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의 공공외교(Public Diplomacy) 연구 : 공공외교의 주체와 전략적 수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orea's Public Diplomacy :Mainly Focused on the Actors and Strategic Means of Public Diplom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100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의 공공외교에 대한 연구로서 특히 한국의 공공외교 주체와 전략적 수단을 검토하고, 공공외교 적용사례를 분석하여 한국의 공공외교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성격을 포착하고...

      본 논문은 한국의 공공외교에 대한 연구로서 특히 한국의 공공외교 주체와 전략적 수단을 검토하고, 공공외교 적용사례를 분석하여 한국의 공공외교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성격을 포착하고자 한다.
      최근 국제사회는 자국의 소프트자원을 육성하여 타국 대중의 마음(hearts and minds)을 사로잡기 위한 외교적 전략으로 공공외교를 주목하고 있다. 한국도 국제사회의 시류에 동의하고, 최근 공공외교 추진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공공외교를 담당하고 있는 주체는 크게 정부부처와 산하기관, 민간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한국의 각 정부부처 모두가 국제관계 및 국제시장까지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모든 정부부처가 공공외교와 관련되어 있다. 이 가운데 2009년 설립된 국가브랜드위원회는 공공외교 컨트롤 타워(control tower)의 역량을 구축하고자 다양한 국가브랜드 제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외교의 최종 담당기관인 외교통상부는 공공외교의 주 부처로서 산하기관인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국제협력단, 재외동포재단을 총괄하고 있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와 그 산하기관인 해외문화홍보원 역시 공공외교의 핵심 주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공공외교는 정부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최근 민간부문 또한 주요한 행위자로 부상하고 있다. 해외원조를 하는 NGO를 비롯하여 각 분야의 교류재단, 기업, 교육기관 및 연구기관 등이 공공외교의 대표적인 민간 주체이다. 또한, 더 포괄적인 의미에서는 한국의 대표 인사부터 국내외 시시각각 타국 대중과 대면할 수 있는 일반 개인들까지 공공외교의 주체로 포함할 수 있다.
      한국의 공공외교 전략을 위한 수단으로는 문화외교와 스포츠외교, 해외원조 및 봉사활동, 국가브랜딩 및 도시브랜딩, 미디어외교와 사이버외교 등으로 대별할수 있다. 수단 측면에서 최근 한국의 공공외교의 특징은 문화를 기제로 한 공공외교의 특징은 양자적 원조 강화와 문화외교의 강화로 볼 수 있다. 문화외교의 측면에서는 특히 해외 한국학 진흥 사업과 한식· 태권도· 국악 등의 전통문화를 세계에 보급하고자 노력해왔다. 최근에는 국가브랜드 제고 사업으로 해외봉사단 통합 브랜드인 ‘World Friends Korea’와 한국어 통합기관인 ‘세종학당’ 등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한국이 세계의 지지와 공감을 얻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 확대가 필수적이지만 아직 규모가 작은 편이다. 따라서 개발도상국에 대한 지원과 국제사회의 공동문제에 지속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또한, 특별히 한국의 공공외교와 관련된 두 가지 사례, 국가브랜딩과 해외개발 지원 사업을 주체와 전략의 측면에 집중해서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한국 공공외교의 주체와 전략이라는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현재 한국의 공공외교는 정부 주도하에 이루어지고 있지만, 최근에는 민-관 협력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민간 차원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둘째, 한국의 공공외교는 다양한 주체를 관리하고 공공외교 전략을 총괄하는 컨트롤 타워(control tower)가 부재하기 때문에 공공외교 관련 업무의 비효율성이 야기되고 있다.
      셋째, 한국의 공공외교 전략은 여전히 아시아에 지역에 초점을 맞춰 추진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한국의 공공외교 범위가 아프리카와 유럽 등의 지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넷째, 한국 공공외교의 주요 자원(source)으로서 한류(Korean wave)는 두드러진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가 요구되고 있다.
      다섯째, 개발도상국에 대한 새마을운동 중심의 농촌개발협력 사업은 국제기여를 위한 한국 공공외교의 차별화된 전략으로 자리매김했지만, 향후 수원국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한국 공공외교의 실태를 고려해볼 때, 공공외교 개념에 기초한 전략적 사고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research about Korea's public diplomacy. It should be reviewed Korea's public diplomacy actors and strategic measures, analyzed the applications of public diplomacy and captured a character and personality to appear in Korea's public d...

      This study is a research about Korea's public diplomacy. It should be reviewed Korea's public diplomacy actors and strategic measures, analyzed the applications of public diplomacy and captured a character and personality to appear in Korea's public diplomacy.
      Recently, the international society keep observation upon public diplomacy as a diplomacy strategy to capture the hearts and minds of the public in another countries to develop its soft source.
