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중관점 읽기의 발달 양상과 교육 내용 연구 : 인식론적 신념을 기반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6843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2017. 8. 졸업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400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Developmental Aspects and education Contents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 Based on Epistemic Beliefs

      • 형태사항

        ix, 239 p. : 삽화.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서혁
        참고문헌: p. 217-228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다중관점 읽기’와 ‘인식론적 신념’의 발달 양상에 기반하여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것이다. 비판적 주체로의 성장이 요구되는 정보화 사회의 다문서 읽기...

      본고의 목적은 ‘다중관점 읽기’와 ‘인식론적 신념’의 발달 양상에 기반하여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것이다. 비판적 주체로의 성장이 요구되는 정보화 사회의 다문서 읽기 환경을 고려하여, 다중관점 읽기를 중심으로 기존의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을 재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 독자의 읽기 수행의 방향 및 의미구성의 층위를 결정하는 데 준거로 작용하는 인식론적 신념의 발달에 준하여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의 위계화·조직화를 시도하였다.
      다중관점 읽기를 ‘동일한 대상(화제)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합당한 관점을 구성하는 읽기’로 정의하고 다중관점 인식(표상)하기, 쟁점 구성하기, 관점 평가하기, 자신의 관점 (재)구성하기의 국면으로 구체화하여 분석하였다. 인식론적 신념은 개인의 지식과 앎에 대한 신념을 의미한다. 학습 독자의 인식론적 신념은 지식의 구성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비판의 구체상을 마련함으로써 합당한 의미 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인식론적 신념은 다중관점 읽기 능력에 관여하는 중핵적 요인이며 읽기 발달의 중요한 기제로 작용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인식론적 신념에 기반한 다중관점 읽기 교육 연구를 통해 구성주의 패러다임 논의를 국어교육적 관점에서 구체화하고, 학습 독자의 다중관점 읽기 능력의 신장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고의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관점 읽기의 학교급별 발달 경향과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독자의 인식론적 신념과 다중관점 읽기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다중관점 읽기 교육의 내용과 그 위계는 어떠해야 하는가?
      이를 위해 다중관점 읽기의 개념을 정립하고 다중관점 읽기의 국면을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인식론적 신념의 개념 및 발달에 관한 이론을 검토하였다. 연구 문제의 확인을 위해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대학교 2학년 학습 독자 총 313명을 대상으로 인식론적 신념과 다중관점 읽기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중관점 읽기와 인식론적 신념의 학교급별 발달 양상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인식론적 신념에 따른 다중관점 읽기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식론적 신념을 고려한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연구 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에 따른 다중관점 읽기의 발달 양상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학교급이 높아짐에 따라 다중관점 인식의 발달은 학습 독자의 다중관점 인식이 편향적 양상에서 양쪽의 균형을 모색하는 양상으로 변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쟁점 구성 능력은 쟁점화하는 요소가 많아지고, 비교·대조하는 쟁점이 되는 준거들은 내용이 구체화되는 경향이 강했다. 아울러 쟁점의 층위가 텍스트 내적 맥락에서 외적 맥락을 아우르는 차원으로 변화해 간다. 관점 평가 능력은 텍스트를 평가하는 준거가 내적 타당성 영역에서 텍스트 외적 맥락을 고려하는 영역으로 확대되고, 평가의 내용이 타당해진다. 관점 구성 능력에서 특징적인 점은 학습 독자들이 자신의 관점을 구성하는 데에 큰 어려움을 보이지 않았다는 점이다. 다만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를 마련하는 데 있어서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타당성을 확보해 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인식론적 신념 발달 양상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초등학생 집단에서 대학생 집단으로 갈수록 세련된 신념은 점차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소박한 신념은 초등학생 집단에서 낮았다가 중학생 집단에서 높아지고, 고등학생 집단과 대학생 집단에서 다시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초등학생 집단은 상대적으로 지식의 구조를 개별적인 사실들의 집합으로 보고 이를 단순하다고 인식하며, 앎이란 개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것이라고 보는 경향이 강하다. 이 시기의 학습 독자는 타인의 관점과 자신의 관점이 다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지만, 지식의 특성과 지식의 정당화 과정에 대한 이해는 미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 집단은 지식이 잠정적인 특성을 지닌다는 인식이 낮아지고, 앎의 원천이 개인의 합리적 작업에 따르기보다는 권위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라고 여기는 경향이 커진다. 고등학생 집단은 지식에 대한 구성적 인식인 세련된(sophisticated) 신념이 높아지고, 소박한 (naive) 신념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인식론적 신념이 긍정적으로 발달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생 집단에서는 세련된 신념의 모든 요인이 높은 점수대로 이동하고, 소박한 신념의 모든 요인이 이전과 같거나 낮은 점수대로 이동한다.
      셋째, 인식론적 신념과 다중관점 읽기를 복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소박한 신념과 다중관점 읽기는 약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고, 세련된 신념과 다중관점 읽기는 약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관점 인식’에서 ‘관점 구성’으로 갈수록 관여되는 인식론적 신념의 하위 요인이 많고, 지식의 본질과 관련된 요인에서 지식의 획득과 관련된 요인으로 그 관련성이 확대된다. 절대주의보다 다원주의에서, 다원주의보다 평가주의에서 다중관점 읽기의 점수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전반적으로 세련된 인식론적 신념은 다중관점 읽기를 정적(positive)으로 예측하며, 소박한 인식론적 신념은 다중관점 읽기를 부적(negative)으로 예측한다. 다만 초등학교와 중학교급에서 개인의 합리적 작업 신념이 높고 지식의 단순성 신념이 높은 경우 다중관점 읽기를 부적으로 예측한다.
