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미술의 유지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제주도 공공미술 작품을 중심으로

        김순훈 제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Public art refers to art for the public installed in parks, squares and open spaces. Here, public art is normally referred to as works installed and exhibited in open spaces, and includes installation art in the defined place or design for the place itself. Moreover, public art also has the meaning of art combining with the place. Lately, public art gradually intervenes in the public area by involving the reversed form of commemorative sculpture and acute criticism in the concept of public art. We can understand that most of public art projects, which have been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 or which are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are operated aiming to improve regional images by developing tourism industry and securing regional identity highlighting characteristics of public art. However, this kind of public art now requires a new form of public art in terms of representation of diverse social phenomena and application of the materials. For this reason, it is undeniable that many differences occurred in materials and features of the corresponding works and the previous works. Therefore, the curr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plans of public artworks applying the identical standards inevitably encountered the limitations and this is considered a factor menacing the existence of public art itself. In other words, since a considerable amount of public artworks fail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 city or a region and they only focus on quantitative results, it is indisputable that they unfortunately transform into a sort of headache causing only visual pollution or become a factor debilitating discrimination of regional identity with their lost individuality and standardized type and appearance.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intended to propose correct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public artworks by inquiring into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artworks and seeking maintenance and management plans focused on public artworks of Jeju Island. The research results demonstrate that most of public artworks examined by this study were installed in the public spaces after painting work had been completed. For this reas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a great deal of damages were observed in the works installed in public spaces. The damages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natural damages impacted by the nat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artificial deterioration affected by humans. It is considered that maintenance and management can be achieved through activ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form, color and design of the works. Moreover,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plans by paying attention to aspects of preventing damages through preliminary knowledge acquirement to allow longer preservation based on solid materials resisting the natural environment with effectiveness. Based on this, the best way for follow-up management regarding management of public artwork and damaged works can consist in reinforcement of competency of hands-on workers. Nonetheless, the reality of public art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lack professionalism, and the connectivity of management is not working properly due to frequent personnel transfers even with formed professionalism of people in charge. Moreover, ambiguity in distribution of responsibility is part of limitation in this aspect. Therefore, for continuous maintenance and management regarding public artworks for the future, it will be required to search for plans allowing professional and systematic management, maintenance and repair of public artworks by constituting a team assuming full charge of such artworks in each local government 공공미술은 공원, 광장 또는 공개된 장소에 설치하는 대중들을 위한 미술을 말한다. 여기에서 공공미술이란 공개된 장소에 설치·전시되는 작품을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지정된 장소에서의 설치미술이나 장소 자체를 위한 디자인 등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공공미술은 또한 장소에 결합하는 예술이라는 의미를 갖기도 하며 최근에는 기념 조형물의 형태를 뒤집어놓거나 날카로운 비판의식을 공공미술의 개념에 개입시킴으로서 공공미술이 공공 영역에 개입하는 경우도 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대다수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되거나 추진 중에 있는 공공미술 역시도 이러한 공공미술의 특징을 살려 지역에 맞춘 관광산업의 개발, 지역 정체성을 확보하는 지역 이미지 제고 등의 목적을 가지고 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공미술은 다양한 사회현상을 대변하고 그 재료의 활용적 측면에 있어서는 새로운 유형의 공공미술을 요구받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해당 작품과 기존 작품의 소재나 특징 등에 많은 차이가 발생하기에 이르렀음은 부정할수 없는 사실이다. 때문에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여 공공미술 작품을 유지, 관리 하는 수준의 현행 유지관리 방식은 그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으며 이는 공공미술의 존립 자체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적지 않은 공공미술 작품들이 도시나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채 양적인 결과에만 치우쳐 설치되고 있으며 심지어는 시각적인 공해를 유발하는 골칫덩어리로 전락해 버리거나 개성을 상실한 채 획일화된 유형으로 지역 정체성에 대한 변별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의 공공미술 작품을 중심으로 공공미술 작품의 현황을 살펴보고 유지관리 방안을 모색하여 공공미술 작품의 올바른 유지관리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주로 다루어진 공공미술 작품들은 도장 작업이 완료된 후 공공장소에 설치된 작품들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공공 장소에 설치된 작품인 경우에는 손상이 다수 발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크게 자연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 발생한 자연적 손상과 사람에 의해 발생 하는 인위적 손상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러한 손상은 작품이 가졌던 원래의 형태와 색, 문양 등에 대한 적극적인 복원을 통해 유지관리가 가능하며 또한 자연환경에 잘 견디는 견고한 재료를 선택 하여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할 수 있도록 사전지식 습득 등 손상을 예방하는 측면에 주목하여 유지관리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공공미술 작품에 대한 관리 및 훼손 작품에 대한 사후관 리의 최선의 방법은 실무자의 역량 강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자체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공공미술의 현실은 그 전문성이 의심될 뿐만 아니라 담당자의 전문성이 형성되었다 할지라도 잦은 인사이동으로 인해 관리의 연계성이 잘 이루 어지지 않고 있으며 그 책임 부분에 있어서도 매우 모호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공미술 작품에 대한 연속적인 유지, 관리를 위해서는 향후 각 지방자치단체에 공공미술 작품을 유지, 관리 하는 전담팀을 구성하여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와 유지,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있다.

