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군(軍) 문화콘텐츠 지원체계 구축방안

        김학선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군내 문화예술 활동들이 무형의 전투력을 향상시키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인식하면서 구성요소들을 도출 및 분석하여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인 문화콘텐츠 지원체계 구축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군 문화콘텐츠와 관련된 학위논문, 학술지, 연구서 등 문헌조사를 통하여 군 문화콘텐츠 관련 선행연구와 군 문화예술 정책 및 제도 관련 선행연구로 나누어 고찰하였으며 문화콘텐츠의 개념과 군 문화의 개념과 기능 및 구조, 군내 문화예술 활동의 필요성과 성격 및 동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정리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군 문화콘텐츠 관련 선행연구, 군 문화예술 정책 및 제도 관련 선행연구를 근거로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구성요소로 정책 및 제도는 국방부 정책,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부처 업무협약, 인프라는 군 교육기관, 동호회 및 동아리, 거버넌스는 메세나, 지자체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술적으로 큰 성장을 이룩하여 물리적인 전투력도 증강시키고 있을뿐만 아니라 무형의 전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보급하여 장병들 개개인의 안정되고 만족스러울 수 있는 병영생활을 향유함과 동시에 우리 군은 더욱 향상된 전투력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으며 이는 결국 우리 장병들의 여러 문화향유권도 보장할 수 있는 정책이 마련되어 각자 개인들의 정서적 함양 및 자기 계발의 토대를 마련하고 군의 사기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looked at ways to establish a more diverse and efficient cultural content support system by deriving and analyzing components while recognizing how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in the county affect improving intangible combat power. The research method was divided into prior studies on military cultural contents and prior studies on military culture policies and institution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military cultural content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concept, function, and structure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in the county were summarized. Components were derive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prior studies related to military cultural contents, and prior studies related to military culture and arts policies and institutions. As the derived components, policies and system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policy, business agreements with related ministries such as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infrastructure into military educational institutions, clubs and clubs, and governance into Messena and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the military will enjoy stable and satisfactory military life by distributing various cultural contents to enhance physical combat power through technological development, which will lay the foundation for individual soldiers' emotional development and self-development.

      • 콘텐츠산업분야 빅데이터 서비스플랫폼 구축모델

        김선영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주제는 콘텐츠산업분야 빅데이터의 공공재적 가치창출과 빅데이터 활용 촉진을 위해서 다룬 ‘빅데이터 상용서비스 플랫폼 구축모델’이다. 연구방법은 공공부문이 빅데이터와 콘텐츠산업의 접목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관한 접근방법론으로 복잡계이론(Complex Theory)의 행위자기반모형을 통해 최소행위단위와 양질전화의 집합적 단위의 관계를 살폈다. 즉, 행위자기반모형의 최소행위단위가 복잡계의 국지상호작용(Local Interactions)을 통해 집합체적인 성질이 일어남에 착안하여 논지를 전개하였다. 연구과정은 2010년부터 현재까지 빅데이터의 개념과 기능, 학술적 이론과 사회적 쟁점, 빅데이터 기술유형과 적용사례, 국내외 연구동향을 살펴보았고, 빅데이터 서비스 적용영역인 국내외를 망라하되, 공공부문에 집중하여 고찰하였다. 기존 빅데이터의 주요 개념과 속성은 거대한 크기, 다양한 형태, 빠른 생성·유통·이용 속도 등 3V(Volume, Variety, Velocity)이자, 데이터 처리의 복잡성(Complexity), 가치(Value), 정확성(Veracity)을 갖춘 3V1C 혹은 4V로 평가된다. 즉, 기존 빅데이터는 기술적, 가치론적으로 그 개념이 규정되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빅데이터가 경제적인 측면 뿐 아니라 정치·사회·문화 등 전방위적 인사이트(insight)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빅데이터를 현 사회발전단계의 표상(表象)이자 메타포(metaphor)로 인지하고 그 구축모델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부문 빅데이터 상용서비스 구축모델로서 콘텐츠빅데이터마트(Content Bigdata Mart, CBM)와 빅데이터웨어하우스(Content Big data Warehouse, CBW)를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콘텐츠빅데이터마트는 빅데이터의 수요공급시스템을 구축키 위한 하위 콘텐츠산업별 빅데이터 플랫폼이자 인프라이다. 이 플랫폼은 지역단위 공공부문이 영세 콘텐츠기업들에게 분석서비스 등 빅데이터의 인사이트를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함을 전제한다. 또한 콘텐츠빅데이터웨어하우스는 하위 콘텐츠산업간 빅데이터의 융합이 필요할 때 기능하는 매쉬업(mash-up) 시스템이다. 이는 지방정부가 운영하는 CBM과 달리 CBW는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것이 적절함을 전제한다. 구축모델의 실현방안으로 각 광역지자체는 콘텐츠 하위산업별 콘텐츠빅데이터마트를 각 지역에 구축하고, 중앙정부는 각 지역의 콘텐츠부문의 융합과 해외, 대기업, 국가 차원의 공공데이터를 공급하게 된다. 즉, 중앙과 지방의 역할정립을 통해 통합관리 플랫폼 기능을 담당해야 하는 모델이다. 콘텐츠빅데이터마트와 빅데이터웨어하우스는 클라우드 소싱을 통해 사회적 집단지성을 창출하는 빅데이터 플랫폼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 플랫폼은 콘텐츠산업의 새로운 지원체계 마련과 건전한 지식정보 생태계 구축을 위해 기여할 것이다. 현 단계에서는 빅데이터의 콘텐츠산업 적용모델 개발과 구축이 시급한 공공의 선결과제이다. 키워드: 빅데이터, 콘텐츠산업, 콘텐츠빅데이터마트, 빅데이터 플랫폼, 공공데이터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Applicable Big Data Platform Model for Content Industry’ for stimulating the use of Big Data and utilizing Big Data as a public property. Using the Agent-based model of the Complex theory as a methodology, the study intends to identify a relationship between Minimalistic Agent and Complex Agent in the field of Big Data. Perceiving Big Data as a symbol and metaphor of this juncture of social development, the study provides profound insights on Big Data and develops its configuration model. As a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Content Big Data Mart(CBM) and Content Big Data Warehouse(CBW) as the applicable Big Data platform model for the public sector of content industry. Big Data requires a platform that creates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the cloud sourcing. The applicable model is a Big Data platform and infrastructure for each sector of the content industry that leads to a Big Data demand-supply system developmen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decent knowledge information eco system in the Big Data era. Keywords : Big Data, Content Industry, Content Big Data Mart, Big Data Platform, Public Data

