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학생의 강점지능에 따른 주도적 학습행동전략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528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기역량검사를 통해 강점지능을 파악한 후 강점지능에 따른 학습행동 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 ‘강점지능’이란 8가지 다중지능과 창의융합지능을 ...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기역량검사를 통해 강점지능을 파악한 후 강점지능에 따른 학습행동 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 ‘강점지능’이란 8가지 다중지능과 창의융합지능을 더한 9가지 지능 중에서 일상생활이나 문제해결상황에서 다른 지능보다 뛰어난 강점을 보이는 지능을 의미한다.
      연구자는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자기역량검사의 결과를 통해 강점지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행동적 특성(학습행동전략)의 비교를 통해 효율적인 진로교육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자는 자기역량검사와 학습조절검사(Self-BRI: Self-Behavior Regualtion Inventory)의 두 가지 검사를 실시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9가지 다중지능 중에서 가장 높은 지능을 강점지능으로 분류하고, 30점 만점 중 10점 급간으로 상, 중, 하로 구분하여 9개 강점지능 집단끼리의 학습행동전략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남 소재 16개 초등학교 3, 4, 5, 6학년 학생들로서 총 375명이 모두 자기역량검사와 학습조절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첫 번째 측정 도구는 광주교육대학교 창의진로·학습역량개발센터가 개발한 초등학생용 자기역량검사로써 9개 분야별 지능점수를 비교분석하였고 결과 값 중 산출된 수치가 가장 높은 지능을 강점지능으로 보았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는 지능점수 평균과 강점지능의 빈도(비율) 모두 인간친화 지능이 많았으며, 두 번째는 자기성찰 지능이 많았다. 학년별 강점지능의 변화는 신체운동, 음악 강점 지능의 학생들이 많다가 점차 6학년으로 갈수록 신체운동 강점지능은 줄어들고 인간친화, 자기성찰 강점지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고 있었다. 남, 여학생으로 구분할 때는 두 그룹 모두 인간친화 강점지능이 가장 많았지만, 두 번째로 많은 강점지능은 여학생은 음악 강점지능, 남학생은 신체운동 강점지능 순으로 많았다. 다음으로 성별로 구분하여 지능지수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9가지 지능 모두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지능지수 평균이 높았다. 특히 음악지능, 인간친화지능, 언어지능, 공간지능에서 여학생의 지능 평균 지수가 월등히 높게 나온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두 번째 측정도구는 광주교육대학교 창의진로·학습역량개발센터에서 개발한 학습조절검사(Self-BRI) 중 행동전략으로 구분된 항목을 ‘시간관리’, ‘집중’, ‘읽기’, ‘기억전략’, ‘기록하기’ 5가지로 나누어 전체 집단과 강점지능별 집단 내에서 성별, 학년별로 학습행동전략의 변화추이를 알아보고 비교, 분석하였다.
      학습조절검사와 자기역량검사를 종합한 결과, 초등학교 전체 집단에서는 학습행동전략 중 학습환경 전략 측면에서 가장 높은 점수가 나왔으며 시간관리 전략은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확인되었다. 성별에 따른 학습행동 전략 평균 점수도 5개 모든 전략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강점지능별 분류된 집단에서는 언어지능을 강점지능으로 갖고 있는 집단이 학습행동전략 5가지 모두의 평균점수가 높았다. 반면 신체운동 강점지능을 갖고 있는 집단이 5가지 모두의 평균점수가 낮았다. 학습행동전략별 강점지능 순위를 보면 ‘시간관리’ 면에서는 언어, 논리수학, 음악, 공간, 창의융합, 자연친화, 인간친화, 자기성찰, 신체운동지능 순이었다. ‘집중’ 면에서는 언어, 논리수학, 공간, 음악, 자연친화, 창의융합, 인간친화, 자기성찰, 신체운동지능 순이었다. ‘읽기’ 면에서는 언어, 공간, 논리수학, 음악, 창의융합, 인간친화, 자기성찰, 자연친화, 신체운동지능 순이었다. ‘기록하기’ 면에서는 언어, 공간, 음악, 창의융합, 논리수학, 인간친화, 자기성찰, 신체운동, 자연친화 순이었다. ‘학습환경’ 면에서는 언어, 음악-논리수학, 자연친화, 인간친화, 자기성찰, 창의융합, 공간, 신체운동 순이었다.
