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술교육의 문화적 실천을 위한 미술교사 문화역량에 관한 연구 = (A)study on cultural competencies of art teachers for the cultural practice of art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66342

      • 저자
      • 발행사항

        청원군: 한국교원대학교, 20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2007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6.465 판사항(4)

      • DDC

        750.712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형태사항

        xiii, 258 p.: 삽화, 도표; 26 cm

      • 일반주기명

        권말부록으로 "미술교사 문화역량모형의 기본 설계안에 대한 설문조사지" 등 수록
        참고문헌: p. 222-23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탈근대 문화 패러다임 하에서 미술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으로서 ‘미술교육의 문화적 실천’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미술교육의 매개자인 미술교사의 문화역량을 구명하고자 하였...

      본 연구는 탈근대 문화 패러다임 하에서 미술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으로서 ‘미술교육의 문화적 실천’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미술교육의 매개자인 미술교사의 문화역량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문화역량모형에 입각하여 한국 중등미술교사의 문화역량 수준을 조사⋅분석한 후 미술교사의 문화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화적 환경 측면에서 한국 미술교육은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전통과 단절된 채 서구의 이론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해 왔으며 학습자의 삶의 맥락으로부터 분리되어 교육이 이루어짐으로써 점차 실제 교육의 수혜자인 개인과 사회로부터 교과의 필요성에 대한 설득력을 잃어왔다. 이것은 ‘근대 문화 패러다임’에 연유한 것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문화를 인간이 자기발견과 자기형성을 이루어가는 터전이자 과정으로 이해하는 ‘탈근대 문화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사회적 측면에서 지식기반사회로의 진전은 미술 등 문화예술의 물질적․경제적 가치를 중시하고 있지만 근대 문화 패러다임의 한계 속에서 경쟁력 추구에 따른 사회의 양극화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사회적 통합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탈근대 문화의 원리에 기초한 문화기반사회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한편 정책적 측면에서는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이 교육의 수월성을 추구함에 따라 다양한 교과체제 속에서 기본교과로서의 가치를 증명하고 설득하지 못하면 미술교육은 제 설 자리를 잃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화적, 사회적, 정책적 환경의 변화는 미술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미술교사의 역량 강화가 무엇보다도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미술교육의 환경변화로부터 미술교육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미술교육의 내재적 원리와 외재적 가치의 확대 방향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미술교육은 관계성 회복과 삶의 과정성, 문화적 다원성, 의미구조의 총체성에 기반을 둔 미술교육을 지향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문화적 참여와 실천을 통해 문화 공동체로서의 사회의 소통과 화합에 기여하여야 한다. ‘미술교육의 문화적 실천(cultural practice of art education)’으로 특징지어지는 미술교육의 새로운 방향은 탈근대 문화 패러다임에 의거하여 미술교육이 학습자의 문화적 존재로서의 자기발견 및 자기형성을 돕고 문화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문화 활동에의 참여를 촉진하며 이에 따라 사회적 화합과 공존이 가능한 바람직한 문화 공동체 형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미술교육의 문화적 실천을 위해서는 매개자 또는 실천자로서 미술교사에게 요구되는 문화역량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문헌 및 사례연구에 의한 연구중심접근을 통해 문화역량에 대한 기본안을 마련한 후 미술교육 관련 전문가와의 핵심집단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미술교사의 문화역량모형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세 차례의 인터뷰를 거쳐 최종적으로 역량군(대분류)-개별 역량(중분류)-행동 요소(소분류)로 이루어진 문화역량모형을 역량원형(competency wheel)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미술교사 문화역량은 미적 감수성 함양, 창조적 자기표현 등 미술교육 본연의 가치 실현을 위해 요구되는 미술교사 교수역량과 함께 미술교사의 핵심역량(core competencies)을 구성하는 바, 교수역량을 고려한 최종적인 미술교사 핵심역량모형은 6개 역량군, 18개 개별 역량, 32개 행동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사의 문화적 실천을 위한 문화역량 도출에 그치지 않고 이 모형을 적용하여 한국 중등미술교사의 교수 및 문화역량 수준을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는 2007년 4월과 5월의 기간 동안 수도권, 중부권, 호남권, 영남권 등 4개 권역의 미술교사 비율을 고려한 배포조사 방법으로 실시되었으며 최종 회수율은 약 12% 정도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술교육 본연의 가치 실현을 위한 미술교사 교수역량에 비해 미술교육의 문화적 실천에 필요한 미술교사의 문화역량 수준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술교사의 교수역량 중에서는 학습자와 소통하기 위한 ‘학습자에 대한 이해’, ‘동기부여기술(언어적 기술)’, ‘전통문화지식’이 다른 교수역량 요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술교사 문화역량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미술교사의 교수역량 수준에 비해 크게 미흡하였는 바, 특히 ‘문화적 문해력’ 수준이 ‘문화적 자각’이나 ‘문화적 기술’에 비해 더욱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조사결과에 비추어 볼 때 미술교사 문화역량 제고를 위한 보다 체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중등 미술교사들은 교사 역량 제고를 위해 보다 효과적인 미술교사 양성 교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하고, 미술교사 임용제도나 재교육시스템이 개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등 미술교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 분석 결과에 비추어 문화적 실천을 위한 미술교사의 문화역량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미술교사 문화역량 제고를 위한 선결과제로서 문화적 존재로서의 개인적 성장과 지역사회에의 문화적 참여와 실천을 포함하는 새로운 미술교육 목표의 설정을 제안하였고 이를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미술교사에게 요구되는 바람직한 표준(standards)을 제도적으로 마련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미술교사의 교수역량과 문화역량을 균형 있게 고려한 미술교사 수급제도 및 미술교사 교육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미술교사양성 교육과정 설계(안)를 제시하였으며 ‘미술교과지식’ 위주의 현행 미술교사 임용제도 개선을 촉구하였다. 그리고 현재 미술교사의 교육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재교육시스템의 개선을 위해 교사양성 및 재교육을 전담하는 특별교육기관의 설치를 주장하였으며 선진국의 미술교사 재교육프로그램을 수집⋅분석하여 교수 및 문화역량에 기반을 둔 바람직한 재교육프로그램을 주말프로그램과 방학을 이용한 워크숍의 두 가지 형태로 제시하였다.