      • 애니메이션 <겨울왕국>(FROZEN, 2013)의 선택요인 IPA 분석

        김서렴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겨울왕국>이 OST ‘Let it go'의 인기와 더불어 애니메이션으로는 처음으로 국내 천만관객을 돌파하며 2014년 상반기를 달군 사회현상으로까지 확대되었다. 국내 첫 메가 히트 애니메이션으로써 매우 흥미 있는 연구대상이라 판단하였고, 특히 캐릭터와 OST라는 핵심 요소들이 대중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는 것을 보고 관객들이 이러한 영화의 주요 선택요인들에 대해 어떠한 반응을 보였는지 관객 유형별로 분석해보고 싶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겨울왕국>의 다섯 가지 선택요인을 선정하였고, 설문을 통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관람행동 유형과 주요 선택요인에 대한 인식을 도출해 IPA 격자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성별과 연령별 분석만 수행하였는데, 연구결과 제작사나 상영포맷같은 외적요인보다는 역시 영화의 뼈대를 구성하는 OST, 스토리, 캐릭터와 같은 내적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애니메이션 제작방향의 지표로서 의미를 보였다. 시간과 예산, 설문 대상의 다양성 부족 등 제약들로 인해 연구의 한계도 있었고, 흥미로운 결과에 대한 심층 분석의 필요성도 관찰되므로 조속한 시일 내 후속 연구로 이어지길 바란다. 연구를 통해 소비자들은 영화의 내적 요소들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과, 결국은 이러한 요소들을 충분히 자극할 수 있는 웰메이드 영화 한 편이 장르적 한계를 극복하고 나아가 전례 없는 흥행돌풍을 일으킬 수 있다는 기본적인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애니메이션 제작에 있어 주요 선택요인들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이다. In line with the phenomenal popularity of its OST, 'Let it go', Disney-Pixar's "Frozen" has become the first mega hit animated movie in the Korean movie history. Thus, obviously, the movie seemed a very attempting subject for analysis. Since the characters and OST of the movie has significantly drawn attention from the public, the author intended to focus especially on the five factors; OST, Screenplay, Characters, Movie Format, and Producing company for selecting the animated movie and tried to analyze audiences' reaction towards the factors. The five factors have been thoroughly selected based upon precedent studies, and survey conducted to collect demographics and to indexer the respondents behaviors. With these data, the study undertook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figure out propensity of each demographic factor towards the factors. Due to certain restrictions,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as conducted by gender and age only. The result shows that the 'inner factors' such as OST, Screenplay, and Characters were the core elements of this movie and implies that these inner factors should play role as an indicator for the animated movie production. The author insists to extend the study to another intensive research for those outstanding results that couldn't be analyzed within this study. In cognizance of the impact of the 'inner factors' of movie and the fact that an well-made movie takes no risk regardless of its genre, this study tried to suggest strategic approach to an animated movie production.

