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외국인근로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법적 쟁점 연구 = A study on the legal issue in protection of the right of foreign work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18513

      • 저자
      • 발행사항

        익산 : 원광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원광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60 판사항(6)

      • DDC

        34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xiv, 239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희성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uth Korea adopted the employment system of foreign workers to resolve the matter of insufficient manpower along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since 1970’s. The government has managed the foreign workers by law and system and their number staying in...

      South Korea adopted the employment system of foreign workers to resolve the matter of insufficient manpower along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since 1970’s. The government has managed the foreign workers by law and system and their number staying in South Korea has rosed constantly to 2,430,589 as of end of April 2019. The enforcement of legal system for foreign workers can be regarded as important matter for each country at present when manpower moves a lot internationally. Simple craft foreign workers who ranks the biggest ratio in South Korea have formed the labor relation based on employment permit system whose basis comes from foreign employment law. On the other hand, the foreign workers who are not legally protected by legal system of hiring foreign workers are exposed to the various risk of various human right violation as the illegal residents classified as the unregistered foreign workers.
      This thesis is willing to suggest the issue and improvement plan of applying employment relations act for labor and right protection in social security act so that foreign workers can get the guaranteed minimum human right service firstly in South Korea. A lot of precedent studies mainly investigated the side effect after adopting industrial trainee system and employment permit system and suggested the improvement plan in the past.
      This study reviewed basic legal system and policy of South Korea against foreign workers and those of other main countries as well like the precedent studies above. And, this thesis also suggested the plan of protecting the rights along individual issue in respect of social security act enable the foreign workers resided in South Korea to enjoy the basic lives.
      South Korea has been managing the foreign workers of simple craft foreign workers by applying foreign employment law and doing the same for expert foreign manpower along staying qualification according to immigration law. There is the indifference of legal system against the foreign workers who are applied by the relevant legal system regarding employment procedure comparing to Korean workers.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migrant workers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of United Nations (UN) and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was compared to legal system of South Korea and the employment-related system and guarantee of rights about foreign workers in United Kingdom, Germany and Japan were reviewed in this study.
      It is remarkable that United Kingdom is supplementing manpower by distinguishing the inflow and management of foreign workers from 3rd countries that are not belonged to European Union through scoring system and Germany is enforcing the integration or assimilation programs from the step of permitting their stay for social integration with them.
      Japan is utilizing foreign students actively to attract the expert manpower and raising their competitiveness by enforcing the policy of promoting the inflow of simple craft foreign workers recently to prevent shortage of manpower. Such foreign workers-related legal system in each countries means a lot to the countries like South Korea whose working age population decreases rapidly along low birth rate and aging.
      Meanwhile, this thesis reviewed the legal position and issues of foreign workers concretely and suggested the plan of legal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real life. First, it is not equal to grant the same legal position as Korean domestic people as foreign workers do not perform the same legal duties and it is considered as enough if the position granted in each individual ordinance. In case of unregistered foreign workers, the labor’s three primary rights should be applied carefully but right of health to keep minimum livelihood maintenance during carrying out the works should be guaranteed to anyone regardless the legitimacy of employment qualification. And, regarding human right violation of foreign workers, the revised regulations of business place in foreign labor law that is be raised as social issue should pursue aggressively i) to be allowed to adjust in the range of same business type, ii) to extend the period of searching jobs, iii) to abolish the limitation of numbering for long period and iv) discontinue the principle of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at does not provide the company list of hiring new manpower. Addition to that, in case of national pension service in social insurance for foreign workers, the property right of short-term stayers who has no possibility of receiving the benefits actually should be protected by classifying their staying period. In cas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t should be specified that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is the optional item for the workers by stipulating the obligation of preliminary explanation of the service when they are willing to subscribe it. And, it needs to vitalize the project of developing job skills regarding employment insurance along the extension of mandatory subscription. In case of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more strict enforcement should be done when the business owners violate the law and the individual judgment should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fact regarding the calculation of earnings capacity of the foreign workers. In case of exclusive insurance, it needs to raise maximum amount of payment and guaranteed amount of accident insurance in unpaid wage insurance so substantial guarantee can be accomplished.
      There is the indifference regarding legal position comparing the registered foreign workers and unregistered ones unavoidably but principle of law of imperative provision such as minimum wage and unfair dismissal in individual labor relations law regardless the existence of staying qualification. In case of health insurance out of social securities, minimum should be applied regarding the sickness related with human dignity though they are the unregistered foreign workers, but legal system and administrative support are required to vitalize the inflow of foreign workers more regarding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However, if the exclusive insurance for foreign workers is equally applied to the unregistered foreign workers same as the registered ones, it can influence on the increase of the unregistered as the matter of equity is caused. So, the conversion to the unregistered status is needed to be stopped by providing the concrete benefits regarding legal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the registered foreign workers only. And the plan of using the unregistered foreign workers as the route of utilizing the talented for South Korea that experiencing the fundamental social problems called decrease in population and population aging. It can be regarded as the plan to utilize the unregistered foreign workers in legal system. It is the time to set the institutional direction that secures the foreign talented with the professional technology aggressively by the legalized methods such as setting the specific qualification requirement and restricting the objects of job searching.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balance to the protection of foreign workers’ human rights in the view of social integration for long-term period for their right protection not managing them as the means of supplementing manpower. It can be used as the opportunity to be grown to the integrated and multi-cultural community that domestic and foreign people coexist altogether by tha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1970년대부터 급격한 산업 발전에 따라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외국인근로자 고용제도를 도입하였다. 정부는 외국인근로자를 법·제도적으로 관리하고 있는데, 2019년 4월...

