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Community Acceptance and Perception of Large Scale Solar in Malaysia : A Case Study of Selangor

        Syuhada Binti Sulong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With the introduction of Large-Scale Solar (LSS) in Malaysia, it is imperative to know what the acceptance and perception of locals to the Government initiative are.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community acceptance and perception of LSS in Banting district, with a total of 201 samples. The study discovered that respondents have strong acceptance of LSS. Although, their perception of LSS is either on neutral or agreeable level.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but weak relationship between respondents’ acceptance and perception. The relationship demonstrated that distance are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among other community perceptions variables when correlated with community acceptance. Close proximity with LSS plant exhibits positive relationship with acceptance, where respondents wanted to be with involv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s the top ranked among other variables. This indicates that the government efforts to increase the community acceptance of LSS are embraced by the public, as the respondents are moving away from NIMBYism. However, communities should be allowed to be participated in the planning process of LSS plants. This study provides a glimpse of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acceptance and perception of LSS, which is rarely being studied, especially in a developing country. 말레이시아에 대규모 태양광(LSS: Large-Scale Solar)이 도입됨에 따라 정부 시책에 대한 현지인의 수용과 인식이 어느 수준인지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총 201개의 표본을 기반으로 반팅(Banting) 지역 내 LSS에 대한 지역사회의 수용도 및 인식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응답자들이 LSS를 적극적으로 수용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반면, LSS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은 중립적이거나 적절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응답자의 수용과 인식 사이에 유의미하지만 약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해당 관계는 지역사회의 수용과 상관관계가 있을 때 거리가 지역사회 인식 변수 중 가장 중요한 변수임을 보여주었다. LSS 플랜트와의 근접성은 응답자들이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분야로써 기타 변수 가운데 가장 상위에 오르며 수용과 긍정적 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응답자들이 님비주의(NIMBYism)와는 멀어지면서 LSS에 대한 지역사회의 수용을 개선하려는 정부의 노력이 대중에게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지역사회는 LSS 플랜트의 계획 과정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특히 개발 도상국에서 거의 연구되지 않은 LSS에 대한 지역 사회의 수용과 인식 간의 관계를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정동 중심의 시 창작 체험 교육 연구

        김혜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학습자가 전 생애에 걸쳐 지속적이고 주체적으로 시 문학을 향유하는 능력과 태도를 갖출 수 있는 시 교육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가 시 텍스트와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정서적 힘인 ‘정동’에 주목하여 정동 중심의 시 창작 체험 교육을 제시하였다. 문학교육에서 학습자의 주체적 참여를 위한 교육적 노력은 오래 지속되었다. 이는 학습자가 시 텍스트를 전유할 수 있는 주체임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실현되기가 어렵다는 점도 증명한다. 이러한 문제를 타개하기 위하여, 본고는 학습자가 시 문학에 대한 수용과 생산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요소로 정동에 주목하였다. 우선 정동이란 두 신체 간에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잠재적 힘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동 작용은 주체가 타자로부터 강도 높은 자극을 자신의 신체에서 감각할 때 정서적으로 동요함으로써 이를 의식하기 위한 노력을 유발하는데, 그 결과 두 신체가 상호주체적으로 변화하는 변이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정동은 각각의 신체가 지니는 맥락에 따라 유동적이고, 그렇기 때문에 잠재적인 다수성을 지니는 가상세계를 창조적 사유로 현실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논의에 따라, 본고는 정동을 시 감상에서 창작에 이르는 일련의 체험을 능동적으로 이끄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정동의 특성에 기반하여 시 창작 체험의 참여자인 시 텍스트와 학습자의 신체를 재개념화하고, 시적 체험이 지니는 상호주체성에 대해 구체화하였으며, 변이가 지니는 잠재적 다수성은 곧 시적 언어가 지니는 다의성 및 애매성으로 논증하여, 정동 중심의 시 창작 체험의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시 감상 및 창작에 대한 시 교육적 논의와 연계하여, 정동 중심 시 창작 체험의 구도를 ‘학습자 감수성에 의한 시적 자극의 감각’, ‘변이 생성을 위한 시 창작 맥락 내 타자 인식’, ‘정동의 현실화를 위한 상상의 시적 언어화’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실제 학습자가 시 텍스트와 관계를 형성하는 정동 작용을 어떠한 영향 요인에 따라 활성화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구성적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실험을 설계하였다. 본 실험은 이론적 검토를 통해 설계되었지만 자료 분석 결과에 따라 이론을 도출한다는 점에서 상호 보완적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을 통해 도출된 학습자 양상을 분석한 결과, 시적 자극의 감각을 통해 시상을 착상하는 과정에서 의미의 애매성과 경험의 환기, 감각 표현의 수용, 미적 판단에 대한 시적 표현 욕구의 인식 등이 정동 작용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시 텍스트와의 정동 작용을 통해 의미를 차별화하는 과정에서는 비평 공동체, 시의 화자, 시적 대상, 예상 독자 등을 관계의 타자로 인식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시 텍스트로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상상의 창조적 사유는 시적 공간을 형성하고 허구적 이야기 맥락을 재구성하며, 이미지를 창조하여 시적 표현을 형상화하고 의미와의 연계에 의해 형식을 구안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은 의미, 정서, 표현, 형식의 변이로서의 정동 작용에 의해 형상화되었다. 그런데 시적 자극 감수의 실패, 시 텍스트와의 상호주체적 교류의 실패, 예술 기호 형성으로서의 시적 표현의 실패로 인하여 정동 중심의 시 창작 체험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한 학습자들도 있었는데, 이러한 양상에 대한 교육적 처치이자 앞선 학습자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본고는 정동 중심의 시 창작 체험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이론화하였다. 먼저 목표는 감상과 창작의 연계를 통한 주체적 체험의 활성화, 정동의 창조성을 통한 시적 체험의 확장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교육 내용으로서 먼저 정동의 의식화를 위해 시에 대한 감수성의 민감화를 위한 가상 공간 형성, 의미 혼란의 대상 확인을 통한 긍정적 지각, 유동적・복합적 체험에 대한 표현 실천으로 그 내용을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정동 작용을 통해 시를 차별적으로 수용하는 변이 형성을 위하여 공감적 읽기, 비판적 읽기, 창조적 읽기에 따른 내용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정동 작용을 시적 언어로 표현하기 위하여 감정 환기적 진술, 비유적 이미지, 행과 연의 배열을 교육 내용으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정동 개념을 시 교육에 적용하여 시 텍스트와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체험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라 학습자가 주체적인 시 문학 향유자로서 위치할 수 있는 시 창작 체험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구안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etry education that allows learners to have the ability and attitude to continuously and independently enjoy poetry throughout their lives. To this end, in that, it is important to form a relationship where learners can actively communicate with poetry texts, Affect, an emotional force that can influence each other, was presented. In literary education, educational efforts for the subje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continued for a long time. This also proves that although the learner is the subject who can appropriate the poem text, it is difficult to realize.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paper focused on Affect as an element that allows learners to participate in the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poetry. First of all, Affect means the potential power to influence the two bodies. This Affection induces an effort to be aware of the subject's emotional agitation when he or she senses a strong stimulus from the other person in his or her body, resulting in a transition in which the two bodies change intersubjectively. Therefore, Affect is flexible according to the context of each body, so the virtual world with potential polymerism is realized as a creative reason. Following this discussion, this study saw that Affect could act as a force that actively leads a series of experiences from poetry appreciation to writing. Therefo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ffect, the body of the poetry and the learner was re-conceptualized, the intersubjectivity of the poetic experience was embodied, and the potential polymerism of the transition was demonstrated by the diversity and ambiguity of the poetic language, and the elements of Affect-Based Poetry Writing Experience Education were derived. In addition, in connection with the poetry educational discussion on poetry appreciation and writing, the composition of the Affect-Based Poetry Writing Experience was set as a 'sense of poetic stimulation by learner sensitivity', 'recognition of others in the context of poetry writing', and 'expression in the poetic language of imagination for the realization of Affect'. Accordingly, this study designed an experiment according to the constructive grounded theory method to examine what influencing factors can activate the Affection that forms a relationship with poetry.