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재 이목의 『다부(茶賦)』에 관한 철학적 해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65675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동의대학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동의대학교 대학원 , 철학·윤리문화학과 , 2017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190 판사항(6)

      • DDC

        17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부산

      • 형태사항

        v, 164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정경환
        참고문헌: p. 158-160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재 이목의「다부」에 내포되어 있는 세계관을 도출하고 전체 내용을 철학적으로 해석한 연구이다. 한재가 집필한「다부」는 우리나라 차의 역사에서 문헌으로 전해지는 최초...

      본 논문은 한재 이목의「다부」에 내포되어 있는 세계관을 도출하고 전체 내용을 철학적으로 해석한 연구이다. 한재가 집필한「다부」는 우리나라 차의 역사에서 문헌으로 전해지는 최초의 다서이다. 이십대의 젊은 나이로 집필된「다부」는 차에 대한 전문적인 내용을 포함하여 다양한 학문에 대한 관심을 엿 볼 수 있다. 본 연구는「다부」의 내용을 중심으로 「다부」의 세계관을 추출하고 전체적인 내용을 주체적인 철학적 관점에서 해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한재 이목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고 한재의 차 생활에 스승인 김종직의 역할이 지대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김종직에 대해서도 다루어 보았다. 한재는 성종 때의 유학자로서 바른 선비의 길을 걸으며 관료로서의 역할에 충실하고 자신의 소신을 지키는 학자였으며 김종직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을 하였다. 김종직의 곧은 인품과 학문, 차에 대한 안목 등을 배울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고 본다.
      「다부」의 내용 분석에 있어 시도한 철학적 접근법은 어떤 사물이나 내용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자신만의 사유를 통해서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사상들을 유추해내는 방법이며 끊임없는 생각과 물음을 통하여 깊이 있는 분석을 요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다부」에 들어있는 다도의 세계관을 다음과 같이 추출하였다.
      첫째, 이목의 주체적인 인생관을 지적할 수 있다. 중국의 󰡔다경󰡕과 필적하는「다부」를 젊은 나이에 집필하였고 일찍이 차가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여 곧고, 고결하고, 대쪽 같은 선비정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게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차를 통한 자신의 생각을 주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둘째, 정신수양에 필수적 방법으로서 다도를 주장하고 있다.「다부」는 선비의 독서생활, 심신의 위로, 다사(茶事)를 통한 수신과 차의 본성을 닮고자 하는 마음 등을 강조함으로써 차의 정신수양 방법으로서의 가치를 제시하고 있다. 즉 여러 가지 기호품 중 차를 통하여 도의 경지에 이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다부」는 인간의 생명활동에 필요한 양생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몸과 마음의 부조화는 결국 인간의 생명활동을 위태롭게 하며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없게 만든다. 차를 마시는 것은 몸을 위하는 행위이자 정신의 영역에서 나의 의식의 세계를 넘어 무의식 속에 숨어있던 본연의 자유로움을 느끼게 하는 행위로서 양생에 좋은 양생을 위한 대상물이다.
      이러한 세계관을 바탕으로 내용 분석을 해보면 서론 부분은 다부병서로서 차를 접하게 된 동기와 차의 가치를 깨닫고 다서로 만들어 남기려 한다는 내용이다. 본론 부분은 차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차를 끓여서 마시는 즐거움을 노래하며 차의 공로와 덕성을 깊이 있는 학문적 배경 지식을 바탕으로 적절하게 표현하여 자신의 생각들을 표출해 내고 있다. 결론 부분에서는 중국 유명 문인들이 즐겼던 차 생활을 소개하여 당대 사람들의 차생활의 본보기로 삼았다.
      「다부」의 마지막 구절에 나타난 “나는 차를 지니고 다니며 늘 함께하고 차 또한 늘 한재와 함께하자”라는 표현의 의미로 차는 정신적 지표이며 또한 소통의 대상이라는 것이다. 즉 차를 고귀한 정신을 가진 존재에 비유하여 생명을 부여할 만큼 가치로운 존재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절은 삶과 차에 대한 진정한 멋을 아는 지성인의 참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가슴에 여운을 주고 있다. 이것은 한재의 정신세계가 순수하면서도 따스하며 귀한 존재를 아껴주는 참 마음을 가졌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표현이다. “오심지차”라는 구절에서는 차와 나는 분리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차의 마음과 나의 마음은 하나의 합일체로서 동일한 존재라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는 차가 단순히 차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가 생명을 가진 존재로서 파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재의 「다부」는 차의 이론과 정신적 가치를 알려주는 자료로서의 역할과 수기(修己)의 방법이라는 것을 제시하고 있으며 인간심신의 안식처로서 인간의 도리를 깨우치는 교육적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주장을 최초로 문서화한 자료이다.
      본 연구는 철학적 관점에서「다부」를 해석하여 세계관을 추출하고 「다부」에 언급된 차의 가치를 분석하였다. 추후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다부」를 연구하여 그 본질적 가치를 재조명해야 하며 다도의 교육적 가치로 현대사회에 맞게 되살릴 수 있는 다도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계발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계층의 욕구에 적합한 다도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하여 새로운 차 문화의 흐름을 만들어 가는 것이 다도인 들의 과제라 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1
      • 1. 연구의 목적..............................................................................................................1
      • 2. 선행연구....................................................................................................................5
      • 3. 연구방법....................................................................................................................7
      • Ⅰ. 서론............................................................................................................1
      • 1. 연구의 목적..............................................................................................................1
      • 2. 선행연구....................................................................................................................5
      • 3. 연구방법....................................................................................................................7
      • Ⅱ. 이론적 배경: 다도의 철학적 의미....................................................10
      • 1. 철학과 철학적 해석.............................................................................................10
      • 2. 다도와 철학: 상관적 해석..................................................................................16
      • Ⅲ. 한재 이목의 다부에 나타난 세계관.................................................38
      • 1. 한재 이목의 생애와 사상...................................................................................43
      • 2. 다부에 나타난 세계관 유형...............................................................................51
      • 1) 주체적 인생관.....................................................................................................51
      • 2) 정신적 수양관.....................................................................................................60
      • 3) 조화적 양생관.....................................................................................................73
      • Ⅳ. 한재 이목의 다부에 나타난 철학....... ............................................86
      • 1. 다부의 구성과 의미.............................................................................................86
      • 2. 다부의 철학적 해석.............................................................................................89
      • 1) 다부병서...............................................................................................................89
      • 2) 다부본론.............................................................................................................100
      • 3) 다부결론.............................................................................................................122
      • Ⅴ. 한재 이목 다부의 철학적 해석에 대한 평가 및 과제..............131
      • 1. 다부의 세계관과 철학적 해석에 대한 평가................................................131
      • 1) 확고한 주체의식의 발현.................................................................................132
      • 2) 솔선수범의 수련정신.......................................................................................137
      • 3) 양형 양신의 조화정신.....................................................................................142
      • 2. 향후과제 ..............................................................................................................147
      • Ⅵ. 결론........................................................................................................152
      • 참고문헌.......................................................................................................158
      • Abstract.......................................................................................................16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공문제자, "논어", 나무아래사람, (서울: 명문당, 2002

