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라북도 일부 대학생의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행동에 관한 비교 = Comparison on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in Jeollabuk-do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599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색인 : 구강보건교육,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행태, 대학생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구강보건행태를 조사하고 성별, 전공 계열별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대학생의 구강건강증진과...

      색인 : 구강보건교육,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행태, 대학생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구강보건행태를 조사하고 성별, 전공 계열별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대학생의 구강건강증진과 구강보건교육 내용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선정한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대학의 대학생 440명을 대상으로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성적 : 연구 대상자의 구강보건지식 평균점수는 78.97점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치주질환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구강보건 지식 평균점수가 높았고, 전공 계열별 비교에서는 간호계열, 일반계열, 보건계열 순으로 평균점수가 높았다. 그러나 구강보건태도 점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연구 대상자의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인지도는 28.2%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간호계열이 일반계열 및 보건계열보다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찬성율은 77.5%이었고 성별, 전공 계열별 차이는 없었다. 연구대상자의 23.5%만이 자신의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다고 응답하여, 자신의 구강건강상태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전공계열별 차이는 없었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 일일 잇솔질 횟수는 3.16회로 나타났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일일 잇솔질 횟수가 많았으며, 전공 계열별 차이는 없었다. 잇솔질 시기별 실천율은 아침식후 실천율은 간호계열이, 취침전 실천율은 일반계열이 높았다. 점심식후 실천율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았다. 6개월 이내에 치과를 방문한 대학생의 비율은 31.0%이었고, 치석을 제거한 경험은 연구 대상자의 52.0%로 나타났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많았다. 구강보건교육 내용 중 선호도가 높은 항목은 성별, 전공 계열별에 따른 차이가 없이 공히 ‘치아우식병 예방 및 치료’와 ‘미백’이었다.
      결론 : 전라북도 일부 대학생의 구강보건행태는 성별, 전공 계열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교육에는 성과 전공을 고려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 및 치주질환에 대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ey words: college students,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care, oral health education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care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wo gender and their major track, and to provi...

      Key words: college students,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care, oral health education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care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wo gender and their major track,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their oral health and oral health education.
      Methods : The subjects were 440 student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colleges in Jeollabuk-do.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Results : The students who investigated got a mean score of 78.97 in oral health knowledge. They relatively lacked knowledge on periodontal diseases. The score of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n that regard(p=0.030), and by track of major, the students who majored in nursing got the best scores, and those whose major was not related to health or nursing got the second best scores. The students who majored in health got the lowest scores(p=0.003).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oral health attitude. They were not well aware of the Water Fluoridation Program, since just 28.2 percent knew about that. And the students who majored in nursing were better cognizant of the Water Fluoridation Program than the other two groups(p<0.001). The agreement percent of the Water Fluoridation Program was 77.5 percent and there were not differences in gender and track of major. Only students of 23.5 percent answered that their oral health status is good, and most of students took a dim view of their own oral health statu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nd track of major. The mean of toothbrushing frequency was 3.16 times a day, and the female students did that more often than the male students(p=0.023).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nd track of major. Concerning when they brushed their teeth, in the brushing rate of post-breakfast, the students were highest who majored in nursing(p=0.040). And in the brushing rate before retiring, the students were highest whose major was not related to health or nursing(p=0.047). The female students brushed their teeth after lunch more than the males(p=0.028). There was 31.0 percent that went to a dentist over the past six months, and 52.0 percent that had ever gotten their teeth cleaned. The male students had more experiences to do that than the females(p=0.010). As to preference for the cont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ntal caries and whitening were most preferred irrespective of gender and track of major.
      Conclusions : There were differences in oral health care among some college students in Jeollabuk-do according to gender and track of major. Therefore gender and major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oral health education is provided to college students, and more intensive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bout the tap water fluoride regulation plan and periodontal disea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4
      • 1. 연구대상 4
      • 2. 연구방법 4
      • Ⅲ. 연구 성적 6
      • Ⅰ. 서 론 1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4
      • 1. 연구대상 4
      • 2. 연구방법 4
      • Ⅲ. 연구 성적 6
      • 1. 연구대상자의 특성 6
      • 2. 구강보건 지식 7
      • 3. 구강보건 태도 11
      • 4. 구강보건 행동 16
      • 5. 구강보건교육 경험 및 요구도 23
      • 6. 구강병으로 인한 활동제한 29
      • Ⅳ. 고 안 30
      • Ⅴ. 결 론 38
      • 참고문헌 4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