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hrough theoretical review, but it was complementary in that the theory was deriv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arner's pattern derived from the experiment, in the process of getting an idea of the poetic concept through the sense of poetic stimulation, the ambiguity of meaning, the evocation of experience, the acceptance of sensory expression, and the perception of the desire for poetic expression for aesthetic judgment were found to Affection. In the process of differentiating the meaning through this affection with the poetry, the critical community, the expected reader, the speaker of the poem, and the poetic object were recognized as others in the relationship.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haping poetry text, imaginary creative thoughts formed a poetic space, developed a fictional narrative, created images to shape poetic expressions, and devised forms by linking them with meaning. This process was shaped by affection as a transition of meaning, emotion, expression, and form. However, due to the failure of poetic stimulation, intersubjective exchange with poetry texts, and the failure of poetic expression as an art symbol, some learners could not smoothly experience poetry centered on the Affect. Based on the educational treatment of this aspect and the analysis of previous learner aspects, this study theorized the goals and contents of Affect-based poetry writing experience education. First, the goal was set to activate the subjective experience through the connection of appreciation and writing and to expand the poetic experience through the creativity of the Affect. As educational content, the contents were first prepared by forming a virtual space to sensitize sensitivity to poetry, positive perception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objects of semantic confusion, and expression of fluid and complex experiences. Next, content according to sympathetic, critical, and creative reading was proposed to form a transition that differentially accepts poetry through affection. Finally, to express this affection in poetic language, it was intended to provide emotional evocative statements, figurative images, and arrangements of lines and stanzas as educational content. By applying the concept of the Affect to poetry educ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what factors can lead to the experience of actively influencing poetry texts and learners. Accordingly, it is meaningful that the goal and content of poetry writing experience education, which can be positioned as an independent poet and literature enjoyer, were devised.

      •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해석공동체 소통 중심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김소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 교육에서 해석공동체 소통에 주목하고 학습자가 해석공동체 소통을 통해 능동적 문학 주체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교육을 구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제 한국어 학습자들은 개인적 시간을 활용하여 한국 문학을 접하기보다 한국어 교실 수업을 통해 한국 문학을 접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집단적 독자로서의 특성이 면밀하게 탐구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한국 현대시 교육에서 해석공동체 소통의 작용 구조를 체계화하고, 실제 학습자의 질적 자료를 통해 세부적인 작용 양상을 밝히고 교육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해석공동체 소통 중심의 현대시 교육을 이론적·실천적 층위에서 탐구하였다. 해석공동체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해석 공유 행위가 일어나는 소통의 장이다. 학습자들은 해석공동체에서 자신의 해석을 공유하고 구성원과 상호작용함으로써 해석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제고한다. 그러나 적절성과 타당성이 제고되는 과정은 복합적인 요소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해석공동체의 다양한 ‘힘’들이 긴장을 이루면서 작동한다. 특히 한국어 학습자로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중국인 학습자의 해석공동체 소통 맥락에 작용하는 요소는 더욱 복잡하고 다층적이다. 이 연구는 해석공동체를 해석 관습을 공유한 사람들이 특정한 방식으로 텍스트를 읽어가는 공동체인 동시에 그러한 관습에 대한 성찰이 이루어지고, 다양한 해석 자원을 둘러싼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한 명의 학습자는 복수의 공동체에 속할 수 있으며, 한 공동체 내에서도 층위의 구분이 생길 수 있다는 점에서 해석공동체의 가변적 속성에 주목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한국 현대시 교육에서 해석공동체를 재개념화하고, 해석공동체의 특성을 ‘공유된 문화모형에 의한 집단성과 해석 주체의 개별성’, ‘사회적 상호작용 공간의 상황성과 경계의 가변성’, ‘중국인 학습자 해석공동의 특수성과 이질성’으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중국인 학습자 해석공동체 소통의 작용 구조를 ‘해석공동체의 공동 인식에 기반한 상호작용’, ‘해석공동체 내 차이 조율 중심의 상호작용’, ‘해석공동체 소통의 순환을 통한 내적 역사성의 형성’으로 밝혔다. 이상의 논의에 기반하여 Ⅲ장에서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결과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 해석공동체 소통의 실제를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를 큰 범주에서 ‘해석공동체의 공동 인식에 기반한 공적 이해의 형성’, ‘해석공동체 차이 탐색을 통한 의미 조율’, ‘해석공동체 소통 경험의 축적에 따른 내적 역사성의 형성’으로 나누었다. ‘해석공동체 공동 인식에 기반한 공적 이해의 형성’은 학습자들이 공유된 해석 관습을 조회하면서 자연스럽게 공동의 이해를 구축하거나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경험을 활성화함으로써 공동의 해석 지향을 조성하고, 해석공동체 주류 담론에의 포섭을 통해 자신의 반응을 조정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해석공동체 차이 탐색을 통한 의미 조율’은 여러 가지 해석 담론이 공존함으로써 해석이 분화되거나 해석 간의 갈등 관계가 드러나는 양상, 해석공동체에서 공유되는 해석의 다양성을 인식함으로써 해석 태도를 조정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해석공동체 소통 경험의 축적에 따른 내적 역사성의 형성’은 통시적 관점에서 해석공동체 소통의 성격을 살펴볼 수 있는 양상이다. 학습자들은 교차적 소통을 통해 해석 지평의 전환을 경험하기도 하였고, 네 편의 텍스트에 대한 해석 경험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한국 현대시에 대한 장르 인식을 내면화하기도 하였고, 한국 현대시 해석 경험을 포함한 포괄적인 경험을 총체적 구조 속에서 인식함으로써 자신의 해석 지평을 재정립하기도 하였다. 학습자의 양상 분석에서 확인된 가능성과 시사점을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해석공동체 소통 중심의 한국 현대시 교육 방안을 구안하였다. 해석공동체 소통 중심 한국 현대시 교육의 목표는 ‘한국 현대시에 대한 능동적 해석 능력 신장’, ‘한국 현대시를 통한 문학 소통 능력의 신장’, ‘다각적 해석 경험을 통한 역동적 사고 능력 향상’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은 ‘해석공동체 소통을 위한 반응의 생성’, ‘해석공동체에서의 주체적 소통을 통한 반응의 조정’, ‘해석공동체 소통 경험에 대한 메타적 인식 형성’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가 공론의 장에서 자신의 해석을 공유하는 행위에 주목하였고, 다양한 상황 맥락을 설정하여 해석공동체 소통에 참여하는 중국인 학습자의 일반성과 특수성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mmunication within the modern educational community that interprets Korean poetry for Chinese learners and to devise education that allows learners to grow into active literary subjects through this communication. We should investigate Korean language learners collectively in that they get in touch with Korean literature together with their classmates in Korean courses rather than do it privately. This study explored modern poetry education centred on communication in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theoretically and privately, systematized the working structure of that communication in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and revealed detailed working patterns through actual qualitative data of the learners.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is a place of communication where Chinese learners share their interpretations of Korean poetry. Learners improve the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of interpretation by sharing their interpretation in the community. However, the process of enhancing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is quite involved, so the various “strength”of the community work in tension. In particular, since the authors of the interpretation are Korean learners, the situation becomes more complex and multilayered. We defined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as a community in which people who share interpretation customs read the text in a specific way while reflecting on such practices and dynamic interactions among various interpretation resources. In addition, we also focused on the fact that one learner may belong to multiple communities and there may be a hierarchy within one community. By reviewing relative literature, we re-conceptualized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in modern Korean poetry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were presented as “collectivity by shared cultural model and the individuality of interpretation subject,” “variability of context and boundaries as a social interacting space,” and “specificity and heterogeneity as an interpretation community for Chinese learners.” Next, the structure of the communication within the community was “interaction based on a joint perception of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interaction centred on compromises of the differences within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and “formation of internal history through the cycle of communication within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on senior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Chapter III discusses the actual communication of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of Chinese learners. The results of this discussion were divided into “formation of public understanding based on the common perception of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compromise