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술관 및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 : 서울, 경기 지역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3643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17. 2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7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al Use of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 : Focusing o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형태사항

        ⅸ, 85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유정
        참고문헌: p. 64-66

      • UCI식별코드

        I804:11006-200000101193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아기의 예술경험은 유아의 심미적 태도를 길러줌으로써 이후의 삶을 풍요롭게 한다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누리과정에서는 예술경험 영역을 통해 유아들이 예...

      유아기의 예술경험은 유아의 심미적 태도를 길러줌으로써 이후의 삶을 풍요롭게 한다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누리과정에서는 예술경험 영역을 통해 유아들이 예술적으로 표현하고 예술작품을 감상하는 경험을 하도록 관련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이때 미술관은 유아들에게 예술작품을 경험할 수 있는 문화시설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현재의 유아교육현장에서는 다른 문화시설에 비해 미술관 이용률이 저조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이 미술관 및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유아교육에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장학습 및 체험활동에서 미술관 활용 실태와 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사 개인적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이용, 유아교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유아들과 함께 미술관 프로그램의 이용실태와 유아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45곳과 유치원 11곳에 종사하는 유아교사 231명을 임의표집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현황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는 남미선(1999)과 이윤진 외(2013) 토대로 작성한 후, 유아교육과 교수 3인, 유아교육기관장 5인, 유아교육 현장전문가 6인을 통해 설문지 구성 및 내용의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이후 본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현직 유아교사 6인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한 결과에 따라 수정 및 보완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변인의 특성에 따라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t검정, ANOVA, 교차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에 앞서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현장학습 및 체험활동에서 미술관의 활용에 대해 조사한 결과, 다른 문화시설에 비해 미술관의 이용률은 가장 낮았다.
      지난 1 년간 현장학습 및 체험활동으로 미술관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는 표본이 49명(21.21%)이였고,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유아교사는 표본의 48명(20.48%)이였다. 유아교사가 현장학습 및 체험활동 장소를 고려할 때는 교과와의 관련성, 기관의 요구, 유아들의 흥미 등을 고려한다고 하였다. 미술관을 이용하지 않은 유아교사들은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거나 미술관까지 이동이 어려웠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체험활동 및 현장학습 장소로서 미술관의 장점으로는 미술 영역과 관련된 전문적인 교육이 가능하다는 점을 가장 많이 꼽았고 단점으로는 적절한 프로그램의 부족과 미술관에 대한 유아교사의 불편감을 지적하였다.
      둘째, 유아교사가 개인적으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한 경험은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로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이용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술관 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유아교사의 학력과 전공은 미술관에 대한 인식 수준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유아교사들은 미술관 이용이 누리과정의 예술경험 영역 중 예술 감상하기 및 가장 유아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핵심 주제인 유아교사로서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이용에 대해 유아의 연령이 높을수록 이용 빈도가 높았으며, 주로 그리기 및 만들기 프로그램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기관의 연간계획이나 기관장의 요구를 통해 습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이용을 결정할 때에는 프로그램의 내용 및 특성과 프로그램을 이용한 유아교사의 평판을 고려하여 결정한다고 응답했으며 미술관의 접근성도 중요요인으로 나타났다.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한 유아들에게 보다 전문적인 미술경험을 제공해 주고, 새롭고 흥미로운 미술활동을 경험을 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응답하였다. 유아교사로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한 유아교사들은 대부분 만족 한다고 응답했으며 유아들은 대체로 흥미로워 한다고 밝혀졌다. 유아교사들이 인식하기에 유아의 흥미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프로그램의 주제 및 내용과 미술관의 분위기 및 시설이라고 응답하였다.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한 유아교사들은 추후 다시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현재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서 가장 시급하게 보완되어야 할 점으로는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프로그램 확보 및 충분한 정보에 대한 부분을 지적하였다.
      한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은 이유를 조사한 결과, 정보를 얻지 못했거나 마땅한 교육프로그램이 없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이용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과반수가 이용하는 편이 좋다고 응답하였다. 추후 이용 계획에 대해 조사한 결과 가능하다면 이용하는 편이 좋다고 응답하여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할 의향이 있음을 밝혔다.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이 가장 시급하게 보완해야 할 점으로는 프로그램의 적합성과 주제에 맞는 프로그램의 제공을 꼽았다.
      이상의 결과는 유아 대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이 부족한 국내의 상황에서 유아교육에서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활용 실태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유아 대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과 관련있는 유아교사의 개인적 경험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현장학습 및 체험학습 운영 변인들을 탐색함으로써, 유아 대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해 보완해야 할 부분들을 제시해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bout arts and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s and their practical usag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the use of the art gallery program in ...