      2 莊子, "장자", 현암사, (서울: 북마당, 2010

      3 김승동, "편저", 『유교 중국사상사전』(부산대학교출판부, 2003

      4 민영현, "仙과 한", (부산: 세종출판사, 1998

      5 류건집, "茶賦註解", (서울: 도서출판 이른아침, 2009

      6 정영선, "철학사전", 『동다송-부록-장원의 다록 (서울:도서출판 너럭바위, 2011

      7 정경환, "백범평전 ", 이경, (부산: 도서출판 이경, 2007

      8 김시준, "대학, 중용", 혜원, (서울: 혜원출판사, 1998

      9 정경환, "동다송철학", (부산: 도서출판 이경, 2014

      10 정경환, "사유(思惟),", http://blog.naver.com /cw3581/183686380 (검색일, 2014

      1 공문제자, "논어", 나무아래사람, (서울: 명문당, 2002

      2 莊子, "장자", 현암사, (서울: 북마당, 2010

      3 김승동, "편저", 『유교 중국사상사전』(부산대학교출판부, 2003

      4 민영현, "仙과 한", (부산: 세종출판사, 1998

      5 류건집, "茶賦註解", (서울: 도서출판 이른아침, 2009

      6 정영선, "철학사전", 『동다송-부록-장원의 다록 (서울:도서출판 너럭바위, 2011

      7 정경환, "백범평전 ", 이경, (부산: 도서출판 이경, 2007

      8 김시준, "대학, 중용", 혜원, (서울: 혜원출판사, 1998

      9 정경환, "동다송철학", (부산: 도서출판 이경, 2014

      10 정경환, "사유(思惟),", http://blog.naver.com /cw3581/183686380 (검색일, 2014

      11 정영선, "육우의다경", 너럭바위, (도서출판 너럭바위, 2011

      12 이강수, "노자와 장자", (서울: 도서출판 길, 2006

      13 이규호, "사람됨의 뜻", - 철학적 인간학-(서울: 제일출판사, 1967

      14 최범술, "한국의 다도", (서울: 보련각, 1980

      15 박종홍, "현실과 구상", 박영사, (서울: 박영사, 1963

      16 김준섭, "논리학(개고)", (서울: 정음사, 1984

      17 정영도, "『철학사전』", (부산: 도서출판 이경, 2012

      18 정경환, "다도철학강의", (부산: 도서출판 이경, 2014

      19 정창영, "바가바드기타", 당대, (서울: 시공사, 2000), 2000

      20 정상구, "한국차문화학", (부산: 세종출판사, 1983

      21 조요한, "「예술 철학」", (서울: 미술문화, 2003

      22 정경환, "장자의 사생관", 연구록, 2014

      23 고려대학교한국학연구소, "『한국학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서울: 나남출판, 1996