      아이스너(2001)가 그의 저서에서 밝힌 것처럼 최근 미술교육의 흐름은 ‘미술을 가르치는 것(the teaching of art)’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현재 및 미래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계시키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미술교육은 이러한 세계적 경향과는 반대로 입시 위주의 교육정책으로 인해 정당성의 위기에 봉착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본 연구에서 제시한 미술교사 문화역량모형은 그동안 ‘미술 안에서의 교육(education in arts)’에 안주하고 있었던 한국의 미술교육이 미술교육 본연의 가치로서 미적 감수성 함양, 창조적 자기표현 향상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실현함은 물론 ‘삶을 위한 미술교육(education for life)’ 등 문화적 실천노력을 경주함으로써 기본교과로서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교수역량과 함께 문화역량을 겸비한 미술교사만이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양질의 미술교육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범위 및 한계 7
      • 3. 연구의 방법 10
      • 4. 용어의 개념 정의 13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범위 및 한계 7
      • 3. 연구의 방법 10
      • 4. 용어의 개념 정의 13
      • 가. 문화기반사회 13
      • 나. 미술교육의 문화적 실천 13
      • 다. 미술교사의 문화역량 14
      • Ⅱ. 미술교사의 문화역량에 대한 이론적 검토 15
      • 1. 미술교육의 환경변화 15
      • 가. 문화적 환경변화 15
      • 나. 사회적 환경변화 23
      • 다. 정책적 환경변화 31
      • 2. 환경변화에 따른 미술교육의 방향 42
      • 가. 미술교육의 내재적 원리의 전환 43
      • 나. 미술교육의 외재적 가치 확대 59
      • 3. 미술교육의 문화적 실천과 문화역량 65
      • 가. 미술교육의 문화적 실천 65
      • 나. 미술교육의 문화적 실천과 문화역량 73
      • 4. 미술교사의 문화역량 79
      • 가. 미술교사의 역할과 자질 79
      • 나. 미술교사의 문화역량 83
      • Ⅲ. 미술교사 문화역량모형의 개발 92
      • 1. 미술교사 문화역량 개발의 기본 틀 92
      • 가. 문화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접근방법 92
      • 나. 미술교사 문화역량모형 개발의 기본 틀 94
      • 2. 미술교사 문화역량모형 개발의 과정 96
      • 가. 제1차 핵심집단인터뷰 97
      • 나. 제2차 핵심집단인터뷰 109
      • 다. 제3차 핵심집단인터뷰 115
      • 3. 미술교사 문화역량모형 개발의 결과 117
      • 가. 교수역량모형 118
      • 나. 문화역량모형 121
      • 다. 통합적 핵심역량모형 124
      • Ⅳ. 미술교사의 문화역량 실태분석 127
      • 1. 조사 설계 127
      • 가. 조사 목적 127
      • 나. 조사 대상 및 표본 128
      • 다. 조사방법 및 자료 처리 129
      • 라. 조사내용 130
      • 2. 분석결과 131
      • 가. 응답자 특성 131
      • 나. 미술교사의 교수역량 수준 132
      • 다. 미술교사의 문화역량 수준 139
      • 3. 미술교사 문화역량개발 관련정책에 대한 인식 146
      • 가. 미술교사 관련 제도 및 정책 146
      • 나. 미술교사 재교육정책 158
      • 4. 시사점 166
      • 가. 미술교사 역량 수준 관련 시사점 167
      • 나. 미술교사 역량 제고 관련 시사점 168
      • Ⅴ. 미술교사의 문화역량 제고 방안 169
      • 1. 미술교사 문화역량 제고를 위한 대전제 170
      • 가. 미술교육의 비전과 목표의 재검토 172
      • 나. 미술교사 표준의 설정 174
      • 2. 미술교사 수급제도 개선 181
      • 가. 미술교사 양성제도의 개선 181
      • 나. 미술교사 임용제도의 보완 187
      • 3. 미술교사교육 시스템의 개선 193
      • 가. 문화역량 기반 미술교사양성 교육과정의 개발 193
      • 나. 문화역량 기반 미술교사 재교육시스템 구축 203
      • Ⅵ. 결론 및 제언 215
      • 1. 요약 및 결론 215
      • 2. 제언 219
      • 【참고문헌】 222
      • ABSTRACT 23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McIntyre, "After Virtue", 1981