      우리나라는 1970년대부터 급격한 산업 발전에 따라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외국인근로자 고용제도를 도입하였다. 정부는 외국인근로자를 법·제도적으로 관리하고 있는데, 2019년 4월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은 2,430,589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제적으로 노동력의 이동이 많은 현 시점에서 외국인근로자 관련 법제도의 시행은 국가별로 중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단순기능인력 외국인근로자는 외국인고용법에 근거한 고용허가제를 바탕으로 근로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반면 외국인고용 관련 법제 하에서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외국인근로자는 미등록 외국인근로자로 불법체류자가 되어 각종 인권침해의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차적으로 외국인근로자가 우리나라에서 최소한의 인간적 권리를 보장받으며 노동을 위한 고용관계법 및 사회보장법상의 권리보호에 관한 법적용상의 쟁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주로 과거 산업연수생제도 및 고용허가제 도입이후 부작용에 대한 연구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들이 많았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설명한 선행연구들과 같이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우리나라의 기본 법제도와 정책 및 주요국가의 외국인근로자 고용관련 법제와 정책에 대하여도 검토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은 외국인근로자가 우리나라에 거주하며 기본적 삶을 영위하기 위한 사회보장법적 측면에서의 개별적인 사안에 따른 권리보호의 방안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는 외국인고용법의 적용을 통하여 단순기능인력 외국인근로자를 관리하고 있고, 출입국관리법에 따라 체류 자격별로 전문외국인력을 관리하고 있다. 관련 법제의 적용을 받는 외국인근로자들은 내국인과는 본질적으로 취업절차에 있어 법제도적인 차이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연합(UN)의 세계인권선언과 국제노동기구(ILO)의 이주노동자권리협약에 대하여 우리나라 법제와의 비교 검토를 하였고, 영국과 독일 및 일본의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고용관련 제도 및 권리보장을 검토하였다.
      영국은 점수제를 통하여 유럽연합이 아닌 제3국 출신의 외국인근로자 유입과 관리를 체계적으로 구분하여 노동력을 충원하고 있고, 독일은 외국인근로자의 사회통합을 위하여 체류허가 단계에서부터 통합 내지 동화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일본은 전문인력의 유치를 위하여 외국 유학생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 노동력 부족을 방지하기 위해 단순기능인력의 유입을 촉진하는 정책을 시행하면서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이와 같은 각국의 외국인근로자 관련 법제도는 우리나라와 같이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생산가능인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국가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편, 본 논문은 구체적으로 외국인근로자의 법적 지위와 쟁점과 관련하여 검토하고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법제도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외국인근로자는 우리나라 국민과 동일한 헌법상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므로 내국인과 동일한 헌법상 지위를 부여하는 것은 형평에 맞지 않고, 각 개별 법령에 부여한 지위를 인정하면 충분하다고 본다. 미등록 외국인근로자의 경우 노동3권의 적용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나, 일을 하며 최소한의 생활 유지를 위한 건강권은 취업자격의 적법 여부와는 관계없이 누구에게라도 보장되어야 한다.