      24 김명우, "마음공부 첫걸음", (서울: 민족사, 2011

      25 정경환, "사회현실의 인식", (부산: 도서출판 이경, 2008

      26 신정근, 최진식, 이동철, "21세기의 동양철학", (서울: 을유문화사, 2005

      27 류건집, "『한국차문화사』", 이른아침, (서울: 도서출판 이른아침, 2007

      28 정경환, "『민족주의 연구』", 이경, (부산: 도서출판 이경, 2009

      29 박영식, "서양철학사의 이해",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0

      30 안점식, "세계관과 종교문화", (서울: 죠이 선교회, 2008

      31 지기영, "동서양정치 사상사3", (서울: 법영사, 2014

      32 이우정, 정지우, "삶으로 부터의 혁명", (부산: 도서출판 이경, 2013

      33 금장태, "유학사상과 유교문화", 전통문화연구회, (전통문화연구회, 1995

      34 금장태, "조선전기의 유학사상",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35 박종홍, "일반논리학(증보수정)", (서울: 박영사, 1963

      36 이지경, "이언적의 정치사상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1998

      37 안희진, "장자,21세기와 소통하다", 시그마북스, (서울: 시그마북스, 2009

      38 A.라키토프, "김신현 역,철학의 기초 1", 서울: 새길 Academy, 2012

      39 신정근, "신채호의 투쟁적 자아관,", 한국철학회, (�『철학』제109집, 2011

      40 최진영, "한재 이목의 차정신 연구,", - 다부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41 서경요, "한국유학의 정신사적 전통", 『인문과학』29, 1992

      42 고유섭, "조선 미술문화의 몇낱성격,", 동방문화사(편), 2012

      43 박남식, "한재이목의 다도사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44 최영성, "한재이목의 도학사상 연구,", 「한국사상과 문화」, 2006

      45 홍성욱, "김종직의 부 및 산문의 연구,",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대학원, 1992

      46 이상선, "맹자의 신체개념과 호연지기", ”『동서철학연구』제64호(한국동서철학학회 논문집, 2012

      47 김경희, "동다송의 양생관에 관한 연구,", 『민족사상』,제8권 제2호(한국민족사상학회, 2014

      48 정경환, "동다송의 인간관에 관한 연구,", 『민족사상』, 제8권 제3호 (한국민족사상 학회, 2014

      49 류승국, "한국사상의 연원과 역사적 전망", (서울: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 연구소, 2009

      50 권문봉, "전통적 선비정신에 대한 일고찰,", (한문교육연구, 제 23호, 2003

      51 정경환, "조화와 조화관이란 무엇인가?(1),", http://blog.naver.com /cw3581/183686380 (검색일, 2014

      52 이석호, "인간의 이해: 철학적 인간학 입문", 철학과현실사,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1

      53 고유섭, "고유섭전집2: 한국미술문화사논총", 통문관, (서울: 동방문화사, 1993

      54 정경환, "한국고대 정치사상의 내용과 의미,", 『민족사상』, 제3권 제2호(한국민족사 상학회, 2009

      55 박부전, "단재 신채호의 사생관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56 변창구, "심산 김창숙의 선비정신과 구국운동", 『민족사상』, 제7권 제4호 (한국민 족사상학회, 2013

      57 최민자, "한국정치사상사: 단군에서 해방까지", 백산서당, (서울: 백산서당, 2005

      58 정경환, "한국사상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연구", 『민족사상』, 제6권 제4호 (한국 민족사상학회, 2012

      59 이형석, "점필재 김종직의 차에 관한 업적 연구", 한국차학회, 『한국차학회』, 제4권 제2호 (한 국차학회지, 1998

      60 최일범, "일두 정여창의 교육정신,유교사상연구", 제13집, 1996

      61 김진봉, "매월당 김시습의 정치사상에 관한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62 정경환, "동다송에 나타난 다도정신에 관한 연구,", 『민족사상』, 제7권 제2호 (한국 민족사상학회, 2013

      63 조규홍, "장자의 수양방법에 대한 심리치료적 접근,",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Vol.19 No.2, 2006

      64 정경환, "한국신선사상의 기원과 내용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민족사상』, 제8권 제1호 (한국민족사상학회, 2014

      65 정영선, "다례제사의 연원과 전개 및 그 특성에 관한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6

      66 송혜경, "초의 의순의 다도관 연구 –�동다송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7

      67 박상조, "장자의 인간론에 관한 연구 –정치철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68 이진용, "양생 사상의 정당화 가능성 문제: -장자, 혜강, 갈홍의 관점을 중심을-,", �『 철학논총』제65집, (새한철학회 논문집, 2011

      69 최진영, "동다의식의 형성관 전개에 관한 연구 –�다부.�기다.�다신전.�동다 송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