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知的財産權侵害物品의 國境措置에 관한 硏究 = Study on the border measures against IPR-infringing goo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47535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國民大學校,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國民大學校 大學院 , 法學科 商法專攻 , 2008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65.23 판사항(4)

      • DDC

        346.048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302 p.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274-286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unterfeiting and other violation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Rs) are posing a serious threat to the consumer safety and health, employment, tax revenue and economic growth of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Unchecked IPR infringemen...

      Counterfeiting and other violation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Rs) are posing a serious threat to the consumer safety and health, employment, tax revenue and economic growth of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Unchecked IPR infringement could also undermine product innovation and inventiveness of enterprises. Counterfeit and pirated goods violating legitimat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usually produced, transported, distributed by the isolated underground networks, or sold in every country throughout the world. Once they cross the border, it is hard to suppress them afterwards. Sometimes it costs too much in terms of administrative cost and social charges. So the customs authorit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and interdict the goods infring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n a daily basis. Bearing this in mind, more and more states are staging internationally concerted efforts to tackle related issues.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and the World Customs Organization (WCO) are very active to solve such issues. WTO/TRIPs has established the multilateral norms to interdict the trade in counterfeit and pirated goods, but limited protective measures have left unsatisfactory results in combating IPR violations. To overcome the limit of TRIPs, WCO has developed a higher level of model law than TRIPs, which will be referred to and adopted by member states for proper legislation regarding border controls. WCO's new standards are supposed to enhance the border measures against IPR-infringing goods. Accordingly, they are faced with strong opposition from the developing countries.
      The Korea Customs Service has continuously taken efforts to improve the local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systems to protec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y revising the IPR-related Customs Clearance Notification more than 11 times since its entry into force in 1994. Notwithstanding these efforts, however, Korea's level of IPR protection is deemed quite low enough for the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 to have Korea named on a priority watch list. Against this backdrop, the U.S. and Japanese companies attack Korean industries with the patented technologies while Chinese and foreign trading partners increasingly infring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Korean businesses. That's why sufficient and far-fetched measures are necessary to overcome the current situation.
      This study was initiated when the writer once worked at a customs office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in mind: When allegedly IPR-infringing goods are waiting for customs clearance,
      - What kind of IPRs are supposed to be infringed by the problem goods?
      - What are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in question?
      - Whether the border measures implemented by customs authorities affect the rights of traders and other interested parties?
      - Whether such border measures are conducive to the nation's economy and international trade as a whol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sequence as follows:
      - Chapter 2 explain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various border measures and international rules, and the importance of border controls.
      - Chapter 3 introduces world famous incidents regarding IPR-infringing goods, such as K-Mart case, Samsung PDP case, K2 trade mark case, and so forth. Also customs administrative and judicial judgments are analyzed in legal terms.
      - Chapter 4 compares the local laws and WTO/TRIPs articles, and analyzes the WCO model law provisions to adopt into the Customs Act of Korea. Relevant provisions of major Free Trade Agreements (FTAs) are also examined.
      - Chapter 5 compares the border measures of major trading countries, while Chapter 6 explains and assesses the status quo of Korea's border controls.
      - After reviewing various issues and responses, Chapter 7 summarizes how to improve the current border control system.
      - Chapter 8 makes significant suggestions in conclusion. In this regard, the writer discloses the result of a survey committed by the writer and the Korea Customs Service, and conducted by the Korea Customs Trade Institute. The survey deals with the key issues - what the answerer is aware of regarding the customs border measures and IPR protection, and what should be implemented and improved.
      In Korea, as regards who is actually or likely to suffer from loss of income or damages by IPR-infringing goods, an affected holder of IPRs may apply for the provisional measure of the Trade Commission, or preliminary injunction of the cour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lief out of the Trade Commission's provisional measure or the court order of injunction cannot be employed with the IPR trespasser unidentified. Consequently, the preventive control and check of the Korea Customs Service against IPR-infringing goods during the export and import procedure are getting more and more important.