      넷째, 인식론적 신념에 기반한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을 위해 인식론적 신념 및 읽기 발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을 도출하고 이를 위계화하였다. 인식론적 신념은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 도출의 원리이자, 다중관점 읽기 교육을 통해 성취할 수 있는 교육적 목표이다. 이를 위한 교육 내용의 구성 원리로 ‘인식론적 신념과 다중관점 읽기 발달의 고려’, ‘교육 내용의 초점화와 누진적 제시’, ‘학습자의 발달과 교육적 기획의 조화’를 고려하였고, 교육 내용 체계는 ‘다중관점 읽기의 본질’, ‘다중관점 읽기의 방법’, ‘다중관점 읽기의 태도’로 범주화하고, 학교급별 내용을 수준화하여 제시하였다. 인식론적 신념 기반의 다중관점 읽기 교육이 이루어질 때, 학습 독자들은 자신의 인식론적 신념을 통어하는 비판적 읽기 주체로 성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는 읽기’ 또는 ‘다문서 읽기’로 느슨하게 다루어져 왔던 기존의 읽기 교육 내용과 관련하여 비판적 읽기의 핵심이 되는 다중관점 읽기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을 기반으로 다중관점 읽기와 관련한 학교급별 학습자의 발달 양상과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자의 다중관점 읽기 능력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였다. 셋째, 다중관점 읽기 교육 연구를 통해 비판적 읽기 교육 연구를 심화하고, 학교급별 학습자의 읽기 발달 연구를 보완하였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학습자들의 읽기 발달 양상도 변하게 된다. 향후 더욱 광범위하고 정밀한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의 다중관점 읽기 발달 양상에 대한 조사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 독자가 다양한 관점을 비판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자신의 관점을 합당하게 설정하는 주체로 성장할 수 있는 국어교육의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ducation contents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based on the effect of epistemic belief on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The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was analyzed into: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ducation contents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based on the effect of epistemic belief on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The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was analyzed into: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viewpoints of the many in which one subject(topic) is looked into differently; defining it in reading to form oneself’s viewpoint; dividing it into the phase of multiple viewpoints perception(representation), issue construction, viewpoint evaluation, and self-perspective reconstruction. 3 study questions are presen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developmental inclination and characteristics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pistemic belief and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of the readers?
      Third, how should education contents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and its order of rank be set?
      In order to answer them, first, the concept regarding the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was established, the phase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was set, the concept of epistemic belief and theory regarding the epistemic belief were reviewed. An epistemic belief test and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performance sheet were distributed to a total of 313 students from 4th, 7th, 10th grade and sophomore year in University to collect study data.
      The development aspects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and epistemic belief were respectively analyzed, and ultimately the aspect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according to epistemic belief was analyzed. Based on study results, a preparation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education contents considering the epistemic belief was made, as well as a record regard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mplication.
      The specific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aspects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are as follows:
      1) The perception of multiple viewpoints of a reader is developed from deflective level to balanced level.
      2) Issue construct ability is developed in augmentation of issues being compared/contrasted and their contents being specific. However, the level in which abundance and concreteness are both present was never reached in the case of issue construction.
      3) Viewpoint evaluation ability development became diverse in its standard in evaluating texts with its contents being proper.
      4) Viewpoint (re)construct ability development was improved from a level of being able to compose self viewpoints but not soundly based on reasonable evidence, to a level of being able to construct the viewpoints and provide a reasonable and specific evidence of their choice.
      Second, the development aspect of epistemic belief are as follows:
      1)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latively view knowledge structure as a sum of respective fact thereby perceiving them as being simple, and are strongly inclined to viewing that knowing belongs to each individual. The learning reader of this age is able to understand the existing difference in his/her viewpoints and other’s, however, has difficulty in considering the specifics of the ontology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They show a tendency of absolutists in the aspect of the development level of epistemic belief.