between different meanings in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and “formation of internal historicity through the accumulation of communication experience for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Formation of public understanding based on a communal perception of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begins as learners naturally build common understanding or actively share experiences by inquiring about shared interpretation customs and adjusting their responses by including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in the mainstream discourse. “Compromise between different meanings in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turns out to adjust the interpretation attitude by recognizing the diversity of interpretations shared in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as abundant interpretation discourses coexist. “Internal historicity through the accumulation of communication experience for the interpretation community”is an aspect by which we can examine the nature of communication within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Learners experienced a transformation of interpretation horizons through cross-communication, they also internalized genre perception of modern Korean poetry by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pretation experiences of four texts and redefined their interpretation horizons by recognizing the overall experience of modern Korean poetry.  Based on th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confirmed in the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earners, we devised a modern Korean poetry educational plan centred on communication within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of Chinese learners. We also set “improving active interpretation ability of modern Korean poetry,” “improving literary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modern Korean poetry,” and “improving dynamic thinking ability through multifaceted interpretational experience” as the goal of modern Korean poetry education centred on communication within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Then we presented the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achieve these goals as “creation of responses for communication within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adjustment of responses through subjective communication with interpretational discourse,” and “formation of meta-awareness of communication experience within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focused on the behaviour of Chinese learners sharing their interpretations in the public debate and examined how Chinese learners communicating in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revealed their generality and specificity by setting various contexts.

      • 시적 몽상을 중심으로 한 시 읽기 교육 연구

        김효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시 읽기 교육이 시의 언어를 통해 환기되는 대상의 경험적인 성질을 질적으로 변형하며 시를 읽는 학습자의 상상 활동에 주목해야 한다고 보고,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개념으로 시적 몽상의 개념을 도입하여 시적 몽상을 중심으로 한 시 읽기 교육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시 교육에서 학습자의 상상에 대한 기존 연구들과, 문학 언어에서 기표와 기의의 멀어짐 및 오독에 관한 논의들을 검토하여 ‘몽상’ 개념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몽상의 개념은 기존 시 교육에서 논의된 ‘상상’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이지만, 기존 시 교육에서는 텍스트가 제안하는 상상의 경로가 비교적 구체적인 경우에서의 학습자의 상상 활동에 주목해온 면이 있다. 즉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시와 관련된 다양한 연상을 활성화하거나, 경험적인 대상에 깊은 가치를 부여하며 그 내부를 질적으로 변형하는 상상 활동은 상대적으로 덜 다루어져 왔으며, 이와 관련해 일어날 수 있는 풍부한 시 읽기의 가능성 역시 주목받지 못한 면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바슐라르의 상상력 논의에 주목해 몽상의 개념을 ‘어떤 대상을 형태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물질적‧운동적 특성을 변형할 수 있는 것으로 보며, 대상의 내밀한 영역에 대한 주관적 가치 부여를 통해 대상 및 그를 둘러싼 배경을 질적으로 변화시키는 상상’의 활동으로 개념화하였다. 한편 시 읽기 과정은 텍스트에 내포된 시인의 상상력과 독자의 상상력이 서로 만나 영향을 주고받으며 역동적인 의미를 산출해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 읽기 교육에서 몽상의 활동은 시 텍스트와의 대화를 거칠 때 비로소 가치 있는 문학 경험이 된다고 보고, 시적 몽상의 개념을 시 텍스트와의 대화 속에서 몽상하며 그것을 의미화할 수 있는 능력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바슐라르의 상상력 논의에 근거하여 시적 몽상의 구조를 ‘형태적 상상에 기반한 시적 대상의 형태적 모호성 감지, 시적 대상의 내부 영역에 대한 주관적 가치의 투사와 대상의 역동화’, ‘시 텍스트와의 대화를 통한 몽상의 의미화’로 제시하였다. 시적 몽상을 중심으로 한 시 읽기의 양상의 경우, 시적 몽상의 구조와 학습자의 시 수용물 분석을 연계하여 다음과 같이 범주화하였다. 첫째, 시적 대상의 형태적 모호함 감지에 따른 대상 관계의 연상적 탐색은 학습자의 형태적인 연상의 유무 및 그 의미화 수준에 따라 시적 대상의 형태적 모호함 감지, 형태적 유사성에 기반한 대상 관계의 탐색, 이미지의 자유 연상과 의미 구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적 대상의 내부 영역과 가치의 결부 및 대상의 역동화는 대상의 비가시적인 특성 및 내부 영역에 대한 학습자의 가치 부여 또는 몰입 정도에 따라 촉각적 특성 환기와 이미지의 연상, 대상의 내부에 대한 가치의 은유적 투사, 대상의 경계선과 주변 영역에 대한 운동성 부여로 나타났다. 셋째, 텍스트와의 대화를 통한 몽상의 형상화 및 의미화는 시 텍스트 전체의 언어 표현을 세밀하게 의식하며 의미화하는 과정의 유무에 따라 텍스트의 맥락에 기반한 몽상의 형상화, 텍스트와의 대화를 통한 몽상의 의미화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시적 몽상 과정에서 일어난 문제 상황과 원인의 경우 합리주의적 태도로 인한 시적 대상의 형태적 모호함 감지 실패, 시적 대상에 대한 심미적 거리 조절 실패에 따른 몽상의 비활성화, 몽상 내용에 대한 자신감의 부족으로 인한 텍스트와의 대화 실패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시적 몽상을 중심으로 한 시 읽기의 교육 내용으로 친모호성을 통한 시적 대상의 형태 형성 지연, 은유의 활용을 통한 몽상의 방향 설정, 텍스트와의 대화를 위한 동기화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법으로 대상의 형태 형성 지연을 위한 시각 자료의 제공, 사물 내부의 상상적 지각을 위한 ‘되기’와 현미경 체험, 텍스트와의 대화 가이드 활용, 질문 및 해석 기반의 교실 내 대화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시적 몽상을 중심으로 한 시 읽기 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상상적 사고를 추동하고, 시의 언어에 대한 학습자의 관여를 확대하여 텍스트의 창조적 의미화 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believes that poetry reading education should focus on the imaginative activities of learner who reads poetry qualitatively transforming the empirical properties of an object. As a concept that can explain these,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poetic reverie’ and aimed to project poetry reading education focused on ‘poetic reverie’. In this study, the need for the concept of ‘reverie’ was derived by reviewing existing studies on learners’ imagination in poetry education and discussions on the distance between signifier and signified, and misreading in literary language. The concept of ‘reverie’ is included in the concept of ‘imagination’ discussed in existing poetry education. However, in the existing poetry education, there is an aspect of paying attention to the imaginative activities of learners when the path of imagination suggested by the text is relatively specific. In other words, imaginative activities in which learners voluntarily activate various associations related to poetry or give deep value to the poetic objects and qualitatively transform the internal have been relatively less dealt with, and the abundant possibilities of poetry reading that can occur in this regard also have not been noticed. In this regard,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Gaston Bachelard’s discussion of imagination and conceptualizes ‘reverie’ as ‘an imaginative activity of seeing an object as not fixed in form but as capable of transforming its material and dynamic properties, and qualitatively transforming the object including its surroundings, by giving subjective value to the internal area of the object’.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reading poetry can be said to be a process in which the imagination of the poet, which is contained in the text, and of the reader meet each other, influence each other, and produce dynamic meaning.