      • 인간의 내면 감성을 통한 인체조각의 표현 연구

        김선일 제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From the ancient sculpture to the contemporary one, all artists have been dealing with the subject of a human body as an ultimate theme. Art, which started from the inner world such as food, clothing, shelter, experience and memories, displays a variety of expression methods according to the stream of the times. In particular, human body sculpture has continued, from the ancient time, as psychological consolation through incantatory and religious functions and divine figures. Moreover, in the modern times, the expression method has changed in the form of communication, beyond the boundary. This study aimed to inquire into diverse aspects expressed in human body sculpture by making a deeper approach to works appeared over the flow of time. Moreov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not only interprets the intention of expression of representative sculptors such as Auguste Rodin, Antony Gormley and Ryu In, who conveyed inner feelings through human body sculpture, but also examines how they created a bond of sympathy with the public through their works. For the purpose of this, this study analyzed historical background and pre-modern streams based on theoretical concepts of human body sculpture, and considered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human body sculpture by exploring some works of precedent artists expressing human emotions since the modern age. After inquiring into expression method of human body sculpture in accordance with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changes, this study discovered how artists had materialized human feelings through their work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humans, by instinct, tend to look for others to fulfill their desire and visualize it. They have been expressing this desire through human body sculpture as an object of their ardent wish or an iconic figure. Secondly, human body sculpture prior to modern time was expressed as an element related to life after death, decoration for buildings and sometimes standards of ideal beauty according to the needs of each epoch. Moreover, it was considered an exclusive property of powerful people or privileged class. However, with progress of commerce, the middle class started to play a leading role. Thus, they began doubting about human existence and this humanistic thought expanded even to laborers and the underprivileged until transforming into realistic human body sculpture portraying the essence of their real life. Through this, this study could verify that changes of awareness caused by historical environment are closely related to expression of human body sculpture. Thirdly, Auguste Rodin was a crucial stepping stone for modern sculpture in that he expressed vivid human life in a realistic manner, deviating from representational human body sculpture. When expressing an object, he examine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abits and psychological situations of the person, and he created empathy with the person through deep introspection giving autonomy to expression of human body sculpture. Antony Gormley expressed his experience obtained from mediation training through lifecasting techniques by using his own body. This casting technique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s in that he reflects external pressure felt from the process of casting his body and psychology felt in the closed space, and he proposed a new way of communication. Based