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퇴직근로자의 경업금지약정에 대한 헌법적 고찰

        하지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4367

        오늘날 근로자에게 ‘이직’은 본인의 연봉 상승, 자아실현을 위해 흔하게 시도할 수 있는 일상의 방식이 되었다. 그러나 근로자들의 이직 친화적인 경향이 강화될수록 사용자는 곤란한 상황이 된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영업비밀 등을 공유하며 어떻게 하면 더 좋은 이익을 창출할지 함께 고민해오던 구성원인 근로자가, 함께 공유하던 자신의 전략적 정보들을 이용하여 직접 경쟁자로 나서거나 경쟁자에게 넘어가 자신의 전략을 유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업비밀 등 사업상 중요한 정보를 보호하여 시장에서 자신의 경쟁력을 지켜내기 위해, 근로자와 퇴직 후 경업금지를 내용으로 하는 경업금지약정을 체결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하여 현재 어떠한 규제도 존재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마련한 계약서에 근로자가 동의하는 형태로 계약이 체결된다. 사인 간의 계약은 민법상의 대원칙인 사적자치에 의하여 사인의 영역이고 국가가 개입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퇴직 후 근로자의 경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계약 역시 사용자와 근로자가 동의하여 체결되었다면, 국가는 기본적으로 이를 존중해야 한다. 사인인 사용자와 근로자가 계약을 체결하는데 법률상 위반이 없었고, 협의하여 자유로운 의사에 의하여 체결하였기 때문에 현행 법령상 아무 문제가 없다. 그러나 경업금지약정을 체결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영업비밀 등 중요한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반면, 근로자는 자신의 직업(이직)의 자유를 제한받으며 이에 대한 대가를 지급받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즉, 경업금지약정을 체결하면, 이익이 상대적으로 사용자에게 치중된 상황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황이 현행 법령에 위반되는 것이 없다면, 헌법의 관점에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사적자치의 원칙은 사인의 자유로운 계약 체결을 핵심으로 삼는데, 계약의 결과로 자신의 직업의 자유를 제한하는 경업금지의무를 부담하게 된 근로자가 계약에 동의할 유인이 없다면, 헌법을 수호하는 국가의 입장에서는 계약을 체결한 당사자 간에 실질적인 압박이 있지는 않았는지, 즉 실질적으로 사적자치의 원칙을 벗어나지는 않았는지 의심해보아야 한다. 일방의 자기결정이 보장되지 않아 사인에 의하여 사인의 기본권이 침해되는 상황을 방치하는 것은 사적자치에 대한 존중이 아니라,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 해태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기업이라는 단체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고, 근로자는 개인이기 때문에 협상력이 사용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국가는 상대적으로 협상력이 열위에 있는 근로자의 실질적 자기결정에 초점을 맞추어 양자 모두에게 자유로운 의사에 의한 계약체결이 될 수 있도록 입법적, 사법적 조치를 해야 한다. 구조적으로 힘의 불균형이 내재된 근로관계에서 사인의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보호하기 위한 입법적, 사법적 장치가 부재하면, 협상력이 약한 근로자에게만 부당한 계약을 체결할 위험이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자신의 영업비밀 등을 적절히 보호할 방법이 보장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자신의 정보를 보호할 수 없게 된다. 현실에서 빈번해진 근로자의 직업 이동의 유연성과, 사용자와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무형의 재산 보호 요구가 사적자치의 원칙 아래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인지 헌법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현행의 문제를 분명히 인식하고, 해결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 基本權의 第3者的 效力에 관한 硏究 : 基本權保護義務 理論과 關聯하여

        손성평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34351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theories and judical precedents in Germany and United States of America concerning the problem of Drittwirkung. In Germany, the way of settlement of this problem developed through many theories. So to speak it has been treated as a problem of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So, it is the main argument whether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s has direct effect against private activities or not. However, in united States of America, it is settled that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s has no direct effect against Individual Rights . In order to protect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s against private invasion, several individual Rights are conceived as Governmental activities. The two situations in which constitutional standards are applied to private action are these. The cases in which government is supportively involved in private action by allocating aid, granting power, influencing private person to carry government objectives, enforcing Fundamental Rights by judical action or regulating Individual Rights are the first. And the cases in which private individuals have assumed government power or functions even without formal government involvement are the second. All the state organs are authorized to exercise their power, and it is also the duty to check the violations of other organs. They exercise their power and check each other. The Korea Constitutional Court usually checks the unconstitutionality of a law only when the law is clearly unconstitutional It can't pronounce a law unconstitutional when it has only some defects. It should respect the legislating power of the Congress, because it is composed of the representatives of the people. The fundamental rights can be guaranteed by the efforts of the state as well as the appropriate efforts of individuals. The state is an important protector of individuals rights. The Congress shall make law to concretize the fundamental right, and the other organs shall exercise their power to guarantee the individual rights. But the more we points the importance of the state in the guarantee of individual rights, individual rights become more dangerous because of the abuse its power. We should be aware of the danger of the abuse or misuse of the power of a state

