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牙山灣地域 靑銅器時代 前-中期 轉換期 住居樣相 硏究 -松菊里型住居의 發達을 中心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4763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anges of dwelling patterns in the transition of the early to middle Bronze Ages in the region of Asan Bay area are connected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Songgukri-type dwelling. Asan Bay area is the place embracing the Sapgyocheon basin of Ch...

      The changes of dwelling patterns in the transition of the early to middle Bronze Ages in the region of Asan Bay area are connected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Songgukri-type dwelling. Asan Bay area is the place embracing the Sapgyocheon basin of Cheonan-Asan region which is pointed out as the formation place of Songgukri-type in the many previous studies and the Anseongcheon river basin of Southern Gyeonggi Province, and it may be called as the key region to understand the transition of the early-middle Bronze Ages.
      In order to explain dwelling patterns of the transition period, they established so-called ‘-type dwelling’ and explained the occurrence process of Songgukri-type dwelling, but the evidence on the order of the time between diverse dwelling forms is in an insufficient state. It is thought that we shall have to review first how the dwellings of varied forms in the early-middle transition period established in the previous studies have the time pos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dwelling patterns of the early-middle transition period of Bronze Ages properly.
      Based on this awareness, in this thesis we attempted the sequencing by using the chronology of earthenware and stoneware to examine dwelling patterns in the transition period of Asan Bay area, and performed a comprehensive verification of the data such as carbon age and abode overlapping relationship etc.
      As a result, unlike the position of the housing type where the position relation between the oval pit which was recognized as a shelter in the transition period and the foramen forms the non-axis, or the housing type where the foramen is installed outside both ends of the oval pit, the form of Al(the existence of foramen inside oval pit) appears from the early period.
      After then, the uniform flow of varied forms inside Songgukri-type dwelling has not been observed and it shows the patterns being distributed sporadically. The diverse internal forms(A, C, B, N) of dwelling are identified from the early period to the late period of Songgukri-type, and the time position between varied dwelling forms through the chronological data of relics is not discerned.
      Thus when the varied forms inside the dwelling appearing in the same times are connected to social · economic changes in the macroscopic viewpoint, the existence of placement of the pillar seems to have a big correlation with the area rather than th time difference, which was interpreted to be highly likely to be the mode varia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abode.
      Through the carbon age data, the overlapping period between Yeoksamdong-type and Songgukri-type continues for more than 150 years, and whereas Yeoksamdong type dwellings are positioned in the ordered array using earthenware and stoneware, Songgukri-type dwellings appear, and after the appearance of Songgukri-type dwellings, Yeoksamdong type dwellings are developed continuously, and accordingly we can infer that the formation of Songgukri-type dwellings passed through a very gradual chan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아산만지역 청동기시대 전-중기 전환기 주거양상의 변화는 송국리형주거의 발달 과정과 연관되어 있다. 아산만지역은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송국리유형의 형성지로 지목되는 천안-아산지...

      아산만지역 청동기시대 전-중기 전환기 주거양상의 변화는 송국리형주거의 발달 과정과 연관되어 있다. 아산만지역은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송국리유형의 형성지로 지목되는 천안-아산지역의 삽교천유역과 경기남부지역의 안성천유역을 아우르는 곳으로 청동기시대 전-중기 전이에 대한 이해의 핵심지역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전환기의 주거양상을 설명하기 위해 소위 ‘-식 주거지’를 설정하고 송국리형주거의 발생 과정을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주거 형식간의 시간적인 선후관계에 대한 근거는 미비한 상태이다. 기존 연구에서 설정된 전-중기 전환기의 다양한 형식의 주거지들이 어떠한 시간적인 위치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청동기시대 전-중기 전환기의 주거양상 대한 올바른 이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아산만지역 전환기 주거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토기와 석기의 편년을 이용하여 순서배열을 시도하고, 탄소연대와 주거지중복관계 등 자료의 종합적인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환기에 해당하는 주거지로 인식되어 오던 타원형수혈과 주공과의 위치 관계가 비중심축을 이루고 있는 주거 형식, 혹은 타원형수혈 양단의 바깥에 주공이 설치되는 주거 형식이 이른 시기로 위치되었던 것과는 다르게 완성된 형태로 인지하고 있던 A1(타원형 수혈 내에 주공 존재)의 형태가 이른 시기부터 등장한다.
      이후 송국리형주거지 내부의 다양한 형식 간 일률적인 흐름은 관찰되지 않으며 산발적으로 분포하는 양상을 보인다. 주거지의 다양한 내부 형식(A, C, B, N)은 송국리유형의 이른 시기부터 늦은 시기까지 확인되고 있는데, 결국 유물의 편년자료를 통해 다양한 주거 형식 간 시간적인 위치는 간취되지 않는다.
      이렇듯 동시기에 나타나는 주거지 내부의 다양한 형식은 거시적인 관점에서 사회․경제적 변화와 연결시켜 보면 주공의 존재유무나 배치는 시간적인 차이
      보다는 면적과 큰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주거 규모에 따른 양식적 변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하였다.
      탄소연대 자료를 통해서도 역삼동유형과 송국리유형 간의 중복 시기가 약 150여년 가량 지속되고 있으며, 토기와 석기를 이용한 순서배열에서도 역삼동유형 주거지들이 위치하는 가운데 송국리유형 주거지들이 출현하게 되고, 송국리유형 주거지들의 출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역삼동식주거지들이 조성되는 것은 송국리유형 주거지로의 형성이 매우 점진적인 변화를 거쳤던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論 1
      • Ⅱ. 靑銅器時代 中期 住居址 형성과정에 대한 기존 인식의 과제 3
      • Ⅲ. 牙山灣地域 靑銅器時代 前-中期 住居 樣相의 變遷 9
      • Ⅰ. 序論 1
      • Ⅱ. 靑銅器時代 中期 住居址 형성과정에 대한 기존 인식의 과제 3
      • Ⅲ. 牙山灣地域 靑銅器時代 前-中期 住居 樣相의 變遷 9
      • 1. 牙山灣地域 靑銅器時代 전․중기 취락의 분포 9
      • 2. 편년 16
      • 3. 분기별 양상에 대한 종합적 고찰 32
      • Ⅳ. 牙山灣地域 靑銅器時代 前-中期 轉換期 住居樣相의 理解 35
      • 1. 주거양식의 시간성 35
      • 2. 제 주거형태 간 관계 49
      • Ⅴ. 牙山灣地域 靑銅器時代 前-中期 轉移와 松菊里類型의 發達 53
      • Ⅵ. 結論 55
      • 참고문헌 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