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교회 설교 위기와 극복 가능성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601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바우만(Daniel Baumann)은“설교에 따라 기독교의 성패는 결정된다.” Daniel J. Baumann, An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Preaching, 정장복 역,『성공적인 설교자를 위한 길잡이』(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바우만(Daniel Baumann)은“설교에 따라 기독교의 성패는 결정된다.” Daniel J. Baumann, An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Preaching, 정장복 역,『성공적인 설교자를 위한 길잡이』(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08), 131쪽.
      고 강조했다. 이 의미는 설교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설교자들에게 일깨워 주는 말이며, 설교자라면 설교의 중요성에 대하여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설교자는 설교에 대한 중요성을 알기에 하나님의 말씀을 바르게 전하고자 하는 목자의 심정으로 많은 노력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열심과 열정으로 준비하고 강단에 서지만 많은 결실을 맺지 못하고 있다. 그 문제는 무엇일까?
      본 논문의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회의 공예배에서 가장 비중이 큰 설교사역의 위기 극복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설교 사역의 중심 역할을 하는 설교자의 바른 자기 인식을 위한 설교의 이해에서 출발해서 한국 교회의 위기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그 위기 극복을 위한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시대에 한국교회에 찾아오는 가장 큰 문제를 꼽는다면 풍부한 설교 가운데 진정한, 진실한 설교, 생명을 살리는 설교, 하나님의 말씀을 바르게 선포하는 설교의 부재이다. 그리고 교회의 공동화 현상, 신앙의 형식화와 생명력 없는 형식적 예배, 구령에 대한 열정 상실과 젊은이들 사이에 만연한 교회에 대한 회의감 등일 것이다. 그로 인하여 한국교회는 성장에 대한 기대는 있지만 그 결과는 찾을 수 없는 현실로 접어들게 되었고 한국 교회의 성장이 둔화 내지 감소하고 있다는 보고가 나타나고 있다. Donald A. McGavran, 이요한 역, 『교회성장이해』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출판국, 1987), 17쪽.
      한국 근대화의 초기에 사회 변혁의 주체로 자리매김 되어‘민족의 교회’로 지칭되던 그 삶의 양태와 의식은 어디로 갔는가? 왜 오늘날의 한국 교회가 이렇게 무기력하게 되었는가? 한국 교회가 물질 만능주의 가치 지향과 자기중심적인 폐쇄된 사고로 비그리스도인과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다는 것으로만 그 위기의 원인을 다 찾을 수는 없을 것이다.
      우리는 이 위기의 한 면을 목회의 중심 사역 중의 하나인 설교 사역으로부터 찾을 수 있다. 목회자에게 있어 하나님의 말씀을 바르게 전달하기 위해 준비하는 설교 사역은 목회 사역의 핵심 중의 하나이다. 특별히 한국적 교회 상황에서 목회에서 설교가 차지하는 비중은 부인할 수 없게 만든다.
      하지만 이 시대에 설교사역은 큰 위기를 맞았다. 곳곳에서‘강단이 비어있다’는 탄식이 들려오는데, 여기서 말하는‘강단이 비어있다’는 말은 목회자의 부재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설교자를 통해 선포되는 설교사역의 부재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Clyde Reid, The Empty Pulpit, 정장복 역,『설교의 위기』(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2), 3쪽.
      즉 목사가 강단을 지키며, 그에게 주어진 설교의 권한을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좌석에 앉은 청중들은 설교의 의미를 찾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삶에서의 적용을 통한 그 열매도 거두지 못하는 심각한 위기가 오늘날 강단의 현실이다는 지적인 것이다.
      이러한 설교의 위기에 대하여 정장복은“설교란 택함 받은 설교자가 당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회중에게 하나님의 말씀인 성서의 진리를 선포하고, 해석하고, 이 진리를 회중들의 삶에 적용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반드시 성령의 감화하심(under dynamic of the Holy Spirit)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정장복, 『설교학 서설』 (서울: 엠마오, 1992), 58쪽.
      고 정의 하였다. 그는 『설교사역론』에서 설교사역의 기초적 이론을 제시하고, 설교사역에 대한 역사와 그 실상을 고찰하면서 설교사역의 회복을 위한 제언을 서술하고 있다. 이것은 설교자가 본문을 통해 하나님의 음성을 듣기 위해 본문을 연구하고 성령의 감화를 받아 회중들에게 하나님의 뜻을 바르게 전하여 그 말씀대로 살아가도록 하여야 한다는 의미이다.