      그리고 외국인근로자의 인권 침해와 관련하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외국인고용법상 사업장 변경 규정은 ⅰ) 동일 업종의 범위 내에서 변경 허용, ⅱ) 구직활동 기간의 연장, ⅲ) 장기적으로 횟수 제한 폐지, ⅳ) 고용노동부의 구인업체명단 미제공 지침의 폐지를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한다. 또한 외국인근로자의 사회보험에서는 국민연금의 경우 체류기간 별로 구분하여 실질적으로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없는 단기 체류자는 가입하지 않도록 하여 재산권을 고지하여야 한다. 국민건강보험의 경우 외국인근로자가 가입할 때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공단의 사전 설명의무를 규정하여 근로자의 선택사항임을 명시하여야 한다. 또한 고용보험은 의무가입 확대 적용에 발맞추어 직업능력개발사업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산업재해보상보험의 경우 사업주의 법령 위반 시 더욱 엄격한 제재 처분을 가하고 외국인근로자의 일실이익의 산정에 있어 사실관계에 따라 개별적 판단이 되어야 한다. 전용보험의 경우 실질적인 보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임금체불보증보험의 지급 상한액과 상해보험 보장 금액의 상향 필요성이 있다.
      미등록 외국인근로자는 등록 외국인근로자와 법적 지위에서 차이가 존재할 수밖에 없지만 개별적 노동관계법상 최저임금, 부당해고와 같은 강행규정의 법리는 체류자격 존재 여부와 관계없이 보장되어야 한다. 사회보험 중 건강보험의 경우 미등록 외국인근로자라 하더라도 인간의 존엄과 관련한 상병에 관하여는 최소한의 적용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산업재해보상보험은 미등록 외국인근로자의 수급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한 법제도적·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외국인근로자 전용보험은 미등록 외국인근로자에게도 등록 외국인근로자와 동일하게 적용한다면 형평성이 문제되어 미등록 상태의 양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등록 외국인근로자들에게만 적용이 가능한 권리보장 법제도는 확실한 혜택을 부여하여 미등록 상태로의 전환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또 한편 인구 감소 및 인구고령화라는 근본적인 사회 문제를 겪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미등록 외국인근로자를 인재 활용의 통로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는 미등록 외국인근로자를 합법적인 체계 내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일정한 자격요건을 신설하고 취업활동 대상을 엄격히 하는 등의 합법화 방법을 통하여 전문기술을 보유한 외국인재들을 적극적으로 확보하는 제도적 방향설정이 필요한 시기이다.
      외국인근로자의 권리보호를 위해서는 단순히 외국인근로자를 노동력 보충의 수단으로써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외국인근로자의 인권 보호와의 균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내・외국민과 외국인근로자들이 서로 공존하는 통합·다문화 사회로 발전하는 계기가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5
      • 제2장 외국인근로자의 현황 및 관련 법제도 8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5
      • 제2장 외국인근로자의 현황 및 관련 법제도 8
      • 제1절 외국인근로자의 개념 및 유형 8
      • Ⅰ. 개념 8
      • Ⅱ. 유형 9
      • 1. 광의의 외국인근로자 9
      • 2.「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상 외국인근로자 10
      • 3. 미등록 외국인근로자 10
      • 제2절 외국인근로자 정책의 연혁 및 현황 13
      • Ⅰ. 외국인근로자 정책의 연혁 13
      • 1. 1990년대 초반까지의 우리나라 외국인력제도 13
      • 2. 산업연수생제도의 도입 14
      • 3. 고용허가제의 실시 15
      • 4. 계절근로자 제도의 도입 17
      • Ⅱ. 외국인근로자의 현황 18
      • 1. 외국인 장·단기 체류기간별 현황 18
      • 2. 외국인의 체류 자격별 현황 20
      • 3. 취업자격을 가진 외국인의 업무 유형별·자격별 현황 21
      • 제3절 외국인근로자 관련 법제도의 주요내용 23
      • Ⅰ. 외국인근로자 관련 법령 23
      • Ⅱ. 고용허가제에 의한 외국인 고용법제 24
      • 1. 고용허가제의 기본원칙 24
      • 2.「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의 적용대상 및 도입·운용 29
      • 3.「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의 고용 및 취업 절차 31
      • Ⅲ. 외국인근로자의 사회보험법제 39
      • 1.「국민연금법」 39
      • 2.「국민건강보험법」 40
      • 3.「고용보험법」 41
      • 4.「산업재해보상보험법」 43
      • 5. 외국인근로자 전용보험 44
      • 제4절 소결 48
      • 제3장 주요국가의 외국인근로자 고용 및 권리보장 50
      • 제1절 서언 50
      • 제2절 국제규범 51
