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도입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TOE프레임워크와 혁신확산이론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for Non-Face-To-Face Education of Airline Service: Focused on TOE Framework and Innovation Diffusion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126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20년 전 세계는 코로나19(COVID-19)의 확산으로 사회·경제·문화·교육 등 전 분야에서 비대면의 다양한 소통방식이 일상화되면서 비대면 시대가 점차 뉴노멀(new normal)로 자리를 잡고 있다. 대�...

      2020년 전 세계는 코로나19(COVID-19)의 확산으로 사회·경제·문화·교육 등 전 분야에서 비대면의 다양한 소통방식이 일상화되면서 비대면 시대가 점차 뉴노멀(new normal)로 자리를 잡고 있다. 대학은 전면적인 비대면 교육을 시행하게 되면서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학생들의 대면을 근간으로 이루어지던 교육활동까지 온라인 학습으로 확대됨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학습방식과 전략을 찾아 실천하기 위하여 비대면 교육을 제공하는 공급자인 대학 교육기관과 수업을 수강하는 수요자인 학생들 모두에게 비대면 교육의 수용과 확산에 제약과 가능성을 검토하여 관련 요인을 도출하고,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의 특성을 파악하여 뉴노멀 시대의 교육방식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시스템 변화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비대면 교육을 개설·운영하고 있는 전국의 전문대학(3년제 포함) 7개교와 대학교(4년제) 5개교를 선정하여 각 대학 교육기관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40부의 유효표본을 대상으로 SPSS 22.0 통계 패키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교육기관의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수용과 확산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지속적으로 학습을 이어 나가기 위한 예측모형을 개발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TOE프레임워크의 기술적 상황(신뢰성, 보안성), 조직적 상황(시험가능성, 자기효능감 ,경영층지원), 환경적 상황(관찰가능성, 기술역량)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대학 교육기관의 관리적 측면과 혁신확산이론의 학습자들의 개개인의 특 성 또는 신념과 관련한 요인을 고려하여 혁신확산요인(상대적 이점, 적합성, 복잡성)의 개인 태도적 측면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함께 비대면 교육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직·간접적인 복합적인 요인들을 도출하기 위하여 기술수용모델의 주요 신념 변수인 지각된 용이성 및 지각된 유용성과 지속적 사용의도와의 인과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TOE프레임워크의 요인과 지각된 용이성 및 지각된 유용성 간의 영향관계에서 TOE요인과 두 신념 변수간의 영향관계 다음과 같은 차이가 나타났다.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TOE프레임워크와 지각된 용이성 간의 영향관계에서 자기효능감(조직적 상황)이 가장 높은 정(+)의 영향관계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TOE프레임워크와 지각된 유용성 간의 영향관계에서 관찰가능성(환경적 상황)이 가장 높은 정(+)의 영향관계로 검증되었다.
      둘째,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도입 TOE프레임워크의 환경적 상황의 관찰가능성과 기술역량 두 요인 모두 지각된 용이성 및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비대면 교육 도입 단계에서 대학 교육기관의 환경적 상황의 요인이 비대면 교육 용이성과 유용성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도입 TOE프레임워크의 조직적 상황의 요인들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적 상황의 일부요인이 지각된 용이성은 증대시키고 있으나 지각된 유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 교육기관의 역할의 변화가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주요 신념요인의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직접적으로 지속적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측면과 실무적 측면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환경에 적합한 혁신기술을 도입하고 구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교육제공 조직단위 요인으로 TOE프레임워크의 기술·조직·환경적 상황의 세 가지 차원의 핵심요인과 개인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태도적 측면의 개인특성 요인을 복합적으로 도출하여 분석의 틀을 적용하여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둘째, 항공서비스 대학 교육기관이 쉽게 비대면 교육을 활용할 수 있도록 중요한 인적자원으로써 자기효능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교육과정 목표 탐색, 시간관리 워크숍, 비대면 실습교육 워크숍 등과 같이 자기주도성과 미래역량을 갖추기 위한 전공 및 체험형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및 개발해야한다.
      무엇보다 대학교육의 기능유지를 위하여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조직적 상황은 관리적 측면의 중요한 요인으로 각별한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비대면 교육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중요한 관리적 측면의 관찰가능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등과 같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연계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창의적이고 활동적인 수업 운영방식을 모색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항공서비스 관련분야의 다양한 진출의 역량을 강화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의 체험형 진로교육 활동이 제한적인 점을 보완하여 온라인 활동을 확장시키고 비대면 교육 전반의 기술정보 활용역량에 대한 격차를 줄여나가기 위한 체계적인 준비와 접근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20, the spread of the COVID-19 around the world drove our lives into a new normal state in all areas of society, economy, culture, and education where various non-face-to-face communication methods become the norm. airline service universities ha...