      Korea also agreed on the tim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recently has shown much interest in promotion of public diplomacy. The actors in charge of Korea's public diplomacy can be divided into mainly government departments, agencies and private sector. because everyone of each government departments in Korea are considering up to international relations and international markets, actually, all government ministries have been associated with public diplomacy. The Presidential Council on Nation Branding that was founded in 2009 among these is promoting improved projects of variety Nation Brand to build capacity of the public diplomacy control tower. MOFAT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in charge of agency for the final diplomacy is a main department of public diplomacy and is responsible for Korea Foundation, KOICA, Overseas Koreans Foundation of an affiliated organization. In addition, MCS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KOCIS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of its affiliate organization are also principal agent of public diplomacy. Korea's public diplomacy plays a leading role the government, but recently the private sector has also emerged as major actors. Korea Foundation, businesse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research institutions, etc. of each area including NGO that does foreign aid are a leading private actors of public diplomacy. In addition, the sense of more comprehensive may include the subject of public diplomacy from the CEO celebrity of Korea to individuals who can face the public of other countries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moment by moment.
      As a means for Korea's public diplomacy strategy can be distinguished such as cultural diplomacy and sports diplomacy, foreign aid and volunteering, national branding and place branding and media, diplomacy and cyber ​​diplomacy. Recent Korea's public diplomacy in terms of means can see to strengthen the bilateral aid and cultural diplomacy as a features of public diplomacy with a basis of culture. Especially, the terms of cultural diplomacy has been trying to spread in the world such as support for Korean studies overseas business and traditional culture such Korean foods, Taekwondo, Korean classical music. Meanwhile, Korea has been promoted strategy with a basis of culture a lot, has been trying to spread in the world such as support for Korean studies overseas business and traditional culture such Korean foods, Taekwondo, Korean classical music. In recent years, as National Brand improve business was built 'World Friends Korea' of the foreign Corps integrated brand and 'King Sejong Institute' of Korean integrated institute.
      This study was also analyzed specifically to focus on two examples related with Korea's public diplomacy, in other words, actors and strategic aspects for National Branding and the overseas development assistance business. In terms of actors and strategy of Korea's public diplomacy through this research was drawn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oday Korea's public diplomacy made to lead by the Government, but in recent years, it is becoming important the role of the private sector to bring up the need of private-public partnership.
      2) Because Korea's public diplomacy is absent a control tower that manage various actors and direct the strategy of public diplomacy, it is caused the inefficiency of public diplomacy-related work .
      3) Korea's public diplomacy strategy is still being pursued to focus on Asia regions, but the range of Korea's public diplomacy is expanding to the areas such as Africa and Europe in recent years.
      4) Korean wave as a main source for Korea's public diplomacy performs a prominent role but there is a need for sustained competitiveness.
      5) The rural development collaboration project of the new community movement for a developing country was positioned to differentiated strategy of Korea's public diplomacy for international contribution, but it needs the developed program to meet with real state of recipient countries in the future.
      6) It needs the strategic thinking that is based on the concept of public diplomacy in considering about the reality of Korea's public diploma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목적 1
      •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2
      • 제2장 공공외교(Public Diplomacy)에 관한 이론적 논의 4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목적 1
      •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2
      • 제2장 공공외교(Public Diplomacy)에 관한 이론적 논의 4
      • 제1절 공공외교의 개념 및 주요 담론 4
      • 1. 신 공공외교(New Public Diplomacy)의 등장 4
      • 2. 소프트파워(Soft Power)와 공공외교 7
      • 3. 공공외교의 국내적 측면 8
      • 제2절 공공외교의 주체와 수단 9
      • 1. 공공외교의 주체 9
      • 2. 공공외교의 수단 11
      • 1) 문화교류 12
      • 2) 해외원조 14
      • 3) 국가브랜딩(Nation Branding) 14
      • 4) 미디어(Media)와 사이버(Cyber) 도구 15
      • 제3장 한국의 공공외교(Public Diplomacy) 연구 18
      • 제1절 한국의 공공외교 주체 18
      • 1. 정부부처와 산하기관 18
      • 1) 국가브랜드위원회 18
      • 2) 외교통상부와 산하기관 20
      • 3) 문화체육관광부와 산하기관 26
      • 4) 기획재정부 28
      • 5) 기타 정부부처 30
      • 2. 민간부문 32
      • 1) 민간단체 및 기관 32
      • 2) 기업 34
      • 3) 개인 35
      • 제2절 한국의 공공외교 전략적 수단 36
      • 1. 문화외교와 스포츠외교 36
      • 2. 해외원조 및 봉사활동 37
      • 3. 국가브랜딩과 도시브랜딩 40
      • 4. 미디어외교와 사이버외교 43
      • 제3절 문화외교와 원조외교의 사례: 국가브랜딩과 농촌개발협력 45
      • 1. 공공외교의 주요 자원으로서 한류(Korean Wave)의 기능 45
      • 2. 개발도상국에 대한 새마을운동 중심의 농촌개발협력 47
      • 제4장 결론 51
      • 참고문헌 55
      • ABSTRACT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