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의료기관 근로자와 비의료기관 근로자의 구강보건행태 비교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76368

      • 저자
      • 발행사항

        익산 :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 보건학과 , 2009. 8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vi, 28 p. ; 26cm

      • 소장기관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색인 : 의료기관 근로자, 비의료기관 근로자, 구강보건행태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구강보건정보와 접촉하기 쉬운 의료기관 근로자와 접촉이 어려운 비의료기관 근로자의 구강...

      색인 : 의료기관 근로자, 비의료기관 근로자, 구강보건행태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구강보건정보와 접촉하기 쉬운 의료기관 근로자와 접촉이 어려운 비의료기관 근로자의 구강보건행태를 비교 분석하여, 구강보건정보를 습득하기 쉬운 환경이 구강보건행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선정한 군산시에 소재한 3개 사업장 근로자 237명과 익산시에 소재한 1개 의료기관 근로자 221명을 합한 총 458명을 대상으로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성적 : 구강건강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인식의 정도나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은 의료기관 근로자와 비의료기관 근로자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의료기관 근로자가 비의료기관 근로자에 비해 자신의 구강건강지식수준이 높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높았다. 주관적 구강건강 염려도도 의료기관 근로자가 비의료기관 근로자보다 높았다. 의료기관 근로자의 일일 잇솔질 횟수는 3.62회로 비의료기관 근로자 보다 많았으며, 식후 잇솔질 실천자율도 의료기관 근로자가 높았다. 의료기관 근로자가 비의료기관 근로자보다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높고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 실시에 대한 찬성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근로자가 비의료기관 근로자보다 구강검진 경험률이 적었으나 구강검진에 대한 만족도는 더 높았다. 의료기관 근로자가 비의료기관 근로자보다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자가 많았고, 직장구강보건교육에 참여하겠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도 높았다.
      결론 : 의료기관 근로자가 비의료기관 근로자에 비해 바람직한 구강보건행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구강보건정보를 습득하기 쉬운 환경은 구강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므로 근로자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지원적 환경구축이 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ey words: medical worker, non-medical worker, oral health behavio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omparative analysis on oral health behaviors between medical workers (with relatively easy access to oral health information) and n...

      Key words: medical worker, non-medical worker, oral health behavio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omparative analysis on oral health behaviors between medical workers (with relatively easy access to oral health information) and non-medical workers (with difficulty in access to oral health information), so that it could determine certain settings accessible easily to oral health information could have effects on oral health behaviors.
      Method: For data sampling and analysis, this study used convenient sampling to select total 458 persons (237 workers at 3 workshops located in Gunsan city and 221 workers at 1 workshop located in Iksan city) and conduc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or them.
      Results: In terms of recognizable importance of oral health or concern about oral heal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dical and non-medical workers, and the ratio of medical workers who thought that they have high level of oral health knowledge was higher than that of non-medical workers who thought so. It was also found that medical workers had higher subjective concern about their oral health than non- medical workers. Medical workers brushed their teeth as often as 3.62 times a day, which was more frequent than non-medical workers, and the former showed higher rate of toothbrushing practice after each meal than the latter. And it was found that medical workers showed higher awareness about tap water fluoridation project than non-medical workers and the ratio of the former supporting the initialization of tap water fluoridation projec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atter doing so. Notably,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medical workers who had ever taken oral examination was lower than that of non-medical workers who did so, but the former showed higher satisfaction at oral examination than the latter. The ratio of medical workers who had ever been educated in oral health was higher than that of non-medical workers, and the ratio of the former who revealed willingness to join in-house oral health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atter.
      Conclusion: Medical workers had more favorable oral health behaviors than non-medical workers, estimated that environment with high accessibility to oral health information was helpful to improve oral health.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reate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better oral health of work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4
      • 1. 연구대상 4
      • 2. 연구방법 4
      • Ⅲ. 연구 성적 6
      • Ⅰ. 서 론 1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4
      • 1. 연구대상 4
      • 2. 연구방법 4
      • Ⅲ. 연구 성적 6
      • 1. 연구대상자의 특성 6
      • 2. 근로자의 구강보건행태 8
      • 3. 수돗물불소화사업에 대한 인지도 및 찬반의견 13
      • 4. 구강검진에 대한 의식 14
      • 5. 구강보건교육요구도 15
      • 6. 구강병기인 활동제한 17
      • Ⅳ. 고 안 19
      • Ⅴ. 결 론 24
      • 참고문헌 2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