      • 줄기세포치료에 관한 공법적 연구

        임단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4348

        Regenerative medicine is a therapeutic concept that fundamentally replaces human cells or organs whose function has deteriorated or restores them to their original function, and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new alternative to overcome rare and incurable diseases. With the continued interest and research in regenerative medicine, regenerative medicine has been developing remarkably. Especially, in the field of stem cell therapy, it is expected that the related market and industry will grow greatly as six stem cell treatment drugs are licensed worldwide. However, apart from the socio-economic utility and value of stem cell therapies, there still exist problems with bioethical issues and uncertain safety and efficacy. The government is actively intervening in relation to stem cells to safeguard the public from the potential risks arising from these problems. In this paper, the constitutional legitimacy of stem cell regulation is found in the obligation of the government to protect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As a fulfillment of the obligation to protect the lives and health of the people from the risks arising from stem cell research and stem cell treatment, the government imposes regulations on stem cell research and stem cell therapy. Although the restrictions of the government limit the freedom of occupation and academic freedom of related workers, it is constitutionally legitimate in that it is allowed in the constitution to restrict the basic rights within the scope of not infringing the essence of the fundamental rights, are considered to be legitimate. In fulfilling the obligation of the government to protect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Korea largely regulates stem cell research, stem cell therapy and stem cell treatment. Stem cell research must comply with the regulations for ensuring bioethics and safety in research according to the "Bioethics Act." Stem cell therapy is a medical treatment under the "Medical Law" and is protected under the Act except treatment by a non-medical person. However, the safety and efficacy of stem cell therapy can be confirmed only in limited cases by the New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System. Unlike stem cell therapy, stem cell medicine is basically a drug regulated by the Pharmaceutical Affairs Law. Therefore, a stem cell medication can be applied to a patient after receiving clinical drug approval from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linical trial with the approval of the clinical trial plan. In the case of the approval of the clinical trial plan and the approval of the item, if the relevant items are designated as "Notification", there are questions about what characteristics the "Notice" shall have in terms of the administrative law, and whether the approval of the clinical trial plan(clinical protocol) and the approval of the item shall be granted. In terms of academic research, the answer can be derived from the administrative legal discussion of whether it should be considered a permit, exceptional approval, or patent. In addition to approval of clinical trial plans and approval of items, as a postmarketing management system, drug review system, drug revaluation system, stabili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uch as pharmaceuticals, and long-term follow-up survey are applied to stem cell treatment. Based on the review of regulations related to stem cells currently being carried out in Korea, we pointed out the problems of the current regulation as follows,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m. First, stem cell regulation is operated through various notification regulations, so that the stem cell related laws are complicated. To improve this, a separate law on stem cell research and stem cell treatment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stem cell related legal system should be rearranged. Second, regulating stem cells into drugs and medical practices on the basis of "minimal manipulation" cannot reasonably discipline the complex and specialized fields of stem cells. Therefore, stem