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코로나19 감염병 재난 시 감염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재가노인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783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aims to verify the impact of COVID-19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This studied sample was composed 178 community-dwelling elderly ...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aims to verify the
      impact of COVID-19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This studied sample was composed 178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on COVID-19 stress, social support, anxiety and depress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program.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for COVID-19 stres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was 57.40, The fear of infection was 24.28, the anger toward others
      was 18.69 and the difficulties in social distancing was 14.43. The average
      social support score was 58.99, 28.46 for the emotional support, 10.51 for the
      appraisal support, 10.29 for the informational support, and 9.74 for the material
      support.

      2.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showed lower in anxiety those with higher
      level of education, type of health insurance and better perceived health status
      than others. Similarly, the degree of depression of them was lower with
      higher level of education, type of health insurance type, better perceived
      health status, fewer diseases, and more supportive member.

      3. An anxiety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ifficulties in social distancing,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Depression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ifficulties in social distancing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4. The factor most impacting the anxiety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was emotional support(β=-.37, p<.001), followed by difficulties in social
      distancing(β=.29, p<.001). This regression model in this study accounted for
      22.4% of the variance(F=25.33, p<.001).

      5. The factor most impacting the depression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was also emotional support(β=-.38, p<.001). Other factors impacted on the
      depression in such order: material support(β=-.25, p<.001), difficulties in social
      distancing(β=.22, p<.001), disease(β=.15, p=.009). This regression model in this
      study accounted for 44.7% of the variance(F=38.18,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ocial support is more important than
      the COVID-19 str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motional support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mong social support. Therefore, it
      is desperately needed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reduce
      the difficulties in social distancing and improve emotional support as a strategy
      to reduce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urther, it is required to repeatedly studies on the level
      and patterns of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본 연구는 감염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재가노인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시한 횡단적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K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

      국문초록

      본 연구는 감염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재가노인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시한 횡단적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K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으며,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재가노인 1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감염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불안, 우울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Scheffe test, Pearson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가노인의 감염병 스트레스 평균 점수는 57.40점이었으며, 감염병 스트레스 하위요인인 감염에 대한 두려움 24.28점, 타인에 대한 분노 18.69점,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어려움 14.43점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평균 점수는 58.99점이며, 사회적지지 하위요인인 정서적 지지 28.46점, 평가적 지지 10.51점, 정보적 지지 10.29점, 물질적 지지 9.74점으로 나타났다.

      2. 재가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안의 차이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보험 유형, 주관적 신체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불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의 차이는 종교가 있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보험, 주관적 신체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질병이 없을수록, 지지자원 수가 많을수록 우울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재가노인의 감염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불안, 우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불안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어려움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우울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어려움, 불안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재가노인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은 정서적 지지(β=-.37, p<.001)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어려움(β=.29, p<.001) 보다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재가노인들의 불안 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 중에서도 정서적 지지임이 확인되었다. 재가노인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전체 설명력은 22.4%이었다(F=25.33, p<.001).

      5. 재가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은 정서적 지지(β=-.38, p<.001)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으로 물질적 지지(β=-.25, p<.001),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어려움(β=.22, p<.001), 질병 있음(β=.15, p=.009)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재가노인의 우울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 중에서도 정서적 지지임이 확인되었다. 재가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전체 설명력은 44.7%이었다(F=38.18, p<.001).

      이상과 같이 코로나19 감염병 재난 상황에서 재가노인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감염병 스트레스보다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며, 사회적 지지 중에서도 정서적 지지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감염병 재난 상황에서 재가노인의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정서적 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감염병 재난의 시기에 따른 재가노인의 불안과 우울 수준과 양상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목차
      • 국문초록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3. 용어의 정의 6
      • Ⅱ. 문헌고찰 9
      • 1. 감염병 재난과 노인의 불안 및 우울 9
      • 1) 감염병 재난과 노인의 불안 10
      • 2) 감염병 재난과 노인의 우울 12
      • 2. 노인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14
      • 1) 감염병 스트레스 14
      • 2) 사회적 지지 16
      • Ⅲ. 연구의 개념적 기틀 19
      • Ⅳ. 연구방법 20
      • 1. 연구설계 20
      • 2. 연구대상 20
      • 3. 연구도구 21
      • 4.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24
      • 5. 연구의 윤리적 고려 25
      • 6. 자료분석방법 25
      • Ⅴ. 연구결과 26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이에 따른 불안 및 우울 차이 26
      • 2. 대상자의 감염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불안, 우울 정도 30
      • 3. 감염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불안, 우울의 상관관계 32
      • 4. 감염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34
      • Ⅵ. 논의 36
      •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가노인의 불안과 우울 차이 37
      • 2. 재가노인의 감염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불안, 우울 정도 37
      • 3. 감염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불안, 우울의 상관관계 41
      • 4. 감염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재가노인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43
      • 5.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47
      • Ⅶ. 결론 및 제언 49
      • 참고문헌 52
      • 부록 63
      • ABSTRACT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