      강점지능별 분류된 집단에서의 해당 지능 지수를 상, 중, 하로 구분하여 학습행동전략의 평균값을 구한 결과는 학습환경을 뺀 나머지 4개의 전략 즉 시간관리, 집중, 읽기, 기록하기 전략은 공간 강점지능 집단에서 가장 많은 학습행동전략 지수 증가가 이루어졌다. 반대로 지수 증가 폭이 더딘 집단은 언어 강점지능 집단이었다. 하지만 언어 강점지능 집단이 더딘 이유는 언어 지능 평균이 중, 하단계일 때부터 학습행동전략 평균이 최상위 점수를 웃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학습환경 학습행동전략은 신체운동, 인간친화 강점지능 집단 순으로 전략 지수 증가 폭이 컸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발달단계에서는 인간친화 강점지능을 가진 학생들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초등학교 시기에는 사회성이 특히 발달된다고 말할 수 있다.
      둘째, 성별에 따라 차이가 많은 음악지능, 언어지능, 공간지능, 인간친화지능 발달에 유의미한 차이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성별과 강점지능에 따라 다른 학습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습행동 전략 중 ‘학습환경’을 제외한 기록하기, 읽기, 집중, 시간관리 학습행동 전략에 성별, 학년별, 강점지능별 유의미한 큰 차이가 나므로 학습행동 전략의 집단 간 맞춤형 지도가 필요하다.
      넷째, 여학생은 인간친화, 자기성찰, 음악 지능 순으로 평균이 높았으며 남학생은 신체운동, 인간친화 지능의 평균이 높았다. 여학생은 신체운동 지능의 평균이 낮았고, 남학생은 음악, 언어 지능의 평균이 낮았다. 그러나 언어, 음악 강점지능이 학습행동전략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므로 남학생의 언어, 음악지능을 키우는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의 집단이 강점지능 집단별 남녀로 정확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아서 강점지능이 소수인 경우, 일반화시키기 어렵다.
      둘째, 초등학교 자료만 사용하여 학생들의 강점지능 집단의 변화추이를 뚜렷이 알 수 있는 데에 한계가 있으므로 후속연구가 절실하다.
      셋째, 신체운동 강점지능 집단 학생들 대부분이 학습행동전략이 매우 부족하므로 학습 행동전략 지도를 위한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학습행동전략에서 가장 뛰어난 면을 보인 언어 강점지능 집단 학생들에게 자신의 강점을 바로 알고 더욱 발전시켜나갈 수 있도록 영재교육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주요어: 강점지능, 학습전략

      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강점지능의 특성과 주도적 학습행동전략과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의 다중지능과 주도적 학습행동전략의 특성을 구명하였고, 둘째,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의 강점지능별 집단의 특성을 구명하였으며, 셋째, 학생들의 강점지능 집단과 주도적 학습행동전략과의 관계 구명을 통해 강점지능 집단에 따라 적절한 진로지도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7년 기준 광주광역시, 전남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6학년 학생들로, 16개교 375명 학생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광주교육대학교 창의진로·학습역량개발센터가 개발한 초등학생용 자기역량검사와 자기조절검사를 사용하였다. 학생 특성 변인은 성별, 학년, 9가지 다중지능 지수, 5가지 학습행동전략 지수로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자기역량검사와 자기조절검사 2가지로 이루어졌으며, 조사기간은 2017년 4월부터 2017년 9월까지 학교를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는 16개 학교에서 375개의 데이터가 수집되었으며 개인별로 정리하여 성별, 학년별, 강점지능 집단별로 분류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V.21.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변인 T-검증, 일원배치분사분석, 교차분석, 상관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다중지능 지수는 인간친화지능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자기성찰, 신체운동 지능 순으로 나타났다.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다중지능 지수도 함께 올라갔다. 성별로는 다중지능 9개 지능에서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지수가 높게 나왔다. 학습행동전략 지수는 초등학생 단계에서 ‘학습환경’ 학습행동전략 지수가 5가지 전략 중 높게 나왔으며 ‘시간관리’ 학습행동전략이 가장 낮게 지수가 나왔다. 성별로는 여학생의 학습행동전략 지수가 남학생보다 월등히 높은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강점지능별 집단 특성은 다중지능과 동일하게 인간친화 강점지능 집단이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음악’, ‘신체운동’, ‘자기성찰’, ‘공간’, ‘자연친화’, ‘논리수학’, ‘언어’, ‘창의융합’ 강점지능 집단 순이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는 '인간친화', '음악', '자기성찰', '공간' 등 강점지능 집단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반면 남성은 '인간친화', '신체운동', '자기성찰' 등의 강점지능 집단 순으로 많은 빈도를 보였다. 학년별로는 3학년에서 가장 많은 강점지능은 신체운동 강점지능 집단이었으나 학년이 오를수록 신체운동 강점지능 집단 빈도가 줄어든 반면 인간친화 강점지능 집단은 3학년부터 계속 빈도가 늘어나 6학년에서는 가장 많은 빈도를 갖는 강점지능 집단을 형성하였다. 셋째, 강점지능 집단과 학습행동전략의 관계를 보기 위해 강점지능 집단별 5가지 학습행동전략 지수를 비교하여 언어 강점지능 집단에서 5가지 모든 학습행동전략의 지수가 독보적으로 높게 나왔다. 반대로 신체운동 강점지능 집단은 5가지 모든 학습행동전략에서 최하위 평균점수를 기록하였다. 강점지능 집단 내 성별에 따른 학습행동전략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자기성찰 강점지능 집단에서 ‘시간관리’ 학습행동전략 지수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매우 높게 나온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강점지능 집단 별 ‘집중’ 학습전략과의 관계를 비교해 본 결과 ‘언어’ 강점지능 집단을 제외한 8개 강점지능 집단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평균점수가 나왔다. ‘읽기’ 학습행동전략과의 관계 비교에서는 ‘자기성찰’ 강점지능 집단에서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읽기’ 학습행동전략이 더 뛰어난 유의미한 차이의 결과가 나왔다. 