      • 문화예술기관의 기부논리와 기부모델 개발 연구

        권신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Encouraging and stimulating donation in the field of art and culture is directly related to its prosperity. Advancement in art and culture is predicated upon securing sufficient funds and social consensus on the value of art and culture. Therefore, as a foundation for boosting the art and culture, the object is to develop a logical ground for institutions to promote donation and to generate a donation model. Ruskin's Political economy of art in the late 19th century was referred as main stream study for the rationalization. Also, for the study of economics of culture, which inherits Ruskin's idea, Baumol and Bowen's early economics of culture theories, and Throsby, D., Ikegami Jun, Charles M. Gray, and James Heilbrun's recent theories were referred to justify the idea that government aid is the basic funding source for the art and culture development. The author reinterpreted this idea as a logic for suggesting the social support on the art and culture. Setting the rationalization of economics of culture as an axis, the author analyzed the U.S. donation cases and provided with a practical model for the logic of donation in the field of art and culture. The Beautiful Foundation and Gyeonggi Cultural Foundation's donation models were referred for the case study of art institution's donation model.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variables of logic, regime, and programs for fundraising.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suggested triangular figure with the three elements on each side as a tool for developing a fundraising model for art and culture institute. The triangle shows, First, the logic for the donation is distinguishably presented as essential value and practical value of art and culture. The essential value can be the nature of art and culture as a public property and its social value, while the practical value can be the external effect which is the impact of various art and culture, and the virtue of art institutions, mostly its non-profitability, as a core factor for the donation logic. Second, Art institution's fundraising regime is divid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regimes. The internal one is configured by creating and operating a fundraising unit pursuant to the leadership of the management, the role of a multiplier. The external one consists of committee; a group of the opinion leaders of the society, and supporters; the public. The key role for the committee and supporter group is to stimulate the public's interest or understanding on the value of art and culture or the institution, an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Third, art and culture program, which is fundamental and resource allocating program, is the core fundraising program of art institution. based upon this, various programs can be planned to acquisite resources. Namely, in order to boost the social value of art and culture, fundraising program provided by art institution and consensus and participation of the public and business sector completes the art institution's donation model. Consequently, the settlement of the donation model should be predicated on the boost of the art and culture in the society. Vitality in all process such as creation, supply, and enjoyment is the prerequisite for the sophistication of art and culture, and it can only be actualized with support and concern of the society. align with that, an economic structure for the participation and support on the art and culture is the very model of the donation in art and culture. 문화예술에 대한 기부문화 조성과 기부 활성화는 문화예술의 발전과 직결된 문제이다. 문화예술의 발전은 문화예술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공감과 안정적 재원의 확보 방안의 마련이 전제조건이다. 따라서 문화예술 발전의 기반으로서 문화예술기관의 기부금 조성활동에 나서는 논리적 근거와 기부 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고찰은 예술의 사회적 가치의 근거를 제시한 19세기 후반의 러스킨의 예술경제사상을 원류로서 고찰했다. 또한 러스킨을 사상적 원류로 계승하고 있는 문화경제학은 보몰(Baumol)과 보웬(Bowen)의 문화경제학의 성립기 이론과 최근의 트로스비(D. Throsby), 이케가미 준, 찰스 M. 그레이와 제임스 헤일브런 등의 이론을 중심으로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한 기본 재원을 정부 지원에서 찾는 이론을 기반으로 문화예술에 대한 사회지원 논리로 재해석하였다. 문화예술의 기부논리와 관련하여 문화경제학의 이론적 고찰을 한 축으로 하고 실천적 모델을 미국의 기부논리 사례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문화예술기관의 기부모델 연구를 위한 사례분석은 국내의 대표적인 공익재단인 아름다운재단과 지역문화예술기관인 경기문화재단의 기부모델을 대상으로 했다. 사례분석은 기부논리, 기부체계, 기부프로그램의 변수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그 연구결과로서 문화예술기관의 기부모델을 기부논리, 모금체계, 기부프로그램 등 세 가지 요소를 삼각 축으로 하는 기부모델 개발 모형을 트라이앵글로 제시하였다. 연구 성과로서 제시하는 기부 모델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첫째, 기부논리는 문화예술의 본질적 가치와 현실적 가치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문화예술의 공공재적 성격과 사회적 가치를 본질적 가치로 설명하며, 현실적 가치는 다양한 문화예술의 파급효과인 외부효과와 문화예술기관의 기관 가치로서 비영리성이 기부논리의 핵심이다. 둘째, 문화예술기관의 모금체계는 내부체계와 외부체계로 구분된다. 내부 체계는 경영자의 리더십 즉 멀티플라이어로서의 역할을 핵심으로 모금전담조직의 구축과 운영으로 구조화된다. 외부체계는 사회의 오피니언 리더들의 참여체계인 위원회와 대중적인 참여체계인 후원회라는 구조로 정리된다. 모금위원회와 후원회 조직의 핵심적 역할은 사람들의 문화예술과 문화예술기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공감과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셋째, 문화예술기관의 기부프로그램은 자원 배분 프로그램이자 고유목적 사업인 문화예술프로그램이 핵심이다. 이를 근거로 해서 다양한 자원획득 프로그램이 구성될 수 있다. 즉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확산하는 방안으로서, 문화예술기관의 기부프로그램 공급과 수요자인 시민, 기업들의 공감과 참여가 문화예술기관의 기부모델을 완성한다. 결론적으로 문화예술기관의 기부모델의 정착은 문화예술의 활성화와 발전을 바탕으로 한다. 문화예술의 발전은 창작, 보급, 향유의 전 과정의 왕성한 활동을 전제로 하며 근본적으로 사회의 참여와 지원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이러 측면에서 분석할 때 문화예술에 대한 참여와 지원의 경제적 구조가 바로 문화예술의 기부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 글루크 오페라 ‘메카의 순례(Pilger von Mekka)’와 모차르트 피아노 변주곡 K.455의 비교 분석

        김영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는 18세기 고전시대(age of classicism)의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이는 고전파의 여러 양식을 흡수하며 개성적인 예술을 이룩하였고 특히 성악이나 기악의 전 영역에 걸쳐 다채롭게 작품을 완성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모차르트의 총 17곡의 피아노 변주곡 중 오페라의 영향을 받은 K.455에 대해 집중 분석 및 연구함으로써 연주자에게 도움이 되는 필요한 중요분석으로 가까이 접근하고자 노력하였다. 변주곡에 대한 역사와 종류, 변주곡 작품소개 및 그 특징과 변주기법, 오페라 아리아를 주제로 한 변주곡 K.455의 변주 형태 및 원곡 오페라 아리아를 비교 분석하였다. K.455는 글루크의 오페라 [메카의 순례]의 ‘어리석은 백성이 생각하기에는’이라는 베이스 아리아를 주제로 하여 10개의 변주곡으로 되어 있는 곡이며, 모차르트의 다양한 변주기법을 보여주었다. 오페라의 영향을 받은 이 작품은 모차르트 특유의 음악적 특징인 우아하고 세련된 화성구조 선율로 단순하나 다양한 변주기법과 기교가 조화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was a representative composer in the age of classicism in 18th century. He absorbed various modalities of classicism and achieved characteristic art, thus completing a variety of works in all the area of vocal music and instrumental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nsively examine Mozart’s K.455, among his 17 piano variations, which had the effect of opera, and then provide help to its performers. For this, this study looked into the history and sort of variations, introduced variation works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techniques, and then comparatively analyzed the variation pattern of K.455 of which theme was opera aria, together with its original opera aria. K.455 consisted of 10 variations of which theme was ‘Unser dummer Pöbel meint’, namely a bass aria of Gluck’s opera [Les pèlerins de la Mecque], and presented Mozart’s various techniques of variation. Being influenced by opera, this work was characterized with the harmony between simple but diverse variation techniques and skills, which was presented via elegant and refined melody of harmonic structure, namely Mozart’s unique feature of music.

