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COVID-19 전담 공공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및 직무 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23674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 의료관리학과 , 2021. 8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51-D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effect of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job stress on somatic symptoms of public hospital nurses dedicated to COVID-19

      • 형태사항

        iii, 72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윤은경
        참고문헌: p. 50-58

      • UCI식별코드

        I804:11006-200000500970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aiming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job stress on somatization symptoms among nurses of a public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who have been involved in COVID-19 care for a prolonged 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aiming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job stress on somatization symptoms among nurses of a public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who have been involved in COVID-19 care for a prolonged period.
      Two hundred fifty nurses of a public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who had been involved in direct or indirect COVID-19 care for a minimum of one month were enrolled, and data on nursing work environment, job stress, and somatization symptoms were collected from March 26 to April 4,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5.0 software. The results are described below:

      1. The mean nursing environment work score was 2.53, and the mean job stress score was 2.62. The mean somatization symptom score was 1.95.

      2. Regarding nursing 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erceived nursing work environment score was relatively high at 2.6 among nurses with a career of 2 years or less and nurses with a career of 16 years or more, and it was relatively low among nurses with a career or 3–15 years (p<.05). By job position, the perceived nursing work environment score was 2.94 among head nurses or above, while that among staff nurses was significantly lower at 2.49 (p<.05). By form of work,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score was higher among nurses working a non-rotating shift than among those working a rotating shift (p<.001).

      3. Regarding stress, female nurses showed a higher level of stress than male nurses (p<.05). By salary, the mean job stress was high (2.75) among those with an annual salary of KRW 45–65 million and low (2.36) among those with an annual salary of KRW 65 million or higher (p<.05).

      4. Regarding somatization symptoms, female nurses showed a higher level of somatization symptoms than male nurses (p<.01). By religion, the somatization score was 2.07 among nurses with a religious affiliation,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1.85 among nurses without a religious affiliation (p<.05). By form of work, the somatization score was higher among nurses working a rotating shift (1.98) than among those working a non-rotating shift (1.70) (p<.05).

      5.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somatization symptoms (r=.477, p<.01).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somatization symptoms (r=-.345, p<.01).
      These results show that somatization symptoms decrease with increased nursing work environment score and increase with increasing job stress.

      6. Nursing work environment (β=-1.175) and job stress (β=.403) were identified as the predictors of somatization symptoms among public hospital nurses providing COVID-19 care, and these factors explained 25.3% of the variance.

      As shown abov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job stress were identified as the predictors of somatization symptoms in public hospital nurses providing COVID-19 care.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nursing management strategies that improve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reduce job stress in order to promote safe and high-quality patient ca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COVID-19 확진 환자 간호에 장기간 참여한 경기도 소재 공공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직무 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21년...

      본 연구는 COVID-19 확진 환자 간호에 장기간 참여한 경기도 소재 공공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직무 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21년 3월 26일부터 4월 9일까지 경기도 소재 공공병원 간호사 중 COVID-19 확진 환자의 직접간호 또는 간접간호에 1개월 이상 장기 참여하고 있는 간호사 250명을 대상으로 간호업무환경, 직무 스트레스, 신체화 증상에 대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피어슨 상관 계수(Pe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OVID-19 확진 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의 경우 평균 2.53점,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평균 2.62점, 신체화 증상의 경우 평균 1.95점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사항에 따른 간호 업무환경의 경우 경력별로 살펴보면, 2년 이하와 16년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2.6점대로 나타났으며, 3년~15년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5). 직급별로 살펴보면, 수간호사 이상의 경우 2.94점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높은 간호 업무환경의 점수를 보였으며, 일반 간호사는 2.49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근무형태별로는 비 교대근무의 경우 교대근무보다 높은 간호 업무환경점수를 보였다(p<.001).

      3. 일반적 사항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는 남성의 경우보다 여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5). 연봉별로는 연봉이 4500만원~6500만원 사이의 경우 평균 직무 스트레스가 2.75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6500만원 이상의 경우에는 2.36점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낮은 직무 스트레스를 보였다(p<.05).
      4. 일반적 사항에 따른 신체화 증상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신체화 증상을 보였다(p<.01). 종교 유무에 따라서는 종교가 있는 경우 2.07점으로 종교가 없는 경우 1.85점보다 높은 신체화 증상을 보였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근무형태별로는 비 교대근무 1.70점보다 교대근무의 경우 1.98점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높은 신체화 증상을 보였다(p<.05).

      5. 직무 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r=.477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간호업무환경과 신체화 증상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r=-.345로 유의한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이러한 결과는 간호업무환경의 점수가 높으면, 신체화 증상은 낮아지고 직무 스트레스가 높으면, 신체화 증상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6. COVID-19 전담 공공병원 간호사의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은 간호업무환경(β=-1.175), 직무 스트레스(β=.403)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5.3%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COVID-19 전담 공공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과 직무 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안전하고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간호업무환경을 개선하고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 관리 전략개발이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용어의 정의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용어의 정의 5
      • Ⅱ. 문헌고찰 7
      • 1. Coronavirus disease 19,( COVID-19) 7
      • 2. 간호업무환경 9
      • 3. 직무 스트레스 11
      • 4. 신체화 증상 14
      • Ⅲ. 연구방법 16
      • 1. 연구설계 16
      • 2. 연구대상 16
      • 3. 연구도구 18
      • 4. 자료수집과 윤리적 고려 22
      • 5. 자료 분석 23
      • Ⅳ. 연구 결과 24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4
      • 2. COVID-19 전담 공공병원 간호사의 간호현장 실태 26
      • 3. 간호업무환경, 직무 스트레스, 신체화 증상의 특징 33
      • 4. 일반적 사항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간호업무환경, 신체화 차이 35
      • 5. 간호업무환경, 직무 스트레스, 신체화 증상 기술통계 38
      • 6. 간호업무환경, 직무 스트레스, 신체화 증상 상관관계 39
      • 7.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40
      • Ⅴ. 논의 41
      • 1. 대상자의 간호업무환경, 직무 스트레스, 신체화 증상 정도 41
      • 2. 신체화 증상의 영향요인 44
      • 3. 연구의 제한점 45
      • Ⅵ. 결론 및 제언 46
      • 1. 결론 46
      • 2. 제언 49
      • Ⅶ. 참 고 문 헌 50
      • 부록 1 59
      • 부록 2 60
      • Abstract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