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activity of reverie in poetry reading education becomes a valuable literary experience only when it goes through a dialogue with poetry text, and sets the concept of ‘poetic reverie’ as the ability to reverie and make meaning of reverie in a dialogue with poetry text. Then, Based on Bachelard’s discussion of imagination, the structure of poetic reverie was presented as ‘detecting the formal ambiguity of the poetic object based on the formal imagination’, ‘projecting subjective values into the internal area of the poetic object and dynamizing it’, ‘realizing the meaning of reverie through dialogue with poetry text’. The aspects of poetry reading of leaner focused on poetic reverie were categorized as follows by linking the structure of poetic reverie and the analysis of the learner's poetry reception data. First, ‘the associative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formal ambiguity of the poetic object’ appeared as ‘detecting the formal ambiguity of the poetic object’, ‘searching for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based on formal similarities’, ‘free association of images and composition of meaning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mal associations by learners and their level of meaning. Seco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ternal area of the poetic object and the value, and the dynamization of the object’ appeared as ‘the evocation tactile qualities of the object and the association of images’, ‘the metaphorical projection of specific values into the internal area of the object’, and ‘the endowment of dynamic quality to the boundary and the surrounding area of ​​the object’, depending on the learner's level of giving value to the invisible qualities of the object and the internal area of it. Third, ‘the figuration and meaning realization of reverie through dialogue with text’ appeared as ‘the figuration of reverie based on the context of the text’, ‘realizing the meaning of reverie through dialogue with the tex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re is a process of making meaning with a detailed awareness of the language expression of the entire poem text. Lastly, the problem situations and causes that occurred in the course of learners' poetic reverie were analyzed as ‘failure to detect the formal ambiguity of the poetic object due to rationalistic attitude’, ‘inactivation of reverie due to failure to control the aesthetic distance to the poetic object’, and ‘failure to dialogue with the text due to lack of confidence in the content of reverie’. Through analysis, the content of poetry reading education focused on poetic reverie were suggested as ‘delaying the figuration of the poetic object through familiarity with ambiguity’, ‘setting the direction of reverie through the use of metaphor’, and ‘motivating learners to have dialogue with the text’. As specific methods for this, ‘the provision of visual materials to delay the figuration of the object’, ‘‘becoming’ and microscopic experience for imaginative perception of the internal area of the object’, ‘the use of guides for dialogue with the text’, and ‘activation of dialogue in the classroom based on questions and interpretations’ were sugges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poetry reading education focused on poetic reverie can promote learner-centered imaginative thinking, expand the learners' involvement in the language of poetry, and enhance their ability to creatively realize the meaning of poetry.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의 이미지 교육 연구 : - 의상(意象) 인식을 중심으로 -

        마쟈오쟈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의상 인식을 적용한 현대시의 이미지 이해의 양상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교육의 방안을 구안하였다. 중국의 자국어 교육은 고전문학에 치우쳐 있어 중국인 학습자는 현대시 이미지에 대한 학습 경험과 지식이 부족하다. 또한 의상의 학습 경험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는 의상에 대한 의미를 중심으로 시를 탐구하는 인식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의상은 중국 고전시사의 교육 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요소로서 전통을 계승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중국인 학습자는 의상에 대한 의미지향적인 패러다임에 기대어 현대시의 이미지 이해에 적용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중국인 학습자가 의상과 관련된 지식을 적절히 동원하여 현대시의 이미지를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시를 향유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구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동안 혼용되어 왔던 이미지와 의상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하고 비교하였다. 비교한 결과 의상은 '의'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인데 반해, 이미지는 감각적 경험의 재현, '상'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의상 인식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의 이미지 이해의 가능성을 이미지와 의상이 전경화된 시어가 비슷하다는 점과 가다머의 해석학 이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다음, 의미를 중심으로 탐구하는 의상 인식을 통해 이미지의 의미를 기초적으로 추론하여 이해할 수 있다는 점, 이미지의 특징을 고려한 감각적 인식이 필요하다는 점, 의상의 의경 인식을 통해 이미지를 연결한 시 전체에 대한 이해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의상 인식을 활용한 이미지 이해의 원리를 '의미 중심 사유 도식의 적용을 통한 핵심 이미지의 의미 구성', '감각적 인식의 추동을 통한 세부적 이미지 이해의 형성', '전체 구성 인식의 활용을 통한 이미지의 연결'이라는 세 부분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중국인 학습자의 이미지 이해 양상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의상의 의미 중심 탐구 인식을 통한 이미지의 의미 추론을 '의상의 상징적 의미 활용', '문맥 조회를 통한 의상 인식의 발산적 환기', '사회문화적 맥락의 환기에 의한 의상의 의미 탐구 인식의 적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둘째, 의상의 감각적 인식을 활용하여 이미지 이해의 구체화를 '관련 장면의 환기를 통한 이미지의 재현', '감각적 표현을 통한 정서 표출의 효과 인식', '묘사의 유사성을 통한 정서적 인식의 형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의상의 전체 조망 인식을 통한 이미지 이해의 확장을 '개별 이미지에 의한 자국어 시의 의경 적용', '전체 이미지의 생성에 의한 의경 인식의 적용', '이미지의 상상적 연합에 의한 의경 인식의 적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Ⅲ장 양상에서 드러난 이미지 이해의 한계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이미지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다. 교육의 내용은 '이미지 이해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텍스트 내의 관계망 인식', '이해의 활성화를 위한 의상과 이미지 간 긴장 관계 탐구', '이해의 확장을 위한 개인의 감각적 경험의 연결 짓기'로 구안하였다. 설정한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 이미지 교육의 방법에서 우선 중국인 학습자의 의상 인식을 적극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것과 비교해 볼 수 있는 현대시 텍스트를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교수-학습의 방법을 '매체언어의 도입을 통한 이미지 생성의 활성화', '의상과의 비교를 통한 이미지 이해의 조정 및 구체화', '해석 담론 공유 및 메타적 성찰을 통한 인식 지평의 확장'으로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 현대시의 이미지 이해 과정에서 자신의 지평을 조정하여 새로운 해석 경험을 얻음으로써 지식과 경험 지평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를 통해 얻은 해석을 의상과 자연스럽게 비교하여 학습자의 한국 문학 이해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가 이미지를 이해할 때 한국 현대시의 이미지와 자신의 의상 인식 간의 이질성을 발견하게 되고, 더 나아가 자신이 가진 지평의 한계점을 깨닫게 되어 자신의 고착화된 인식 체계에 대해 반성하게 된다. 이로써 반성적 사고 능력도 신장될 수 있다. This study revealed the aspect of understanding the image of modern poetry by applying the Yi-Xiang recognition of Chinese learners, and through this, a plan for education was devised. China's native language education is biased toward classical literature, so Chinese learners lack the learning experience and knowledge of modern poetry image. In addition, through the learning experience of Yi-Xiang, Chinese learners formed an awareness of exploring poetry centering on the meaning of Yi-Xiang. In addition, since Yi-Xiang i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educational field of Chinese classical poetry history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inheriting tradition, Chinese learners tend to lean on the meaning-oriented paradigm of Yi-Xiang and apply it to understanding the image of modern poetry. Taking note of these points, this study intends to devise an educational plan that allows Chinese learners to actively understand the image of modern poetry and enjoy poetry by appropriately mobilizing knowledge related to Yi-Xiang. For this purpos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image and Yi-Xiang that have been used interchangeably have been collected and compar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Yi-Xiang emphasizes the aspect of 'meaning', whereas the image emphasizes the representation of sensory experience.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image understanding in Korean modern poetry using Yi-Xiang recognition was examined through the similarity of poetic language in which image and Yi-Xiang are foregrounded and Gadamer's hermeneutic theory. Then, the meaning of the image can be basically inferred and understood through the Yi-Xiang recognition that explores the meaning, the need for sensory recogni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and the entire poem connecting the images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Yi-Jing. Considering that the principles of image understanding using Yi-Xiang recognition are constructed by 'construction of the meaning of core imag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meaning-centered thinking scheme', 'understanding of detailed image by driving sensory perception' ', 'Connection of images by using the recogni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whole'. Based on this, the Chinese learners' image comprehension aspects were examined as follows. First, inferring the meaning of images through the action of search-oriented cognition on the meaning of Yi-Xiang is examined through three parts: 'utilization of symbolic meaning of Yi-Xiang', 'divergent awakening of Yi-Xiang awareness through inquiry of context', 'utilization meaning cognition of Yi-Xiang by awakening socio-cultural context'. second, the materialization of image understanding using the sensory perception of Yi-Xiang is divided into 'reproduction of