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남.북한 초등(인민)학교 음악 교과서 비교.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music textbooks for the elementary school of south and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71589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敎育大學校, 200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초등음악교육 , 2000. 8

      • 발행연도

        200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70.76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119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104-105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목포해양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순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나노생명과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남 ·북한 음악 교과서를 분석함으로써 남한과 북한의 초등 음악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차이점을 비교하여 다가오는 통일 시대를 위한 교육 내용의 시사점을 얻는데 ...

      본 연구의 목적은 남 ·북한 음악 교과서를 분석함으로써 남한과 북한의 초등 음악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차이점을 비교하여 다가오는 통일 시대를 위한 교육 내용의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남한과 북한의 이질화된 배경을 살피고 교육이념 및 목표, 교육과정의 편제 등을 알아본 후 북한의 인민학교 음악 교과서 1 - 4학년용과 남한의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1 - 4학년용을 외형상의 특징과 내용상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내용상의 특징 비교에서는 가창, 시창, 기악, 감상, 창작의 5가지 영역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교과서의 외형상의 특징으로는 표지의 그림과 그 의미, 속표지의 그림과 그 내용, 표지의 기재사항으로 알 수 있는 교과서의 보급 절차와 개발 방식등을 살펴보았고 가창 영역의 분석으로는 가창이 전체 교과서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 가사의 내용, 가사의 이질화된 표현의 원인, 조성, 박자, 형식, 빠르기, 형태, 음역, 외국곡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창 영역에서는 북한 교과서와 남한 교과서와의 두드러진 차이점을 비교하였으며 시창 지도의 도입 단계에서의 차이점의 배경이 무엇인가에 대해 북한 귀순자와의 대담을 통해 밝혔고 북한 사회에서 추구하고 있는 목표의 설정이 교과서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기악 영역에서는 교과서 전체에서 기악 영역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 각 학년의 필수 지도 악기와 각 학년에서 감상이나 사진 자료 등을 통해 소개하고 있는 악기는 무엇이며 이것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북한 음악의 실상을 문헌을 통해 알아보았고 북한의 기악 학습의 수준을 남한의 수준과 비교함으로써 나타나는 차이점 및 그 차이점이 나타나게 된 원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감상 영역에서는 교과서 전체에서 남한과 북한 교과서의 감상 영역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 각 학년에서의 감상자료로 사용되고 있는 감상곡이 무엇이며 왜 감상곡의 특정한 영역에 편중되어 있는지, 왜 자국곡에 국한된 자료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문헌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창작영역에서는 교과서 전체에서의 창작 영역의 비중을 살펴보고 그 비중이 왜 다르게 나타나는지 각 사회가 추구하는 인간상을 비교함으로써 살펴보았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을 통해 북한의 음악 교과서가 지니는 특성은 가사에 정치 사상성을 담아 정치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기능음악 성격을 띠고 있으며 정치 교화 기능을 지니고 당적이고 혁명적이며 인민적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주1) 선전 선동 군중심리 체제 도구이기도 하다. 또한 주체사상에 입각하여 정치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기능음악(functional music)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예술을 사회적. 정치적 요구에 부응하는 시녀'로 '예술의 기능은 사회문제에 영향을 끼치고 국가가 무엇인지를 밝혀주며, 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취해야 할 행동을 알려줌으로써 국가의 목적을 도와주는 데 있다.'라고 보는 것이다.
      반면 자유민주주의를 정치 이념으로, 홍익 인간을 교육이념으로 채택한 남한의 교과서는 가치의 다양성과 다원화, 개개인의 흥미와 욕구를 만족시키는 교육방법과 원리에 입각하여 창의성을 지닌 인간 육성의 교육목표가 나타나고 있으며 아동의 흥미와 신체 발달 단계를 고려한 감각적이며 통합적인 구성과 함께 다양한 내용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육 이념의 이질화, 교육 목표의 이질화, 추구하고자 하는 인간상의 이질화는 그 사회가 선택한 정치, 경제, 문화의 산물이며 사회가 선택한 정치, 경제, 문화 이질화의 직접적인 원인은 남 ·북의 분단이라 하겠다. 즉 남한과 북한의 이질적 요소는 분단으로 인하여 발생했으며 분단의 상태가 장기화될수록 이질화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다.
      최근 통일의 당위성이 논의되고 있으며 우리 민족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통일이 꼭 필요하다는 인식이 점점 확산되어 가면서 이러한 노력이 정부와 각 단체에서 눈에 띄게 확산되어 감을 느낀다. 이러한 시대에 있어 남한과 북한의 초등 음악 교육에 있어서의 동질성 회복을 위한 방법으로 체계적인 초등 음악 연구와 실태의 파악으로 본 연구가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특히 남 ·북한 교과서를 통해서 본 교육의 이념, 목표, 방법, 내용의 이질화가 우리 민족의 동질성 회복을 위한 첫 단계로, 서로 대립되는 이데올로기적 요소를 배제해 나가고 점진적인 방법으로 상호 공통부분을 찾아서 확대하여 지도해 나감으로써 심리적인 통일을 점차적으로 이루어 민족의 통합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하겠다.

