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동의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과 사회불안의 관계 =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body-image, self-esteem and the social anx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2120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62.7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 74 L. : 삽화,챠트 ; 27 cm.

      • 일반주기명

        부록 : "일반적 배경 설문지" 외 수록
        참고문헌 : 49-63장

      • 소장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아동의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직ㆍ간접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동의 신체상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아동의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직ㆍ간접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동의 신체상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아동의 신체상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사회불안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조사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 620명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우선 아동의 신체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신체-자아에 관한 다차원척도(MBSRQ)에서 신체만족도(BASS)에 관한 15문항을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회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아동ㆍ청소년용 사회불안 척도(SPAI-C)’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아동의 신체상, 자아존중감,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신체상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신체상, 자아존중감, 사회불안 간의 상호설명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신체상은 사회불안의 하위 요인인 수행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행동 및 사고,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 비주장성 모두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의 신체상이 부정적일수록 사회불안 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사회불안의 각 하위 요인인 수행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행동 및 사고,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 비주장성 모두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사회불안 수준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성별에 따른 아동의 신체상, 자아존중감, 사회불안 간의 경로를 살펴보면, 남아의 경우, 신체상은 사회불안에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아의 경우, 신체상은 사회불안의 하위 요인 중 비주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의 직ㆍ간접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즉, 신체상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사회불안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확인시켜줌으로써 아동의 사회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심리적 개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at the physical features and a sense of self-esteem of children according to their sex have on social instability. For this, this research checked out the effects that the physical...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at the physical features and a sense of self-esteem of children according to their sex have on social instability. For this, this research checked out the effects that the physical features of children have on social instability, the effects that a sense of self-esteem of children have on social instability, and in what routes the physical features of children have effects on social instability through the medium of a sense of self-esteem.
      The subjects were 62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fth and sixth grade in the city of Seoul and Kyoungki do, and the following measurement tools were used for this research. To begin with, in order to examine the physical features of children, 15 questions regarding BASS out of MBSRQ related to body-ego were used, in order to measure a sense of self-esteem, the gauge for asense of self-esteem by Rosenberg(1965) was used, and in order to measure social instability, SPAI-C was used.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physical features of children have meaningful influences in a negative way on the subordinate factors of social instability of performance anxiety, fear against negative evaluation, avoidance activities and accidents, fear against something unfamiliar, and non-assertive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a sense of self-esteem of children have meaningful effects on in a negative way on the subordinate factors of social instability of performance anxiety, fear against negative evaluation, avoidance activities and accidents, fear against something unfamiliar, and non-assertiveness.
      Third, if we take a look at the routes among the physical features, a sense of self-esteem, and social instability according to their sex, while it was shown that in case of male children, the physical features have only indirect effects on social instability through a sense of self-esteem, the physical features of children, in case of female ones, have direct effects on non-assertiveness, one of the lower factors of social instability and at the same time have indirect effects on it through a sense of self-esteem.
      As a resul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meaningful in that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at the physical features and a sense of self-esteem have on children’s social instability were verified. Namely, by identifying the indirect effects of the physical features on social instability through a sense of self-esteem, it provided basis data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 in order to reduce children’s social insta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7
      • 3. 연구 모형 8
      • Ⅱ. 이론적 배경 9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7
      • 3. 연구 모형 8
      • Ⅱ. 이론적 배경 9
      • 1. 신체상과 사회불안 9
      • 2. 자아존중감과 사회불안 14
      • 3. 신체상과 자아존중감 16
      • 4. 아동의 신체상, 자아존중감, 사회불안간의 관계 18
      • Ⅲ. 연구 방법 21
      • 1. 연구대상 21
      • 2. 측정도구 23
      • 3. 연구절차 26
      • 4. 자료분석 27
      •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28
      • 1. 아동의 신체상, 자아존중감, 사회불안의 일반적 경향 28
      • 2. 성별에 따른 아동의 신체상, 자아존중감, 사회불안의 차이 28
      • 3. 성별에 따른 아동의 신체상, 자아존중감, 사회불안의 상관관계 30
      • 4. 아동의 신체상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31
      • 1) 남아의 신체상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32
      • 2) 여아의 신체상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33
      • 5.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34
      • 1) 남아의 자아존중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34
      • 2) 여아의 자아존중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35
      • 6. 아동의 신체상, 자아존중감, 사회불안 간 경로탐색 36
      • 1) 남아의 신체상, 자아존중감, 사회불안 간 경로탐색 36
      • 2) 여아의 신체상, 자아존중감, 사회불안 간 경로탐색 38
      • Ⅴ. 논의 42
      • 1. 논의 및 결론 42
      • 2. 제언 48
      • 참고문헌 49
      • 부록 64
      • ABSTRACT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