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The Comparison of South Korea and Myanma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 한국과 미얀마의 유아교사양성과정 비교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661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specially improving children's development from 3 to 4 years. The Myanmar Ministry of Education has invested heavily in the education sector since the launch of the ...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specially improving children's development from 3 to 4 years. The Myanmar Ministry of Education has invested heavily in the education sector since the launch of the new Myanmar Democratic Government in 2011, and the main reform focus of the govern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Myanmar’s young children is to provide quality health, play-oriented education. Also, at the same time educating quality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achieve these government reform goals.
      Recently, as Myanmar's social development has developed, interest in education is increasing. Myanmar’s education has been affected under the U. K. for a long time, s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nd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lso have been same situation.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Myanmar's society, the demand for high-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is also increasing. For high-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a system for education high q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s essential.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system, especially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South Korea to make useful implication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Myanmar. South Korea has the same Asian culture as Myanmar, and which is a member of OECD. Despite of the aspects of cultural and social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Myanmar, it is a significant thing to explore teacher training cours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in Korea for making improvement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system and its curriculum in Myanmar. Thus,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take a look and find implications for the process of nurtu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in Myanmar. For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ed;


      1. What is the process and format of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in South Korea and Myanmar?

      2. What is the implication of Myanmar’s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o gather data, Myanmar and South Koreas’ government homepages and related references were reviewed. The data analysis method and procedur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Social Welfare in Myanma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Ministry of Social and welfare’s homepage in south korea government relate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nd related studies were reviewed. Second, researcher set the criteria to compar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s and also, the criteria were reviewed and confirmed by researcher, peer researchers who majo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supervisor. Finally, six criteria were created for the analysis.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collected data that has been presented on the latest teacher training process in two countries.
      Overall, to present in 3 way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yanmar and South Korea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Myanmar the teacher training courses run by ECCD’s programs not the major in the university. These programs have been consisted mainly of field practicum and seminars provided by early childhood institutes in Myanmar. In contrast to Myanmar, in South Korea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training are operated as a major in the University courses. In South Korea emphasizes theoretical classes while taking field training as essential. In Myanmar, the teacher education course is composed of seminars with a focus on practical training.
      Second, the study is figured out the different of the administration for teachers’ certificates. In Myanmar, teacher’s certificate is belonged to the Ministry of Social Welfare. In South Korea, kindergarten teachers’ certificate is belong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child care teacher's certificate is managed by the Ministry of social and welfare.
      Third, the training period is different. As mentioned above the training institutions for childcare teachers are two-year, three-year colleges, or four-year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in south Korea. In contrast to Myanmar, teacher training periods range from 1 month to 1 year, where one year is part-time study provided by ECCD. Most Myanmar teachers took a short time teacher training course such as 1month, 3month or 6months.
      The stated above, some implications for Myanmar’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First there is need to increase the period of teacher training in order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y. Second, the curriculu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and structured based on the balance between theories and practicum. And also,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establish to make the major study of the University as a bachelor of arts. Third, policy support is absolutely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overnment systematically needs to support teacher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velopment plan. South Korea administrat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to strengthen the pro professionalism.
      In order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which is suitable for Myanmar's situation. It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analyze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olicy.

      Key words: Early Childhood Education, Kindergarten Teacher, Childcare Teach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 각국은 유아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3년에서 4년으로 확대하여 어린이의 발달을 향상시키고 있다. 따라서 미얀마 교육부는 2011년 새 미얀마 민주정부 출범 이후 교육 분...

      세계 각국은 유아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3년에서 4년으로 확대하여 어린이의 발달을 향상시키고 있다. 따라서 미얀마 교육부는 2011년 새 미얀마 민주정부 출범 이후 교육 분야에 많은 투자를 해왔으며, 미얀마 유아교육에서 정부의 주요 개혁 방점은 양질의 건강, 놀이 중심 교육이다. 또한 이러한 정부 개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유아 교사를 교육하는 것도 고려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미얀마의 사회 발전이 발달하면서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미얀마의 교육은 영국 식민이하에서 오랫동안 영향을 받아왔기 때문에 유아교육과,교육과정에서 같은 영향을 받았다.그러나 미얀마 사회가 발전하면서 수준 높은 유아교육과 보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수준 높은 유아교육과 보육을 위해서는 질이 좋은 유아교사 교육을 위한 제도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얀마의 유아 교사 교육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한국의 유아 교사 교육 시스템, 교사교육 과정에 대해서 탐구하였다. 한국은 미얀마와 같은 아시아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OECD 회원국이기도 하다. 한국과 미얀마의 문화적 사회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유아교육 및 보육을 위한 교원양성과정을 발굴하여 미얀마에서 개선된 유아교육 체계와 그 커리큘럼을 만드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미얀마에서 유아 교사를 양성하는 과정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한국과 미얀마에서 각국가의 유아 교사 양성과정과 형식은 어떠한가?
      2. 미얀마의 유아 교사양성과정에 대한 시사점은 무엇인가?