      2) The perception that knowledge has tentative characteristics are lowered in the case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y are strongly inclined to thinking that the foundation of knowing is more of a provision from higher authority than it is a sophisticated source of beliefs of an individual. The reason for this is believed to be that they face objective knowledge-centered teaching/learning situation and also undergo a change in which their naive epistemic belief is strengthened.
      3) Highschool students undergo a development stage in which their sophisticated belief is strenghthened and naive belief is weakened, thereby having a positive growth in their epistemic belief.
      4) Lastly, all factors of sophisticated beliefs of University students move to a higher score, while all factors of naive beliefs either stay in the same stage or move to a lower score.
      Third, the relationship analysis of epistemic belief and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viewpoints reading phase and sub-factors of epistemic belief, naive belief and multiple viewpoints reading had weak negative interrelationship; sophisticated beliefs and multiple viewpoints reading had weak positive interrelationship.
      2) As the flow went from multiple viewpoints perception, which is the beginning phase of multiple viewpoints reading to the viewpoints construct which is the latter phase, more epistemic belief factors involved were present, and its relevance is expanded from factors related to the ontology of knowledge to factors related to the justification of knowledge.
      3) Higher score of multiple viewpoints reading was shown from the multiplists than the absolutists, and the evaluatists than the multiplists.
      4) Sophisticated epistemic beliefs generally positively predict multiple viewpoints reading, and naive epistemic beliefs negatively so. Only, when sophisticated source of beliefs of an individual and simplicity of knowledge are combined a negative prediction of multiple viewpoints reading can be made.
      Fourth, the contents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education based on epistemic belief were drawn with the understanding of epistemic belief and reading ability development, as well as sequentially ranking the contents. Epistemic belief is the principle of multiple viewpoints reading education contents drawing as well as an improving mechanism of multiple viewpoints reading education effect, and an educational objective achievable through multiple viewpoints reading education.
      Readers can manage their epistemic belief to actively and critically adapt to multiple viewpoints reading and grow into epistemic being when multiple viewpoints reading education is made based on epistemic belie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B. 연구사 7
      • I.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B. 연구사 7
      • 1. 학습 독자 읽기 발달 연구 8
      • 2. 다중관점 읽기 연구 12
      • 3. 인식론적 신념 연구 16
      • C. 연구 내용 및 방법 19
      • 1. 연구 내용 19
      • 2. 연구 방법 20
      • II. 인식론적 신념 기반 다중관점 읽기 교육을 위한 이론 24
      • A. 다중관점 읽기의 개념과 구인 24
      • 1. 다중관점 읽기의 개념화 24
      • 2. 다중관점 읽기의 구성 요소 46
      • B. 인식론적 신념의 개념과 특성 57
      • 1. 인식론적 신념의 개념 57
      • 2. 인식론적 신념의 구인 60
      • 3. 인식론적 신념의 발달 62
      • C. 인식론적 신념과 다중관점 읽기의 관계 66
      • 1. 인식론적 신념과 읽기의 관계 66
      • 2. 인식론적 신념과 다중관점 읽기의 관계 68
      • Ⅲ. 인식론적 신념 기반 다중관점 읽기 발달 양상 분석 방법 72
      • A. 연구 대상 72
      • B. 연구 도구 75
      • 1. 인식론적 신념 검사지 75
      • 2. 다중관점 읽기 수행지 82
      • C. 평가 및 분석 방법 93
      • 1. 평가 기준 94
      • 2. 평가자 98
      • 3. 평가 결과 분석 101
      • Ⅳ. 인식론적 신념 기반 다중관점 읽기 발달 양상 102
      • A. 다중관점 읽기 발달 양상 102
      • 1. 다중관점 읽기의 발달 양상 개관 102
      • 2. 다중관점 읽기 국면별 발달 양상 106
      • B. 인식론적 신념의 발달 양상 130
      • 1. 인식론적 신념의 발달 양상 개관 130
      • 2. 인식론적 신념 요인별 발달 양상 134
      • 3. 인식론적 신념 수준별 발달 양상 140
      • C. 인식론적 신념 기반 다중관점 읽기 발달 양상 147
      • 1. 인식론적 신념과 다중관점 읽기의 상관관계 147
      • 2. 인식론적 신념 요인에 따른 다중관점 읽기 양상 151
      • 3. 인식론적 신념 수준별 다중관점 읽기 양상 160
      • Ⅴ. 인식론적 신념 기반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 177
      • A.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 비판적 고찰 179
      • 1. 다중관점 읽기 관련 교육 내용 현황 179
      • 2. 다중관점 읽기 교육의 재구성 방향 184
      • B. 인식론적 신념 기반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 설계 186
      • 1. 인식론적 신념 기반 다중관점 읽기 교육의 목표 186
      • 2. 인식론적 신념 기반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 요소 189
      • 3. 인식론적 신념 기반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 구성의 원리 200
      • C. 인식론적 신념 기반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 체계화 206
      • 1. 인식론적 신념 기반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 체계 207
      • 2. 인식론적 신념 기반 다중관점 읽기 교육의 세부 내용 208
      • Ⅵ. 결론 211
      • A. 연구 요약 211
      • B. 제언 215
      • 참고문헌 217
      • 부록 229
      • Abstract 23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석우, "기초통계학", 학지사, 학지사, 2007