      2 오병남, "미학강의",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3 문화체육관광부, "창의한국", 2004

      4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2005

      5 김문환, "문화교육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6 김해성, "미술교사론", 1972

      7 이홍우(Lee Hong-Wo), "藝術과 敎育", 한국도덕교육학회, "??도덕교육연구??, 2000

      8 Goodman, Nelson, "Ways of worldmaking", Hackett Pub. Co., Ways of Worldmaking, 1978

      9 김춘일, "미술과 교육론", 1988

      10 손봉호, "철학의 문화관", 1998

      1 McIntyre, "After Virtue", 1981

      2 오병남, "미학강의",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3 문화체육관광부, "창의한국", 2004

      4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2005

      5 김문환, "문화교육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6 김해성, "미술교사론", 1972

      7 이홍우(Lee Hong-Wo), "藝術과 敎育", 한국도덕교육학회, "??도덕교육연구??, 2000

      8 Goodman, Nelson, "Ways of worldmaking", Hackett Pub. Co., Ways of Worldmaking, 1978

      9 김춘일, "미술과 교육론", 1988

      10 손봉호, "철학의 문화관", 1998

      11 Engestrom, "Learning by Expending", 1987

      12 Toffler, "Powershift: Knowledge", 1990

      13 김진엽, "미술교육과 미학", 한국미학회, 1999

      14 김성숙, "미술교육의 이해", 2004

      15 Egan, Kieran, "Educational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16 Feiman, Floden, "The cultures of teaching", 1984