      From this perspective, the advanced border measures require the following strategical and legislative policy change:
      First, the function of the Customs office is restricted to the mere notification of probable IPR-infringement to the IPR holder, not the determination of actual IPR-infringement. If there takes place a dispute regarding the customs clearance suspension(holdback), it will be ultimately resolved by litigation. The customs clearance suspension(holdback) is regarded as inefficient for a provisional IPR relief. Therefore, the customs clearance holdback shall be operative as quasi-judiciary procedure. The Chief Customs Officer shall be entitled to determine whether the export or import is IPR-infringement or not, and to take necessarily prohibitive measures.
      Second, as the current Customs Act limits the scope of IPRs applicable to customs clearance holdback to the rights which are so obligated by TRIPs, patent right or other IPRs are sometimes beyond the protection of TRIPs despite the intent of IPR holders. Therefor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epare for the conclusion of FTAs with major trading partners,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scope of IPRs protected by the border measures from the existing trademark, copyright, copyright adjacent right, computer program copyright to design right, patent right, industrial idea and design right, species protection right, and so forth.
      Third, the current Customs Act prohibits the export and import of IPR-infringing goods but lacks the corresponding punishment provision. So such punishment provis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Customs Act to make its prohibition more effective.
      Fourth, the collateral which an applicant for the customs clearance holdout is required to provide by the Customs Act is restricted to cash, etc., thus discouraging the border measures. It should be considered to exempt such collateral requirement and to expand the discretionary measures of customs authorities.
      Finally, it is advisable to establish a specialized organization under the Korea Customs Service, which is assigned to analyze and decide whether a problem case amounts to IPR-infringement or not. Also it is inevitable to reinforce the human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of IPR specialis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상품위조 또는 지적재산권에 대한 해적행위는 소비자의 안전과 건강, 고용, 세수 등의 측면뿐만 아니라 국가의 경제발전에 심각한 위협을 야기시킨다. 문제는 위조·해적상품이 대부분 점조...

      상품위조 또는 지적재산권에 대한 해적행위는 소비자의 안전과 건강, 고용, 세수 등의 측면뿐만 아니라 국가의 경제발전에 심각한 위협을 야기시킨다. 문제는 위조·해적상품이 대부분 점조직과 같은 지하조직을 통해 제조된 후 전 세계로 유통되고 있고, 일단 국내에 반입되어 유통될 경우 단속이 매우 어려운 특성이 있으며, 설령 사후적 단속이 이루어진다 해도 그로 인해 많은 사회적 비용이 초래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수출입물품의 통관을 담당하는 세관에서는 지적재산권 침해물품의 단속이 일상적인 과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WTO의 지적재산권협정(TRIPs)는 이러한 위조상품 및 저작권침해 해적상품의 국제적 유통을 저지하기 위한 국제적 규범체계를 형성하기는 하였으나 보호대상의 한정 등으로 인해 다소 미흡한 측면이 있었다. 이러한 TRIPs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세계관세기구(WCO)는 TRIPs 협정보다 높은 수준의 모범법을 만들어 각 회원국이 입법시 참고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최근 국경조치에 관한 새로운 준칙의 제정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준칙(안)에서는 침해물품에 대한 국경조치를 전례 없이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개발도상국의 강력한 반대에 직면해 있다.
      함편, 우리 관세청은 지난 1994년 지적재산권보호고시 제정 이래 동 고시를 11차례나 개정하는 등 통관단계에서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한 법제도 개선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려 왔다. 그러나 그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국무역대표부(USTR)에 의해 우선감시 대상국으로 지정될 정도로 우리나라의 지적재산권 보호에 관해서는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우리 기업들에 대한 미국·일본 등 세계 선진기업들의 특허공세는 날로 강화되고 있고, 최근 우리나라도 중국 등 제3국 기업에 의한 지적재산권 침해사례가 늘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적재산권 침해물품의 수입으로 인해 피해를 입거나 입을 우려가 있는 경우 무역위원회에 잠정조치를 취해줄 것을 신청하거나 법원에 가처분을 신청하여 피해를 예방하거나 구제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무역위원회의 잠정조치나 법원의 가처분 신청에 의한 권리구제는 권리 침해자의 신원을 알지 않고는 활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지적재산권 침해물품을 수출입단계에서 사전에 조치하는 통관보류제도의 기능이 점차 중시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우리나라 국경조치제도의 선진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입법적 조치가 필요하다.