cells should be specifically classified and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inherent risk of stem cells and the risk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method. Third, because stem cell medicine is a remarkable treatment for its bi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tem cells, it is necessary to improve differentiated clinical trial standards and approval standards from those of general drugs. Fourth, stem cell therapy, except medicines for stem cell treatment, is limited in the current law to guarantee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treatment. There needs to be a way to ensure the safety and efficacy of stem cell therapy so that the public can receive stem cell therapy more safely. In this regard, it is meaningful that the legislation of the "Law on the Support and Management of Advanced Rehabilitation Medicine" has been proposed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legisla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will enact the area of stem cell therapy which had not been enough for legal standard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the safety standards presented in the bill are unclear, and they are subjected to the same procedure without distinguishing the risk of stem cell treatment. 재생의료는 기능이 저하된 인간의 세포나 장기를 근본적으로 대체하거나 원래의 기능으로 회복시키는 치료개념으로, 희귀ㆍ난치 질환 극복을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재생의료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로, 최근 재생의료는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줄기세포치료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6개의 줄기세포치료제가 판매허가를 받는 등 관련 시장과 산업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줄기세포치료의 사회 경제적 효용성 및 가치와 별개로 생명윤리적 문제와 불확실한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들에서 발생하는 잠재적 위험성으로부터 국가는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하고자 줄기세포와 관련하여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줄기세포 관련 규제의 헌법적 정당성을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에서 찾았다. 줄기세포연구 및 줄기세포치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생명ㆍ신체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보호의무의 이행으로서 국가는 줄기세포연구 및 줄기세포치료에 규제를 가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와 같은 국가의 규제는 관련 종사자들의 직업의 자유와 학문의 자유를 제한하지만, 이는 기본권의 본질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본권 제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러한 기본권 제한이 기본권 침해에는 이르지 않는 것으로서 헌법상 정당한 것으로 인정된다.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 이행에 있어 우리나라는 줄기세포에 관하여 크게 줄기세포연구, 줄기세포치료, 줄기세포치료제에 대하여 규제하고 있다. 줄기세포연구는 「생명윤리법」에 따라 연구에 있어서의 생명윤리 및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줄기세포치료는 「의료법」상 의료행위에 해당하며, 의료인이 아닌 자에 의한 치료가 금지됨을 제외하고서는 동법에 따라 보호를 받는다. 다만, 신의료기술평가제도에 의해 제한적인 경우에 한하여 줄기세포치료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줄기세포치료와 달리 줄기세포치료제는 의약품으로서 「약사법」에 따라 기본적으로 일반 의약품과 같이 규제된다. 따라서 줄기세포치료제는 임상시험계획승인을 받아 임상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를 받아야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다. 임상시험계획승인 및 품목허가에 있어 이와 관련한 사항을 “고시”로 정한 경우, 이때의 “고시”는 행정법상 어떤 성질을 갖는 것인지, 그리고 임상시험계획승인과 품목허가가 강학상 허가, 예외적 승인, 특허 중 어떤 성격을 갖는 것인지가 행정법적 논의로서 도출될 수 있다. 임상시험계획승인 및 품목허가 외에도 줄기세포치료제는 시판 후 관리제도로서 의약품 재심사제도, 의약품 재평가제도, 의약품 등 안정성 정보관리제도, 장기추적조사가 적용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줄기세포와 관련한 규제의 검토를 바탕으로 현행 규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줄기세포 관련 규제가 각종 고시규정을 통해 운영되고 있어 줄기세포 관련 법 체계가 복잡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줄기세포연구 및 줄기세포치료에 관한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여 줄기세포 관련 법 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 둘째, 줄기세포를 “최소한의 조작”을 기준으로 하여 의약품 및 의료행위로 구분하여 규제하는 것은 복잡하고 특수한 줄기세포 분야를 합리적으로 규율할 수 없다. 따라서 줄기세포 고유의 위험성과 투여방법에 따른 위험도에 따라 줄기세포를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차별적으로 규율해야 한다. 셋째, 줄기세포치료제는 그 생물학적 특성이 두드러지는 치료제이기 때문에 줄기세포의 특성을 고려하여 일반 의약품과는 차별화된 임상시험 기준 및 허가기준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의약품인 줄기세포치료제를 제외한 줄기세포치료는 현행법상 그 치료행위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제도가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국민들이 좀 더 안전하게 줄기세포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줄기세포치료의 안전성과 유효성이 적절하게 확보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국회에는 “첨단재생의료의 지원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이 발의된 상태로, 동 법률안은 그 동안 법적인 기준이 미비했던 줄기세포치료 영역을 법제화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만 법률안에서 제시하는 안전성 기준이 불명확하고, 줄기세포치료의 위험도를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절차만을 거치도록 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 도로교통법상 도로에 관한 공법적 연구 : 도로교통법의 적용범위에 관한 행정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김석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331