images through evocation of related scenes', 'recognition of the effect of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sensory expression', and 'formation of emotional awareness through similarity of description'. I looked at it separately. Finally, the expansion of image understanding through recognition of the overall view of the Yi-Xiang is 'applied by individual images in native language poetry', 'applied by the creation of the entire image', 'application of awareness by imaginary association of images'. Based on the limitations of image understanding revealed in Chapter Ⅲ, an image education plan for Chinese learners was designe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were designed as 'recognition of the relationship network within the text to secure the validity of understanding the image', 'exploration of the tension between Yi-Xiang and image to activate understanding', and 'inquiry into individual sensory experience to expand understanding'. Based on the set goals and contents of education, in the method of image education of Korean modern poetry for Chinese learners, first of all, a list of Korean modern poetry text that can actively arouse Chinese learners' perception of Yi-Xiang and compare with it was proposed. Next, the methods of teaching-learning were 'activation of image creation through introduction of media language', 'adjustment and specification of image understanding through comparison with Yi-Xiang', 'expansion of cognitive horizons through sharing of interpretive discourse and meta-reflection' ' was suggested.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Chinese learners can promote the growth of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horizons by adjusting their horizon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Korean modern poetry image and gaining new interpretation experiences. In addition, by naturally comparing the interpretation obtained through the image with the Yi-Xiang, the learner's ability to understand Korean literature can be cultivated. Finally, when the learner understands the image, he discovers the heterogeneity between the image of Korean modern poetry and his own perception of Yi-Xiang, and furthermore, he realizes the limit of his horizon and reflects on his fixed cognitive system. In this way, reflective thinking ability can also be enhanced.

      • 근린환경 및 지역적 특성이 서울시 청년 1인 가구 주거환경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현정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While the propor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2010 due to population aging, non-marriage, and low birth rates, 48.4%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Seoul are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ccounting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particula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living in Seoul are a group of people who enter the housing market at an early age due to education and employment. Due to high housing prices in Seoul,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spend more than half of their monthly income on housing costs and are forced to live in poor housing environments. The government recognizes the housing problem of young people as a serious social issue, and has implemented various supports such as 'Public housing', 'Rent subsidy Project', and 'Deposit Loan'. Howev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se are temporary measures that do not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young peopl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considering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young One-person household's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young households through this study.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eoul Survey (2020 survey year) and was conducted among young households living in Seoul with severe housing problems. First, as a theory review,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young adult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defini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to review the housing status and policy direction of young One-person households and the previous research to derive the idea of this study. Next,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I selected the expected variables that can affect young single households, and set the structure of the research model, analysis method, and assumptions. Before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Considering that the dependent variable is a Likert scale, an order logit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such as neighborhood safety, likelihood of getting help from neighbors, walkability, and commuting to work had a positive impa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subway stations and areas with a density of multi-family housing had a positive effe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The proportion of small houses, semi-detached houses, and the average price of housing have a negative effect o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In this study, the assumptions of satisfaction with walkability (+), average price of monthly rent for housing (-), and density of multi-family housing (-) were adopted, and the assumption of density of multi-family housing (-) was rejected. In terms of policy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long-term stable housing for young people by using existing multi-family housing rather than massively supplying small-scale public housing. Second, we should consider implementing policies to control the rise of not only rent but also service fees to reduce the housing burden on young people. Third, suppor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hysical housing environment where young people are concentrated. In doing this research,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research process. One of the limitations of the Seoul Survey is that it was not analyzed in detail because the survey unit was applied at the autonomous district level rather tha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level. In addition, while this data is based on the latest available data, 2020 was a unique year with high levels of socioeconomic stress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and rapidly changing real estate policies. In particular, a weak point of the study is that it is not clear that the pedestrian and commuting environment is not subjective due to home-based commuters. I expect that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used as a basis for setting up youth housing polic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인구 고령화, 비혼, 저출산 등의 영향으로 2010년부터 꾸준히 증가하는 1인 가구의 비중이 급증하는 와중, 최근 서울시 1인 가구 중 48.4%가 20~30대 청년층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에 거주하는 청년 1인 가구는 교육, 취업 등으로 인해 이른 나이에 주택시장에 나온 집단이라 할 수 있다. 서울시의 높은 주택 가격으로 인해 청년 1인 가구는 월 소득의 절반 이상이 주거비부담으로 고시원, 반지하, 다가구주택 등 열악한 주거환경에 놓이게 된다. 정부는 청년의 주거 문제를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인식하고, ‘역세권 청년주택’, ‘청년 월세지원사업’, ‘보증금 대출’ 등 다양한 지원대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청년의 삶의 질 차원의 개선이 아닌, 한시적인 방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청년 1인 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근린환경 및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영향요인을 종합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통해 청년 주거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서베이(2020년 조사년도 기준)를 활용하여 주거문제가 심각한 서울시에 거주하는 청년 1인 가구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우선, 이론적 고찰로서, 청년 1인 가구의 개념, 주거환경만족도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청년 1인 가구의 주거 현황과 정책 방향 및 기존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본 연구의 착안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예상변수를 선정하고, 연구 모형과 분석방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전에 기초통계량 및 빈도분석,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집단간의 차이, 독립변수간의 상관성을 검증하였다. 종속변수가 리커트 척도임을 고려하여 근린환경 특성, 지역적 특성요인이 주거환경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순서형 로짓모형을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근린환경 특성 중 동네안전도, 이웃에게 도움받을 가능성, 보행편의, 통근/통학환경은 주거환경만족도에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 특성 중 지하철역 수, 다가구·다세대주택이 밀집한 지역일수록 주거환경만족도에 정(+)영향을, 소형주택 비율, 반지하(호), 공동주택 전월세 평균가격은 주거환경만족도에 부(-)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가설 중 <가설1> 보행편의 만족도(+), <가설3> 공동주택 전월세 평균가격(-)은 채택되었고, <가설2> 다가구·다세대주택의 밀집비율<->은 기각되었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소형위주의 공공임대주택 대량 공급보다는 기존 다세대 주택을 활용하여 청년들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공급정책을 필요하다. 둘째, 청년의 주거비 부담을 저감하기 위해 임대료 뿐만 아니라 관리비 상승을 제어하는 정책방안을 강구되어야 한다. 셋째, 청년이 밀집한 저층주거지 중심으로 물리적 주거환경을 중점적으로 개선할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향후 연구를 위해 연구과정에서 가진 연구한계를 제시하였다. 서울서베이의 조사 단위가 행정동 단위가 아닌, 자치구 단위가 적용됨에 따라 세부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최근 자료 기준으로 구득한 자료이나, 2020년은 타 시기와 달리 코로나19의 장기화 및 급변한 부동산 정책으로 인해 사회경제적으로 불안도가 높은 시기이다. 코로나19시기에는 외부환경이 차단된 시기였음에 따라 주거환경 영향요인을 판단하는 기준이 모호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청년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청년주거정책을 구축하는 기반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 서울시 단독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 결정요인과 적정오차범위 이탈요인 분석

