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디자인과 문화의 순환 체계 분석을 통한 전기자동차 디자인 연구 : 액티브 시니어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794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1970s, the central value of our society moved from industry to information, then to knowledge, and moving on to the 21st century, a newly emerging central value is culture. Likewise, today’s consumers do not simply buy products, but buy the ex...

      Since 1970s, the central value of our society moved from industry to information, then to knowledge, and moving on to the 21st century, a newly emerging central value is culture. Likewise, today’s consumers do not simply buy products, but buy the experience and sensibility included in them. In this way, culture is increasingly gaining higher value. Among culture, design is standing out as a keyword that reflects the culture of the time, because the design reflecting the culture of the time becomes again the source and direction for creating new designs. In most cases, however, domestic businesses are still utilizing design not as a strategic resource of business, but as a tactic role, functional and secondary, that provides forms and usability. Such products launched by the businesses that understand design as a secondary tactic have short life spans and are easily weeded out in the market.
      In contrast, such design products as the iPod and iPhone of Apple, the MINI of BMW, and the past Walkman of SONY have provided new experiences and created new culture for users by reflecting the culture of the times, thus taking their places as the icons of the times.
      Thus, it is necessary to suggest the design and method that can produce new culture by creating strategic values, figuring out this circulating structure between design and culture.
      At present, the global village is seeing the era of aging society opens up: as the average life span increases with medical development along with low fertility, the entire globe is rapidly aging.
      According to the U.N. estimation, the proportion of the senior over 65 is estimated as 27.3% in Japan; 23.4% in Switzerland; 23.3% in Denmark; 23.2% in Germany; 22.4% in Sweden; 19.8% in the U.S; and 19.4% in the U.K. In Korea, it will be expected as 14.3% in the coming 2022, a sign of entering an aging society, and will be 19.3% in 2030, a sign of entering a super-aging society. In this rapid current of aging, the silver generation of people who have various economic and social needs increas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ilver industry, in which such products as to aim at the silver generation are showing steady growth and variation. In this market, the senior generation is drawing attention as a large class of potential consumers who purchase various products according to their own individualities and lifestyles, and based on their needs of consumption and economic powers, various silver products have been launched in the market. However, the reality in the existing silver product market is that there are mainly the physical assistant devices for the old or the special products for health care, most of which focus only on the fall of motor activities of the senior, dismissing the consideration of their culture and lifestyles. Unlike the past in which the aged people were dependent and helpless, it is expected in the future that a new generation is formed as the active senior who enjoy independent lives, not economically and spiritually depending on their offspring, but having high will of self-investment, high level of consumption, and the contemporary lifestyle in which they enjoy fashion and sports, who will be the main axis of silver consumer generation. This study intends to deal with the design that expects and reflects their culture.
      Also, with the emergence of the active senior, another topic in the near future is a transportation means that utilizes alternative energies. The situation is that eco-friendly and electric automobiles for controlling global warming are increasingly in the limelight. For electric automobiles, it is expected that their proportion in the overall automobile market will come close to 20% in 2020, considering each developed nation’s policy of fuel economy and exhaust gas, speed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charging infrastructure, and development trend of automobile enterprises. It is very urgent, as it were, to develop the electric automobile for the silver generation who will rapidly emerge as a new consumer power around 2020.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expecting and analyzing the culture of the active senior in the near future, drawing their needs, and suggesting the electric automobile design as a medium that can contribute to creating their own culture as a new trend in the near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70년대 이후 사회의 중심가치는 산업에서 정보로, 정보에서 지식으로 이동하였으며, 21세기를 넘어서면서 문화가 중점 가치로 부상하고 있다. 현대의 소비자 역시 단순히 상품을 구매하는 ...

      1970년대 이후 사회의 중심가치는 산업에서 정보로, 정보에서 지식으로 이동하였으며, 21세기를 넘어서면서 문화가 중점 가치로 부상하고 있다. 현대의 소비자 역시 단순히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상품을 통해 상품에 담겨 있는 경험과 감성을 구매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디자인은 한 시대의 문화를 반영하는 키워드로서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그것은 그 시대의 흐름이 살아있는 디자인을 통해 한 단계 성숙되고 변화된 문화는 또 다시 새로운 창조의 기반과 방향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도 국내의 대다수 기업들은 디자인을 기업의 전략적인 차원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형태와 사용성을 부여하는 기능적이며 부수적인 전술적 역할로 이해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디자인을 부수적인 전술로 이해하는 기업에서 출시하는 제품들은 그 수명이 짧고 시장에서 쉽게 도태된다. 반면, Apple사의 iPod 와 iPhone, BMW사의 MINI, 과거 SONY사의 Walkman, 디지털 카메라 등은 시대의 문화를 반영한 디자인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새로운 문화를 창출해 시대의 아이콘으로서 자리매김해오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디자인과 문화의 순환 구조 파악을 통해 전략적 가치를 창출하여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디자인과 그 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다.