      첫째, 현행 관세법상 세관장은 지적재산권 침해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고 침해우려물품이 수출입될 시 그 사실을 권리자에게 통보하는 제한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세관장의 통관보류처분에 대해 당사자간에 다툼이 있는 경우 결국 소송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세관의 통관보류제도는 지적재산권 침해에 대한 잠정적인 권리구제 수단으로서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선진기업들의 특허공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침해물품에 대한 통관보류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현행 통관보류절차를 준사법적 절차로 운영하고 수출입물품이 침해유무에 해당되는지 여부와 이에 따른 수출입금지 조치를 세관장이 내릴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행 관세법은 통관보류 신청이 가능한 대상 지적재산권을 TRIPs 협정에서 의무로 규정하고 있는 상표권, 저작권 및 관련 권리로 한정함에 따라 특허권 등 여타 지적재산권의 경우 권리자가 통관단계에서 그 권리를 보호받을 의사가 있더라도 보호받을 수 없는 불합리가 생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FTA 체결의 확대에 대비하기 하기 위해서는 통관단계에서 보호되는 지적재산권의 범위를 현재의 상표권, 저작권 및 관련 권리에서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품종보호권 등으로까지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다만 세관신고 및 통관보류대상의 확대는 신고 확인에 따른 세관행정부담의 증가와 통관지체, 통상마찰 등 무역장벽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는 만큼 확대 여부는 국내산업과 무역에 미치는 영향, 세관의 행정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행 우리 관세법에서는 상표권, 저작권 및 관련 권리 침해물품의 수출입을 금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행위를 처벌하는 법 조항이 없어 법집행의 실효성을 거두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지적재산권 위반시 관세법에 그에 상응하는 벌칙규정을 두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현행 관세법는 통관보류 요청인에게 요구하는 담보의 종류를 금전 등으로 제한하고 있어 국경조치제도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통관보류시 무조건 담보제공을 요구하기 보다는 직권조치의 확대를 통해 신청자의 자금부담을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제시된 개선방안이 실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관세청 산하에 침해여부 판단 등을 위한 독립된 전문기구를 설립하고, 무엇보다도 지적재산권 전문인력의 양성과 확충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병행하여 나가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 1.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 2. 선행연구 검토 = 5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 1.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 2. 선행연구 검토 = 5
      • 제2장 국경조치의 연혁 및 중요성 = 8
      • 제1절 국경조치의 개념 및 연혁 = 8
      • 1. 국경조치의 개념과 역사적 배경 = 8
      • 가. 국경조치의 개념 = 8
      • 나. 국경조치의 역사적 배경 = 9
      • 2. 국경조치제도의 연혁 = 14
      • 가. 주요국의 국경조치제도 연혁 = 14