on the use of his inner world as a means of mental empathy through human body sculpture, Gormley finally completes his work by equally pulling out inner experience from the viewer looking at the work. Lastly, Ryu In, who lived in the period of chaotic dictatorship, was an artist who expressed, through his human body sculpture, the noble spirit of people fighting for human dignity yet lost their life in the end. He intended to express the turbulent emotions of suffering, sadness and sublimation of numerous people suffered from the dictatorial regime, through the unique sculptural language of his own. His strong will expanded expression realm of human body sculpture through deformation and distortion of joints and omission of part of body. Moreover, beyond the inner emotional expression, he deeply concerned on life and existence of humans mingled with suffering, fear and absolute solitude he perceived with the gradually approaching death until making his soul breathe in the human body sculpture As we can see, human body sculpture expressing human emotions has values more than as a mere artwork and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tributing to further inquiries into contemporary sculpture as a time-transcending subject. 고대조각에서 현대조각에 이르기까지 인체라는 소재는 모든 예술가들이 다루는 궁극적인 내용이라 할 수 있다. 표현방식에 있어서 의·식·주, 경험, 기억 등내면적 세계에서 시작된 예술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표현방식이 다양하게 나타 나고 있다. 그 중 인체조각은 고대의 주술적, 신앙적, 신의 형상을 통한 심적 위안 등으로 이어져 왔고 현대미술에 있어서는 그 경계를 넘어 작품의 대면 방식이 소통이라는 형태로 변화되었다. 본 연구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작품들을 연구하여 인체조각에 표현된 다양한 이면을 파악하고자 했다. 그리고 인체조각을 통하여 내면감정을 표현한 대표적인 조각가인 오귀스트 로댕, 안토니 곰리, 류인을 통하여 작가가 표현하고자 했던 의도를 해석함과 동시에 작품을 통해서 대중들과 교감하는 방법을 살펴 보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인체조각의 이론적 개념을 바탕으로 시대적 배경과 근대이전의 흐름을 분석하고, 근대이후 인간 감정이 표현된 작품을 선행 작가들을 통해 살펴보며, 인체조각의 전개와 확산에 대해 고찰하였다. 시대적 배경에 따른 인체조각의 표현 방법과 변천 과정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인간 내면감성을 어떻게 작품으로 형상화하였는지를 연구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첫째, 인간은 본능적으로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대상을 타인에게서 찾으려 하고 이를 시각화하려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욕구를 인체조각을 통해서 염원의 대상이나, 우상의 존재로 표현되어 왔다. 둘째, 근대이전의 인체조각은 시대의 요구에 따라 사후세계와 연계된 존재에서 건물의 장식, 때로는 이상적인 미의 기준으로 표현되었으며, 권력자나 특권계층의 전유물로 치부되었다. 하지만 점차 상업의 발전으로 인해 중산계층이 주역이 되면서 인간존재에 대하여 의문을 가지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인본주의 사상은 노동자나 소외층까지 확대되어 그들의 삶이 녹아 있는 현실적인 인체조각으로 변화되어 갔다. 이에 본인은 시대적 환경에 따른 인간의 의식변화는 인체조각의 표현에 깊은 관련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재현적 인체조각에서 벗어나 한 인간의 삶을 느낄 수 있게 현실적으로 표현한 오귀스트 로댕은 근대조각의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그는 대상을 표현함에 있어 주변 환경과 습관, 심리적인 상황 등을 연구하고 내면의 깊은 성찰을 통해 감정을 이입시키며 인체조각의 표현에 자율성을 부여했다. 안토니 곰리는 명상수련에서 느꼈던 체험을 자신의 몸을 이용하여 라이프 캐스팅 기법으로 표현하였다. 기존의 캐스팅 방법과 다른점은 자신의 몸을 석고로 뜨는 과정에서 느꼈던 외부의 압력과 실제로 자신이 존재했었던 밀폐된 공간 안에 서의 심리를 반영한 것으로 새로운 소통방식을 제시하였다. 자신의 내면세계를 인체조각을 통한 정신적 교감의 매개체로 사용하여, 작품을 바라보는 관람자에게 서도 내면의 체험을 이끌어 냄으로서 비로소 작품을 완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혼란했던 독재시대에 살아온 조각가 류인은 인간존엄을 위해 투쟁 하다 쓰러져간 이들의 숭고한 정신을 인체조각에 표현한 작가이다. 독재정치로 인해 수많은 이들이 느꼈던 고뇌와 슬픔, 극복에 대한 감정을 자신만의 조형언어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그의 강한 의지는 관절의 변형, 왜곡, 신체의 부분이 생략되어 인체조각의 표현영역을 확장시켰으며 조금씩 다가오는 자신의 죽음과 함께 느꼈던 고통, 두려움, 절대고독은 인간의 삶과 존재에 대하여 고민함으 로써 내면의 감정표현을 넘어 자신의 영혼을 인체조각에 살아 숨 쉬게 하였다. 이렇듯 인간이 느끼는 감정을 담은 인체조각은 작품 이상의 가치가 있으며 시간을 초월한 소재로서 현대조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 조각과 건축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