      • 기획제작 실태분석을 통한 대중음악산업의 생태계 고찰

        이휘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was attempted in order to suggest desirable developmental plan by considering ecosystem of popular music industry through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job and production in job employees of the popular music field. Specifically, to research into ecosystem of popular music industry, it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 of planning and producing, the environment of creation and production, the satisfaction by job category, the right relations of works, the appropriateness of support system, the consciousness of improvement plan for distributing sound source, the profit structure type, the appropriateness of profit sharing structure, the risk factors of popular music industry,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support system in the government. A research method was composed of 47 items through verifying reliability of scale on 10 questions. It performed reliability evaluation,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 table analysis on items and examined verification on data exploration and research problem. Through IBM AMOS 21 version, the validity analysis on each factor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research, in verification of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job field, the satisfaction with planning/creation and production was indicated to have no statistical difference. However, the statistical difference was shown in satisfaction by job category, in appropriateness of support system, in recognition of distributing sound source, and in appropriateness of profit structure other than it. Also,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was indicated in all of the other factors except recognition of distributing sound source. The most preferentially considerate matter given producing disc was indicated to be profitability/box-office performance. Also, examining difference by job field, the distribution was responded profitability/ box-office performance the most. On the other hand, production (creation) was responded security of funds the most. An element of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upon box-office given producing sound source was indicated to be completion of disc. A field of coming to be made the largest monetary investment given producing disc was indicated to be the process of producing disc. Even the promotional marketing of disc was indicated to be similar level. A part with the fastest fund collection given producing disc was indicated to be digital sound-source profit. Also, examining difference by job field, the investment, distribution, and management administration were responded digital sound-source profit the most. On the other hand, production(creation) and planning were responded appearance in performance the most. A system, which will need to be given the most priority among improvements matters in the government's support system, was indicated to be eradication of illegal download. Also, examining difference by job field, the investment, distribution, technology, and management administration were responded the eradication of illegal download the most. On the other hand, the production(creation) was responded the monopoly and structural improvement the most. An element, which will need to be solved as the most priority for producer and originator, was indicated to be the improvement in profit sharing structure. Also, examining difference by job field, the production(creation) and planning were responded the improvement in profit sharing structure the most. On the other hand, investment and distribution were responded a support for recording studio and practice room the most. A sphere, which needs to reinforce a support the most for growth in popular music industry, was indicated to be creation and production sphere. Also, examining difference by job field, the production(creation) & planning and management administration were similarly responded creation & production sphere and sound-source distribution sphere. On the other hand, the investment, distribution, and technology were responded creation & production sphere the most. It was responded that the formation of music industry complex is important for growth in popular music industry. Also, examining difference by job field, the importance was emphasized in all the fields. Thus, big difference wasn't shown. It discussed about job satisfaction & recognition through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planning and production, the appropriateness of a support system, the appropriateness of profit structure,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in a system. 이 연구는 대중음악분야 직무종사자들의 직무 및 제작실태 분석을 통한 대중음악산업의 생태계를 고찰하여 바람직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으로 대중음악산업의 생태계를 연구하기 위해 기획 및 제작 실태와 창작 및 제작 환경, 직종별 만족도, 저작물 권리관계, 지원제도의 적절성, 음원유통 개선방안 의식, 수익구조유형, 수익배분구조의 적절성, 대중음악산업의 리스크 요인, 정부의 지원제도 개선방안 등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10개 항목에 대한 척도의 신뢰도 검정을 통해 47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데이터 수집방법은 비확률 표본 추출방법인 편의 추출방법을 활용하였고,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1버전과 IBM AMOS 21버전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문항에 대한 신뢰도 평가와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cross table analysis)을 수행하여 데이터 탐색 및 연구문제에 대한 검증을 살펴보았으며, IBM AMOS 21버전을 통하여 각 요인에 대한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분야에 따른 만족도 차이 검정에서 기획/창작 및 제작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외 직종별 만족도나 지원제도의 적절성, 음원유통 인식도, 수익구조의 적절성에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음원유통 인식도를 제외한 다른 요인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음반제작 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은 수익성/흥행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 분야별 차이를 살펴보면, 유통이 수익성/흥행성을 가장 많이 응답했으며, 반면에 제작(창작)은 자금 확보를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음반제작 시 흥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음반의 완성도로 나타났고, 음반제작 시 가장 많은 금전적 투자를 하게 되는 분야는 음반의 제작 과정으로 나타났으며, 비슷한 수준으로 음반의 홍보 마케팅도 나타났다. 음반제작 후 자금 회수가 가장 빠른 부분은 디지털 음원 수익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 분야별 차이를 살펴보면, 투자와 유통, 관리행정은 디지털 음원 수익을 가장 많이 응답한 반면, 제작(창작)과 기획은 공연 출연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정부의 지원제도 개선 사항 중 가장 우선 시 해야 할 제도는 불법 다운로드 근절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 분야별 차이를 살펴보면, 투자와 유통, 기술, 관리행정은 불법 다운로드 근절에 가장 많이 응답한 반면, 제작(창작)은 음악산업의 독점과 구조 개선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제작 및 창작자를 위해 가장 우선 시 해결해야할 요소는 수익배분구조 개선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 분야별 차이를 살펴보면, 제작(창작)과 기획은 수익배분구조의 개선을 가장 많이 응답한 반면, 투자와 유통은 녹음실 및 연습실 지원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대중음악산업의 성장을 위해 가장 지원을 강화해야 하는 영역은 창작 및 제작 영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 분야별 차이를 살펴보면, 제작(창작)과 기획, 관리행정은 창작 및 제작 영역과 음원 유통 영역을 비슷하게 응답한 반면, 투자와 유통, 기술은 창작 및 제작 영역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대중음악산업의 성장을 위해 음악산업단지의 조성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직무 분야별 차이를 살펴보면, 모든 분야에서 중요함을 강조하였으므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기획 및 제작실태 분석을 통한 직무 만족도와 인식도 그리고 지원제도의 적절성과 수익구조의 적절성, 제도개선 방향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 한국 연예매니지먼트 산업의 교육구조 및 교육프로그램 분석