        임재남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Real estate officially announced prices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taxes and welfare, and there has been a continuous need for realism due to their low market reflection rate and imbalance. In the past, the government presented a 'Real Estate Officially Announced Price Realization Roadmap' as a way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officially announced prices, setting the realization rate target at 90%. The current government has announced a review and revision plan for the officially announced price realization pla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realization rate starts from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realization rate similar or identical by price range for each type of real estate. In order to do this, an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of the realization rate is necessary. In addition, the 90% realization rate target set by the previous government took into account the deviation of real transaction prices of real estate and the appraisal error of officially announced prices within a 10% error range. Research on the appropriateness of this is needed.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determining factors of the realization rate of officially announced prices and the deviation factors of the appropriate error range, focusing on single-family homes which have been relatively marginalized. The purpose is to present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when determining housing officially announced prices and suggest policy supplements for the housing officially announced price survey and calculation 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2020 real transaction price and housing officially announced price of single-family homes in Seoul to identify the realization rate. First, we review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analyzed existing precedents to set up a research model and analysis method. Then, we analyzed the limitations raised in previous studies and available variables to derive expected variables. Based on this, we conducted basic statistical and frequency analysis and conducted mean difference tests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roups. Finally, we derived the determinant of the officially announced price realization rate of single-family home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zed the deviation factor of the realization rate appropriate error range through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terminant of the realization rate, vertical inequality was found in the officially announced price realization rate of single-family homes,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the land-related variable (location characteristic). On the other hand, building-related variables were insignificant or had low influence on the determination of the realization rat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viation factors of the appropriate error range, the probability of deviating from the appropriate error range of the realization rate was high in the case of low-priced housing, confirming the problem of horizontal inequality. Also, as the transaction ratio (housing turnover rate)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deviation from the appropriate error range was found to increase. The hypotheses set in this study regarding the determinant of the realization rate and the deviation factor of the appropriate error range were largely proven. The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l transaction price (market value)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the officially announced price (appraised value) of single-family homes. Second, a review of the uniform realization rate promotion plan is needed. Third, to improve the fairness and balance of the officially announced price realization rate in the current officially announced price calculation system for single-family homes, a detailed location characteristic survey, standard housing distribution adjustment, and improvement of the housing price standard table are necessary. This study has time limitations using only data from 2020 and limits in types and regions as it only targets single-family homes in Seoul. Also, it can be seen as a limitation that a multilevel analysis was not conducted to understand the fine influence of som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 for improving the officially announced price calculation system for single-family homes and promoting officially announced price realization. 부동산 공시가격은 조세, 복지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그 시세 반영률이 낮고 불균형함으로써 현실화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지난 정부에서는 공시가격 신뢰성 제고 방안으로‘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을 제시하고, 현실화율 목표를 90%로 설정하였다. 현 정부는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을 재검토하고 수정계획을 발표하였다. 고려해야 할 점은, 부동산 유형별 가격대별로 동일 또는 유사한 현실화율의 균형성을 유지하는 것에서 현실화율이 시작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실화율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지난 정부가 설정한 90%의 현실화율 목표는 부동산의 실거래가격 편차와 공시가격 평가 오차를 10%의 오차범위로 감안하였다. 이에 관한 적정성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그동안 주택공시가격 관련 연구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온 단독주택을 대상으로 공시가격 현실화율 결정요인과 적정오차범위 이탈요인에 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는 주택공시가격 결정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을 제시하고, 주택공시가격 조사 및 산정체계의 정책적 보완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단독주택의 2020년도 실거래가격과 주택공시가격을 토대로 현실화율 분석을 통해 진행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고 기존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연구모형과 분석방법을 설정하였다. 그 다음으로 선행연구에서 제기된 한계점과 활용 가능한 변수들을 분석하여 예상 변수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기초 통계량 및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그룹 간 평균 차이 검정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단독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 결정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현실화율 적정오차범위 이탈요인을 분석하였다. 현실화율 결정요인 분석결과, 단독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에 수직적 불공평성의 문제점을 확인하였고,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토지와 관련된 변수(입지특성)로 나타났다. 반면 건물특성 관련 변수는 현실화율 결정에 유의하지 않거나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오차범위 이탈요인 분석결과, 저가주택의 경우 현실화율 적정오차범위를 이탈할 오즈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수평적 불형평성의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거래비율(주택회전율)이 증가할수록 적정오차범위 이탈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중 현실화율 결정요인에 관한 가설과 적정오차범위 이탈요인에 관한 가설은 대체로 증명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거래가격(시장가치)이 단독주택 공시가격(평가가치)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획일적인 현실화율 추진계획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현재의 단독주택 공시가격 산정체계에서 공시가격 현실화율의 형평성과 균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밀한 입지특성 조사와 표준주택 분포조정 및 주택가격비준표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20년의 데이터만을 활용하여, 시간적 한계를 가지며 서울시 단독주택만을 대상으로 한 점이 유형 및 지역의 한계로 작용한다. 또한, 일부 변수의 세밀한 영향력 파악을 위해 다수준 분석을 진행하지 못한 점도 한계로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독주택 공시가격 산정체계 개선방안과 공시가격 현실화 추진계획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Assessing the effects of urban land use changes on public schools and health centers : the case of Port Moresby City in Papua New Guinea