      현재 지구촌에는 역사상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인구의 고령화 시대가 열리고 있다. 저 출산 현상과 더불어 의학의 발달로 인한 평균수명이 높아지면서 지구전체가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는 것이다. 2026년에는 전체인구의 20%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UN추계에 의하면 2025년에 65세 이상의 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일본 27.3%, 스위스 23.4%, 덴마크 23.3%, 독일 23.2%, 스웨덴 22.4%, 미국 19.8%, 영국 19.4%로 예측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오는 2022년에는 14.3%를 기록해 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30년에는 19.3%에 달해 초 고령 사회의 진입을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고령화 흐름 속에서 경제적 사회적으로 다양한 욕구를 가진 실버 세대가 늘어났으며, 이에 대비한 실버 산업이 증가하고 실버 세대를 겨냥한 제품이 꾸준한 성장세와 다양화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시장에서 노인세대는 커다란 잠재 소비 계층으로 개성과 생활 양식에 따른 다양한 구매 계층으로서 주목 받고 있고, 이들의 소비욕구와 경제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실버 용품들이 시장에 나오고 있다. 하지만 종래 실버 제품 시장에서는 노인들의 신체적 보조 기구나 건강관리를 위한 전문 제품이 주를 이루고 대다수의 제품들이 노년층의 신체적 활동 능력 저하부분에만 초점을 두어 그들의 문화와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고려는 간과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현대의 노인세대는 이전의 의존적이며, 무기력했던 고령자의 모습과 달리 높은 교육수준과 경제력 향상으로 적극적인 라이프 스타일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점차 증대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미래 노인의 모습은 과거 우리가 생각했던 약하고 힘없는 노인이 아니라 훨씬 더 생기 있고, 건강하며 활력이 넘칠 것이다. 이들은 자녀들에게 경제적, 정신적으로 의존하기보다 독립된 생활을 즐기려는 경향이 강해지며 자기 투자의지가 높고 소비수준이 높으며 패션과 스포츠를 즐기는 현대적인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Active senior라는 새로운 세대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Active senior는 근 미래 실버 세대 소비유형의 주축이 될 것이므로 그들의 문화를 예측하고 반영한 디자인의 연구를 본 논문에서는 다루고자 한다.

      또한 Active senior의 등장과 함께 근 미래의 또 다른 화두는 대체 에너지를 이용한 운송수단이다. 지구 온난화 억제를 위한 각국의 운송수단에 대한 배기가스 규제 목표가 강화되면서, 그 중 배가가스가 전혀 없는 전기자동차가 점점 더 각광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전기자동차는 선진 각국의 연비 및 배기가스 정책, 기술 발전 속도, 충전 인프라, 자동차 기업들의 개발 동향 등을 고려할 때, 2020년이면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20%에 육박할 수 있을 전망이다. 2020년을 전후로 새로운 소비세력으로 급부상할 실버 세대를 위한 전기자동차의 개발은 매우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근 미래에 Active senior의 문화를 예상, 분석하고 Needs를 도출하여 근 미래에 새로운 트랜드로서 그들만의 문화를 창출해내는데 기여할 수 있는 매개체로써의 전기자동차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2. 디자인과 문화 3
      • 2-1. 디자인과 문화의 관계 3
      • 1.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2. 디자인과 문화 3
      • 2-1. 디자인과 문화의 관계 3
      • 2-1-1. 문화와 디자인 4
      • 2-1-2. 디자인을 창출하는 문화 6
      • 2-1-3. 문화를 창출하는 디자인 10
      • 2-2. 디자인과 문화의 순환 구조 13
      • 3. 디자인과 문화의 순환 구조가 반영된 디자인 방법 모색 16
      • 3-1. 디자인과 문화의 순환구조를 창출한 디자인 사례 16
      • 3-2. 디자인과 문화의 순환구조를 반영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31
      • 4. Active senior 에 대한 고찰 38
      • 4-1. 고령화 시대에 대한 고찰 38
      • 4-2. Active Senior의 정의 39
      • 4-3. Active Senior의 특징 40
      • 4-4. Active Senior의 라이프스타일 53
      • 5. 전기자동차에 대한 고찰 57
      • 5-1. 전기자동차의 정의 57
      • 5-2. 전기자동차의 특징 57
      • 5-3 전기자동차의 유형 58
      • 5-4. 전기자동차의 현황 60
      • 5-4-1. 메이커별 자동차 현황 62
      • 5-4-2. 현황 분석 70
      • 5-4-3. 현황에 대한 유형분석 75
      • 5-4-4. 현황에 대한 LAYOUT 분석 77
      • 5-5. 전기자동차의 미래 78
      • 6. 디자인과 문화의 순환 체계에 근거한 액티브 시니어형 전기 자동차 제안 81
      • 6-1. 액티브 시니어의 디자인과 문화에 따른 디자인 요소 적용 81
      • 6-1-1. 생활 속 니즈의 반영 / 실용성 81
      • 6-1-2. 차별화 요소 / 감성적 요소 85
      • 6-1-3. 패션과의 융합 요소 87
      • 6-1-4. 사용성 90
      • 6-2.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전기자동차 디자인 제안 102
      • 6-2-1. 3D 렌더링 이미지 102
      • 6-2-2. 내부 구조 105
      • 6-2-3. Drawing 106
      • 7. 결론 107
      • 참고문헌 109
      • ABSTRACT 1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