      박근원은 『오늘의 설교론』에서 한국교회 설교의 위기 요인을 네 가지로 분석한다. 박근원, 『오늘의 설교론』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5), 11-19쪽.
      첫째, 목회적 비중의 왜곡, 둘째, 이 시대의 문화적 상황, 셋째, 성서적 설교의 결핍, 넷째, 비신학적 설교이다. 특히 그는 비신학적 설교야말로 오늘의 한국교회의 설교의 위기의 주범이라고 주장한다. 설교자가 성경을 통한 바른 신학을 확립하고 설교를 준비해야 함을 지적한 것이다.
      라이드(C. Reid)는 그의 책 『설교의 위기』에서 새로운 상황에 직면한 설교의 위기를 지적하면서, 설교가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고,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관점에서 설교를 볼 필요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커뮤니케이션”이라는, 설교자와 회중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위기 극복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C. Reid, 정장복 역, 위의 책, 42-43쪽.
      그의 저서는 설교의 위기에 대한 문제제기와 문제 인식에 근거한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통찰력을 제공해 주고 있다.
      다니엘 바우만(D. Baumann)은“설교는 행위의 변화를 일으키려는 명백한 목표를 가지고 한 사람이 다수의 사람들에게 성경의 진리를 전달함이다” Daniel J. Baumann, An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Preaching, 정장복 역, 『현대 설교학 입문』 (서울: 양서각, 1983), 15쪽.라고 정의 하였다. 그는 설교의 요소를 첫째,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둘째, 성서의 진리(Biblical truth), 셋째, 행동의 변화(Behavioral change)의 세 요소로 밝히고 있다. 특히 바우만은 고전적인 연설과 그로 인하여 발전된 설교가 얼마나 현대의 다원화된 사회에 무력한가를 지적하면서 그 대안으로써 강력하게 회중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제시하고 있다.
      카톨릭 신학자였던 칼 라너(Karl Rhaner)는“많은 사람들이 교회를 떠나는 것은 강단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말들이 그들에게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설교는 그들 자신의 생활과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그들을 위협하고 있는 많은 문제들을 그냥 지나치고 있기 때문” 이동원, 『청중을 깨우는 강해설교』 (서울: 요단출판사, 1993), 16쪽에서 재인용.
      이라고 했다. 진정한 설교는 청중으로 하여금 자신의 삶의 자리에서 민감한 도전들에 응전하면서 삶을 위협하는 많은 문제들의 대답을 찾아가도록 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설교자가 위기를 만난다면 교회도 그 위기 가운데 서게 된다는 것이 현재의 설교사역의 더 큰 위기라고 할 수 있다.
      헬무트 틸리케(Helmut Thielicke)는“오늘날의 설교는 이제 임종의 단계에 왔을 정도로 쇠하고 붕괴 되었다” Daniel J. Baumann, 정장복 역, 위의 책, 11쪽.
      고 말했다 이 선언 속에는 오늘날 설교가 위기의 극에 달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시대는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설교의 선포와 관계가 단절되는 시대적 상황에서의 관계 회복적 메시지의 선포를 갈구하고 있는 청중들에게 전혀 적응하지 못하는 설교들 채워지고 있다. 청중들의 필요와는 동떨어진 설교자의 설교 인식이 생명력이 없는 메시지를 양산하고 있는 것이다. 설교자와 회중들 간에 언어적 소통이 중요함을 일깨워 주는 말이다.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언어를 통해서 회중이 설교를 이해하고 그래서 적용할 수 있는 복음을 전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 설교자의 언어 소통에 대한 바른 인식이 있어야 하겠다.
      틸리케(Helmut Thielicke)는 오늘의 설교가 곤경에 빠졌음을 주장하면서“설교는 오늘날 매우 분주하여 사무적이 되어버린 교회의 일과 중의 하나로, 그 위치가 변두리로 밀려나고 말았다. Helmut Thielicke, 심일섭 역, 『현대교회의 고민과 설교』 (서울: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2), 8쪽.
      ”고 진단한다. 틸리케에 의하면 설교가 위기에 빠진 것은‘탈 설교적’시대상뿐만 아니라 설교의 내용을 따르지 못하는 설교자의 빈약한 삶, 즉“설교 그대로 실존하지 못하는 설교자의 위선적인 삶” 위의 책, 131쪽.
      을 더 본질적인 문제로 보았다.