        오미정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Entertainment management industry is currently fixed as the main industry that produces added value of Korea. Thus, star-related industry which can be said core of entertainment industry developed also. Unlike the external growth, however, entertainment management industry still has many internal tasks. The representative one is lack of manpower to lead enlarged entertainment management industry. As per such necessity and background, this study searched educational program of specialized manpower that is absolutely necessary for Korean entertainment management industry at present. To this end, this study largely performed analysis of industry structure, case study, analysis of entertainment management system, analysis of manpower structure and educational structure, analysis of educational program. Then, unlike advanced country of entertainment management like USA, the case where the role of agent & management is performed simultaneously reaches 89% in the structure of domestic entertainment management industry. Thus, entertainment management company should perform diverse works including agency job. According to the study of Jang Young(2010), manager, the main manpower of entertainment management company should perform 14 tasks in 7 categories, up to 110 detailed jobs, which is why expertise of manager is further required. At present, 5 universities have department related to entertainment management, e.g., Kukje University·Daekyung University·Dong-A Broadcast Art University·Jungbu University· Baekje Art University. Further, 6 credit bank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department related to management, e.g., Korean entertainment cadet vocational junior college· Seoul Art Vocational Junior College· Seoul General Art Practical School· Korea Art Board ·Korea Broadcast Art Education Promotion Institute ·Sungam Art Vocational Junior College. Most entertainment management companies trained manager in apprentice system without particular curriculum. Only large companies like Fantasio, IHQ, SM, YG, Kist have own educational program. Analyzing curriculum of each educational entity, the curriculum of university and credit bank educational institution is quite similar. The feature of entertainment management company is introductory education to be manager which focuses on immediately necessary job skill. Although there is slight difference, no feature can be found among 3 educational entities on the curriculum. On the contrary, there is large difference in the matters other than curriculum. In the university, those verified for study record teach the students. The educational effect is enhanced with proper T/O. On the contrary, it is geographically limited that the school is located in region which is quite far from Seoul, the base of cotton industry. Highlighting that its adjacency to Seoul, eminent lecturer who is not easily accessible to public, the credit bank educational institutions abet curiosity of public in the area of entertainment management. However, they have problems such as untransparent management, excessively high T/O, marketing of similar university, exaggerated advertizement. Although individual management companies are organization that can effectively perform management education, most of them train by apprentice system. Education in apprentice system has merit, namely, the learner is directly trained by incumbent worker on the site and only jobs necessary to relevant entertainment management are instructed. However, it is subject to limit, namely, the public cannot be educated, although practice of site can be learned early, it takes time to learn jobs that require professional knowledge like administration, agreement, etc, the details of learning have large deviation depending on those who instruct due to lack of standardized curriculum. Thus, each educational entity should strive to minimize demerit. To begin with, education of universities is carried in the space which is distant from industrial base, thus it needs educational mode to cover such demerit. That is, practice and experience learning in Seoul, the industrial base. Credit bank educational institution needs to improve the competence of lecturer or professor. Instead of relying on the price of fame, they should select educators who have basic capability of professor. Further, they should be basically trusted by learners by reducing untransparent management. Moreover, the method to highlight the merit of credit bank educational institution will be effective, instead of marketing similar university by making names of institutions with words such as ‘general’ ‘Seoul’ ‘Korean’ ‘Art’. Through systematic educational system, individual management company should strive to teach knowledge related to entertainment management which cannot be easily learned through apprentice system that is the best educational mode to master the site. For desirable education in the area of entertainment management, education in apprentice system should be adopted in parallel with theoretic education. University, credit bank educational institution, individual management company is educational entity that respectively has its property. These 3 educational entities are expected to organically cooperate so that manpower of good quality can enter the area of entertainment management. Perceiving the scale of domestic entertainment management industry that cannot be covered by education in apprentice system, entertainment management company should have educational system. Further, credit bank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born again as more reliable institution, universities are required to study this area lacking study materials more profoundly. 현재 연예매지니먼트 산업은 한국의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핵심산업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스타 관련 산업도 발전했다. 그러나 외연적 성장과는 달리 연예매니지먼트 산업 내면에 있어서는 아직도 많은 과제를 갖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거대해진 연예매니지먼트 산업을 이끌어갈 인력의 부재다. 이 같은 연구필요성과 배경에 따라 본 연구는 현재 한국 연예매니지먼트 산업에서 꼭 필요한 전문인력 교육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산업구조분석, 사례조사, 연예매니지먼트시스템 분석, 인력구조 및 교육구조 분석, 교육프로그램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국내 연예매니지먼트 산업구조는 미국 등 연예매니지먼트 선진국과는 달리 에이전트와 매니저 역할을 동시에 하고 있는 경우가 89%에 이르렀다. 이 때문에 연예매니지먼트사는 에이전시 업무를 포함한 다양한 일을 수행해야 한다. 장영(2010)의 연구에 따르면 연예매니지먼트사의 핵심 인력인 매니저는 7개 카테고리의 14개 과업, 세부적으로는 무려 110개의 수행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이 때문에 매니저들의 전문성이 더욱 요구된다. 현재 연예매니지먼트 관련 학과가 있는 대학은 국제대학교·대경대학교·동아방송예술대학교·중부대학교·백제예술대학교 등 5개 대학이었다. 또 현재 매니지먼트 관련 학과가 있는 학점은행 교육기관은 한국연예사관직업전문학교·서울예술직업전문학교·서울종합예술실용학교·한국예술원·한국방송예술교육진흥원·성암예술직업전문학교 등 6개였다. 연예매니지먼트사의 경우 대부분의 회사가 특별한 커리큘럼 없이 도제식으로 매니저를 교육하였다. 판타지오, IHQ, SM, YG, 키이스트 등 대형 회사만 자체 교육 프로그램을 갖고 있었다. 각각의 교육 주체에 따라 커리큘럼을 분석해 본 결과, 대학과 학점은행 교육기관의 커리큘럼은 대동소이했다. 연예매니지먼트사는 당장 필요한 직무 능력을 중심으로 한 매니저 입문 교육이 특징이었다. 작은 차이가 있긴 하지만 커리큘럼 상으로는 세 교육 주체의 특징을 확연히 찾아볼 수는 없었다. 반면 커리큘럼 외에 부분에 있어서는 차이가 컸다. 대학은 연구 실적이 있는 검증 받은 인물이 강단에 섰다. 적정한 정원으로 교육의 효과도 높이고 있다. 반면 산업 근거지인 서울과 매우 먼 지역에 학교가 위치한다는 지역적인 한계가 있었다. 학점은행 교육기관은 서울에 위치한다는 입지적인 장점, 일반인이 쉽게 접촉할 수 없는 유명인 강사 등을 내세워 연예매니지먼트 분야에 대한 일반인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 하지만 경영상의 불투명성과 지나치게 많은 정원, 유사 대학 마케팅, 과장광고 등의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었다. 개별 매니지먼트사는 매니지먼트 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조직임에도 대부분이 도제식 교육을 했다. 도제식 교육은 현장에서 현직자들에게 직접 교육을 받는다는 점과 해당 연예매니지먼트사에서 필요한 직무 내용만 가르친다는 점에서 강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일반인들이 교육을 받을 수 없다는 점, 현장 실무는 빨리 배울 수 있으나 행정, 계약 등 전문지식을 요하는 직무는 배우는데 시간이 걸린다는 점, 표준화된 커리큘럼이 없어 가르침을 주는 사람에 따라 학습 내용에 편차가 크다는 점 등에서 한계를 보인다. 이에 따라 일단 각 교육 주체들은 단점을 최소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우선 대학은 산업 근거지에서 멀리 떨어진 공간에서 교육이 이루어지는 만큼 이를 만회할 교육 방식이 필요하다. 산업 근거지인 서울에서의 실습과 체험학습 등이 그것이다. 학점은행 교육기관은 강사와 교수들의 자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인물의 유명세에만 기대지 말고, 기본적인 교수 능력을 갖춘 교육자를 선발해야 한다. 또 경영상의 불투명성을 줄여서 학습자들에게 기본적인 신뢰를 주어야 한다. 또 ‘종합’ ‘서울’ ‘한국’ ‘예술’ 등의 단어로 기관의 이름을 만들어 유사 대학 마케팅을 하는 것보다, 학점은행 교육기관의 장점을 잘 살리는 방식이 주효할 것으로 보인다. 개별 매니지먼트사는 현장을 익히는데 최선의 교육방식인 도제식 시스템에 현장에서 쉽게 배울 수 없는 연예매니지먼트 관련 지식을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통해 가르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연예매니지먼트 분야의 바람직한 교육을 위해서는 도제식 교육과 이론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대학과 학점은행 교육기관, 개별 매니지먼트사는 각각의 특성을 갖고 있는 교육 주체다. 연예매니지먼트 분야에 양질의 인력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이들 세 교육 주체가 유기적으로 협력해 나가갈 바라는 바이다. 연예매니지먼트사는 도제식 교육만으로 감당할 수 없는 국내 연예매니지먼트 산업의 규모를 인식하고 교육 시스템을 갖추길 바란다. 또 학점은행교육기관은 더욱 신뢰를 확보하는 기관으로 거듭나며, 대학은 연구자료가 부족한 이 분야에 대해 더 많은 연구를 해 주기를 바란다.