        도로교통은 ‘도로에서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통’을 목적으로 하고, 질서행정의 관점에서 행정은 이러한 도로교통에서의 안전과 효율을 도모하는 것이 기본적인 기능이자 책무이다. 그런데 불특정 다수가 이용할 수 있는 대규모 단지 안의 도로 위에서 자동차를 운전하거나, 주・정차를 하는 경우 도로교통법이 적용되지 않는 결과 타인의 권리가 심각하게 침해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행정기관이 아무런 조치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가가 공공복리・질서유지를 실현함으로써 국민의 안전에 대한 기본권을 보호해 주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도로에서의 음주운전이나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무질서, 무분별한 행위에 대한 행정법적 규제가 가능하도록 현행 도로 관련 법제를 개정함으로써 공공복리의 실현과 질서유지, 이를 통한 국민의 안전한 생활을 회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 도로 관련 법제 중 도로법은 공물의 성립요건을 갖춘 도로를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로법상 도로에는 관리청이 존재한다. 그 외에도 유료도로법은 유료도로, 농어촌도로정비법은 농어촌도로, 사도법(私道法)은 사도(私道)를 규정하고 있다. 한편 도로교통법은 도로법상 도로, 유료도로법상 유료도로, 농어촌도로정비법상 농어촌도로 이외에 “그 밖에 현실적으로 불특정 다수의 사람 또는 차마(車馬)가 통행할 수 있도록 공개된 장소로서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장소(도로교통법 제2조 제1호 라목)”를 도로교통법이 적용되는 도로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 규정과 이 규정의 해석이 본 연구의 핵심적인 문제이다. 그 밖에 건축법은 도로의 규격이나 설치기준을 정하고 있고, 주차장에 관하여는 주차장법이 별도로 제정되어 있다. 도로가 도로교통법 제2조 제1호 라목에 해당되는지 여부와 관련하여 판례는, ① 불특정 다수인의 교통에 공개된 장소인지 여부, 그리고 ② ‘특정인이나 특정용도로 제한되어 있으면서 자주적으로 관리되는 장소’인지 여부를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다. 구체적으로 아파트 단지나 대학의 구내에 설치된 통행로의 경우나 주차장의 경우나 ‘아파트 단지와 주차장의 규모와 형태, 아파트 단지나 주차장에 차단 시설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경비원 등에 의한 출입 통제 여부, 아파트 단지 주민이 아닌 외부인이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 등’에 따라 판단하고 있다. 다만, 주차장의 경우 도로와 주차장의 두 가지 성격을 함께 가진다고 볼 수 있는 경우는 주차장법의 규정이 도로법이나 유료도로법에 우선하여 적용되고, 이에 따라 주차장법이 적용되는 경우는 도로교통법상 도로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면서도, 그 이용이 제한되지 않아 불특정 다수의 이용에 공개된 주차장의 경우는 도로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외국의 입법례와 관련하여, 독일의 경우는 도로법은 각 주에서 제정하고, 연방 차원에서 도로교통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도로법을 보면, 도로의 종류가 비교적 상세히 규정되어 있는데, 공공이 이용하는 길은 모두 도로에 포섭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는 우리나라 법제와 유사하게, 도로교통법에서 도로법상 도로, 도로운송법상 자동차도 이외에 ‘일반교통을 위한 그 밖의 장소’를 도로교통법이 적용되는 도로로 규정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주마다 도로교통법이 존재하는 유형인데, 웨스트버지니아 주나 뉴욕 주의 도로교통법은 도로교통법에서 고속도로, 도로, 차도 이외에도 진입로, 사설도로(사도), 사유지를 포함한 주차장 등을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도로교통법의 개선을 위해서는, 논의의 기초로서, 헌법상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와 ‘국민의 안전에 대한 기본권’에 관한 논의를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란 헌법에 의하여 보장되는 기본권을 사인에 의한 위법한 침해나 침해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여야 하는 국가의 의무로서, 이를 실현하는 데에는 입법의 역할이 중요하다. 한편, 헌법상 아직 확립되지는 않았지만, 안전에 대한 기본권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안전권은 포괄적인 기본권으로서의 성질을 가지면서도, 자유권으로서의 성격과 사회권으로서의 성격 모두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국가는 국민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에 필요한 조치를 하거나 또는 이에 필요한 입법을 하게 될 것이다.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 및 기본권으로서 안전권에 관한 헌법적 논의로부터 행정법 차원에서는 ‘안전을 위한 행정개입청구권’을 도출할 수 있다. 행정개입청구권(경찰개입청구권)은 사인이 행정청에게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법률상 부여된 행정권한의 행사를 요구하는 권리를 말한다. 우리나라 도로 관련 법제는 그 체계가 매우 복잡하고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아울러 도로법제들마다 도로에 관한 정의를 따로 두고 있고, 그 정의규정들도 서로 차이가 있다. 특히 문제는, 도로교통법 제2조 제1호 라목에 해당되는가 하는 것이 문제인데, 판례는 ‘차단기 설치 등으로 제한되어 있는지’, ‘자주적으로 관리되고 있는지’와 같은, 국민의 안전과는 관련성이 적은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다. 도로교통법이 적용되는 도로가 아니면, 형사처벌이 가능한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행정기관의 입장에서는 아무런 대응수단이 없다는 것이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도로상태법과 도로이용법의 관점에서, 독일의 입법례처럼, ‘도로’에 관하여는 도로법으로 통합하여 규정하고, 이 경우 다수의 통행에 이용되는 길은 모두 도로로 포섭할 수 있도록 하며. 건축법은 도로법이 정하고 있는 도로의 특성에 따른 설치기준을 규정하고, 주차장법은 주차장의 설치기준을 규정하며, 도로와 주차장에서의 도로교통에 관해서는 도로교통법이 규정을 하는 방식으로 도로법제의 전반적인 체계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이상의 개선방안을 통하여 다수의 통행에 이용되는 길은 모두 도로법과 건축법에 따라 도로로서의 안전성과 교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도로교통법이 적용되어 교통안전시설도 갖추도록 하며, 위반시 도로교통법에 따라 행정조치나 행정제재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더 나아가 국민의 안전을 위해서 필요하다면, 경찰법이나 도로교통법에 일반수권조항을 두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major purpose of Road traffic is ‘safe and efficient traffic’. In addition, under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ng orders, administration aims to guarantee safety and efficiency of traffic, which is fundamental function and responsibilities of administration. Recently, issues have been increased regarding driving on roads in an apartment complex