      17 Lowenfeld, Viktor, "Creative and mental growth", Macmillan, Creative and Mental Growth, 1987

      18 Stewart, "Thinking through Aesthetics", 1997

      19 Downing, "Saving a place for the arts?", 2003

      20 Feldman, "The Return of Arts Education", 2003

      21 Peck, Tucker,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1973

      22 Parsons, "The State and the Visual Arts", 1982

      23 Werner, "A Retrospective and the Future", 2001

      24 Lankford, "Aesthetics: Issues and Inquiry", 1992

      25 강정인,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 2004

      26 한숭희, "평생학습과 학습생태계", 2001

      27 Sabol, "The Assessment Context: Part Two", 2004

      28 지순임, "가치교육의 미학적 접근", 상명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학생생활연구??, 1992

      29 Wenger,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1998

      30 Eisner, Elliot W, "The arts and the creation of mind", Yale University Press, The Arts and the Creation of Mind, 2002

      31 MacIntyre, Alasdair C, "Whose justice? Which rationality?",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88

      32 김수현, "미적 교육의 현대적 의미", 한국미학회, "미학, 2002

      33 김중응, Toffler.A, "Revolutionary wealth 부의 미래", 2006

      34 심광현, "문화사회와 문화교육운동", 2003

      35 박우성,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관리", 한국노동연구원, 2002

      36 황유경, "예술인지주의와 예술교육", 서울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대학 예술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2)-미래적 모형의 제시-, 2001

      37 Gardner, Howard, "Art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 Getty Center for Education in the Arts, 1990

      38 Schmidt, Smardo, "Developing Multi-cultural Awareness", 1983

      39 Wesely, "Eleven Ways to be a greater teacher", 1998

      40 Investors In People, "How to Become an Investor in People", 2001

      41 Monroe, "Encyclopedia of Educational Research", 1950

      42 홍은숙, "무기력한 지식 교육의 대안", 2004

      43 오택섭, 최현철, "사회과학 데이터 분석법 ①", 2003

      44 Aschenbrenner, "The Coming Supremacy of the Aesthetic", 1965

      45 이길우, Gadamer, "Wahrheit und Methode 진리와 방법", 2000

      46 徐復觀, 中國藝術精神, "中國藝術精神 중국예술정신", 1989

      47 이성도, "문화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 2003

      48 Wimmer, "Promoting Cultural Education in Europe", 2006

      49 신승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성찰", 살림, 2003

      50 김진엽, "미적체험에 대한 미학적 이해", 미적 체험에 대한 미학적 이해, 2001

      51 문화관광부, "21세기 새 예술정책-예술의 힘-", 2004

      52 Fitzpatrick, "Art History: A Contextual Inquiry Course", 1992

      53 박상진, Vattimo, "Das Ende der Moderne 근대성의 종말", 1990

      54 강홍렬, "메가트랜드 미래, 그리고 교육", "메가트랜드 미래, 2006

      55 Stevens, Rosenshine, "Teaching Functions, In Wittrock, M. (Ed.)", "Teaching Functions, 1986

      56 장대익, Wilson, 최재천,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통섭", 1998

      57 Lacy, Suzanne, "Mapping the terrain : new genre public art", Bay Press, 1995

      58 박이문, "문명의 미래와 생태학적 세계관", 당대, 1997

      59 Beerens,D, "Evaluating teachers for professional growth", 2000

      60 Sproll, "Visual Arts in The Schools: A Joint Venture", 1998

      61 박정애, "시각문화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 2006

      62 National Board fo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Standards for Teachers of Students Ages 3-12", 2000

      63 홍순정 ( Soon Jung Hong ), 장은정 ( Eun Jung Jang ), 서윤경 ( Youn Kyung Seo ), "원격교육 교수자의 역량모델 규명",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04

      64 Eisner, "Cognition and Curriculum: Reconsidered(2nd ed)", 1994

      65 Timmerberg, "Schlusselkompetenzen durch kulturellen Bildung", 2002

      66 이윤아, "문화와 예술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철학회, "??철학연구??, 2003

      67 신승환, "현대문화에서의 영성(영성)론 연구", 2007

      68 임현진, Ulich, 정일준, "Reflexive Modernization, 「성찰적 근대화", 1994

      69 Corbin, "Competencies for Electronic Information Services", 1993

      70 Lyotard, Jean-Francois, "The postmodern condition : a report on knowledg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The Postmodern Condition: A Report on Knowledge, 1984