        파울루스 모토로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urban land use on the provision and utilization of public services, specifically schools and hospitals, within Port Moresby City. The primary objective is to explore the changes in land use for development purposes and assess their effects on the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of public educational and healthcare facilities, as well as their implications for city residents. A purposive random sampling method, complemented by a snowball approach, facilitated interviews with 100 respondents, including school teachers, health workers, and long-term residents, employing a series of questionnaire surveys to gather a representative sample.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alysis of variance, this research contrasts the independent variable—urban land use changes—with the dependent variables—effects on public schools and hospitals in Port Moresby City. Additionally,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echniques were utilized to depict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s over time and to identify and map the locations of public schools and hospitals. The findings reveal that land use changes significantly impact the accessibility of school facilities, as evidenced by a p-value of 0.033. Moreover,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overcrowding of public schools and hospitals has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institutions, which impose high fees on the public. The government is encouraged to consider land readjustment strategies as a means to increase the supply of land for the construction of additional public services, such as schools and hospitals, in alignment with the United Nations Habitat's recommended ratio of 1,200 residents per school and hospital. 본 연구에서는 포트모르즈비(Port Moresby) 시 내에서 이루어지는 도시 토지 이용이 공공 서비스(특히, 학교 및 병원)의 제공 및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일차적인 연구 목적은 개발 목적의 토지 이용의 변화를 탐색하고 이 같은 토지 이용의 변화가 공공 교육 및 의료 시설의 가용성 및 접근성과 도시 거주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목적성 무작위 표준 추출과 스노우볼 접근법을 사용하여 교사, 의료 부문 종사자, 장기 거주자를 포함한 응답자 10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일련의 설문조사를 통해 대표 표본을 취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술적 통계와 분산 분석을 통해 독립 변수인 도시 토지 이용 변화와 종속 변수인 포트모르즈비 시의 공립 학교 및 병원에 미치는 영향을 대조하였다. 이에 더해, 지리 정보 시스템(GIS) 기법을 사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토지 이용 및 토지 피복의 변화를 설명하고 공립 학교 및 병원의 위치를 식별하고 매핑하였다. 연구 결과, p 값이 0.033인 것에서 입증되듯이, 토지 이용 변화가 학교 시설의 접근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공립 학교 및 병원의 과밀화가 사립 학교 및 병원의 설립을 촉발하고 공공 서비스의 비용 상승을 야기해 왔다. 정부는 유엔인간주거계획(United Nations Habitat)의 권장 학교/병원당 거주민 비율인 1,200에 맞춰 추가적인 공공 서비스 시설(예: 학교, 병원)을 건립하는 데 필요한 토지의 공급을 증대하는 수단으로 토지 이용을 재조정하는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 도시 지하철 및 역사(驛舍) 특성이 역세권 토지가격에 미치는 영향

        신인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a city where the subway is planned to play a major role in forming the urban spatial structure, such as Seoul, understanding the spatial structure by looking at the station area as a whole will help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station area in the metropolis.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ation area land, urban planning characteristics, railway lin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tations to see how direct and indirect factors of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affect land prices. A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urban planning implications for the provision of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for public benefit as city governments provide and encourage their use. Previous studies have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land prices as geographic, spatial, location, and economic factors, and found that the land price within the station area is not limited to any one factor, but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In addition to the variables used in previous studi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ubway lines and stations were used to analyze the impact of structure and convenience on land prices in station areas.. Ground stations, underground stations, elevated stations, the number of passengers, and the number of entrances can be seen as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convenience of using urban railroads, and if the relationship with land prices is analyzed using this characteristic, the effect of the convenience of station on the price can be identified. This study conducted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us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with only valid variables.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is a 500-meter radius of 300 station areas operating in Seoul, and the temporal range was the data from 2022 of the factors influencing land prices in the station influence area.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 such as the land area and the building area, had a slight positive effect on the land price of the land of the station area. As for the land use variables, it was found that commercial (dummy) and residential commercial (dumm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and price, and land use for other uses (dummy) had little effec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planning, it was analyzed that the land price was positively influenced in the order of the southeast area (dummy), the urban area (dummy), the southwest area (dummy), and the northwest area (dummy). Among the zoning districts, commercial areas were positively affected, while green areas had almost no effect. In the urban railroad characteristics, distance form the stat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land value, but the effect was insignifican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railway lines, Seoul transportation (dummy), KORAIL (dummy), and private ownership (dummy) are each affected positively compared to other lines. In terms of station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passengers and the number of entranc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and price, while the number of transferable routes had little effect. In the structure of the station, ground level stations are not affected, while elevated stations are affected by the negative.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land prices in station areas in Seoul,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railway stations, urban railway characteristics, land characteristics, and urban planning characteristics to identify causal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urban planning implications are that when providing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city governments should be aware of how the direct and indirect factors of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affect the value of land and consider the economic impacts of providing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for public purposes. Land prices are an important factor because they have a decis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urban space, and they are also a barometer for identifying the center of urban space. Therefore, this study on land prices in the region's representative downtown area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ity government's establishment of development policies for downtown areas, and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real estate market stability and even regional development. 서울시와 같이 지하철이 도시의 공간 구조 형성에 주된 역할을 하도록 계획된 도시에서는 역세권을 전체적으로 조망하여 공간 구조를 파악하는 것은 대도시에서 역세권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역(驛) 영향권 범위 내 토지의 개별 특성, 도시계획 특성, 도시철도 노선 특성과 도시철도 역사(驛舍)의 구조 특성으로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여 대중교통 시설의 직·간접적인 요소들이 토지의 가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보고자 하는 것이며 도시 정부가 공공 교통 시설을 공급하고 이용을 독려할 때 공익적 목적의 대중교통 시설의 공급에 대한 도시계획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지가 영향 요소를 지리적, 공간적, 입지적, 경제적 요인으로 분석하여 역세권 범위 내 부동산의 가격은 어느 특정한 요소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변수에 더하여 지하철 노선 특성과 역사(驛舍)의 구조적 특성을 추가하여 구조와 이용 편의성이 역세권 토지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역사의 공간적 입지 구조인 지상역, 지하역, 고가역과 이용객 수, 출입구 수 등의 특성은 도시철도를 이용하기 위한 편의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볼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지가와의 관계를 분석한다면 역사(驛舍)의 이용 편의성에서 발현되는 가격 영향력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다양한 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단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유효한 변수만으로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의 범위로는 서울특별시에서 운영 중인 역세권 300곳의 반경 500m를 공간적 범위로 선정하고 시간적 범위는 역세권의 토지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2022년 시점 횡단면 데이터로 하였다. 