      • Ⅰ. 세계인권선언 51
      • Ⅱ. 국제인권협약 52
      • Ⅲ. 이주노동자권리협약 53
      • 1. 채택의 배경 53
      • 2. 정의와 적용범위 54
      • 3.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의 가입 현황과 관련 법제와의 비교 56
      • Ⅳ. 시사점 60
      • 제3절 영국 61
      • Ⅰ. 외국인근로자 제도의 연혁과 현황 61
      • 1. 외국인근로자 제도의 연혁 61
      • 2. 외국인근로자의 현황 63
      • Ⅱ. 외국인근로자 고용제도의 적용 66
      • 1. 기본원칙 및 세부사항 66
      • 2. 고용허가의 분류 67
      • Ⅲ. 외국인근로자의 권리보장 70
      • 1. 노동허가의 요건으로써 대체일자리 증명 70
      • 2. 미등록 외국인근로자의 노동법 적용 제한 71
      • Ⅳ. 미등록 외국인근로자 문제 71
      • 1. 사업주 처벌 72
      • 2. 인력업체(면허)규제법 72
      • 3. 노동법 적용 제한 73
      • 제4절 독일 74
      • Ⅰ. 외국인근로자 제도의 연혁과 현황 74
      • 1. 외국인근로자 제도의 연혁 74
      • 2. 외국인근로자의 현황 76
      • Ⅱ. 외국인근로자 고용제도의 적용 77
      • 1. 기본 원칙 78
      • 2. 외국인근로자 체류허가 세부사항 79
      • 3. 고용허가의 분류 81
      • Ⅲ. 외국인근로자의 권리보장 83
      • 1. 노동관계에서 강행법규의 적용 84
      • 2. 집단적 노동관계법의 적용 84
      • 3. 사회보험의 적용 85
      • 4. 내국인근로자와 균등대우 85
      • Ⅳ. 미등록 외국인근로자 문제 86
      • 1. 불법 고용에 대한 처벌 86
      • 2. 자발적 귀환의 지원 88
      • 제5절 일본 89
      • Ⅰ. 외국인근로자 제도의 연혁과 현황 89
      • 1. 외국인근로자 제도의 연혁 89
      • 2. 외국인근로자의 현황 91
      • Ⅱ. 외국인근로자 고용제도의 적용 92
      • 1. 기본 원칙 92
      • 2. 외국인근로자 체류허가 세부사항 92
      • 3. 고용허가의 분류 93
      • Ⅲ. 외국인근로자의 권리보장 98
      • 1. 노동기준법 등 관계법령의 적용 98
      • 2. 외국인기능실습법의 적용 99
      • Ⅳ. 미등록 외국인근로자 문제 99
      • 1. 미등록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관리 99
      • 2. 특별허가의 적용 101
      • 제6절 소결 101
      • 제4장 외국인근로자의 법적 지위와 쟁점 105
      • 제1절 외국인근로자의 기본권 주체성 105
      • Ⅰ. 논의의 배경 105
      • Ⅱ.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 105
      • 1. 헌법재판소의 입장 106
      • 2. 사견 108
      • Ⅲ. 외국인근로자의 직업선택의 자유 110
      • 1. 헌법재판소 결정 110
      • 2. 사견 114
      • Ⅳ. 외국인근로자의 노동기본권 116
      • 1. 근로의 권리 116
      • 2. 노동3권 120
      • Ⅴ. 외국인근로자의 건강권과 가족결합권 121
      • 1. 건강권 121
      • 2. 가족결합권 130
      • 제2절 외국인근로자의 법적 지위와 적용상의 쟁점 136
      • Ⅰ. 노동법상의 지위 및 적용상의 쟁점 136
      • 1. 근로기준법 136
      • 2. 외국인고용법상 사업장 변경 규정 140
      • Ⅱ. 사회보험법상의 지위 및 적용상의 쟁점 172
      • 1. 사회보험법 172
      • 2. 외국인근로자 전용보험 184
      • 제3절 미등록 외국인근로자의 법적 지위와 적용상의 쟁점 188
      • Ⅰ. 노동기본권 인정 여부 188
      • 1. 사실관계 188
      • 2. 하급심 판결의 요지 189
      • 3. 대법원 판결의 요지 195
      • 4. 사견 197
      • Ⅱ. 개별적 근로관계법상의 지위 및 적용상의 쟁점 199
      • 1. 최저임금 199
      • 2. 부당해고 202
      • Ⅲ. 집단적 노동관계법상의 지위 및 적용상의 쟁점 207
      • 1. 단체교섭 207
      • 2. 단체협약 208
      • Ⅳ. 사회보험법상의 지위 및 적용상의 쟁점 209
      • 1. 사회보험법 209
      • 2. 외국인근로자 전용보험 212
      • Ⅴ. 미등록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합법화 방안 213
      • 1. 국적 취득 요건 214
      • 2. 기본적 인권 보장 214
      • 3. 합법화 하는 경우 고려 사항 215
      • 제4절 소결 216
      • 제5장 결론 220
      • 제1절 요약 220
      • 제2절 결어 22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서울지법, "서울지법", 선고 96나57032 판결, 1997