      71 Fenstermacher, "Philosophy of Research on Teaching: Three Aspects", 1986

      72 Mansfield, "Practical Questions for Building Competency Model", 2000

      73 이정선 ( Jeong Seon Lee ), "교사의 실천적 교수지식 및 형성방안",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2005

      74 Tylor, "The Origins of Culture(Primitive Culture - Part 1)", 1871

      75 Sims, King, Osher, "How is Cultural Competence Integrated in Education?", 2001

      76 Goldenberg, "Teaching Key Competencies in Liberal Arts Education", 2001

      77 Egan, "Primary Understanding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1991

      78 Woods, O'shannessy, "Reintroducing Creativity: Day 10 at Hackleton School", 2002

      79 Smith, "The New Pluralism and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2002

      80 오병남, "예술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미학적 접근", 한국미학회, "??미학??, 1972

      81 양윤정(Yang Yun Jeong), "정보화 사회의 미술교사의 역할과 자질", 한국미술교육학회, 홍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5

      82 송광용, "21세기의 학교교육체제와 교사 자격제도", 2000

      83 Pink, "Free Agent Nation: The Future of Working for Yourself", 2005

      8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술과 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연구(Ⅱ)", 2003

      85 성경희, "6체육?음악?미술 교과 평가체제 개선방안", 2003

      86 MdClelland,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1973

      87 Ajzen, Fishbein,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ur", 1980

      88 McClelland, "Identifying Competencies with BehavioralEvent Interviews", Identifying Competencies with Behavioral- Event Interviews, 1998

      89 Boyatzis, "The Compon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1982

      90 조주연 ( Ju Yeon Cho ), ""지역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존중합니다"",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2006

      91 Corno, Snow, "Adapting teaching to individual differencesamong learners", 1986

      92 Danielson, C., "Enhancing professional practice: A framework for teaching", Enhancing Professional Practice: A Framework for Teaching, 1996

      93 Adams, "Health Issues for Color: A Cultural Diversity Perspective", 1995

      94 안금희, "미술수업의 일상적 실천과 사회적 구성주의", 2003

      95 Lemake, "Cognition, Context, and Learning; A Social Semiotic Process", "Cognition, 1997

      96 손승남, Gadamer, "Erziehung ist sich erziehen , 교육은 자기 교육이다", 2000

      97 Chalmers, "Celebrating Pluralism: Art Education, and Cultural Diversity", "Celebrating Pluralism: Art Education, 1996

      98 Torrance, "Teaching Creative and Gifted Learners, In Wittrock, M. (Ed.)", "Teaching Creative and Gifted Learners, 1986

      99 여성희, 노용, "중등 미술 교원연수에 관한 인식 및 요구분석", 韓國造形敎育學會, 2005

      100 박성선, Lave, Wenger, 전평국, "Situated Learning 상황학습-합법적인 주변적 참여-", 2000

      101 Mckean, "Concerns and Considerations for Teacher Development in the Arts", 2001

      102 Freedman, F.Hernandez, "Curriculum Culture and Art Education: Contemporary Perspectives", 1998

      103 Greene, "Teaching for Aesthetic Experience Toward an Aesthetic Education", 1971

      104 정연희, "상황학습에 근거한 미술과 교수·학습방법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상황학습에 근거한 미술과 교수?학습방법 연구, 2003

      105 Efiand, "Art and Cognition: Integrating the Visual Arts in the Curriculum", 2002

      106 Har Lam, "Secondary School Art Teachers' Concepts of Teaching in Hong Kong", 2000

      107 Li-jung Wang, "Cultural Rights and Diversity in Cultural Policy: Taiwan and China", 2006

      108 Ingram, "Research Review-What Outcomes Should We Seek in Arts Partnerships?", 2002

      109 박정애, "문화의 의미와 해석: 국제화 교육과정에의 함축성", 1999

      110 Troman, "Models of the Good Teacher: Defining and Redefining Teacher Quality", 1996

      111 강순원,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을 극복할 제3의 길은 없는가?", 2000

      112 유영만, "지식생태학: 지식기반사회를 위한 포스트 지식경영", 삼성경제연구소, 지식생태학 -지식기반사회를 위한 포스트 지식경영-, 2006