나머지 8개 강점지능 집단 모두에서도 유의미한 결과는 아니지만 평균점수 상으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높게 나온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기록하기’ 학습행동전략과의 관계 규명에서도 ‘언어’, ‘음악’, ‘인간친화’ 강점지능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는 아니었지만 이 3개의 집단 외 6개 집단과의 관계에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은 지수를 나타냈으며 3개의 집단에서도 평균지수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학습환경’ 학습행동전략과의 관계 비교는 6개의 강점지능 집단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하게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소 높은 지수를 나타냈다. 강점지능 집단 내 강점지능 수준별로 상, 중, 하 3단계로 나눈 지능 지수별로 어떻게 학습행동전략 지수가 변해 가는지 관계를 파악하고자 분석한 내용은 ‘공간’ 강점지능 집단에서 지능지수 상, 중, 하 계급 간 평균차가 9개 강점지능 집단과 비교하여 가장 크게 났다. ‘언어’ 강점지능 집단이 5가지 학습행동전략 지수에서 9개 집단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강점지능 집단별 학습행동전략과의 상관도는 공간 감정지능 집단이 5가지 학습행동전략과의 상관도가 가장 높게 나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udents' strengths and weaknesses through self-competence test to research strategies in learning behavior with regard to strength intelligence. In this study, “Strength Intelligence” refers to an int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udents' strengths and weaknesses through self-competence test to research strategies in learning behavior with regard to strength intelligence. In this study, “Strength Intelligence” refers to an intelligence that has more strength than other intelligences in daily life or problem solving situations among 9 intelligences combining 8 multiple intelligences with creative-fusion intellig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rength intelligence through the results of self-competence test conducted targeting elementary students from the 3rd to 6thgrade, and to provide materials for effective course in life education by compar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strategies in learning behavior).
      The researcher sorted the highest intelligence as strength intelligence among 9 multiple intelligences targeting elementary students who went through two tests: self-competence test and Self-BRI. Next,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 upper, medium, and lower – with score difference of 10 out of total 30 to compare and analyze strategies in learning behavior between grou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5 studen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3rd, 4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of 16 elementary schools in Jeonnam.
      The first measure of this study was the self-competence test developed by the Center for Creative Career and Learning Development at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done for 9 intelligences of each category, regarding the highest intelligence as strength intelligence. As a result, both the intelligence score average and the frequency (ratio) of the strength intelligence were high in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the second highest was intrapersonal intelligence.
      Bodily-kinesthetic and musical-rhythmic intelligences were the most common at first;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gradually decreased and both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became strength intelligences.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most intelligent in interpersonal strength, but the second most powerful intelligence was musical-rhythmic intelligence for girls and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for boys. Next, comparing the mean scores of the intelligence quotient by gender, the average of the intelligence quotient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for all the nine intelligences. Especially, the average intelligence quotient of fe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usical-rhythmic, interpersonal, verbal-linguistic, and visual-spatial intelligences.
      The second measurement tool is 'Self-BRI' which was developed by the Center for Creative Career and Learning Development of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categories were divided into “time management”, “concentration”, “reading” and “recording,” providing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nges of the strategies in learning behavior by gender and grade in the whole group and the group of different strength intelligences.