      ----------
      (주1) 민경찬, 「북한 음악의 실상」, (서울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90. 10), p.465.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education in the reunification age by analyzing the music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how music education is carried out in both Koreas, and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the two 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education in the reunification age by analyzing the music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how music education is carried out in both Koreas, and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the two systems. In relation to this, the differing realities in both Koreas will be taken into account. The educational ideals, goals, and syllabuses of both Koreas will be examined as well.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s for 1st to 4th graders in both Koreas in terms of their forms and content are compared and analyzed.
      A visual comparison of the textbook characteristics is made through analysis of the pictures on the covers, the pictures on the title page as well as the text. By taking note of these, the means of distribution and the development methods of the textbooks are also studied. In making a comparative study of the textbooks of both Koreas in terms of their contents, five aspects of the textbooks are compared and analyzed, namely, vocal music, sight reading, instrumental music, music appreciation, and composition.
      In regard to vocal music, the proportion of songs in the whole textbook, the content. of the lyrics,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s used in the lyrics, the tonality, rhythm, pattern, tempo, form, transliteration, and proportion of foreign songs in the textbooks of both Koreas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e area of sight reading, the salient differences between the textbooks of both Koreas are compared. Through an interview with a North Korean refugee, differences in the manner of introducing sight reading instruction are also examined. The manner of the North Korean pursuit of social ideals which is represented in the textbook is also studied.
      In the area of instrumental music, the proportion of the instrumental music in the whole textbook, the musical instruments obligatory in each grade, the musical instruments introduced through pictures, and the realities in North Korea represented in these were studied. Furthermore, the level of North Korea's instrumental music and that of South Korea's instrumental music were compared and the reasons for the disparities between the two were also pursued.
      In the area of music appreciation, I examine: the proportion of the text devoted to music appreciation, the choice of songs favored by North Korean students, why these songs are favored and why their appreciation is limited to only North Korean songs. By so doing we can try to find out what kind of society they are aiming to develop.
      Concerning composition, the proportion of the text devoted to music composition in the textbook as a whole was studied. The inspiration for the great proportion of the composition was sought by comparing the social ideals aspired to in North Korea with that of the ideals in South Korea.
      I found out that in North Korea's music textbooks, lyrics include political ideological content and that music is used for political means. In other words, North Korea's music can be characterized as functional music. Its characteristics are labor-party-oriented, revolutionary, and people-oriented. Music is used as a means for propaganda, agitation, and demagogy. Art is a maid who must serve social and political requirements. The function of art is to influence attitudes toward social matters, to perpetuate nationalism, and to inform people on what actions they should take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s.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s political ideology is democracy and its educational ideal is the "humanitarian ideal" (홍익인간). The goal of art education is to increase students' creativity, through affirmation of principles and the methods which satisfy individual requirements for pluralism and variability in values, and their interests and desires.
      The reason why both Koreas educational ideals, educational goals and the social ideals each pursu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s that both Koreas chose different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systems. And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differences stem from the part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tells us that the longer the partition lasts, the greater the differentiation that will result.
      People have begun to discuss recently why the Korean peninsula must be reunified. Many agree that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necessary for our nation's survival and prosperity. Great efforts are being made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NGOs.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will be of use in working towards the recovery of a uniform elementary music education between the Koreas. This study is only a start for the systematic study of the realities of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between the Koreas. We should realize that studying the differences in music education in terms of educational ideals, goals, and methods is a first step to recover a homogeneous elementary music education. We must eliminate the conflicting ideological factors and find the commonalities between the two Koreas. Expansion along the lines of these commonalities and common instruction will lead to the eventual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 2
      • 3. 연구 방법 = 2
      • 4. 연구의 제한점 = 3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 2
      • 3. 연구 방법 = 2
      • 4. 연구의 제한점 = 3
      • 5. 용어의 정의 = 4
      • 6. 남·북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연구의 배경 = 4
      • Ⅱ. 교육이념 및 제도와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 7
      • 1. 교육 이념 및 목표의 비교 = 7
      • 2. 교육제도 및 행정의 비교 = 8
      • 3. 남·북한 교육과정 편제 비교 = 10
      • 4. 교육 내용의 특징 = 17
      • Ⅲ. 남·북한 음악 교과서의 비교 · 분석 = 22
      • 1. 남·북한 음악 교과서의 외형적인 비교 · 분석 = 22
      • 가. 남·북한 음악 교과서의 규격 = 22
      • 나. 남·북한 음악 교과서의 표지 기재 사항 = 23
      • 다. 남·북한 음악 교과서의 전체 쪽수 = 28
      • 라. 남·북한 음악 교과서의 표지 그림 분석 = 29
      • 마. 남·북한 음악 교과서의 속표지 그림 = 34
      • 바. 남·북한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삽화 비교 분석 = 35
      • 2. 남·북한 음악 교과서의 내용 분석 = 37
      • 가. 남·북한 음악 교과서의 영역별 비중 분석 = 37
      • 나. 남·북한 음악 교과서의 가창곡의 분석 = 39
      • 다. 남·북한 음악 교과서의 시창곡의 분석 = 64
      • 라. 남·북한 기악곡의 분석 = 81
      • 마. 남·북한 교과서의 감상 영역 비교 분석 = 86
      • 바. 남·북한 교과서의 창작 영역 분석 = 93
      • Ⅳ. 결론 및 제언 = 99
      • 참고문헌 = 104
      • ABSTRACT = 106
      • 부록 = 1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