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 말기 聞慶 觀音里 望同窯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409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日文抄錄 朝鮮末期の聞慶観音里望同窯研究 金 南 姬 碩士學位論文 高麗大學校大學院 ...

      日文抄錄
      朝鮮末期の聞慶観音里望同窯研究

      金 南 姬
      碩士學位論文
      高麗大學校大學院
      考古美術史學科 美術史專攻
      敎授指導 方 炳 善

      本研究は、1800年から1910年までを中心に、聞慶観音里望同窯を考察することを目的にした。具体的に当時の分院(ウンウォン)の性格と変遷、朝鮮時代の分室窯と連室窯の性格、望同(マンドン)窯の起源と伝播、聞慶観音里望同窯の現況と当時匠人の製作技術、金備安(雲熙)、金敎壽沙器匠の遺作の様式変遷分析が主な内容である。
      研究方法として分院と沙器匠関連の文献資料を分析し、分院の制度変遷と背景、分院貢所の廃止と変化、匠人の構成と特徴などについて調べてみた。また、分室窯と連室窯を分ける基準を提示し、朝鮮18世紀以後の連室窯の出現と連室窯としての望同窯の特性をより明らかにした。聞慶観音里望同窯と同一時期の朝鮮の他の地域の望同窯はもちろん、中国と日本の窯と比較し、これらから聞慶望同窯の独特な地理的・工学的特徴についての調べてみた。更に、最先端装備といわれる3Dスキャニングを動員して窯の全般的大きさを測定し、望同窯再現のための正確なデータを作成した。金備安の孫である沙器匠の金正玉と曽孫の金璟植の協力で望同窯を築造し、望同窯の工学的優秀性と窯も耐久性について調べてみた。また、望同窯を実際に使用した金備安(雲熙)、金敎壽沙器匠たちの製作技術を道具と原料、製作過程に分けて考察し、その沙器匠たちの遺物を分類し、様式的に分析してみた。
      このような研究を通じて、望同窯は聞慶地域の独特な窯で、類似している形式が全羅南道一帯と忠清道に残ってあるが、窯の底の形が異なり、時期的にも聞慶望同窯は早いという結論を出した。また、朝鮮の望同窯を中国や日本の鷄籠窯と比較し、朝鮮の望同窯が独特な材料と築造方式の釜であることを確認した。最後に、金備安(雲熙)、金敎壽沙器匠の遺作を分析し、朝鮮末期から日帝強占期にかけた時代様式だけでなく、地方沙器匠の個人様式の内容も考察した。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the Mangdong(望同) Kiln of Munkyung(聞慶) Kwanyin-ri(觀音里) in the Late Joseon Dynasty(1800-1910) Kim, Namhee Master Thesis ...

      ABSTRACT

      A Study on the Mangdong(望同) Kiln of Munkyung(聞慶) Kwanyin-ri(觀音里) in the Late Joseon Dynasty(1800-1910)

      Kim, Namhee
      Master Thesis
      Department of Archeology & Art History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Directed by Prof. Bang, Byungs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Mangdong Kiln of Munkyung Kwanyin-ri, Gyungsang Province in Korea, which had been in use for approximately 160 years from 1843 to 1999. A Mangdong Kiln is a traditional Korean kiln built with Mangdangyi(a name of clay material used for building a porcelain kiln of Korea), a conical clay. A Mangdong kiln was recorded in the year of 1903 to be built by the potter, Kim bi-an(Wunhee, 金備安) in the Diary(荷齋日記) of Ji Gyu-sik(池圭植) who, as a government official tribute manager, directed Bunwon tribute kiln(分院貢所) of Joseon dynasty, had written it for 20 years from 1890 to 1910. This research literature is the very first find related to Mangdong Kiln.
      Then who is Kim bi-an? Kim bi-an had made porcelains in Mangdong Kiln of Munkyung Kwanyin-ri for generations, which was known to be built by his grandfather, Kim young-su(金永洙) in 1843, and the grandson of Kim bi-an is Kim jeong-ok(金正玉), a kore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105.
      For this research, I examined the documents, in the period of 1800 to 1910, about producing royal porcelains and the tribute system of porcelain to inquire into the nature and change of Bunwon, a Royal kiln of Joseon dynasty. And to look into the origin of Mangdong Kiln, I used 3D scanning to measure the accurate sizes of the kiln of Munkyung Kwanyin-ri and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a divided kiln and a continuous kiln during Joseon dynasty(1392-1910) and compared it with Chinese and Japanese continuous kiln, JIlong(鷄籠) kiln.
      Investigating other Mangdong kilns, so far, excavated in Korea and comparing each other including Munkyung Kwanyin-ri kiln in whole length, the form of chambers, a degree of slope, etc, I attempted to find the origin and characterize the local style of Mangdong kiln in Korea.
      Recreating a modern type of Mangdong Kiln in the potter's work place of Kim Jeong-ok and actually surveying the traditional production techniques with the detailed directions by Kim Jeong-ok, a grandson of Kim bi-an(Wunhee), I tried to feature the operating merits of Mangdong Kiln in production and the potter's traditional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analysis of porcelains of craftsmen produced in Munkyung Kwanyin-ri Mangdong Kiln of the late Joseon Dynasty, I examined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local artisans such as Kim bi-an and his son Kim gyo-su(金敎壽) who worked in Mangdong Kiln of Munkyung Kwanyin-ri.
      Finally I concluded that Mangdong Kiln of Munkyung Kwanyin-ri was a unique and prime local kiln which was firstly recorded to be built in 1843, comparing with other Mangdong kilns of Jeolla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Its type of firing chambers and the technique of building kiln was different from others. And I supposed on the resonable research basis that a Mangdong Kiln of Korea was a independently developed continuous kiln built with special material, Mangdangyi which was, so far, never found to be used neither in China nor Japan. And I found not only individual styles of Korean local potters such as Kim bi-an and Kim gyo-su who worked in Mangdong Kiln of Munkyung Kwanyin-ri but traditional production techniques and periodic local styles of porcelai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中文抄錄 朝鲜末期闻庆观音里望同窑研究 金 南 姬 碩士學位論文 ...