      2 김형배, 임종률, "『노동법』", 박영사, 2015

      3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5

      4 하갑래, "『근로기준법』", ㈜중앙경제, 2015

      5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11

      6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2

      7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1

      8 노동부, "노동부 행정해석", 노조 68107-1182, 2000

      9 강성태, 편역, 박수근, 김기선, 김근주, "『독일노동법전』", 한국노동연구원, 2013

      10 이희성, "『개별근로관계법』", 도서출판 어화, 2011

      1 서울지법, "서울지법", 선고 96나57032 판결, 1997

      2 김형배, 임종률, "『노동법』", 박영사, 2015

      3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5

      4 하갑래, "『근로기준법』", ㈜중앙경제, 2015

      5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11

      6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2

      7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1

      8 노동부, "노동부 행정해석", 노조 68107-1182, 2000

      9 강성태, 편역, 박수근, 김기선, 김근주, "『독일노동법전』", 한국노동연구원, 2013

      10 이희성, "『개별근로관계법』", 도서출판 어화, 2011

      11 대법원, "대법원 선고 2007두4995", 전원합의체 판결, 2015

      12 김유성, "『한국사회보장법론』", 법문사, 2002

      13 김종철, "“이주 외국인의 인권”", 『인권보고서』, 대한변호사협회, 2008

      14 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 “이주노동자 사업장변경 횟수 제한 규정에 대한 헌법소원심판 기각결정을 규탄한다!”, 2011. 9. 29., http://www.dangdang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7904, "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 “이주노동자 사업장변경 횟수 제한 규정에 대한 헌법소원심판 기각결정을 규탄한다!”, , http://www.dangdang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7904 (최종 검색일 2019. 11. 22.), 2011

      15 허영,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박영사, 2007

      16 최태호, 하갑래, "『외국인 고용과 근로관계』", 중앙경제사, 2005

      17 최홍엽, "“외국인근로자와 균등대우”", 『노동법학』 제17호, 한국노동법학회, 2003

      18 이광택, "“외국인근로자의 법적보호”", 『법학논총』 제16집, 국민대학교 법학 연구소, 2004

      19 최홍엽, "“외국인근로자의 사회보장”", 『민주법학』 제22호, 민주주의법학연 구회, 2002

      20 유길상, 이정혜, 이규용, "『외국인력제도의 국제비교』", 한국노동연구원, 2004

      21 정정훈, "국인 인권 기초 연구 워킹페이퍼", 이민정책연구원, 2010

      22 김복기, "“외국인의 사회보장법상 지위”", 『법제연구』 제56호, 한국법제연구 원, 2019

      23 고현웅, "“각국 정부의 이주 노동자 대책”", 외국인 노동자의 불법체류 원인과 대책토론회 자료집, 2005

      24 노동부, "『외국인고용허가제 업무매뉴얼』", 노동부, 2010

      25 전윤구, "“외국인근로자의 노동법적 지위”", 『노동법학』 제42호, 한국노동법 학회, 2012

      26 박철현, 조병인, "“불법체류 외국인의 실태와 대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7

      27 최윤철, "“유럽연합 이주 법제에 관한 연구”", 『서울법학』 제25권 제1호, 서 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28 이창원, 최서리, "고용허가제 사업장 이동 제한의 쟁점", IOM 이민정책연구원 정책보고서 시리즈, -01, IOM 이민정책연구원, 2015, 2015

      29 최정호, "“불법체류 외국인근로자의 단결권”", 『서강법률논총』 제5권 제2호,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30 하갑래, "“외국인고용허가제의 변천과 과제”", 『노동법논총』 제22집, 한국비 교노동법학회, 2011

      31 김주경, "“헌법상 건강권의 개념 및 그 내용”", 『헌법판례연구』, 한국헌법판 례연구학회, 2011

      32 이정환,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생활 만족도”", 『한국인구학』 제39권 제2호, 한국인구학회, 2016

      33 김진곤,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과 노동3권”", 『유럽헌법연구』 제30호, 유 럽헌법학회, 2019

      34 방준식, "“외국인근로자의 사회보장법적 지위”", 『부산대학교 법학연구』 제 57권 제3호,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35 손윤석, "“이주노동자의 고용허가제 개선방안”", 『법학연구』 제49집, 한국법 학회, 2013

      36 대한변호사협회, "대한변호사협회, 『인권보고서』, 제28집", 대한변호사협회, null

      37 김지형, "“외국인 근로자의 헌법상 기본권 보장”", 『저스티스』 통권 제70호, 한국법학원, 2002

      38 고준기, 이병운, "“개정 고용허가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노동법논총』 제 18집,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0

      39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고용허가제 개선권고”", 국가인권위원회, 2011

      40 제, "제119회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회의록 제13호", 대한민국국회사무처, 1983

      41 김명중, "“일본의 외국인 근로자 현황과 수용정책”", 국제노동브리프 년 11월호, 한국노동연구원. 2015, 2015

      42 고준기, "“외국인고용허가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노동법논총』 제9집,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06

      43 설동훈, "『국내 불법체류 외국인의 적정 규모 추정』", 법무부, 2005

      44 菅野和夫, "菅野和夫 (이정 역), 『일본노동법』, 법문사", 논문, 2015

      45 최홍엽, "“외국인 고용허가제 아래의 근로계약관계”", 『노동법논총』 제18집,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0