      2 백승영, "니체 [유고]",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편], 2004

      3 방민호, "중학교 국어④", 지학사, 2013

      4 김태철, "중학교 국어④", 비상교육, 2013

      5 이도영, "중학교 국어④", 창작과 비평, 2013

      6 민현식, "중학교 국어④", 좋은책 신사고, 2013

      7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015

      8 옥현진, "「정체성과 문식성」",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35, 361-386, 2009

      9 윤여탁,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천재교육, 미래엔, 2014

      10 윤초희, "인식론적 사고의 발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2), 39-58, 2008

      1 김석우, "기초통계학", 학지사, 학지사, 2007

      2 백승영, "니체 [유고]",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편], 2004

      3 방민호, "중학교 국어④", 지학사, 2013

      4 김태철, "중학교 국어④", 비상교육, 2013

      5 이도영, "중학교 국어④", 창작과 비평, 2013

      6 민현식, "중학교 국어④", 좋은책 신사고, 2013

      7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015

      8 옥현진, "「정체성과 문식성」",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35, 361-386, 2009

      9 윤여탁,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천재교육, 미래엔, 2014

      10 윤초희, "인식론적 사고의 발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2), 39-58, 2008

      11 민병곤, "논증 교육의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2 이삼형 ( Lee Samhyung ), "학교 변화와 독서 교육",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42, 9-28, 2017

      13 정윤경, "니체의 관점주의와 교육",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연구, 50, 207-234, 2010

      14 강미정, "다중 텍스트 읽기 교육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5 이성영 ( Seong Young Lee ), "읽기 발달 단계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 127, 51-80, 2008

      16 김은성 ( Eun Sung Kim ), "비판적 언어인식과 국어교육",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46, 139-181, null

      17 김명순, "구성주의와 읽기 교육의 방향", 청람어문학회, 청람어문교육, 22, 43-65, 2000

      18 이성영, "구성주의적 읽기 교육의 방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18, 57-79, 2001

      19 김봉순, "균형 있는 읽기 교육의 가능성",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15, 169-199, 2002

      20 김도남, "복수 텍스트의 독서 관점 고찰",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19, 189-218, 2004

      21 이성영, "초등 중학년의 읽기 학습 과업",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45, 154-178, 2011

      22 이삼형, "읽기 교육과정 개발과 읽기 평가",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3, 273-297, 1996

      23 안부영, "사회적 읽기 주체 형성 교육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4 김봉순,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문식성 발달", 공주교육대학교, 公州敎大論叢, 46(2), 25-56, 2011

      25 서혁, "국어교육 연구의 현황과 발전 방향",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학연구, 10(1), 127-148, 2006

      26 이경화, "독해의 구성주의 관점과 읽기 지도",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연구, 7, 359-382, 1998

      27 이삼형, "읽기와 독서 교육과정이 나아갈 길",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9, 9-33, 2013