      • 나. 우리나라의 국경조치제도 연혁 = 17
      • 제2절 지적재산권 침해물품에 대한 국경조치의 중요성 = 20
      • 1. 권리침해의 사전예방 = 21
      • 2. 침해물품 수출입 거래의 방지 = 23
      • 제3장 국내외 국경조치의 사례와 쟁점 = 26
      • 제1절 외국의 국경조치 사례와 쟁점 = 26
      • 1. 미국 = 26
      • 가. K-Mart Corp. v. Cartier, Inc. 사건 = 26
      • 나. Sakar International, Inc 사건 = 28
      • 2. EU = 29
      • 가. Polo/Lauren v. Dwidua Langgeng Pratama International 사건 = 29
      • 나. Adidas AG 사건 = 31
      • 다. Rolex 사건 = 32
      • 3. 일본 = 33
      • 가. PAKER 사건 = 33
      • 나. 엘미르 드 호리-저작권 침해 사건 = 35
      • 다. 삼성 PDP 통관보류 사건 = 37
      • 라. 히노미도리 사건 = 39
      • 4. 중국 = 40
      • 가. 질레트 컴퍼니 대 리퉁아오전자유한공사 사건 = 40
      • 나. 상주추혜수출입회사 대 최립평, 손성의 수출입대행계약 분쟁사건 = 42
      • 제2절 우리나라의 국경조치 사례와 쟁점 = 44
      • 1. Polo 사건 = 44
      • 2. Monfort 사건 = 45
      • 3. K2 사건 = 48
      • 가. 사실개요 = 48
      • 나. 쟁점 = 51
      • 다. 법원의 판단 = 51
      • 4. KGB 사건 = 52
      • 5. K-2 사건 = 54
      • 제3절 국경조치의 대상과 관련 논란이 있는 물품 = 55
      • 1. 통과·환적화물 = 56
      • 가. 통과화물 = 56
      • 나. 환적화물 = 59
      • 2. 병행수입 물품 = 62
      • 가. 병행수입의 의의 = 62
      • 나. 병행수입에 관한 입법례 = 63
      • 3. 소량 수입물품 = 72
      • 4. 세관 미등록 침해물품 = 76
      • 제4절 그 밖의 법률적 쟁점 = 77
      • 1. 국경조치 절차에서의 권리 남용과 책임 = 77
      • 가. 세관의 권한남용과 책임 = 77
      • 나. 권리신고인의 권한남용과 책임 = 80
      • 2. 상표 선등록물품과 국경조치 = 82
      • 3. 지적재산권 침해 무체물과 국경조치 = 83
      • 제4장 국경조치에 관한 국제규범 제정 = 88
      • 제1절 WTO/TRIPs 협정의 국경조치 = 88
      • 1. TRIPs 국경조치의 의의 = 88
      • 2. 국경조치에 관한 특별요건과 국내 관세법규의 정합성 = 90
      • 제2절 세계관세기구(WCO) 모범법의 분석 = 95
      • 1. WCO 모범법의 의의 및 연혁 = 95
      • 2. WCO 모범법의 내용 검토 = 97
      • 제3절 자유무역협정(FTA)상의 국경조치에 관한 규정 = 101
      • 1. FTA 국경조치 규정의 의의 = 101
      • 2. FTA 국경조치 규정의 분석 = 102
      • 제4절 위조·해적행위 방지를 위한 국제규범 제정 = 107
      • 1. 모방·해적품 확산방지에 관한 국제조약 체결 논의 = 107
      • 2. 위조·해적행위 방지를 위한 규범(SECURE) 제정 논의 = 108
      • 제5장 국경조치제도의 비교법적 고찰 = 113
      • 제1절 주요국의 국경조치제도 = 113
      • 1. 미국 = 113
      • 2. EU = 124
      • 3. 독일 = 133
      • 4. 프랑스 = 135
      • 5. 일본 = 137
      • 6. 중국 = 148
      • 제2절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 157
      • 1. 국경조치제도 비교평가 = 157
      • 2. 주요국의 국경조치제도 비교 = 158
      • 제6장 우리나라 국경조치제도 현황 및 과제 = 165
      • 제1절 국경조치제도의 현황 = 165
      • 1. 세관의 지적재산권보호제도 = 165
      • 2. 무역위원회의 불공정무역행위조사 = 183
      • 3. 세관과 무역위원회의 국경조치제도 비교 검토 = 187