      46 김상호, "“외국인 근로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고찰.”", 『사회적 소수자의 인권 현황과 과제』, 경상대 개교 6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2008

      47 하정훈, "“외국인근로자의 개별적 근로관계상 지위”", 에 대한 토론문, 외국인근로 자의 노동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2015

      48 고준기, 이병운, "“외국인근로자의 보건의료 현황과 문제점”", 『한양법학』 제 21권 제3집, 2010

      49 이성훈, 이향수, "“이주노동자 정주화방지원칙에 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 연구』 제14권 제5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50 전윤구, "“차별금지에서 외국인근로자의 법적 지위”", 『노동법논총』 제28집,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3

      51 박은주, "박은주, 『외국인근로자 산재보상실태분석』", 근로복지공단산재보험연구센터, 2012

      52 신예진, 최서리, "“일본 단순기능 외국인력정책의 최근 변화”", 이슈브리프 -12, 이민정책연구원, 2015, 2015

      53 양서영, "“일본의 외국인노동자 유입 정책과 시사점”", Weekly KDB Report, KDB미래전략연구소, 2019

      54 김석호, 이규용, 유길상, 설동훈, "『외국인력 도입 관리시스템 개편방안 연구』", 고용노동부, 2012

      55 성지훈, "“노동부 컴퓨터, 이주노동자 정신질환 유발?”", http://www.newscham.net/news/print.php?board=news&nid=68070, 2012

      56 노재철, "“미등록 외국인근로자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노동법논총』 제18 호, 2010

      57 신수정, "“외국인여성근로자에 관한 국제적 입법동향”", 『젠더법학』 제5권 제1 2호 합병호, 한국젠더법학회, 2014

      58 정태호, "“외국인의 기본권주체성과 헌법해석의 한계”", 『헌법재판연구』 제6 권 제1호, 헌법재판연구원, 2019

      59 여경수, "“이주 노동자 주거복지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법학논총』 제33 집,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60 조윤호, "“이주노동자 늘어나는데 산재보험은 복불복?”", 미디어오늘, ,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4989 (최종검색일 2019. 11. 22.), 2015

      61 최민경, "“일본의 외국인고도인재 정책의 현황과 과제”", 격월동향분석, 이민 정책연구원, 2011

      62 김기선, 이규용, "정기선 최서리 최홍엽, 『이민정책의 국제비교』", 한국노동 연구원, 2015

      63 김인재, "“외국인근로자의 사업장 이동제한의 위헌여부”", 『노동법률』 통권 246호, 중앙경제, 2011

      64 이정애, "“민우 같은 아이들 2만명… 최고 선처는 ‘방관’", 인터넷 한겨레, ,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69326.html#csidx5c0c 7acdf96545386cbc910e25745aa (최종검색일 2019. 11. 22.), 2013

      65 권영국, "“이주근로자의 노동3권과 노동시장에서의 지위”", 이주근로자권리협 약의 쟁점 토론회, 2010

      66 김상돈, 윤인진, 송주영, 송영호, "『한국인 이주근로자와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이담Books, 2010

      67 이선희, 조규식, "“미등록 외국인근로자 실태 및 노동법상 문제점”", 『법이론 실무연구』 제5권 제2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7

      68 박지인, 정상우, "“이주아동 권리보장을 위한 입법 필요성과 과제”", 『다문화 사회연구』 제11권 제1호,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8

      69 설동훈, "“년 일본의 외국인노동자 제도 개혁;분석과 평가”", 『의정연 구』 55권,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8, 2018

      70 이지혜, 정철환, "“외국인 근로자 건보 편법이용 보험료 900억 샌다”", 조선일보,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7/27/2011072700138.html (최종검색일 2019. 11. 22.), 2011

      71 김안나, "“현행 이민자 복지정책에 대한 평가 및 개선과제”", 함께 사는 세상, 이민자 복지와 사회통합의 길 세미나 자료집, 국회입법조사처, 2011

      72 고준기, "“불법체류 외국인노동자의 관리대책과 법적 보호”", 『노동법학』 제 5호, 한국노동법학회, 1995

      73 노호창, "“외국인근로자 고용에 있어서의 법적 정책적 쟁점”", 『노동법학』 제70호, 한국노동법학회, 2019

      74 이희성, "“외국인 근로자의 사업장변경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원광법학』 제32권 제2호,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75 최홍엽,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고용변동신고와 해고의 제한”", 『노동법학』 제55호, 한국노동법학회, 2015

      76 신은주, "“외국인의 강제적인 가족분리와 가족결합권의 보호”", 『법조』 제63 권 6호, 법조협회, 2014

      77 정봉수, "『외국인근로자의 고용제도와 권리구제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78 윤지영, "이주노동자 사업장 이동의 자유,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 이주노동자 사업장 이동의 자유에 관한 토론회 발표자료, 2012