that the general public passes through or illegal parking or stopping of vehicles on roads. However, the biggest problem is, roads which mentioned earlier are not applied to the Road Traffic Act, and this makes administrative agency unable to protect public citizens even though their rights and power are crucially violated by others. Thus, this thesis is focusing on studying solutions to recover and protect the citizens’ rights to have a safe and ordinary life by amending traffic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to authorize authorities to regulate a person who violates others’ rights by their indiscretion. This process should be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the State has to protect the citizens’ fundamental rights of safety by accomplishing public welfare and maintenance of order. Traffic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in South Korea stipulates roads that meet requirements for establishment of objects for public use. Therefore, according to the Road Traffic Act, there is an office of administration that regulates and controls roads. Private Road Act, Toll Road Act,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Road Networks in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stipulates specific road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each road has. In addition to these roads, roads that are stipulated by Road Traffic Act of South Korea as an open place where many and unspecified persons and vehicles pass through, requiring to guarantee safe and smooth traffic. This regulations and interpretation of roads is the main topic of this study. When it comes to see whether a certain road falls under Road Traffic Act or not, judicial cases suggest two imperative standards; ① Whether the road is opened to many and unspecified persons for their traffic ② Whether the road is only opened to the specific persons for specific uses with independent management. Specifically, an roads in an apartment complex or a college could be considered as a road depending; whether they are managed by employees like janitors, whether these facilities have entrances so employees control the accessibility of people to facilities, whether people can access to these facilities who are not belong to these buildings. However, in case of parking lots, it both has characteristics of roads and parking lots. Accordingly, Parking Lot Act is applied preferred to Road Traffic Act or Toll Road Act, resulting two different cases; when Parking Lot Act is applied, roads do not fall under Road Traffic Act, but,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age of the parking lot is not restricted and opened to the public, it is considered as a road that is stipulated by Road Traffic Act. To improve Road Traffic Act in South Korea, the very first step is to look into the Constitutional ‘responsibilities of the nation to protect the fundamental rights’ and ‘citizens’ fundamental rights of safety’. Responsibilities of the nation to protect the fundamental rights literally means that the nation needs to protect citizens fundamental rights from possible violations by any means. In addition, citizens also have right of their safety, this has both characteristics of comprehensive fundamental rights and right of freedom. In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ve Law, Right of request for administrative intervention can be derived from this Constitutional theory. Right of request for administrative intervention is right of citizens’to ask administrative agency to exercise authority for citizens’interests. Road Traffic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of South Korea are truly complicated. Each road falls under different its own Road Acts, and stipulations of each road have obvious distinctions. As long as a road is not applied to Road Traffic Act, there is a possible case that can be regulated by Criminal Act, but there is not any possible methods that administrative agency can have. There might be possible solutions for inconvenience regarding the definition of roads and application to the Road Act; Integrating all roads to single Road Traffic Act as long as a road is used for the general public. In addition to amendment to Road Traffic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installing proper traffic related facilities and administrative agencies, and authorize them to regulate issues, in case of violations occurred on roads. Furthermore, if it is necessary for public safety and rights, enactment of clauses on Road Traffic Act or Police act that delegating authority should be considered as a possible solution.