      자료 수집을 위해 미얀마와 한국의 정부 홈페이지와 관련 참고자료를 검토했다. 본 연구의 데이터 분석 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미얀마교육부, 보건복지부 한국정부 홈페이지와 유아교육 및 돌봄 관련 연구 등을 검토했다. 둘째, 연구자는 유아교육 시스템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을 정하고, 그 기준을 유아교육을 전공한 선행연구, 논문, 지도교수님의 지도를받고 검토하며 확정했다. 마지막으로 6가지 분석 기준이 만들었다. 본 연구의 데이터 분석은 두 나라의 최근 교사 연수 과정에 대해 제시된 자료를 수집했다.
      전체적으로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3가지로 요약하자면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양성 기관에서 미얀마와 한국의 차이가 있었다. 미얀마에서는 대학교 전공이 아닌 ECCD 프로그램에 의해 운영되는 교사 양성과정이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주로 미얀마의 유아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현장실습과 세미나로 구성되었다. 미얀마와 대조적으로 한국에서는 대학교 과정에서의 전공으로 유아 사전 서비스 교사 연수가 운영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현장 훈련을 필수적으로 받으면서도 대학교에서 전공 과목을 강조한다. 한편 미얀마에서는 교사교육과정이 실무교육을 중심으로 세미나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양국의 교사 자격증 행정의 다른 점을 살펴본다. 미얀마에서는 교사자격증이 사회복지부에 속해 있다. 한국에서는 유치원 교사 자격증이 교육부에 속하고 보육교사 자격증은 보건복지부가 관리한다.
      셋째, 교사교육 기간이 다르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유아교사 및 보육교사 양성기관은 한국의 2년제, 3년제 또는 4년제 대학과 대학원이다. 미얀마와 대조적으로 교사 연수 기간은 1개월에서 1년까지이며, 1년은 ECCD가 제공하는 시간제 공부다. 그러나 대부분의 미얀마 교사들은 1개월, 3개월 또는 6개월과 같은 짧은 시간 동안 교사 교육과정을 수강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미얀마의 유아 교사 교육에 대한 몇 가지 함의가 논의되었다. 우선 예비교사의 전문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원양성 기간을 늘려야 한다. 둘째, 유아교육의 사전 서비스화를 위한 교육과정은 이론적 교육과 실습의 균형을 바탕으로 신중하게 검토하고 체계화해야 한다. 또한 가장 중요한 것은 대학의 전공 공부를 대학의 전공 과목으로서 만들기 위한 설립이다. 셋째,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정부는 유아교육발전계획에 따라 체계적으로 교사교육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 교사의 질과 전문성 향상을 강화하기 위해 유아 교사교육을 관리했다.그런 과정을 살펴보면서 미얀마의 상황에 맞는 유아 교사 교육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유아 교사의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한다.



      핵심단어 : 유아교육, 유치원교사, 보육교사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Content
      • ABSTRACT i
      • CONTENT v
      • TABLE OF CONTENT vii
      • Chapter1. Introduction 1
      • Content
      • ABSTRACT i
      • CONTENT v
      • TABLE OF CONTENT vii
      • Chapter1. Introduction 1
      • 1.1. Research Background 1
      • 1.2. Research Purposes 6
      • 1.3. Definition of the Terms 7
      • Chapter 2. Literature review 8
      • 2.1 Educational Background in Myanmar 8
      • 2.1.1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Myanmar 10
      • 2.1.2The Kindergarten and Childcare Teacher Training in Myanmar 12
      • 2.2 Educational background in South Korea 13
      • 2.2.1 The Childcare Center Teacher Training in South Korea 15
      • 2.2.2 The Kindergarten Teacher Training in South Korea 19
      • 2.2.3 The Differences between Kindergarten and Childcare teachers’ Qualifications 21
      • Chapter 3. Methodology 24
      • 3.1 Research method 24
      • 3.2 Research Procedure 25
      • 3.3 Data Analysis 26
      • Chapter 4. The comparison of Myanmar and South Korea 28
      • 4.1 The Comparison of Educational Systems of Early Childhood 28
      • 4.2 The Comparison of two countr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0
      • 4.2.1 The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Teacher Training in Myanmar, South Korea 32
      • 4.2. 2.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33
      • 4.2.3 Training Period 34
      • 4.2.4. Educational Institution of Each Country 34
      • 4.2.5 The Qualification System 36
      • 4.2.6 The Curriculum Specification of Each Country 37
      • Chapter 5. Conclusion and Implication 40
      • 5.1 Summary and Discussion 40
      • 5.2 Conclusion and Suggest further study 47
      • 국문 초록 52
      • < Table of Content >
      • Table <2.1> The Teacher Training Period in Myanmar 11
      • Table <2.2>The Contents of Child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15
      • Table <2.3> Kindergarten Teacher Training Courses in South Korea 20
      • Table <2.4>The Qualification Differences between Kindergarten and Childcare Teacher in South Korea 22
      • Table <3.1> The Data Source of Each Country for this study 25
      • Table <4.1> Age limitations of Each Country’s Early Child Education and Childcare 28
      • Table <4.2> The Qualification of Each country 30
      • Table <4.3> The Early Childcare and Teacher Education of Myanmar,
      • South Korea 36
      • Table <4.4> The Comparative study of Contents of Majors and Subjects in Each Country 3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