그 결과 토지 특성 요인에서 개별 특성인 토지면적, 건축면적은 역세권 범위 내 토지의 공시지가에 미미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토지이용 변수에서 주거용 토지이용을 기준으로 하여 상업용(더미), 주상용(더미) 순으로 토지의 공시지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 답 등의 기타용(더미)의 토지이용은 역세권 토지의 공시지가에 거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계획 특성 중에서 생활권역의 경우 동북권(기준변수)에 비해 동남권(더미)과 도심권(더미), 서남권(더미), 서북권(더미) 순으로 토지의 공시지가에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용도지역은 주거지역을 기준으로 할 때 상업지역은 정(+)의 영향을 받고 녹지지역은 거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철도 특성 요인분석에서 지하철역 거리는 선행연구에서처럼 역사(驛舍)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토지의 공시지가가 내려가는 부(-)의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수준은 미미하였다. 도시철도 노선의 경우 서울교통 여부(더미), 코레일 여부(더미), 민자 여부(더미)는 각각 그 외 노선에 비해 정(+)의 영향력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驛舍) 특성에서 이용객 수와 출입구 수는 토지의 공시지가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승 가능 노선의 수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驛舍)의 구조에서는 지상역은 지하역과 비교할 때 거의 영향을 받지 못하고, 고가역의 경우에는 지하역에 비해 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역세권에 대한 지가 영향 요소 분석을 통해 도시철도 역사(驛舍)의 물리적인 구조 특성과 도시철도 노선 특성, 토지의 특성, 도시계획 특성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 정부는 공공 교통 시설을 공급하고 이용을 독려할 때 대중교통 시설의 직·간접적인 요소들이 토지의 공시지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인지하고 공익적 목적의 대중교통 시설의 공급에 대한 경제적 파급력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도시계획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토지가격은 도시 공간의 개발과 변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이고, 도시 공간의 중심지를 파악하는 바로미터이기도 하다. 따라서 지역의 대표성을 갖는 역세권의 토지가격에 관한 이 연구는 도시 정부가 역세권 개발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여하고, 부동산 시장의 안정과 균등한 지역 발전을 이루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고령인구 증가와 지역경제 성장의 관계를 통한 생산적 노화 실증연구

        추승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고령인구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비롯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고령화 사회의 경제적 및 사회적 파급효과를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고령화는 인구구조의 변화로 사회·경제적 위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나, 이는 단순히 특정 인구집단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인구를 대 상으로 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노년학 분야의 '생산적 노화' 개념을 활용하였다. 고령인구 증가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생산적 노화'로 규정하고, 이를 통해 고령인구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16개 시도를 대상으로 2005년부터 2022년까지의 패널 데이터를 구축하고, 생산가능인구를 '준고령자'와 '고령자'로 분리하여 고령인구의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고령인구를 65-79세와 80세 이상으로 구분하고, 5세 단위로 세분화하여 최근 경향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였다. 패널 분석 결과, 생산가능인구 내에서 연령 차이 에 따른 생산성 하락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65-79세 고령인구는 지역경제 성장과 양(+)의 관계를 보였다. 이는 고령인구의 생산적 노화와 잠재력을 시사하는 결과였다. 그러나 70-74세 연령대 이후부터는 고령인구의 영향이 감소하는 시점이 나타났으며, 추가 근로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일자리의 질적 한계로 인해 긍정적 영향의 정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최근 6개년의 결과에서 고령인구가 지역경제 성장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과거보다 증가하였으나, 단순한 고령층 고용 증가만으로는 지역 경제성장에 한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고령인구의 긍정적 영향 및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고령인구에 대한 일괄적 인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고령인구의 생산적 노화 변화 시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고령자 고용 증가의 효과가 감소하고 있음을 밝혀, 고령인구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정책적 접근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다만 생산적 노화 개념의 적용이 비생산적 고령인구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초래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었다. 이외에도 자료 구성시 시간적 범위 및 변수 설정의 한계가 존재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긴 시계열의 자료 및 고령인구에 대한 추가 조사를 통해 보다 정밀한 해석과 정책적 제안을 제기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인구에 대한 긍정적 가능성과 생산적 노화의 개념을 실증하여, 초고령사회를 대비한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또한 고령인구에 대한 종합적 접근과 제도적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고령인구에 대한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종합적 연구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고령인구에 대한 종합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한 본 연구는 같은 맥락으로 도시적 특성을 반영할 필요를 주장한다. 도시의 변화 및 도시의 특성은 고령인구를 둘러싼 환경적 요소로 고령인구 집단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미래에는 도시적 관점을 반영한 고령인구 정책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negative perceptions of the elder population and present the possibilities of the elder population in light of Korea's rapid aging and entry into an super-aged society. In Korea, the aging is mainly treated as a social problem, and based on negative perceptions of the elder, it is widely believed that the increase in the elder can lead to social and economic crises. However, this study utilizes the concept of 'productive aging' from the field of gerontology to rethink the positive role of the elder By identifying the positive impact of the elder on the local economy,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elder. The government has labeled the aging phenomenon as a "population crisis" and is taking measures to address it.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increase in the elder has a negative impact on economic growth. However, overseas studies that have aged before Korea have shown positive interpretations and new approaches to the aging. In Korea, the field of gerontology has been discussing new roles and possibilities for the elder. However, it has been mainly a theoretical discussion and has not been able to expand to other fields due to the limitations of survey data. For that reason, this study aims to show the potential of the elder by utilizing the concept of 'productive aging' to examine the positive impact of the elder and local economic growth.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on local economic growth by analyzing panel data from 16 cities nationwide from 2005 to 2022. Among the elder, the 'elder (65-79 years old)' group was first identified and subdivided it into five age group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elder on local economic growth. The results of the panel analysis show that the 65-79 year old popul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local economic growth, which suggests the productive aging and potential of the elder. The economic impact of the elder population tends to decrease after the 70-74 year old age group. Given that the results are not significant in the 70-74 age group, and the impact of the 75-59 age group is also lower than before, This study estimates the 70-74 age group as the current inflection point of productive aging. In analysis of the last six years, we found that the impact of all age groups is positive. The results suggest positive possibilities for the aging, and the recent decline in the effectiveness of employment policies for the elderly emphasizes the need for new perspectives and policy approaches to the aging. In particular, it raises the need for policy formulation that reflects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the aging. Limitations of the study include the fact that the use of the concept of productive aging may lead to a distorted perception of the unproductive elderly population, as well as the limited temporal range of the data and the limitations of the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se limitations can be overcome in the future.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sitive possibilities for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concept of productive aging, which is important as a basis for policy formulation in preparation for an ultra-aged society. It also emphasizes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aging population and institutional transformation, and suggests the importance of comprehensive research that considers various aspects of the aging population. In the same vein a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aging population, it also argues for the need to reflect urban characteristics. Urban change and urban character are environmental factors that surround the older population and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ives of this population group.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pose elderly population policies that reflect an urban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