      • 내부고발자 보호제도에 관한 연구

        박대규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03278

        본 연구의 목적은 내부고발자 보호제도를 기본권(인권) 보호 측면에서 그 정당성, 필요성에 대하여 문제제기하고, 논증하려는 것이다. 자유민주주의를 이념으로 하는 현대의 자유 민주국가에서 통치구조는 자기 목적적인 권능 구조가 아니고 다양한 이해관계를 내포하고 있는 사회 공동체를 일정한 공감대적 가치의 실현을 통해서 동화시키고 통합시키기 위한 제도적인 장치에 해당하기 때문에 사회의 정치적인 통합을 실현시켜야 하는 중요한 기능적인 과제가 주어진 권능 구조이다. 이와 같은 기능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유민주적 통치구조가 반드시 존중하고 지켜야 하는 근본이념과 기본 원리가 있는데, 그중 첫 번째가 통치권의 기본권 기속성으로 통치 질서 내의 모든 권능은 어디까지나 기본권 실현의 수단이고 기본권에 봉사하는 기능으로 기본권적 가치의 실현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내부고발행위를 기본권과 연관시켜 이해한다면 입법, 행정, 사법기능의 통치 질서는 기본권 실현행위인 내부고발행위의 완전한 실현을 위하여 그 권능을 행사하여야 한다는 구속을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 내부고발행위가 기본권 실현과 관련 있고, 그 정당성이 기본권에서 도출된다는 것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면서 그것을 논증함을 목적으로 한다. 즉 내부고발 행위의 기본권성과 국가의 의무성(국가의 내부고발자에 대한 보호 의무)을 제시하고, 종국에는 소송을 통해서도 국가에 대하여 권리로서 요구할 수 있다는 문제를 제기한다. 한편 기본권에 대하여 개인에게 권리를 보장하는 데에 그치지 아니하고 개인적 영역 및 사적(私的) 영역을 포함한 가능한 국가 모든 영역에 – 심지어는 국제적 기구 혹은 국제적 협력 등을 통하여 국제적 영역에서도 기본권의 실현을 위하여 – 기본권 원칙이 실현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측면은 내부고발행위를 기본권(인권)의 실현과 연관시킬 때 내부고발자 보호의 의무주체를 사적(민간) 영역(예로서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으로 확장시키는데 논리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선 내부고발자 보호의 정당성을 기본권 측면에서 규명하여 행위자의 권리성, 국가의 의무성을 확인한 후 다음으로 그 권리를 적극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하여 내부고발자 보호 제도의 중요 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중요 요소에 대하여 국가는 충실하게 제도화하여 기본권을 실현시킬 의무가 있는 것이다. 우리가 기본권적 가치로서 실현시켜 나가야 할 내부고발자 보호제도의 중요 요소들을 국제적 흐름, 표준 속에서 찾아 전문가들과 함께 그것을 논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내부고발자 보호제도의 개선방안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내부고발과 그 보호를 기본권의 차원에서 그 필요성과 정당성을 규명하여 개인은 권리로서 주장할 수 있고, 국가는 의무로서 그 보호를 강하고 빈틈없이 제도화하여야 하여야 한다는 것을 역설하고 이어서 연구자가 추출한 국제적 표준에 대하여 이른바 델파이 방법을 통하여 전문가들에게 의견을 구하고 중요 요소를 제시함으로써 내부고발자 보호의 제도화에 참고할 수 있게 함에 있다. 이에 따라 제2장에서는 기본권 실현장치로서 내부고발자 보호 강화 필요성을 살펴보고, 제3장에서는 내부고발자 보호제도를 최초로 만들어 다른 나라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는 미국의 WPEA(내부고발자보호증진법)등을 중심으로 내부고발자보호의 중요 요소를 확인하여 본다. 제4장에서는 전문가 31명을 상대로 내부고발자 보호제도의 중요 요소에 대하여 델파이 설문조사를 2회에 걸쳐 실시하고 그것을 분석하며, 제5장에서는 내부고발자 보호의 새로운 접근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하고, 제6장에서 연구내용을 종합하고 내부고발자 보호제도의 중요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내부고발제도에 있어서 물론 반부패라는 측면은 기본권 보호라는 측면과 동전의 앞뒷면처럼 중요한 것이다. 그런데 특별히 기본권이라는 측면은 개인이 헌법소원심판청구를 통하여 국가에 권리로 주장할 수도 있고 기본권의 효력으로 국가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작용에 미쳐야 한다. 국가의 직접적 의무와는 별도로 민간 영역에서도 기본권은 보호되고 존중되어야 하므로 기업에게도 그 의무성을 간접적으로 인정시킬 수 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raise and demonstrate the legitimacy and necessity of the Protection of Whistleblower system in terms of fundamental rights (human rights) as well as anti-corruption. In the current free democracy, its governance structure is by no means a self-purpose power structure. The governance structure corresponds to an institutional device for assimilating and integrating social communities with various interests through the realization of certain consensus values. The governance structure is therefore a power structure given an important functional task of realizing the political integration of society. In order to solve these functional tasks, there are bacic ideologies and fundamental principles that the liberal democratic governance structure must respect and follow. It is the binding nature of fundamental rights to state power. All powers in the ruling order are a means of realizing fundamental rights. And it's a function that serves fundamental rights. All powers of the state should be focused on the realization of fundamental rights values. If the act of whistleblowing is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fundamental rights, the governance order of legislative, administrative, and judicial functions is bound to exercise its power to fully realize the act of