      In 2020, the spread of the COVID-19 around the world drove our lives into a new normal state in all areas of society, economy, culture, and education where various non-face-to-face communication methods become the norm. airline service universities have been forced to switch from traditional face-to-face course content deliveries to online content delivery. This is a major paradigm shift that will potentially reshape the future of education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at hand intends to draw out relevant factors through examining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acceptance and diffus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for both universities as providers of non-face-to-face education and students as consumers of taking classe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hanges in the new normal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airline service non-face-to-face education.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selected seven junior colleges (including three-year colleges) and five (four-year) colleges throughout the nation that have set up and are operating non-face-to-face education in the airline service departments. Afterward, a combination of both on- and off-lin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enrolled students of each college educational institution.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verified against the total subject of 640 valid samples by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purpose of the study lies in drawing o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and diffusion of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 of colleg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developing and empirically verifying a forecasting model for continuous learning. For this aim, this study distinguished the TOE framework into the three levels of Technology (trust, security), Organization (obervability, self-efficacy, top management support), and Environment (trialability, technology competence). Then, the study was set in the individual attitude aspect of innovation diffusion factors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complexity) considering the managerial aspect of colleg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eliefs of learners of the innovation diffusion theory. In addition, to derive the complex direct and indirect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of non-face-to-face education, the study explored causal relationships to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at are the chief belief variable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primary analysis results of verifying the study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the TOE framework factors of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 and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the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the TOE factors and two belief variables indicated the following differences: self-efficacy (Organization) exhibited the most positive (+) influential relation in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 TOE framework and perceived ease of use. On the contrary, trialability (Environment) was found to have the most positive (+) influential relation in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 TOE framework and perceived usefulness.
      Second, both factors of technology competence and the trialability of Environment of the TOE framework introducing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 influences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In the stage of adopting non-face-to-face education, the Environment factors of college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confirmed to be highly critical in the ease of use and usefulness of non-face-to-face education.
      Third, the Organization factors of the TOE framework introducing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 displaye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some factors of Organization were increasing perceived ease of use, they failed to affect perceived usefulness. Such an outcome suggests that change in the role of college educational institutions is essential.
      Lastly, perceived ease of use of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 was analyzed to be in a positive (+) influential relation to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of chief belief factor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 influence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direc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mplications in the theoretical aspects and practical aspec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ought to expla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d embodying the innovation technology suitable for the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al environment. To achieve this, it complexly derived the key three-level factors of Technology,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of the TOE framework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 in the aspect of the individual's attitude towards new technology with the Organization Level of educational provision. The study holds great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these deducted factors were used to develop a forecasting model by applying the frame of analysis.
      Second, major and experiential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the exploration of goals in the educational process, time management workshops, and non-face-to-face training workshops, that equip students with self-directed learning and future competencies should be operated and developed to grow self-efficacy as an important human resource. This will thereby allow easy utilizat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for college institutions providing airline service educa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function of college education above all, the Organization of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 requires particular effort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managerial aspect. To reinforce observability in the pivotal managerial aspect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al system, creative and active class operation styles that facilitate on- and off-line linked learning like flipped learning and blended learning should be sought after.
      Finally, to elevate the efficiency of the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al system, various advancement capabilities of relevant airline service fields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a shift to a fresh educational paradigm. For this objective, systematic preparation and approach are necessary to expand online activities through complementing the limited experiential career training activities in the education process and to reduce the gap in the capabilities of utilizing technology and information in the overall non-face-to-face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
      • 1. 문제제기 1
      • 2. 연구목적 7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
      • 1. 문제제기 1
      • 2. 연구목적 7
      • 제 2 절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9
      • 1. 연구범위 9
      • 2. 연구방법 10
      • 제 2 장 이론적 배경 11
      • 제 1 절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11
      • 1.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의 개념 11
      • 2.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의 특성 18
      • 제 2 절 연구모델 이론적 고찰 24
      • 1. TOE프레임워크 24
      • 2. 혁신확산이론 37
      • 3. 기술수용모델 50
      • 제 3 절 통합 연구모형 도출 64
      • 1. TOE프레임워크와 혁신확산이론의 모형 통합 64
      • 2. TOE-혁신확산이론과 기술수용모델의 모형 통합 73
      • 3. 통합 연구모형 도출 81
      • 제 4 절 선행연구 85
      • 1. TOE프레임워크와 기술수용모델 간 영향관계 85
      • 2. 혁신확산이론과 기술수용모델 간 영향관계 89
      • 3. 지각된 용이성 및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의도 간 영향관계 94
      • 제 3 장 연구방법 설계 98
      • 제 1 절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98
      • 1. 연구모형 98
      • 2. 가설설정 101
      •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113
      • 제 2 절 조사설계 121
      • 1. 조사목적 121
      • 2. 조사대상 121
      • 3. 조사방법 및 기간 121
      • 제 3 절 설문지 구성과 분석방법 123
      • 1. 설문지 구성 123
      • 2. 분석방법 128
      • 제 4 장 실증분석 130
      • 제 1 절 표본의 특성 130
      • 제 2 절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132
      • 제 3 절 가설 검증 141
      • 제 4 절 분석 결과의 요약 160
      • 제 5 장 결론 164
      •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164
      •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169
      •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180
      • 참고문헌 182
      • 부록 207
      • Abstract 2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