      中文抄錄
      朝鲜末期闻庆观音里望同窑研究


      金 南 姬
      碩士學位論文
      高麗大學校大學院
      考古美術史學科 美術史專攻
      敎授指導 方 炳 善

      本研究以朝鲜末期分院贡所的匠人池圭植写作《荷斋日记》记载中,从1903年4月10日‘破窑处 使闻庆金备安 筑 望同窑 二间’记录中而来,考察从1800年至1910年以闻庆观音里望同窑为中心。为了本研究主要分析当时分院(Bunwon)的特色及变迁、朝鲜时代分室窑与联合室窑的特色、望同窑(Mangdong Kiln)的起源与传播、闻庆观音里望同窑的现状与当时匠人的制作技术、金备安(云熙)与他的子金教寿沙器匠遗作的样式变迁。

      研究方法,首先用来分析分院和沙器匠人相关文献资料,从司饔院分院的制度变迁和该背景、分院贡所的革除及变化、匠人的组成等特点可以看出。接下提出分室窑和联室窑的区分标准,因此可明确了解朝鲜18世纪以后出现联室窑和属于联室窑的望同窑的特点。并且有比较出包括与闻庆观音里望同窑同一时期朝鲜其他地区的望同窑、中国及日本的窑(kiln),透过比较结果,考察出闻庆望同窑独特的地理以及工程特点。
       
      此外,为了重现望同窑,使用了被称之为最顶尖设备的3D扫描仪器所测量的正确数据。亦以金备安的孙沙器匠金正玉和曾孙金璟植所帮助而筑造望同窑,因此得知望同窑工程方面的优秀性、窑的耐久性及经济性。接著将望同窑实际使用过的沙器匠金备安、金教寿之制作技术,以工具和原料、制作过程而来考察,从沙器匠他们的遗物进行分类和样式分析。

      透过这些研究可得知以下的结论;望同窑作为闻庆地区独特的窑,即便在全罗南道一带与忠清道还遗留类似形式的窑,但依据文献记载及窑床的平面形状有所不同,因此认為闻庆望同窑可能先于其他望同窑。进而朝鲜望同窑与中国、日本的鸡笼窑相比,可发觉朝鲜的望同窑在材料和筑造方式方面具有独特性,即是朝鲜自生的窑。最后,分析金备安、金教寿沙器匠的遗作, 不仅考察以朝鲜末期到日治时期为止的时代样式,还考察地方沙器匠个人的样式。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말기 聞慶 觀音里 望同窯 연구 김남희 석사학위논문 ...