whistleblowing, which is the act of realizing fundamental righ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argue that the act of whistleblowing is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fundamental rights and its legitimacy is derived from fundamental rights. In other words, it presents the fundamental rights of whistleblowing and the state's obligation to protect whistleblowers, and eventually raises the problem that the state can be demanded as a right even through litig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inciple of fundamental rights should not only be guaranteed to individuals, but also to be realized in all possible areas of the country, including personal and private areas. This aspect can be a logical basis for expanding the subject of obligation to protect whistleblowers to private areas when linking whistleblowers to the realization of fundamental rights. In this way, first of all, the legitimacy of the protection of whistleblowers is investigated in terms of fundamental rights. Thus, the rights of the actor and the obligation of the state are confirmed. N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are the important elements of the whistleblower protection system in order to actively realize the rights. For these important factors, the state is obligated to faithfully institutionalize and realize fundamental rights. We discuss it with experts by finding the important elements of the whistleblower protection system that we should realize as a fundamental right value in international trends and standards. Therefore, it is intended to naturally confirm the improvement plan of the whistleblower protection system. This study emphasizes that individuals can claim internal complaints as rights by identifying the necessity and legitimacy of them in terms of fundamental rights, and that the state should strongly and thoroughly institutionalize their protection as a duty. Subsequently, opinions are sought from experts and important factors are presented through the so-called Delphi metho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s extracted by the researcher. By doing so, it can be referred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protection of whistleblowers. Accordingly, Chapter 2 examines the need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whistleblowers as a device for realizing fundamental rights. In addition, Chapter 3 examines the important elements of whistleblowers protection, focusing on WPEA in the United States, which can be evaluated as having the greatest impact on other countries by creating the whistleblowers protection system for the first time. In Chapter 4, The important elements of the whistleblower protection system are surveyed twice by Delphi survey method for experts and analyzed. Chapter 5 discusses new approaches and improvement measures to protect whistleblowers. Finally, Chapter 6 summarizes the research contents and presents important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otection system for whistleblowers. In the internal complaint system, the aspect of anti-corruption and the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are both important, as are the front and back of the coin. However, in particular, the aspect of fundamental rights should be that individuals can claim rights to the state through lawsuits, and that effect should reach all the effects that occur in national life. Apart from the direct obligations of the state, fundamental rights should be protected and respected in the private sector.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companies can indirectly recognize their obligations. keywords: Whistleblower, anti-corruption, fundamental rights(human rights), the act of realizing fundamental rights, the rights of the actor, obligation of the state(society), the important elements of the whistleblower protection system, Delphi survey method, parrhesia, Freedom of Ex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