        고기봉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의 예술은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변화하였고, 예술의 각 분야를 나누는 경계의 구분도 점차적으로 없어지고 있다. 미적 요소가 회화와 디자인, 조각, 건축의 예술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된 것은 이미 오래전의 일이며,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미디어가 발달한 오늘날의 예술은 장르의 제한 없이 서로 다른 분야가 혼합이 되거나 결합된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조각과 건축에서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역사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이어오고 있는 조각과 건축의 연관성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입체적인 공간을 이용하는 예술 방식에 있어서의 유사성은 동일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각과 건축에서의 관계와 공간 구성에 대해 연구하여 현대 미술에서 두 분야의 공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각과 건축의 다양한 이면을 살펴봄과 동시에 조각과 건축의 공간성을 중심으로 현대 미술의 공간에 대한 방법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조각과 건축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두 분야의 변천사와 현대적 양상을 분석하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한 조각과 건축이 어떠한 방법으로 적응하여 현대미술의 활로를 모색하였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에 나타나는 조각과 건축의 만남을 바탕으로 현대 미술에 나타나는 조각과 건축의 공간성에 대해 알아보고, 조각과 건축이 어떠한 작품으로 형상화 되어 공간적으로 창작 되었는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조각에서 나타난 공간과 건축에서의 공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각각의 영역에서 의미하는 공간에 대해 알아보았다. 첫째, 현대의 조각과 건축은 오랜 시간에 걸쳐 이어져 왔고, 이러한 조각과 건축의 공간적 동향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둘째, 조각과 건축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오늘날에는 조각과 사회의 결합을 볼 수 있는 조각작품 및 건축물들을 찾아볼 수 있다. 조각은 건축의 규모로 대형화되어 공간의 구조적인 부분을 받아들이고, 건축도 마찬가지로 조각의 조형적인 부분을 반영하여 사회에 다양한 결합의 효과를 얻는다. 셋째, 조각과 건축이 하나의 분야로 끝나지 않고 서로 커다란 영향을 주었음을 작가들을 통해 알아보았다.클래스 올덴버그, 앤서니 카로의 조각과 프랭크 게리, 안토니 가우디의 건축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조각과 건축의 공간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조각과 건축은 새로운 공간 예술의 변화 가능성을 보여준다. 조각과 건축에서의 만남은 계속적으로 축적되고 변화를 거듭한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낸 공간의 창작물이라 할 수 있다. 두 분야에서 보이는 확장된 공간과 조형화된 공간의 연관을 확인하였고, 표현된 방식을 통해 조각과 건축의 공간성을 파악하였다. 이렇듯 조각과 건축의 공간성은 예술의 범위를 확장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으며, 현대 미술에서 예술의 경계를 넘나들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현대미술의 흐름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조각과 건축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의 가치를 발전시켜 나가고, 한 단계 진일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Aesthetic elements have always been considered critical in painting, design, sculpture, and architecture. In today’s world, where a variety of media have evolved with changing times, art has changed in line with trends, mixing and combining different fields beyond genres, and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m. This phenomenon is not an exception in sculpture and architecture. In the greatly diverse relationship between sculpture and architecture, which have been historically close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there is a similarity in the art method that uses three-dimensional spac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spatiality of sculpture and architecture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nd spatial composition between these two fields in contemporary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various aspects of sculpture and architecture, while studying spatial methods in contemporary art in terms of their spatial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atterns of sculpture and architecture, and reviews how the two subjects, which have changed over time, have been adapted to explore a breakthrough in contemporary art.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sculpture and architecture today, this study examines their spatiality in contemporary art and obtains the following results of how sculpture and architecture turn into artworks and are created spatially. Furthermore, by studying space in sculpture and architecture, this study discusses what space means in each of the fields. First, modern sculpture and architecture have continu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ir spatial trends have influenced each other while developing in different ways. Second, a theoretical discussion on sculpture and architecture considers sculptures and buildings, which demonstrate a combination of sculpture and society today. Sculpture has scaled up to architecture and has accepted structural aspects in space. Meanwhile, architecture has similarly reflected the plastic aspects of sculpture to produce the effects of various combinations in society. Third, this study learnt from artists that sculpture and architecture have greatly influenced each other. On analyzing sculptures by Claes Oldenburg and Anthony Caro and architectures by Frank Gehry and Antoni Gaudí, this study has understood the spatiality of sculpture and architecture, and subsequently suggests that the two have a possibility to create a new form of spatial art. Interactions between sculpture and architecture result in the creation of space achieved through continuously accumulated and repeated interactions. This study confirms the association between scaled-up space and plastic space in the two fields. It comprehends the spatiality of sculpture and architecture from the methods in which they are represented. The spatiality of sculpture and architecture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the scope of art, and not only has it transcended different boundaries, but has also itself become a trend in contemporary art.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 value of research on interactions between sculpture and architecture and make further progress.