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bout arts and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s and their practical usag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the use of the art gallery program in field trips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 experiences of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s. We also analysed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could affect on their perception and practical use of the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231 early childhood teachers in 45 preschools and 11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The questionnaire for inquiri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their practical usage was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relevant researches such as Nam(1999) and Lee(2013). We confirmed the questionnaire’s adequacy and validity by 9 specialis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n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by 6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not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other statistical tests using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on the use of art gallery in the field trip showe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ended to visit art gallery less than other cultural facilities.
      Second, as a teacher, the personal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linked to the practical use of the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 as a teacher. Those teachers who had the experiences of the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 generally satisfied the program.
      Third, depending on the education level and the maj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was differed. In addition, they expected that the use of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 would be helpful the young children.
      Forth, the older the age of the children, the more frequent they visited the art galleries. Most of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s were drawing and craft classe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btained information on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e annual plan of the institution or the principles. The respondents considered the content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eputation of the programs as priority. The accessibility of the art galleries was also considered wh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decide to visit.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used the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s were willing to take the programs again. The most urgent supplementary point they thought was the developmental appropriateness of the programs and sufficient information .
      We also conducted the survey on the teachers who had not used the art galley education program. They answered the reason of not using the programs as they did not receive any information or there was not adequate educational program. When asked about the necessity of using the educational programs at museums, the majority answered it was needed. The most immediate needs for the educational programs at art gallery should be appropriate developmentally and suitable for the them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spite insufficient data about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s, we suggested fundamental inform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supplementary elements to vitalize educational programs for young childr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ⅷ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의 6
      • 국문초록 ⅷ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의 6
      • 1) 미술관 6
      • 2)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6
      • 3) 유아 대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6
      • 4) 에듀케이터 7
      • Ⅱ. 이론적 배경 8
      • 1. 미술관의 교육적 역할 8
      • 1) 미술관의 개념 및 현황 8
      • 2) 미술관의 교육적 역할 10
      • 3) 미술관 교육의 특성 12
      • 4)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유형 13
      • 2.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현황 16
      • 1) 국내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일반적 경향 16
      • 2) 서울 및 경기 지역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현황 17
      • 3) 유아 대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현황 19
      • 3. 유아 미술교육과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20
      • 1) 유아 대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 20
      • 2) 유아 대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의의 22
      • Ⅲ. 연구방법 25
      • 1. 연구대상 25
      • 2. 연구도구 27
      • 1)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현황 27
      • 2) 미술관 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28
      • 3. 연구절차 29
      • 1) 설문지 조사 29
      • (1) 예비조사 29
      • (2) 본 조사 29
      • 4. 자료분석 30
      • Ⅳ. 연구결과 31
      • 1. 일반적인 미술관 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31
      • 1)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과 미술관 이용에 대한 인식 간의 관련성 32
      • 2) 미술관 이용의 교육적 유용성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32
      • 2. 현장학습 및 체험활동에서 미술관 활용 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33
      • 1) 유아교육기관 유아교사의 현장학습 및 체험활동에서의 미술관 이용 실태 33
      • 2) 현장학습 및 체험활동 장소로서 미술관의 장단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36
      • 3. 유아교사의 개인적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이용 경험 37
      • 4. 유아교사로서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이용 현황 39
      • 1)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이용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의 인식 39
      • 2)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이용 경험이 없는 유아교사의 인식 47
      • Ⅴ. 결론 및 제언 51
      • 1. 논의 및 결론 51
      • 2. 제언 60
      • 3.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 62
      • 참고문헌 64
      • Abstract 67
      • 부록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