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육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인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601541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17. 8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5.467 판사항(5)

      • 발행국(도시)

        부산

      • 기타서명

        The cognition of the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change of childcare teacher’s background

      • 형태사항

        iii, 72장 : 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영연

      • 소장기관
        • 신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teachers' knowledge about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nd the perception of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teachers' knowledge about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nd the perception of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e research problem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tendency of the childcare teachers' knowledge of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econd, what is the perception of knowledge of musical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Third, what is the tendency of the childcare teachers to the music teaching efficacy?
      Fourth, what is the perception of music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Survey was conducted with 212 childcare teachers by using the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strument developed by Yoon, ji-young(2014) and the music teaching efficacy test instrument by Bang, Eun-young and Park, chan-ok(2005) as tool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PASW19.0, and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ubjects were calculat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tendency of music teaching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of the study subjects.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variables by subject, and post-test was conducted using Scheffé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s tendency toward knowledge of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as the highest perception of curriculum knowledge, and perception of curriculum knowledge was relatively low.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teacher puts importance on the curriculum knowledge rather than the teaching contents in practicing the music lesson. This suggests that the contents of the music curriculum should be treated professionally in the process of teacher education and retrain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content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daycare teachers in education except age, career, and work organization type. The perception of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of nursery teacher was higher in order of graduate school graduation and graduate school graduation and 3.79.
      Third, the teachers' tendency toward music teaching efficacy was higher than expected beliefs. Looking at the sub-factors, the expectation average of the results was 3.61 and the average belief in the proficiency was 3.37. In other word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eachers' expectation about their results is more positive than belief in music teaching ability.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ducational efficacy of music teaching except the age, career and type of work agency.
      The perception of musical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was higher in the order of Graduate school graduates and followed by attending graduate students, and the result of post-test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school and graduate school, professional college and graduate school, university college and graduate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eacher 's education level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relation to the knowledge of music teaching contents and perception of music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daycare teachers. Based on this, there is ne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re-training courses such as graduate schools entering graduate levels and in-service teacher-training progra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경향성은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경향성은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Ⅰ. 보육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에 대한 경향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Ⅱ. 보육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수내용지식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Ⅲ. 보육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경향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Ⅳ. 보육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B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윤지영(2014)에 의해 개발된 유아음악 교수내용지식 측정 척도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고, 방은영과 박찬옥(2005)의 음악교수효능감 검사를 연구도구로 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19.0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배경변인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연구대상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의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연구대상의 변인별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cheffé 방식을 사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에 대한 경향성은 교육과정 지식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고, 교과내용 지식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달리 표현하면 보육교사는 음악수업을 실천하는데 있어서 가르치는 내용 보다는 교육과정 지식을 중시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육교사 양성과정과 재교육과정에서 음악교과내용이 전문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보육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수내용지식은 연령, 경력, 근무기관유형을 제외한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육교사 학력에 따른 음악교수내용지식의 인식은 대학원 재학, 대학원 졸업 순으로 높았고 대학원 재학 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 평균은 3.79로 보통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경향성은 결과기대가 신념보다 높았다.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결과에 대한 기대감 평균은 3.61점, 교수능력에 대한 신념 평균은 3.37점으로 결과에 대한 기대감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즉 교사들은 자신의 결과에 대한 기대감이 음악교수 능력에 대한 신념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보육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은 연령, 경력, 근무기관유형을 제외한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육교사 학력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의 인식은 대학원 재학, 대학원 졸업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사후검증 실시 결과 고졸과 대학원졸, 전문대졸과 대학원졸, 대학교졸과 대학원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보육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인식 관련에서 교사의 학력이 중요한 변인이라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보육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인식을 높이는 방안으로서 보육교사를 양성하는 기초 과정인 학부로부터 대학원까지 다양한 재교육과정 등을 통하여 학력증진의 기회를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7
      • 3. 용어의 정의 8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7
      • 3. 용어의 정의 8
      • Ⅱ. 이론적 배경 10
      • 1. 교수내용지식 10
      • 2. 음악교수내용지식 13
      • 3. 교수효능감 25
      • 4. 음악교수효능감 28
      • 5. 선행연구 고찰 29
      • Ⅲ. 연구방법 31
      • 1. 연구대상 31
      • 2. 연구도구 32
      • 3. 연구절차 35
      • 4. 자료분석 36
      • Ⅳ. 연구 결과 37
      • 1. 보육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에 대한 경향성 37
      • 2. 보육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수내용지식의 인식 38
      • 3. 보육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경향성 42
      • 4. 보육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의 인식 43
      • Ⅴ. 논의 및 결론 47
      • 1. 요약 및 논의 47
      • 2. 결론 및 제언 52
      • 참고문헌 54
      • Abstract 63
      • 부록 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