      • 영화산업분야에서 소셜미디어상의 소비자태도가 티켓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박지혜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According to the recent development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users of social media are growing largely. Social media has influence even upon film industry targeting youngsters as well as playing a role of promoting relationship through sharing experience or information with other people. Especially, film industry is characterized by uncertainty about demand, thereby coming to cope very effectively in the marketing aspect if the application of social media to film industry leads to possibly knowing consumers' response quickly. In other words, social media allows consumers to possibly meet easily with information on movie as well as allowing them to deliver information on movie with real time and to possibly share immediately movie postscript, evaluation marks, etc. thereby having important influence upon deciding on purchase intention of ticket. Accordingly, the social media is thought to be likely very important in film marketing. What closely examines this can be said to be significant. Film marketing is what changes consumers' attitude, thereby leading to being formed positively the purchasing behavior. Thus, consumer's attitude is very important.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and verified on how the social media is applied to consumer's selecting movie, on whether a consumer actually purchases to some extent through social media, and on how much influence the interest, trust, and liking in movie information on the social media have upon purchasing a movie ticket.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mposed of 3 kinds of interest, reliability, and likability as sub-factors of consumer attitude in order to examine consumer's attitude toward film marketing on social media. To grasp the influence up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 questionnaire item was separately designed. Also, to grasp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 movie on social media was presented with scenario.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questionnaire on 'does social media have influence upon selecting movie?, the movie viewing frequency indicated to be 28.65% in more than 3 pieces. Thus, it was shown to utilize social media when many people purchase a movie ticket. This can be said that many people are positively utilizing social media in selecting movie these days. Second, it verified on 'does consumer's attitude through social media have influence upon purchasing ticket? For this verification, this study established hypothesis as saying that a consumer's attitude(interest, reliability, likability) toward movie information on social media will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a purchase intention of ticket. As a result, it could be known that the higher consumer's attitude leads to having positive influence upon purchase intention.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on 'does film marketing on social media have influence upon vitalizing audiences?, the findings were indicated that women recognize that social media is good medium for vitalizing cinema audiences more than men and that women have high possibility of utilizing social media even in selecting movie and are being greatly influenced. Through this study, the social media could be confirmed to have great influence even upon vitalizing a purchase of ticket as well as having important influence upon consumer's attitude in movie information.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re will be a need of positively utilizing this with recognizing importance of social media given the film marketing. Especially, there will be a need of fully considering interest, reliability, and likability that are consumer's attitudes. The future application of social media is thought to be likely to grow on and on. Hence, continuous research and survey are thought to be necessarily performed by expanding the influence of consumer's attitude toward film marketing on social media upon a purchase intention of ticket into diverse classes and regions. 최근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라 소셜미디어의 사용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소셜미디어는 타인과의 경험이나 정보공유를 통하여 관계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젊은 층을 대상으로 영화산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영화산업은 수요의 불확실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영화산업에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면 소비자의 반응을 빠르게 알 수 있어 마케팅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즉 소셜미디어는 영화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영화 관람후기, 평점을 즉시 공유하게 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영화에 대한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티켓 구매의사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소셜미디어가 영화마케팅에 있어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규명 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영화마케팅은 소비자의 태도를 변화시켜 궁극적으로 구매행동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서 소비자의 태도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영화선택에 있어서 소셜미디어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소셜미디어를 통하여 소비자가 실제로 어느 정도 구매를 하는지, 소셜미디어 상의 영화에 대한 흥미·신뢰·호감이 영화 티켓구매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여 검증하였다. 설문조사는 소셜미디어 상의 영화마케팅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소비자 태도의 하위 요인으로는 흥미, 신뢰도, 호감도 3가지로 구성하였다.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항목은 별도로 설계하였다. 또한 소비자들의 구매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소셜미디어 상의 영화를 시나리오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가 영화선택에 있어서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해 설문한 결과 영화 관람 횟수가 3개 이상이 28.65%로 나타남으로써 많은 인원이 영화 티켓구매 할 때 소셜미디어를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최근 많은 사람들이 영화 선택에 있어서 소셜미디어를 적극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소셜미디어를 통한 소비자의 태도가 티켓구매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검증을 위하여 소셜미디어 상의 영화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흥미, 신뢰도, 호감도)가 티켓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로 소비자의 태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소셜미디어상의 영화마케팅이 관객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검증한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영화관객 활성화를 하는데 소셜미디어가 좋은 매체라고 인식하며 영화를 선택함에 있어서도 소셜미디어를 활용할 가능성이 높고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소셜미디어는 영화마케팅에 있어서 소비자의 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티켓구매를 활성화 하는데 있어서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영화마케팅을 할 때는 소셜미디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적극 활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소비자의 태도인 흥미, 신뢰도, 호감도를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향후 소셜미디어의 활용은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어지는 바, 소설미디어상의 영화마케팅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가 티켓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양한 계층과 지역으로 확대하여 지속적인 연구와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 공공도서관 지식정보플랫폼 이용자 추이분석

