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시를 찾아가는 길 : 심우도를 통해 본 시적 상상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093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is study consists of a poetics, 'Looking for the poetry', and 50 researcher's own poems. The poetics considers the way a poet sets out to look for the poetry on the analogy of 'Simudo', a buddhist painting a cowboy looks for an ox. ...

      (Abstract)
      This study consists of a poetics, 'Looking for the poetry', and 50 researcher's own poems. The poetics considers the way a poet sets out to look for the poetry on the analogy of 'Simudo', a buddhist painting a cowboy looks for an ox.
      Simudo is a kind of Seonjonghwa that represents the process of looking for the real self and consists of 10 pieces of poems and pictures.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poetic creation is categorized by 5 steps, observation- discovery- projection-analogy- subversion, and compares the process a poet looks for a poetry with the process a cowboy looks for an ox. Comparative relations are as follows ; between the recognitional course for a cowboy to find an ox and the observation and discovery that needs delicateness, between the course of training the ox and the projection and analogy that draws the essence of the object keenly, between the course of being aware of the unity of the ox and the cowboy and the subversive imagination to see through the hidden other side of the world. As such the moment a poetry, away from a poet, meets a reader was considered with divided process of prosody.
      The poem is a way of existence after all. The relation to the world and to the ego. As the cowboy in Simudo can find his ox only when he accomplishes the communication with true himself, a poet can find the essence of real existence when he tries to communicate with his own existence.
      The way to a poem is the way to the real self, and vice versa. The poetry is a mystery setting out from and returning to the ego, its entrance and exit identical. Therefore it might be called a poet's lot, as seer and clairvoyant, to work out the miste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초록) 본 논문은 ‘시를 찾아가는 길’ 이라는 시론과 50편의 자작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시론에서는 목동이 소를 찾아가는 과정의 그림인 ‘심우도(尋牛圖)’에 기대어 시인이 시를 찾...

      (초록)
      본 논문은 ‘시를 찾아가는 길’ 이라는 시론과 50편의 자작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시론에서는 목동이 소를 찾아가는 과정의 그림인 ‘심우도(尋牛圖)’에 기대어 시인이 시를 찾아가는 길을 살펴보았다.
      심우도는 참된 자신의 존재를 찾아가는 과정을 열편의 시와 그림으로 표현한 선종화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 창작과정을 관찰-발견-투사-유추-전복의 다섯 단계로 나누어 시인이 시를 찾아가는 길을 목동이 소를 찾아가는 길에 견주어 보았다. 목동이 소를 발견하는 인지과정은 섬세함이 필요한 관찰과 발견으로, 소를 길들이는 수행과정은 날카롭게 대상의 본질을 길어 올리는 투사와 유추로, 소와 목동이 하나라는 깨달음의 오도과정은 이 세계에 감추어진 이면을 들여다보는 전복적 상상력으로 빗대어 보았으며 시인의 손을 떠난 시가 독자와 만난 순간을 시법과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시는 결국 존재의 한 방식이다. 세상과의 존재 방식이며, 자신과의 존재방식이다. 심우도에서 목동은 참다운 자신과의 소통이 가능했을 때 비로소 소를 찾을 수 있었듯, 시에서는 시인이 자신의 존재와 소통하려 할 때 참다운 존재의 본질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시를 찾아가는 길은 자신의 존재를 찾아가는 길이며, 자신의 존재를 찾아가는 길은 또한 시를 찾아가는 길이다. 결국 시는 자기 자신에서 시작하여 다시 자기에게로 돌아오는 입구와 출구가 같은 미궁이다. 그렇기에 시인은 미궁을 풀기 위한 견자이며 투시자로서의 운명을 지닌 자라 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시를 찾아가는 길 1
      • 1. 관찰, 소를 찾아 나서다 3
      • 2. 발견, 소를 보다 4
      • 3. 투사, 소를 얻어 기르다 5
      • 4. 유추, 소를 타고 돌아오니 소는 없고 사람만 존재한다 6
      • Ⅰ. 시를 찾아가는 길 1
      • 1. 관찰, 소를 찾아 나서다 3
      • 2. 발견, 소를 보다 4
      • 3. 투사, 소를 얻어 기르다 5
      • 4. 유추, 소를 타고 돌아오니 소는 없고 사람만 존재한다 6
      • 5. 전복, 사람과 소를 모두 잊다 7
      • Ⅱ. 시작품 11
      • 1. 소백산엔 사과가 많다 12
      • 2. 소리절벽 13
      • 3. 탱자꽃을 보다 14
      • 4. 조개가 꽃핀다 15
      • 5. 달빛 그림자 16
      • 6. 거조암 가는 길 17
      • 7. 달의 발등을 씻다 18
      • 8. 어머니의 달 19
      • 9. 조문 20
      • 10. 저탄장이 있는 삼거리 21
      • 11. 푸른색은 안쪽에서 빛난다 22
      • 12. 뱀은 뱀딸기를 먹을까 23
      • 13. 꽃담 24
      • 14. 나무무덤-수림장(樹林葬)에서 25
      • 15. 칠면초 26
      • 16. 물고기 문신을 얻다-만어사 27
      • 17. 저 산이 멀지 않다 28
      • 18. 개불알풀 29
      • 19. 다리가 흘러간다 30
      • 20. 나무를 안아보다 31
      • 21. 꽃은 32
      • 22. 냉이의 꽃말 33
      • 23. 뒷모습 34
      • 24. 철거 35
      • 25. 봄폭격 36
      • 26. 가고 난 자리 37
      • 27. 얘기별꽃 38
      • 28. 안부 39
      • 29. 중대가리나무 40
      • 30. 머리를 풀면 41
      • 31. 카와이 이쿠코를 듣는 밤 42
      • 32. 자정 43
      • 33. 동지 44
      • 34. 정전 45
      • 35. 발자국 46
      • 36. 길이 자란다 47
      • 37. 아궁이 생각 48
      • 38. 머리에 꽃을 꽂다 49
      • 39. 첫눈 50
      • 40. 멈칫거리는 날 51
      • 41. 사랑니 52
      • 42. 생굴 까먹는 모녀 53
      • 43. 그 여자의 맨발 54
      • 44. 봄은 재개발 중 55
      • 45. 돔베기 56
      • 46. 다리 밑에서 주워오다 57
      • 47. 두고 온 꽃 58
      • 48. 원추리 인연 59
      • 49. 첫돌 60
      • 50. 화냥년속고쟁이가랭이꽃 61
      • 영문초록 62
      • 국문초록 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