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젊은 창극>의 성과와 창극의 발전방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618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o-called ‘young changgeuk’ (‘jul-mun changgeuk,’ lit. ‘young changgeuk’ or ‘youthful changgeuk’) productions in recent years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irections for the modernizat...

      This study examines the so-called ‘young changgeuk’ (‘jul-mun changgeuk,’ lit. ‘young changgeuk’ or ‘youthful changgeuk’) productions in recent years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irections for the modernization and the popularization processes of changgeuk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nggeuk performed between 2005 and 2009. This dissertation is composed of three parts. Part I covers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following ‘young changgeuk’: Story of the Pheasant, The Wedding Day, Forest Fire, Romeo and Juliet, and Sujeong, a Little Mom Who Loves Mindeulle.
      Part II is divided into subsections that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ripts and their stage productions. These include the choice of material and its staging, diversification of musical method, incorporation of the traditional noripan format, and the realism and abstractness of the stage design.
      Part III is a prospect on the changgeuk genre in genera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eatures of the ‘young changgeuk’ as examined in the previous sections of the study.
      Through this study, observations have been made that the ‘young changgeuk’ incorporated various musical methods and performances format (noripan) of the traditional performances in its search of uniquely Korean musical theatre. Though it was first produced by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as a show case written and directed by its members in order to provide them opportunity of artistic growth, the ‘young changgeuk’ became established repertories that are suitable to the contemporary audiences. This attempt includes adapting contemporary Korean plays and the world classics into changgeuk.
      Still,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ting a unique trait of changgeuk that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coexistence of traditional changgeuk and original changgeuk.
      This led to contemplation on the possible directions changgeuk can take in the future, specifically by looking at the aspects of the ‘young changgeuk.’
      Thus the following suggestions will contribute to finding unique designs for changgeuk that differentiates this genre from other musical theatre forms:
      First, to adopt various musical methods rooted in indigenous traditions such as folk songs or kut (shaman ritual), while at the same time focusing on pansori when composing the dominant music in drama.
      Second, to compose the theme music and choral music in a way that the National Gook-ak Orchestra or National Gook-ak Chamber Music can play in fuller sounds; to play the arranged music from pansori (e.g. in major arias) according to the character’s personality or image, lyric, or the context, by utilizing different types of instruments; to pursue music that combines the composed or arranged one with improvisational instrument music that accompanies songs.
      Three, to adopt the elements of indigenous performances such as pungmul (farmer’s performance), talmchum (mask dance drama), and salpan, while making sure that they are organically absorbed in the overall dramatic flow.
      Four, to develop a program to train professional changgeuk performers to be in charge of a communicative changgeuk that goes hand in hand with the contemporary society. Also to pay attention to acquire a knowledge about a wide range of genre in songs, actual performance, and performative elements.

      Hopefully this study contributes to developing new changgeuk repertories suitable to the contemporary sensibilities.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the inspection of the outcome and problems of the ‘young changgeuk,’ securing a place for changgeuk in the current performance scenes in South Korea, and through the continuous quest for its way to the international stag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2005년부터 2009년까지 공연되어진 젊은 창극의 성과를 통해서 본 창극의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그동안 공연되어진 젊은 창극의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함으로...

      본 논문은 2005년부터 2009년까지 공연되어진 젊은 창극의 성과를 통해서 본 창극의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그동안 공연되어진 젊은 창극의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창극의 현대화, 대중화를 위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은 그동안 공연되어진 젊은 창극 「장끼전」, 「시집가는날」, 「산불」, 「로미오와 줄리엣」,「민들레를 사랑한 리틀맘 수정이」의 제작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두 번째 부분은 소재의 선택과 장면화, 음악어법의 다양화, 놀이판 형식의 수용, 무대 미술의 사실성과 추상성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젊은 창극의 대본과 무대화의 특징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세 번째 부분은 앞에서 다룬 젊은 창극의 양상을 통해 창극의 발전 방향에 대해 전망해 보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처음에는 창극단원이 직접 대본을 쓰고 연출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극작과 연출에의 역량을 키워나가고 나아가 자체적으로 창극 공연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기획했던 공연이, 해를 거듭하면서 현대희곡과 세계 명작을 창극화시키는 등 관객들의 시대적 감성에 맞추어 새로운 레파토리를 구축해나가는 것으로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다양한 음악어법의 도입과 전통연희에서 나타나는 놀이판 형식의 수용 등 한국적인 음악극의 모색을 위한 젊은 창극의 지향하는 바를 찾을 수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전통창극과 창작창극이 함께 공존하며 나아가기 위한 창극만의 고유한 어법을 찾아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 또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젊은 창극의 공연양상을 고찰해보고 창극의 발전 방향에 대해 고민한 결과, 창극이 여느 음악극과 차별화 된 창극만의 고유한 어법을 찾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추가했다.
      첫째, 민요나 굿 등의 전통에 뿌리를 둔 다양한 음악어법을 도입하되, 전체적으로 극을 구성하는 음악은 판소리창법의 화술을 중심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극 전체를 아우르는 테마음악과 합창곡들은 작곡하여 국악 관현악 또는 국악 실내악 편성으로 풍성하게 연주하고 주요 아리아를 비롯한 작창 된 곡들의 편곡은 인물의 성격이나 이미지, 노랫말이나 상황에 따라 악기별로 테마를 가지고 연주하여 작·편곡 되어진 연주와 즉흥적인 수성가락이 배합된 공간을 만드는 연주를 지향해야한다는 것이다.
      셋째, 풍물, 탈춤, 살판 등의 전통연희의 요소와 놀이판의 형식을 수용하되 극의 진행과 어우러지게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이 시대와 함께 호흡하고 소통하는 창극의 연행을 위한 창극배우 육성프로그램의 개발로 판소리 뿐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성악곡에 대한 이해 및 실연과 연희적 요소들을 두루 체득한 배우를 양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젊은 창극의 성과 및 문제점에 대해 점검하고 동시대 감각에 맞는 새로운 창극레퍼토리의 개발, 그리고 한국 공연계에 창극 장르의 자리매김과 대중화, 세계화를 위해 가능성을 찾아가는 끝없는 도전에 조그마한 기여가 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
      • 1.2. 연구사 검토와 연구방법 3
      • 2. <젊은 창극>의 개념과 제작과정 5
      • 2.1. <젊은 창극> 개념의 성립과정 5
      • 1. 서론 1
      • 1.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
      • 1.2. 연구사 검토와 연구방법 3
      • 2. <젊은 창극>의 개념과 제작과정 5
      • 2.1. <젊은 창극> 개념의 성립과정 5
      • 2.2. 작품 제작과정 7
      • 3. <젊은 창극>의 대본과 무대화의 특징 23
      • 3.1. 소재의 선택과 장면화 23
      • 3.2. 음악어법의 다양화 38
      • 3.3. 놀이판 형식의 수용 57
      • 3.4. 무대미술의 사실성과 추상성 65
      • 4. <젊은 창극>을 통해서 본 창극의 발전 방향 72
      • 5. 결론 76
      • 참고문헌 78
      • 국문초록 81
      • ABSTRACT 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