        장선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지식정보사회라고 일컬어지는 현대사회에서 공공도서관이 지식정보플랫폼으로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변화하는 수요자의 정보요구에 맞추어 어떤 정보서비스를 제공해야하는지 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정보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바탕으로 정보가 주는 가치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정보란, 지각된 데이터로 사회변화를 촉진하는 재화로써 특히 과거 농업사회, 산업사회보다 현재 지식정보사회에서 그 가치가 더욱 증대된다. 이러한 정보제공 기능 이외에도 도서관은 교육시설, 문화활동 및 평생교육의 장려 등 많은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결국 지식기반사회에서 도서관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지식의 축적과 정보의 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지식정보플랫폼’으로 규정된다. 이에 공공도서관의 정보플랫폼 이용 실태를 살펴보고 정보서비스의 고도화를 위하여 A지역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발전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의 틀로는 도서관 소장자료, 도서관 정보접근 및 접근성, 도서관 이용환경에 대한 평가로 나누어 각각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2010년, 2012년, 2013년의 이용자 추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서관에 대한 정보접근 및 접근성이 높을수록 이용자 만족도는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장서량의 증가와 신간도서의 유입이 요구되지만 제한된 예산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이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는 없을 것이다. 이에 따른 정보서비스 고도화 방안으로 첫째, 디지털시대의 이해를 기반으로 시행할 수 있는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 둘째,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빅데이터 활용 셋째, 도서관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다양한 이용자 서비스 충족, 마지막으로 기존의 도서관이 시행 중인 문화서비스의 개선을 제시하였다. 특히 지역도서관이 갖는 강점인 근접성을 기반으로 하여 지역사회의 특성과 요구가 반영된 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지역문화교류의 플랫폼으로 기능하게 될 수 있다. It is for what is done by Public library as a knowledge information platform, and refers which is more valuable services for upcoming variant people’s demands. Chapter 2. theoretical analysis is explains that information gave valuables, followed by many scholar’s definitions each. Chapter 3.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s growing and media development Knowledge as a digested data give us more opportunities to make rich at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rather than agriculture one or industrial’s. So, major function of public library might be changed a knowledge information platform to stock knowledge and to share information. Of course, it can be used as a culture center or a life-long education center. To find it, in Chapter 4. public library user analysis make , I analyzed surveys about user satisfaction at local libraries in “A” city from 2010 to 2013. Development factors are contents, contents accessibility, library accessibility, facility environment. I find that accessibility to contents and facility is easier, user satisfaction point marks higher. Restricted deposit for buying new contents make user unsatisfied. So, This shows easy access to contents and facilities at public library is effective one. Finally, I elicit four major plans to prepare coming information society. First, to curate data services by understanding digital generation. Second, user customized services, using big data. Third, Co-Work between libraries about various user needs. At last, successive culture programs development. In addition, understanding services with easy accessibility, including local features and demands, public library will be correspond platform between local society environment. I find that accessibility to contents and facility is easier, user satisfaction point marks higher. Restricted deposit for buying new contents make user unsatisfied. So, This shows easy access to contents and facilities at public library is effective one. Finally, I elicit four major plans to prepare coming information society. first, to curate data services by understanding digital generation. Second, user customized services, using big data. Third, Co-Work between libraries about various user needs. At last, successive culture programs development. In addition, understanding services with easy accessibility, including local features and demands, public library will be correspond platform between local society.