      113 Kowalchuk, "In their own words: What student art teachers say they learn and need", 2000

      114 Meredith Davis, "Design's Inherent Interdisciplinarity: The Arts in Integrated Curricula", 1999

      115 서배식, Osbone, Harold, "Aethetics and Art Theory An Historical Introduction, 미학과 예술론", "Aethetics and Art Theory An Historical Introduction, 1984

      116 김동수, "先秦儒家의 審美境界 -孔?孟?荀의 미학사상을 중심으로", 1988

      117 Canadian Commission for UNESCO, "Canadian Reflections on Arts and Learning: The Challenge of Systemic Change", 2006

      118 Parry,S.R., "The quest for competencies: competency studies can help you make HR decision", 1999

      119 Parsons, "How we understand art: A cognitive development account of aesthetic experience", 1987

      120 박은덕(Park Eun-Deok), "중등미술교원 양성을 위한 사범대학의 교육과정 현황 분석", 한국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논총, 2004

      121 Dubois, David D,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HRD Press, 1993

      122 Bamford,A, "The wow factor: Global research compendium on the impact of the arts ineducation", 2006

      123 Hutchens, Pankratz, "Change in Arts Education: Transforming Education Through the Arts Challenge(TETAC)", 2000

      124 Hargreaves, Andy, "Changing teachers, changing times : teachers' work and culture in the postmodern age", Cassell, Changing Teachers Changing Times: Teachers' Work and Culture in the Postmodern Age, 1994

      125 Gibson, "Learning to be an Art Educator: Student Teachers' Attitudes to Art and Art Education", 2003

      126 김기홍, "포스트모던 문화사회에서 문화교육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1999

      127 European Conference, "Culture and School: Policies for Arts and Heritage Education across the European Union", 2004

      128 최은식, "지식기반 사회 학교 예술교육의 인식론 및 실천론적 가능성 탐색",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교육연구??, 2003

      129 Loveless, "Making a Difference? An Evaluation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Pedagogy in Art and ICT", 2003

      130 Murphy, "The potential for mindful teaching at a distance: A dual challenge in educating teachers", 1995

      131 National Community Development Institute, "Through the Lens of Culture: Building Capacity for Social Change and Sustainable Communities", 2003

      132 Prieckaerts, "CUEDA: a model for underpinned coherence of the intended aims and impacts of cultural education", 2006

      133 Lucia, Anntoinette D.,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 pinpoin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organizations", Jossey-Bass/Pfeiffer,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Pinpoin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Organizations, 1999

      134 Jessen, "The Dream Society; How the Coming Shift from Information to Imagination will Transform your Business", 1999

      135 정연희, "디자인의 방법론적 특성에 기초한 미술교과 디자인영역 교수·학습방안연구", 디자인의 방법론적 특성에 기초한 미술교과 디자인영역 교수?학습방안연구, 2004

      136 오성배, "한국사회 소수민족 ‘코시안’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교육의 방향 탐색", 2006

      137 손민호, "실천적 지식의 일상적 속성에 비추어 본 역량(competence)의 의미: 지식기반사회?", 2006

      138 김성숙(Kim Sung-Sook), "홀리스틱 미술교육의 제안-홀리스틱교육 관점에서 미술과 교육의 지향과 실천-", 한국미술교육학회, 2004

      139 유현주, "미적 경험의 진리이해 문제: 아도르노 미학과 가다머 해석학의 관계를 중심으로", 1999

      140 Clark, Peterson, "Teachers' Thought Processes Students' Thought Process/Teachers' Thought Processes: A Project of the American", 1986

      141 정영근, "세계화시대 상호문화교육의 목표와 과제-한국의 세계화 교육에 대한 반성적 고찰-", 2001

      142 구자윤, "미적 의식과 미적 구분 그리고 예술의 본질-실러 미학에 대한 비판과 가다머의 예술론-", 2005

      143 안금희, "제6차와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에 관한 연구-DBAE 미학 영역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2002

      144 Eisner, "What Justifies Arts Education: What Research Doesn't Say” -Enlightened Advocacy: Implications of Research for Arts Education Policy and Practice-", 1999

      145 So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mpetencis and job performance of Instructional Systems Design(ISD) professionals in large business coporate setting in Korea",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