protection between trademarks and Domain Names and to find out proper solutions and to prevent disputes, this thesis suggests policies for establishing Dispute Arbitration Committee Roles by using 'Dispute Arbitration Committee'. Firstly, since the Domain Name on the internet functions as a product mark and a quality guaranteeing trademark, the industrial life-cycle of an enterprise and a technology goes fast. Therefore, to minimize the entry barriers such as time cost loads, use refusal or disturbance of beginning enterprises, disputes related to Domain Names need to have a decision making right of UDRP Disobedience procedure or a judicial power.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 Judicial Organization managing overall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econdly, it is required to efficiently arbitrate the disputes by legalize 'Domain Name Registration Agreement' for registration and management of Domain Name and 'Domain Name related Law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ortify the compulsory force and specialty of the committee by establishing 'Domain Name related Laws'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present optional arbitration system and the agreement based arbitration system. And it is desirable that the senior trial of this takes charge of 'Patent Court'. And third, the current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inclu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demark and Domain Name, Geographical Mark and Trademark, Trademark and Copyright is not practical and efficient and can cause conflicts between the organizations or national losses caused by the positional or directional differences from the decentralization of the related organizations. So, this thesis suggests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organizations to protect IPRs and achieve industrial development.

      • 특허침해 판단에 있어서 균등론의 적용에 관한 연구

        신현일 한남대학교 행정정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83

        특허제도란 신규한 발명의 공개대가로 특허권이라는 독점적이고 절대적인 권리를 부여하여 발명을 장려, 보호, 육성함으로써 기술의 진보발전을 도모하고 국가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는 제도로서, 항상 특허권을 둘러싸고 특허권자와 일반 제3자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할 위험이 상존해 있다. 그러므로 특허권자의 보호와 일반 제3자의 법적 안정성의 보호와의 적절한 조화를 이루기 위해 특허권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를 명확하게 설정할 필요성이 생기는 바,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발생한 제도가 특허청구범위제도이다. 특허법에서는 특허청구범위에 대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뒷받침될 것, 발명이 명확하고 간결하게 기재될 것, 발명의 구성에 없어서는 아니 되는 사항만으로 기재할 것 등 그 효력이 미치는 범위를 명확히 설정하도록 하고 있으나, 특허권은 발명이라는 무형의 기술사상의 창작에 대해서 법으로 보호되는 독점배타적인 무체재산권으로서 그 경계를 명확하게 구별하기가 쉽지 않으며, 기술발전은 연속적인 것이기 때문에 공지된 종래기술과 새로운 발명으로서의 기술을 명확히 구별하는 일도 쉽지 않다. 이와 같은 이유로 특허청구범위를 정확히 그리고 일관되게 해석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준이나 방법론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 중 해석의 일반원칙으로는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에 있어 가장 중심이 되는 원칙인 특허청구범위 기준의 원칙과 이를 보충 또는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참작의 원칙, 구성요소 완비의 원칙, 출원경과 금반언의 원칙, 공지기술 참작 및 제외의 원칙 등이 있으며, 해석의 방법론에는 크게 대륙법계의 중심한정주의적 사고방식과 영미법계의 주변한정주의적 사고방식이 존재하는데, 신규성이나 특허의 문언적 침해의 판단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3자가 보호범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세계 각국의 실무경향은 점차 주변한정주의적 해석방법을 취하고 있다. 특허침해소송과 관련한 판례를 통해 그 이론이 정립된 균등론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구성요소 일부를 다른 요소로 치환하여도 그 목적, 효과 등에 있어서 동일하고, 그 치환은 단순한 재료의 변화, 관용수단의 전환, 부가 또는 삭제에 불과하여 특허권의 침해가 발생한 시점에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을 정도인 경우에는 특허발명과 균등하므로 그 보호범위에 속한다는 이론으로서, 그 발전에는 판례법의 역할이 중요할 것이며, 종래 이론이나 인접이론 등에 대한 학설적 재검토와 함께 풍부한 판례의 집적을 통해 그 적용요건의 정립을 기대해 보았다. 특허청구범위 해석에 대한 여러 가지 이론과 학설, 판례 등을 종합해 볼 때, ‘특허권자의 권리보호’라는 측면과 ‘제3자의 법적안정성’이라는 상호대립관계에 있는 양 측면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이라는 문제와, 발명의 권리화단계와 특허권의 보호단계에서 각각 다른 視覺이 필요하다는 점이 인식되었다. 끊임없는 연구개발 경쟁으로 인하여 지식재산권 분쟁은 점점 심화되어 가고 있고, 그 기술의 내용과 침해의 양태 또한 날로 복잡․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특허권자의 이익과 일반국민의 이익을 조화시켜, 특허침해사건의 바른 해결을 얻는 것은 중요한 과제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에 있어서 적용되는 여러 가지 일반원칙이나 방법론을 명료하고 일관되게 각각의 사안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나, 침해여부의 결정은 기술적인 판단이 고려되어야 하는 문제인 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보다 중요한 문제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할 때 현재 二元的으로 분리되어 있는 특허심판사건과 특허침해사건의 관할을 제2심단계에서 기술전문성을 확보하고 있는 특허법원으로 통일함으로써, 신속․정확한 권리구제는 물론, 특허사건에 대한 판례의 통일성을 확보하는 데에 기여하도록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키워드> 특허권, 특허청범위, 특허침해, 균등론