      28 노명완, "「초등 저학년을 위한 문식성 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42, 6-50, 2010

      29 이재기, "문식성 담론과 주체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30 이상엽, "니체와 전통의 대결: 니체의 관점주의", 니체연구, 16, 99-129, 2009

      31 김종윤 ( Jong Yun Kim ), "다문서 읽기 연구의 연구 동향과 전망",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49(3), 138-163, 2014

      32 천경록, "읽기의 개념과 읽기 능력의 발달 단계", 청람어문학회, 청람어문교육, 21(1), 263-282, 1999

      33 엄훈,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 발달 양상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46, 191-217, 2011

      34 서혁, 서수현, "「구성주의와 읽기 교수 학습의 방향」",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18, 27-70, 2007

      35 박영민(Park Young-min), "사회구성주의 학습 이론과 독서의 본질",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14, 229-248, 2005

      36 최영환, "독서의 인지적 영역 발달과 사회적 관점",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17, 41-64, 2007

      37 이재기, "주체 , 이데올로기 , 그리고 문식성 교육",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12, 317-361, 2001

      38 박수자, "「구성주의 이론의 국어교육학적 의의」",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18, 1-26, 2007

      39 김정우, "국어교육에서의 해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15, 201-234, 2002

      40 허왕욱, "국어과 교육에서 인식론 정립을 위한 시고",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61(1), 105-126, 2001

      41 이순영,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독자와 비판적 읽기",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4, 87-109, 2010

      42 김유미 ( You Mi Kim ),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교육 연구", 한국독서학회,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43 김혜정(Kim Hye-jeong),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읽기 지도 방향",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 47-81, 2008

      44 박병기, 채선영, "사적 인식론의 재개념화 및 그 타당성 검토",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0(4), 829-854, 2006

      45 최숙기, "중학생의 읽기 능력 발달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6 김미혜, "지식 구성적 놀이로서의 시 읽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47 주웅영, 전혁진, 최석민, "초등 사회과 역사학습에서 다관점 인식활동",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사회과교육, 47(4), 5-33, 2008

      48 서혁, "초등학생의 텍스트성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8(1), 315-349, 1998

      49 양미경,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14(3), 1-25, 2006

      50 권순희, "“초등학생 글쓰기에 나타난 언어 발달 양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39, 6-47, 2009

      51 반징수, "중고등학생의 인식론적 신념 발달에 관한 분석", 전북대학교,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52 김봉순, "학습자의 텍스트구조에 대한 인지도 발달 연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국어교육, 27-85, 2000

      53 이재형,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읽기 교육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54 박병기, 최리나, 유효현, "사적 인식론 변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16(2), 53-66, 2008

      55 임미성, "아동독자의 읽기 전략과 태도 발달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56 박병기, 정영주, "인식론적 신념의 척도 재타당화 및 영역성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6(3), 739-767, 2012

      57 김수정, 김혜온, "중 고 대학생들의 지식과 학습에 관한 신념발달", 인간발달연구, 17(2), 1-22, 2010

      58 류수경, "다치적 탐구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3

      59 장새롬, "주제와 쟁점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60 권이은, "‘비판적 읽기'의 범주 설정 및 내용 체계화 연구",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6, 355-382, 2011

      61 문병상 ( Byung Sang Mun ), 이명자 ( Myung Ja Lee ), "자기조절학습 수준에 따른 인식론적 신념의 차이",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중등교육연구, 55(3), 325-343, 2007

      62 김도남, "상호텍스트성을 바탕으로 한 읽기 지도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63 이성영, "국어교육에서 실제성과 가상성의 관계. 독서연구, 2", 한국독서학회, 2012

      64 조현철, "대학생의 인식론적 신념과 비판적 사고성향간 관계", 교육종합연구소, 교육종합연구, 8(1), 147-170, 2010

      65 유종열, "사회과 교수ㆍ학습에서 인식론적 신념의 역할 논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사회과교육연구, 13(2), 113-136, 2006

      66 정옥년, "읽기에 대한 인식적 신념이 교수-학습에 주는 시사점",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6, 365-387, 2001

      67 Souccar, T., "Lait, mensonges et propagande. 김성희 옮김 (2009). 우유의 역습", 서울: 알마, 2007

      68 이범희, "초등학생들의 사회과 학습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4

      69 전경진, "니체와 실천철학: 니체의 관점주의에 대한 로티의 해석", 한국니체학회, 니체연구, 17, 115-138, 2010

      70 이소라, "인식론적 신념 수준에 따른 다양한 관점 읽기 양상 분석",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한국어교육학회 제282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129-162, 2016