      존 스토트(J. Stott)는 1992년에 출판된 『현대 교회와 설교』에서 현대의 설교자들을 위한 설교사역의 본질과 정의, 그 중요성을 다루고 있으며, 설교의 역사를 통하여 성서적인 근거에 입각한 설교사역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설교는 이제 사라지고 없다”고 단언하는 과격한 주장까지도 거부하지 않는다. 스토트의 이러한 주장이 나오게 된 원인은 첫째, 반 권위적인 분위기, 둘째, 인공두뇌학의 혁명, 셋째, 복음에 대한 확신의 상실이다. John Stott, Between Two Worlds, The Art of Preaching in the Twentieth Century (Grand Rapids, Michigan: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2), 정성구 역, 『현대교회와 설교』 (서울: 풍만출판사, 1985), 59쪽.
      그 가운데에도 스토트는 복음에 대한 확신의 상실이야말로 가장 큰 문제이며,“복음에 대한 확신을 먼저 회복하지 않고는 설교를 회복할 기회가 없다” 위의 책, 96쪽.
      고 선언한다.
      본 논문은 이미 언급한 연구의 업적을 근거해서 한국교회 강단의 위기의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과제로 삼고, 이 부분을 심도 있게 다루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B. 연구범위와 방법 5
      • Ⅱ. 설교에 대한 이해 6
      • A. 설교의 정의와 목적 6
      • Ⅰ. 서 론 1
      •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B. 연구범위와 방법 5
      • Ⅱ. 설교에 대한 이해 6
      • A. 설교의 정의와 목적 6
      • 1. 설교의 정의 6
      • a. 어원적 정의 6
      • b. 설교학적 정의 7
      • 2. 설교의 목적 9
      • a. 선포(Kerygma) 10
      • b. 교훈(Didache) 11
      • c. 치유(Healing) 11
      • d. 예언(Prophecy) 12
      • 3. 설교의 중요성 13
      • 4. 설교의 역할 14
      • B. 설교의 본문 이해 14
      • 1. 구약의 설교 15
      • 2. 사도들의 설교 16
      • a. 베드로의 설교 16
      • b. 바울의 설교 17
      • C. 설교의 신학적 이해 18
      • D. 설교의 설교자 이해 23
      • E. 설교의 청중 이해 30
      • F. 설교의 커뮤니케이션 이해 32
      • Ⅲ. 한국교회 설교의 현실 34
      • A. 한국교회 설교의 시대적 변화 34
      • 1. 초기(1885-1910) 한국교회의 설교 36
      • 2. 수난기(1911-1960) 한국교회의 설교 38
      • 3. 교회성장기(1961-현재) 한국교회의 설교 40
      • B. 현대 한국교회 설교의 위기 42
      • 1. 사회 및 구조의 변화 43
      • a. 인구구조와 가족형태 변화 45
      • b.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젊은 층의 변화 46
      • c. 여가산업과 유흥산업의 발발 46
      • d. 다문화 종교인간의 출현 47
      • 2.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인한 위기 48
      • 3. 한국교회 설교의 위기 요인 49
      • a. 본문해석에 오류가 있는 설교 49
      • b. 신학이 결여된 설교 55
      • c. 설교자의 자질부족 59
      • d. 회중에 전달되지 않는 설교 60
      • Ⅳ. 예수님의 설교 분석 66
      • A. 예수님의 본문이해 및 신학적 이해 67
      • 1. 하나님 나라 67
      • 2. 속죄와 십자가 68
      • 3. 치유와 회복 70
      • B. 예수님의 설교자 이해 71
      • C. 예수님의 청중이해 72
      • D. 예수님의 설교와 커뮤니케이션 75
      • 1. 설교의 구조 및 형태 75
      • a. 귀납법적 설교구조 75
      • b. 비유 설교 77
      • c. 이야기식 설교 80
      • d. 대화식 설교 85
      • 2. 설교에서의 언어사용 86
      • E. 예수님의 설교의 특징 94
      • V. 한국교회 설교의 위기 극복 가능성 98
      • A. 본문 중심의 설교 98
      • B. 신학이 기반 된 설교 101
      • C. 인격을 통해 진리가 선포되는 설교 102
      • D. 시대를 인식하는 설교 - 멀티미디어 시대의 설교 104
      • E. 삶을 변혁 시키는 설교 - 삶으로 나아가는 설교 108
      • F. 청중과 커뮤니케이션을 이루는 설교 111
      • Ⅵ. 결론 116
      • A. 요약 116
      • B. 제언 118
      • 참고문헌 1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