      • 글자체 및 화상디자인의 보호에 관한 법제연구

        고희승 한남대학교 행정정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83

        우리나라는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컴퓨터 기술과 통신·정보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급속히 IT화가 진행되었다. 정보사회로의 변화되는 환경에 맞추어 디자이너의 영역이 非物質的(unphysical)인 Cyber 세계상의 디자인 창작으로 바뀌고 있으며, 나아가 기존의 物質的(physical)인 제품디자인이 非物質的인 제품디자인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지식재산권, 특히 신기술의 첨단에서 선도적 역할을 했던 특허권이나 저작권, 디자인권, 상표권 등을 보호해 왔던 기존의 관련 법률에 새로운 입법수요를 제공하였다. 또한 정보화 사회에 맞는 거래질서와 발명자나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그리고 디스플레이 산업 등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의 기술력제고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마땅히 이들에 대한 새로운 보호법 체계가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산업환경변화와 입법수요로 디자인 분야에서는 글자체를 2004. 12. 31.자로 개정된 디자인보호법이 물품의 개념으로 포섭하여 보호하게 되었고 화상디자인은 디자인심사기준에 의하여 2003. 7. 1.부터 부분디자인으로 보호받고 있다. 최근의 화상디자인은 인터페이스의 기능에서 벗어나 그 자체가 컨텐츠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화상디자인은 컨텐츠의 우수성, 컨텐츠 활용의 편의성, 컨텐츠의 가치를 판단하는 척도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디지털산업의 핵심분야로 발전하고 있다. 화상디자인은 물론 글자체의 보호 문제도 다분히 디지털화와 관련이 있다. 디지털디자인이 디자인보호법의 보호대상으로 들어오면 실질심사를 통한 보호에는 한계가 있다. 정보사회로 깊숙이 들어가면 들어 갈수록 더욱 더 디자인보호법으로 보호되는 디지털디자인의 범위는 넓어질 것이다. 지금도 심사인력에 제한이 있어 폭증하는 디자인을 심사하는데 어려움이 있는데 보호대상이 확대되면 인적·물적 시설에 한계가 있는 현실에서 심사는 필연적으로 부실하게 될 수밖에 없다. 더욱 문제는 웹상에 게재되는 디지털 문서는 그 공지시점이 불분명하여 자료의 신빙성이나 객관성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자료를 기초로 성립한 디자인권에 遮斷效 있는 獨占權을 부여하는 것은 오히려 산업발전을 저해하는 것이다. 특히 가변적 환경의 화상디자인은 화면의 오버래핑이나 기타 구성요소와 같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경우를 모두 고려하여 심사해야 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또 화상디자인 참증자료의 과다로 심사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의 심사제도에서 무심사제도로 전환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제 디자인제도 전반에 대한 재검토를 할 시점에 와 있다. 보호의 대상, 심사의 여부, 권리의 효력 등등 모든 것이 재검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이 디지털시대의 도래에 따른 디자인의 적절한 보호를 위하여 글자체 및 화상디자인의 법적 보호방안과 타 지식재산권과의 통일된 법적 해석을 구하는데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 컴퓨터프로그램의 특허권적보호와 저작권적 보호에 관한 연구

        김재우 한남대학교 행정정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83

        21 century became informationized society with advance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Informationized society appeared and became the medium where the computer is important in us. The computer program became one of the main issues in intellectual property law area. The computer program is having the character of character and the copyright of invention. Some type of innovation such as computer program related technology can be protected either by patent law or by copyright law. This causes many legal issues concerning the legal relation between the patent right and the copyright of the technology. One example is the conflict of right. Current patent law and copyright law, however, have not addressed this issue so far. This paper addresses the legal issues concerning the dual protection of computer program by patent law and copyright law and suggests legal schemes to handle these problems. One of the scheme is to make it clear that a patent right can conflict with a copyright by adding corresponding provisions into the patent law and copyright law. The current scope of the materials that can be reviewed at the trials of the patent tribunal in order to confirm the scope of patent right and to grant a non-exclusive license, should be also modified to accommodate the conflict of the rights. From above, against the patent right protection and a copyright protection of computer program it tried to observe. It follows in the legal character and the place where it has the affirmative side and the negation side, the trade name which will reach also the feature which it complements is having. Consequently to a copyright and a patent right it conducts the method whose it is proper to conduct a duplex protection, and a duplex protection and it depends and with each other problem point it is appropriate and it means becomes the protection method appropriate to compl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