      • 4차 산업시대 기술을 활용한 중등 미술교육 교수·학습 지도안 연구

        김지연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 사회의 요구와 필요성은 중요한 지표이다. 따라서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를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교육 방안을 연구해야한다. 우리는 4차 산업 시대에 살고 있다. 4차산업 시대에 접어든 현대 사회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생활 전반에서의 편의성을 느끼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인문 사회적 소양의 부족으로 인한 실제 사회에서 일어나는 다문학적 접근이 필요한 문제점의 해결 방안을 찾는 것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TEAM 교육을 기반으로 과학기술과 미술을 융합하여 수업에 활용 가능한 4차 산업 시대의 기술을 제안하고, 미술 수업에서 4차 산업 시대의 기술을 활용한 STEAM 교육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4차 산업 기술을 활용한 수업의 필요성은 꾸준하게 대두됐지만, 그에 반해 수업방식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수업으로만 이루어지던 이전의 교육 방식에서 급작스럽게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비대면 수업으로의 전환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수업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블렌디드 러닝이 시도되었으며, 교수자들은 새로운 교수 방법의 시도를 통해 기존 수업 방식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블렌디드 러닝을 통하여 극복 가능하다는 가능성을 보게 된 것이다. 이러한 융합 수업에서 인공지능, 빅데이터, VR 응용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기존의 빅데이터를 통해 학습자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필요한 학습 방법을 추천해 줄 수도 있고, VR을 통해 다양한 장소를 현실감 있게 체험할 수도 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더욱 활용범위는 광범위해질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교육과 4차 산업 기술의 개념과 융합 방안에 대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문헌 연구를 통하여 당위성을 찾고 그에 따른 4차 산업시대 기술을 활용한 미술교육에 대한 기대 효과를 분석하고 분석을 토대로 지도안을 작성하였다하였다. 첫째, 기존의 강의식 미술 수업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수업을 구성한다. 둘째, 학습자에게 4차 산업시대 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인다. 셋째, 새로운 기술을 응용한 미술 활동을 통해 미술 교과에 대한 흥미를 높인다. 위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미술 교육과 4차 산업 기술의 융합 수업에 대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지도안은 발달 단계와 교육과정 내용을 고려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작성하였다. 체험영역의 수업에서는 유니머시브와 제페토를 활용하여 가상으로 구현된 공간을 탐방하며 메타버스와 빅데이터의 개념에 대하여 학습하고 타 문화권의 도시 문화에 대한 분석과 미술관 관람을 통해 미적 체험을 유도한다. 표현 영역 수업의 경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개념에 대하여 학습할 뿐만 아니라 추천 이미지 활용과 적절한 배치를 통해 화면을 구성하며 작품 구상 및 공간 배치 능력을 향상한다. 감상영역의 수업에서는 VR 전시를 관람 및 학습하고 작품을 해석한다. 이러한 수업을 통하여 감상 영역에서는 VR 기술을 활용한 체험형 프로그램에 대하여 학습하고, 이를 학습자가 문화생활을 향유하면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긍정적인 시야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는 4차산업 기술을 활용한 지도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미술교육에 대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고 새롭게 개발되는 고차원적인 과학 기술을 활용해 4차산업 시대의 기술이 활용되기 이전의 미술교육의 한계점을 보완해 나가도록 하는 데 의의가 있다.

      • Does attentional shift by dual task influence visual working memory?

        김소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Directing spatial attention to memory representations improves the memory performance when spatial information is task-releva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is attentional effect holds when spatial information is task-irrelevant. We prepared two versions of visual working memory task based on the task-relevance of spatial information, and presented a secondary task to shift the locus of spatial attention during the retention interval. In the change-detection task, in which spatial information is task-relevant, participants judged whether a probe item was the same with or different from the memory item presented at the probe’s location. In the recognition task, in which spatial information was task-irrelevant, the other group of participants judged whether a probe item was present or absent in a memory array regardless of its position. As a secondary task, all the participants were given a circular patch and asked to discriminate its color while holding the memory representations. The patch was presented at one of the three possible locations. In the congruent condition, the patch was presented at the memory target location. In the incongruent condition, it was presented at one of the non-target locations. In the neutral condition, the patch was present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In Experiment 1, we found that the recognition of the memory target was impaired in the congruent condition than the other conditions. But we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results in the change detection task. Concerned about the confounding factors like the attentional load and the predictability of the secondary task, we conducted Experiment 2 by adding a short delay with the previous one. Nevertheless, we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results in all the conditions of both memory tasks. Based on these results, we described the confounding factors contaminating the results and suggested the future studies to explore our hypothesis more clearly.

      • Impact of task switching probability to active reconfiguration processes

        Lee, Wootek Sungkyunkwan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ask switching paradigm, previous studies showed increased reaction times in the task switch trials, compared to the repetition trials. However, this increased reaction times can be reduced with a sufficient amount of preparation interval and information about the upcoming task switch trials. We performed experiment to find out behavioral and neural evidence that reflect modulation of active task reconfiguration processes. We managed to modulate participants’ intrinsic expectation about task switch without extrinsic cue or fixed probability manipulation. This modulation was shown by decreased reaction times in high task switch expectancy trials. Moreover, CNV component was found in the preparation interval when task switch is highly expected. Additionally, this preparation induced by intrinsic expectancy directly modulated participants’ behavior by shifting attention toward expected target location prior to target onset. This result provides evidence that we successfully induced active task reconfiguration processes before target onset, while minimizing passive, memory related processes with our unique experimental paradig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