      • 가. 국경조치 담당기구의 체제 = 187
      • 나. 양제도의 차이점 = 188
      • 제2절 향후 과제 = 193
      • 1. 통관보류제도에 준사법적 절차의 도입 = 193
      • 가. 준사법적 절차도입의 필요성 = 193
      • 나. 준사법적 절차의 도입시 고려사항 = 194
      • 다. 준사법적 절차의 도입 가능성 및 유용성에 대한 판단 = 199
      • 라. 공정하고 효율적인 통관보류절차의 모색 = 200
      • 2. 통관단계 지적재산권 보호 범위의 확대 = 205
      • 가. 통관단계 보호범위 확대 필요성 = 205
      • 나. 검토대상 권리 = 206
      • 다. 통관보류대상의 단계별 확대 = 215
      • 3. 국경조치 관련 법률체계의 통합정비 = 217
      • 가. 국경조치 관련 법률체계 정비의 필요성 = 217
      • 나. 국경조치 관련 법률체계 및 문제점 = 218
      • 다. 주요국의 국경조치 관련 법률체계 = 219
      • 라. 관련 법령의 정비 = 219
      • 4. 지적재산권 위반에 대한 관세법상 처벌규정의 부재 = 220
      • 가. 관세법상 처벌 규정신설의 필요성 = 220
      • 나. 관세법상 처벌조항의 도입시 고려사항 = 221
      • 다. 주요국의 입법례 = 225
      • 라. 지적재산권 침해물품 수출입행위의 관세범죄화 = 228
      • 5. 지적재산권에 대한 세관 인력의 전문성 제고 문제 = 228
      • 가. 세관의 전문성 제고의 필요성 = 228
      • 나. 세관의 지적재산권 전문인력 양성 현황 및 문제점 = 230
      • 다. 주요국의 사례 및 시사점 = 230
      • 라. 권리종류별 전문인력의 확보 = 231
      • 6. 남북한 교역과 침해물품에 대한 국경조치 문제 = 233
      • 가. 문제제기 = 233
      • 나. 남북한 국경조치 관련 법제도 현황 및 문제점 = 234
      • 다. 외국의 사례 = 237
      • 라. 남북한 국경조치 법제의 조화 = 237
      • 제3절 세관의 단속 사례 및 대응 = 238
      • 1. 상표위조 수출물품 단속 사례 = 239
      • 2. 상표위조 부품 단속사례 = 239
      • 3. 상표 허위신고에 의한 통관단속 사례 = 240
      • 4. 국제공조에 의한 위조상품 단속 사례 = 241
      • 제7장 법제도 및 세관조직에 대한 개선방안 = 247
      • 제1절 국경조치 관련 법제의 개선 = 247
      • 1. 통관보류제도에 준사법적 절차의 도입 = 247
      • 2. 국경조치 관련 법체계의 합리적 재정립 = 250
      • 가. 국경조치 관련 규정의 관세법에의 통합 수용 = 250
      • 나. 지적재산권 위반에 대한 관세법상 처벌근거의 신설 = 251
      • 3. 국경조치 절차의 간소화 = 253
      • 가. 국경조치 관련 비용 규정의 합리적 개선 = 253
      • 나. 침해 수출입물품에 대한 관세법상 몰수·폐기 근거 마련 = 254
      • 제2절 지적재산권에 대한 세관의 역할 및 기능의 강화 = 255
      • 1. 통관단계 지적재산권 보호범위의 확대 = 255
      • 가. 특허권 등에 대한 세관신고 및 통관보류제도의 도입 = 255
      • 나. 침해물품에 대한 직권조치 대상의 확대 및 활성화 = 257
      • 2. 침해물품에 대한 세관 단속권한의 강화 = 260
      • 제3절 지적재산권 관련 조직의 보강 및 전문인력의 양성 = 262
      • 1. 지적재산권 관련 관세행정조직의 확대 개편 = 262
      • 가. 지적재산권 전담조직의 강화 = 262
      • 나. 침해물품 통관심의위원회의 강화 = 265
      • 다. 관세분석소 조직 및 기능의 확대 = 267
      • 라. 지적재산권 침해판단을 위한 전문기구의 설치 = 268
      • 2. 지적재산권 전문인력의 양성 및 확충 = 270
      • 가. 지적재산권 전문인력의 양성 = 270
      • 나. 지적재산권 전문가의 확보 = 271
      • 제8장 결론 = 272
      • 參考文獻 = 279
      • Abstract = 292
      • <부록1> 설문내용 = 298
      • <부록2> 설문결과 분석 = 3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