      • 정부의 공연관광정책 지원현황과 실태분석

        김성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논문은 우리나라 공연관광 시장동향과 추이분석을 통해 공연산업의 성장전망을 분석하고 국내 정부정책의 공연관광 지원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먼저, 이론적 고찰에서 공연과 관광의 만나 새로운 용어가 창출된 공연관광은 학문적으로 정립된 용어는 아니다. 그러므로 기존의 학문적으로 정립된 문화관광과 예술관광 개념을 살펴보고 그 하위 개념으로써 공연관광의 개념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공연예술은 전통적인 상품의 정의 범주 안에 들지 못하여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였지만 Kotler(1991)에 의해 하나의 상품으로 가치를 인정받게 되어 공연관광의 상품재적 성격을 다루었다. 본 논문에서의 연구대상은 공공부문의 공연관광 지원정책 중 관련법, 예산, 시설인프라, 공연예술단체 4개 분야이다. 연구범위로 문화관광, 예술관광과 공연관광에 한해 살펴보고, 공연관광 시장동향 분석은 국가별, 외래방문객에 한정하여 살펴본다. 정부정책의 지원시기는 넌버벌 난타가 2000년 최초로 전용극장을 개관하며 외국인 관광객을 타겟으로 한 마케팅을 전개한 2000년부터 16개의 작품이 상설로 공연되고 있은 2014년 까지를 대상으로 한다. 한편, 연구성과는 공연관광 지원정책의 방향과 정립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나아가 미흡한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가치가 있다고 사려 된다. 산업적 측면에서도 관산학연 공연관광상품의 협업제작과 협력체계 구축에도 기여하리라 본다, 결론적으로 공연관광은 새롭게 부상하는 신흥 시장으로서 미래의 관광 트렌드를 주도할 주요 관광상품으로, 전반적으로 공연산업화가 미진한 우리나라 공연시장 상황에서 산업화를 선도하는 영역으로 관광산업적 측면에서 예술진흥적 측면에서 함께 적극적으로 육성해야 할 대상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growth prospects of the performance industry through analysis of the country's performance arts tourism market trends and to seek support Analysis and Activation Plan of Korean government policy. First, in a theoretical consideration, creating a new concept word, performance art tourism by combining ‘performance’ and ‘tourism’ is not an established academic term. So we want to look at the cultural tourism and arts tourism concept established by redefining the conventional concept of academic performance tour by its sub-concepts. In addition, Performing Arts will not be recognized as a valuable commodity because not within the definition of a traditional product categories but is recognized as one of the valuable items by Kotler (1991) dealt with the nature of the product attending concert tour. And The subjects in this paper show Performance Arts Tourism Act in the public sector, budget, facilities, infrastructure, performing arts groups in four areas. Performance Evaluation of tourism-related theories only look at art and performances sightseeing tour of culture and tourism category, performing the tourism market analysis looks at trends within the confines of a country, the foreign visitors. Supported timing of government policy is nonverbal Nanta opened the first private theater in 2000, and aimed at foreign tourists since 2000 by deploying targeted marketing to work up to 16 performances in 2014 as a permanent. Meanwhile, the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irection and formulation of Performance Arts Tourism support policy. Further advantage is that the value is considered as the basis of insufficient academic research. In terms of industrial production cooperation will contribute to the pipe system, build academic-industrial collaboration Performance Arts Tourism In conclusion, Performance Arts Tourism is a major concert tours to the future of tourism as an emerging market trend emerging, with overall aspects in art promotion in the tourism industry in terms of industrialization in the area leading industrialized concert performances poor country market the target should be actively fost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