      79 곽한영, "“다문화 교육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법교육연 구』 제5권 제1호, 한국법교육학회, 2010

      80 김사강, "“외국인근로자 자녀의 기본권 보장을 위한 입법과제”", 경기도외국인 인권지원센터, 2014

      81 김희성, "“이주근로자의 고용에 관한 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경영법률』 제18권 3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8

      82 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 "“고용허가제 시행 5주년 이주근로자 노동권실태 조사”", 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 2009

      83 김선경, "“외국인 근로자는 봉?…귀국시 떼인 국민연금 2천160억”", 연합뉴스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1/02/0200000000AKR2016110 207 8500052.HTML?input=1195m (최종검색일 2019. 11. 22.), 2016

      84 김남진, "“외국인근로자의 인권보장을 위한 사업장변경의 자유”", 『법학연 구』 제16집 제2호, 한국법학회, 2016

      85 이승욱, "“불법체류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노동법의 원칙과 예외”", 『노동법 학』 제58호, 한국노동법학회, 2016

      86 류지호, "“사업장변경 외국인노동자실태조사 및 제도적 보완방향”", 경기북부 사업장변경 외국인노동자실태 및 제도개선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2014

      87 박재영, 이은채, "“저숙련 외국인근로자(E-9) 체류기간에 대한 비판적 검토”", 『다문화콘텐츠연구』 제30집,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9

      88 이연옥, "“미등록외국인근로자의 법적 지위와 관련 정책의 문제점”", 『다문화 콘텐츠연구』 제21집,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6

      89 고준기, "“외국인근로자의 임금을 둘러싼 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콘 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한국콘텐츠학회, 2014

      90 박성재, 유길상, 어수봉, 박영범, "“외국인고용허가제시행 3주년 평가 및 제도 개선방안 연구”", 노동부 연구보고서, 2007

      91 고준기, 노재철,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사회보험법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양법학』 제24권 제3집, 2013

      92 류지호, "“구직과정으로 본 고용허가제 이주노동자 현실과 인권쟁점”", 『외국 인 주민의 노동현황과 과제』, 경기도외국인인권지원센터, 2014

      93 남중권, "“외국인의 헌법적 지위 - 국민과 외국인 구별의 헌법적 의미”", 『법 학연구』 제58권 제1호,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94 문준조, "『주요국가의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지위와 규제에 관한 연구』", 한국 법제연구원, 2007

      95 문정주, 이태호, 박영수, "『외국인근로자 등 소외계층 의료서비스 지원 사업 개선 방안』",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9

      96 소라미, "“미등록이주아동 기본권보장을 위한 법률 제・개정의 필요성”", 국회 인권포럼 이주아동토론회자료, 2013

      97 고준기, "“외국인근로자의 사업장변경 실태와 문제점 및 법적개선방안”", 『노 동법논총』 제23집,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1

      98 김지혜, "“미등록 이주아동의 교육권 : 미국 Plyler v. Doe 판결을 중심으로”", 『미국헌법연구』 제29권 제1호, 미국헌법학회, 2018

      99 노호창, "“현행 사회보장제도에서 외국인의 처우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사회보장법연구』 년 제4권 제1호, 서울대 사회보장법연구회, 2015, 2015

      100 외교통상부 인권사회과, 국가별 정례인권검토, "교통상부 인권사회과, 국가별 정례인권검토(UPR) 심의 결과 보고서", 외교통 상부 인권사회과, 2008

      101 이다혜, "이다혜, “시민권과 이주노동”, 『사회보장법연구』 제3권 제1호", 서울대 사 회보장법연구회, 2014

      102 김대순, "“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에 관한 소고 : 97헌바65 결정을 보면서”", 『헌법판례연구 3』, 헌법재판소, 2011

      103 김종세, "“외국인근로자의 헌법상 근로권보장과 고용허가제의 쟁점사항”", 『한양법학』 제26권 제4집(통권 제52집), 2015

      104 최윤철, "“고용허가제에 대한 비판적 연구 : 법제와 사법판단을 중심으로”", 『공법학연구』 제19권 제1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18

      105 김혜선, 정진주, "“제조업 외국인근로자의 산업안전보건과 사업장 변경의 딜레마”", 『산업노동연구』 제21권 제2호, 한국산업노동학회, 2015

      106 한인상, "“외국인근로자 관련법제 및 불법체류문제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노동법논총』 제23집,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1

      107 김웅기, 최서리, 정혜진, 이창원, "『국제비교를 통한 국내 외국인 불법체류 관리정책 개선방안 연구』", IOM이민정책연구원, 2014

      108 김재일, "우리나라의 이주자 의료서비스정책 평가: MIPEX 비교분석을 중심으 로", 『국가정책연구』 제29권 제4호,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5