      조선 말기 聞慶 觀音里 望同窯 연구

      김남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미술사전공
      지도교수 방병선

      본 연구는 조선 말기 分院貢所의 공인이었던 池圭植이 1890년부터 1910년까지 20여 년간 쓴『荷齋日記』1903년 4월 10일에‘破窯處 使聞慶金備安 築 望同窯 二間’이라는 기록에 착안하여 1800년 이후부터 1910년까지를 중심으로 聞慶 觀音里 望同窯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당시 分院의 성격과 변천, 조선시대 분실요와 연실요의 성격, 望同窯의 기원과 전파, 문경 관음리 망동요의 현황과 당시 匠人의 제작기술, 金備安과 그의 아들 金敎壽 沙器匠 유작의 양식 변천 분석을 주된 내용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분원과 사기장인 관련 문헌 자료를 분석하여 사옹원 분원의 제도 변천과 배경, 분원공소의 혁파와 변화, 장인의 구성과 특징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분실요와 연실요를 구분하는 기준을 제시하여 조선 18세기 이후 연실요의 출현과 연실요로서 망동요의 특성을 보다 명확히 하였다. 문경 관음리 망동요와 동일 시기 조선 다른 지역의 망동요는 물론, 중국과 일본 가마와의 비교를 통해 문경 망동요의 독특한 지리적·공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최첨단 장비로 불리는 3D 스캐닝을 동원해서 가마의 제반 크기를 측정하여 망동요 재현을 위한 정확한 데이터를 작성하였다. 김비안의 손자 김정옥(중요무형문화재 105호 사기장)과 증손자 김경식(사기장 전수조교)의 도움으로 망동요를 축조하여, 망동요의 공학적 우수성과 가마의 내구성 및 경제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망동요를 실제 사용했던 김비안과 그의 아들 김교수 사기장의 제작기술을 도구와 원료, 제작 과정으로 나누어 고찰하였고, 이들 사기장의 유물들을 분류하여 양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망동요는 문경 지역의 독특한 가마로, 유사한 형식이 전라남도 일대와 충청도에도 남아 있지만, 가마 소성실 바닥의 평면형태가 다르고 문헌자료와 출토유물을 근거로 시기적으로도 문경 망동요가 앞선 것으로 결론지었다. 또한 조선의 망동요와 중국과 일본의 鷄籠窯를 비교하여, 조선의 망동요가 자생한 것으로 독특한 재료와 축조 방식의 가마임을 밝혀내었다. 끝으로 김비안, 김교수 사기장의 유작을 양식 분석하여, 조선 말기에서 일제시대에 걸친 시대 양식 뿐 아니라 지방 사기장 개인 양식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 次
      • Ⅰ. 序論 1
      • 1. 연구 목적과 필요성 3
      • 目 次
      • Ⅰ. 序論 1
      • 1. 연구 목적과 필요성 3
      • 2. 연구 시기와 용어 정의 5
      • 3. 연구 방법과 내용 6
      • 4. 연구 효과 9
      • Ⅱ. 조선 말기 司饔院 分院의 현황과 변화 10
      • 1. 고종 연간 사옹원 분원의 현황 10
      • 1) 1860년대 10
      • 2) 1870년대 13
      • 3) 1880년대 15
      • 2.『荷齋日記』에 나타난 분원의 변화 21
      • 1) 사옹원 분원공소의 혁파와 변화 21
      • 2) 장인과 제작기술 26
      • 3) 분원자기의 진상과 판매 38
      • Ⅲ. 조선 말기 望同窯의 기원과 전파 51
      • 1. 조선 말기 望同窯의 기원과 현황 51
      • 1) 望同窯의 기원 51
      • 2) 望同窯의 정의와 성격 55
      • 3) 望同窯의 발굴현황 61
      • 2. 조선시대 연실요의 발생과 성격 72
      • 1) 중국 鷄籠窯와의 비교 76
      • 2) 일본 鷄籠窯와의 비교 80
      • 3) 조선시대 연실요의 발생과 성격 88
      • 3. 조선 말기 望同窯 축조 기술의 전파 95
      • Ⅳ. 문경 관음리 望同窯의 기원과 특성 100
      • 1. 문경지역 자기제작의 역사적 배경 100
      • 2. 문경 관음리 望同窯의 기원과 현황 102
      • 1) 관음리 望同窯의 기원 102
      • 2) 관음리 望同窯의 현황 103
      • 3. 문경 관음리 望同窯의 특성 107
      • 1) 관음리 望同窯 3D 스캐닝 107
      • 2) 관음리 望同窯 축조 재료 및 형태 111
      • 3) 관음리 望同窯의 세부구조 113
      • 4. 望同窯 재현과 축조 128
      • Ⅴ. 문경 관음리 望同窯의 제작기술 139
      • 1. 金備安(雲熙) 家系와 望同窯 139
      • 2. 관음리 望同窯의 자기제작 140
      • 1) 관음리 望同窯 자기제작 도구 140
      • 2) 관음리 望同窯 자기제작 과정 142
      • 3. 金備安(雲熙), 金敎壽 사기장 작품의 양식 165
      • 1) 金備安(雲熙), 金敎壽 사기장 작품의 기형 165
      • 2) 金備安(雲熙), 金敎壽 사기장 작품의 문양 175
      • Ⅵ. 문경 관음리 望同窯 연구의 도자사적 의의 187
      • Ⅶ. 結論 189
      • 參考文獻 195
      • 圖版 目錄 202
      • 揷圖 目錄 208
      • 表 目錄 209
      • 중문초록 211
      • 영문초록 212
      • 일문초록 2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