      71 서수현, 조병영, "미국 공통핵심기준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49, 626-656, 2014

      72 김정섭, 윤경미, "여중학생의 인식론적 신념과 비판적 사고 성향과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3(1), 91-107, 2009

      73 송영명, 정미선, "수학 과학 영재의 인식론적 신념과 창의적 사고와의 관계", 한국영재학회, 영재교육연구, 22(4), 805-821, 2012

      74 문병상 ( Byung Sang Mun ), 고종선 ( Jong Sun Koh ), "인식론적 신념,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성적의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3(3), 581-599, 2009

      75 김혜정, "문식성 발달 이론과 국어교육 내용 관련 문식성 유형 검토", 국어교육연구, 36, 463-493, 2015

      76 최정순, "중학교 학생들의 인식론적 신념과 자기주도학습 실태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77 윤초희,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 이론적 쟁점과 교육적 의미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6(1), 327-351, 2012

      78 이규희, 최영기, 이지현, "Perry 의 인식론적 신념 발달 도식의 수학교육 적용 방안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6(4), 2016

      79 김종윤 ( Kim Jong-yun ), "다문서 읽기 환경을 고려한 비판적 읽기 개념의 이론적 확장",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국어교육, 157, 223-258, 2017

      80 박정진 ( Jung Jin Park ), "주제별 통합 독서(신토피컬 리딩)의 의미와 독서교육적 맥락",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32, 191-212, 2014

      81 김은진, "니체의 관점주의를 통해 본 g. 데 키리코의 多시점 원근법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82 최숙기, "서사적 텍스트 읽기에 나타난 중학생의 독자 신념에 관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청람어문교육, 58, 179-205, 2016

      83 이소라, "인식론적 신념이 독자 신념과 다문서 읽기 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43, 183-212, 2017

      84 양명희, 조윤정, "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교사효능감, 교수전략과의 관련성 탐구",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 연구, 16, 1-20, 2008

      85 장성민(Chang, Sungmin), "고등학생 필자의 다문서 읽기를 통한 작문 과제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작문학회, 작문연구, 25, 191-225, 2015

      86 원정애,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에 따른 과학개념 변화과정", 한국교원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06

      87 최숙기, "복합 문서 처리 전략 검사 도구의 타당도 검증 및 전략 수행 양상 분석", 작문연구, 21, 291-313, 2014

      88 문병상, "인식론적 신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성취 간의 관계",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2(4), 49-68, 2009

      89 윤초희, "대학생의 논쟁능력과 인식론적 신념 및 비판적 사고 성향간의 관계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 연구, 22(3), 563-587, 2008

      90 이재기 ( Jae Ki Lee ),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의 독자 -"결정"과"자율"의 사이에서 성찰하는 독자", 한국독서학회, 독서연 구, 16, 77-109, 2006

      91 이성영, "「글쓰기 능력 발달 단계 연구 : 초등학생의 텍스트 구성 능력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126, 27-50, 2000

      92 이유리,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인식론적 신념, 메타인지와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93 김혜정, "텍스트 이해의 과정과 전략에 관한 연구: 비판적 읽기이론 정립을 위한 학제적 접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94 강훈식, 조선아, "불일치 상황의 활용을 통한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328-344, 2013

      95 최석민, "포스터모던 사회의 교육 목표로서 ‘적극적 의미’의 비판적 사고 : 사회과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14(2), 39-58, 2008

      96 편지윤, "프레이밍 기반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 연구 – 시선추적기법 및 내용 분석법을 활용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97 윤초희, "인식론적 신념과 비판적 사고 성향의 관계구조 및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예측력 분석",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 11(2), 201-222, 2010

      98 제갈미혜(Mihye, Jegal), 김효남(Hyo-Nam, Kim), "초등 과학영재들의 실제 불일치 상황에서의 대처 전략 및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분석", 한국환경철학회, 영재와 영재교육, 14(1), 73-96, 2015

      99 장성민, "학습 목적 글쓰기 교육에 대한 반성적 검토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 155, 63-105, 2016

      100 김수진, "고등학생의 인식론적 신념, 메타인지 및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6), 931-938, 2015

      101 이혜진,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의 인지된 학습 성과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자기조절학습능력, 사회적 실재감의 예측력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