      109 한인상, "“유럽연합과 독일의 외국인근로자보호 - 산업안전보건을 중심으로”", 『비교노동법논총』,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0

      110 원영희, 최선희, "“의료서비스 지원이 외국인근로자의 한국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8집,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1

      111 박미숙, 손영화, "“중국계 외국인근로자의 인권 차별 경험을 통한 인권보호 대안모색”",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3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112 국민권익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외국인 근로자의 노인요양보험료 부담 경감 전망”", 국민권 익위원회 보도자료, 2015

      113 김진수,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 활용방안에 관한 연 구』", 전북대학교 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14 김정우, "“민간지원활동을 중심으로 본 국내이주민 보건의료 현황과 발전방 향”", 한국이주민건강협회 창립 10주년 기념 월례토론회 자료집, 사단 법인 한국이주민건강협회, 2009

      115 채형복,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의 자유권 쟁점-추방과 신체의 자유를 중심으로 -”", 세계헌법연구 15권 3호, 2012

      116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외국인 근로자의 사업장 변경 허용기준 등 개선권고”", 국 가인권위원회, 2008

      117 전상현, "“외국인의 기본권 - 헌법재판소 결정례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 으로”", 『강원법학』 제43권,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4

      118 오경숙, "『한국내 외국인근로자의 법적지위와 고용관리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 안』",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19 김현정, "“외국인 근로자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 분석 : 인간 존엄성의 관점 에서”", 『법학논총』 제31권 제2호,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120 고용노동부, “16년도 외국인근로자 도입규모 결정, "고용노동부, “16년도 외국인근로자 도입규모 결정(외국인력담당관)”, 보도자 료", 고용노동부, 2016

      121 윤향희, "“미등록 외국인근로자의 인권보호 -출입국관리법의 개선방향 제시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다문화』 제6권 2호, 대구대학교 다문화정 책연구소, 2016

      122 김두년, "“외국인 근로인력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농어업 분야 활용방 안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제54집, 한국법학회, 2014

      123 오윤수, "“이주외국인의 사회권 기반으로서의 시민권과 인권 그리고 분배정의 에 대한 논의”",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1호, 충남대학교 사회과 학연구소, 2017

      124 국민권익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복지노동민원과, “외국인 근로자의 노인요양보험료 부담 경감 전망”", 국민권익위원회 보도자료, 2015

      125 이승욱, "“불법체류 외국인 근로자의 노동조합 설립과 활동 - 미국에서의 논 의를 소재로 하여”", 『노동법연구』 제37호, 서울대학교 노동법연구 회, 2014

      126 백종인, 설재영, "“외국인근로자 정책 및 법제개선에 관한 연구-독일의 외국 인근로자법제를 중심으로”", 『고려법학』 49권, 2007

      127 최민경, "“일본에 있어서의 외국인 고도 인재 포인트제의 등장과 전개”, 『아태연구』 23(4)",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2016

      128 사카이, "스미오, “일본의 외국인 전문인력 이민제도의 개요와 실태”, 국제노 동브리프 년 3월호", 한국노동연구원, 2011.3, 2011

      129 박용근, "“외국인고용법상 사업장변경제한에 대한 헌법과 국제법상의 문제점 및 법적 개선방안”", 『동북아법연구』 제5권 제3호, 전북대학교 동북 아법연구소, 2012

      130 마은혁, "“불법체류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노동법의 원칙과 몇 가지 쟁점에 관한 소고에 대한 토론문”", 이화여자대학교 년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2015, 2015

      131 한종현, 황승종, "“우리 난민법제에서 가족결합 원칙의 의의와 한계- 대법원 선고 2016두42913 판결을 중심으로 - ”", 『법학연구』 제59권 제2호,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2017

      132 김석호, 이정환, 박형기, "“국내 외국인근로자의 사회연결망과 이직경험-고용 허가제로 입국한 외국인근로자(E-9)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제 37권 제1호, 한국인구학회, 2014

      133 국민고충처리위원회,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외국인근로자 구직활동기간 및 사업장 변경 횟수제한 에 관한 제도개선권고”", 국민고충처리위원회, 2007

      134 전윤구, "“한국의 외국인력정책에서 일본제도의 변용과 문제점 : 산업연수생제 도의 도입과 운영을 중심으로”", 『강원법학』 제42권, 강원대학교 비 교법학연구소, 2014

      135 김형진, "“出入國管理法상의 外國人雇用制限規定을 위반하여 체결한 勤勞契約 의 效力과 그에 따른 勤勞關係의 性質”", 『대법원판례해설』 제24호, 법원도서관,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