      As a result of combining the learning adjustment test and the self-competence test, the highest score was found in the learning environment strategy among the learning behavior strategies in the whole elementary school group, and the time management strategy was identified as the weakest part. The average score of learning behavior strategy by gender was also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in boys in all 5 strategies. In the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the group with verbal-linguistic intelligence as the strongest intelligence had the highest mean score in all 5 learning behavioral strategies.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score of all 5 groups with low in groups with students of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as strength intelligence. In terms of “time management,” the intelligences were listed as follows by score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verbal-linguistic intelligence, logical-mathematical, musical-rhythmic, visual-spatial, creative-fusion, naturalistic, interpersonal, intrapersonal and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In the aspect of “concentration,” the order of the intelligences was as follows: verbal-linguistic, logical-mathematical, visual-spatial, musical-rhythmic, naturalistic, creative-fusion, interpersonal, intrapersonal, and bodily-kinesthetic. When it comes to “reading,” the order was as follows: verbal-linguistic, visual-spatial, logical-mathematical, musical-rhythmic, creative-fusion, interpersonal, intrapersonal, naturalistic, and bodily-kinesthetic. In the aspect of “recording,” the order was as follows: verbal-linguistic, visual-spatial, musical-rhythmic, creative-fusion, logical-mathematical, interpersonal, intrapersonal, bodily-kinesthetic, and naturalistic. Finally, when it comes to “learning environment,” verbal-linguistic and musical-rhythmic come first, the second highest were logical-mathematical, naturalistic, and interpersonal, and the lowest were intrapersonal, creative-fusion, visual-spatial, and bodily-kinesthetic.
      Classifying each IQ in groups classified by strength intelligence into upper, medium, and lower, to get the mean value of strategies in learning behavior, the quotient of strategies in learning behavior – time management, concentration, reading, and recording strategies excluding learning environment - increased the highest in visual-spatial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group that showed the lowest increased quotient was the verbal-linguistic group. The reason for this, however, is because the mean value of strategies in learning behavior exceeds the highest score from when the average of verbal-linguistic intelligence is at its medium and lower level. Finally, learning environment as one of the strategies in learning behavior showed the highest increase in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and the second highest in interpersonal intelligen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tudents had the strength of interpersonal intelligence in the development stage of elementary school.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sociality particularly develops in elementary school.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velopment of musical-rhythmic intelligence, verbal-linguistic intelligence, visual-spati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which differed by gender. Therefore, it was found that different learning strategies were needed with regard to gender and strength intelligence.
      Third, guided instructions for each group of strategies in learning behavior are needed a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and grade in recording, reading, concentrating, and time management excluding learning environment among the strategies in learning behavior.
      Fourth, female students had higher average scores in the order of interpersonal – intrapersonal – musical-rhythmic intelligence; male students had higher average of bodily-kinesthetic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Female students had lower average scores in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and male students had lower average in musical-rhythmic and verbal-linguistic intelligence. However, it will be necessary to educate boys' verbal-linguistic and musical-rhythmic intelligence as the impact of those intelligences on strategies in learning behavior is very hig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ill make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Firs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is study group when the strength intelligence group is not constituted as a male and female group.
      Second, there is a limit to the ability to clearly identify the changes in the students' strengths and weaknesses using only elementary school materials, so further research is urgent.
      Thir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trategies for teaching learning behavior strategy because most of the students in intelligence group of physical exercise are lacking in learning behavior strategy.
      Fourth, it is necessary to approach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to show their strengths and to develop their gifted skills.

      Key words : strength intelligence, learning strateg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목 차
      • 국문초록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목적 2
      • 3. 용어의 정의 2
      • 4. 연구의 제한점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지능의 정의 5
      • 2. 다중지능 6
      • 가. 다중지능의 개념 6
      • 나. 다중지능이론의 하위영역 7
      • 다. 자기역량검사 14
      • 3. 학습전략 15
      • 가. 학습전략의 정의 15
      • 나. 학습전략의 분류 16
      • 다. 학습행동전략 17
      • 라. 학습조절검사(Self-BRI) 19
      • 4. 선행연구의 분석 20
      • Ⅲ. 연구방법 23
      • 1. 연구모형 23
      • 2. 연구대상 24
      • 3. 연구도구 24
      • 가. 자기역량검사 24
      • 나. 학습조절검사(Self-BRI) 25
      • 4. 연구방법 26
      • 5. 자료분석 27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8
      • 1. 다중지능과 학습행동전략 28
      • 가. 다중지능별 지능 지수 28
      • 나. 성별에 따른 다중지능 지수 31
      • 다. 학습행동전략 지수 32
      • 라. 성별에 따른 학습행동전략 지수 33
      • 2. 강점지능 34
      • 가. 강점지능 집단별 특성 34
      • 나. 성별에 따른 강점지능 집단별 특성 35
      • 다. 학년에 따른 강점지능 집단별 특성 37
      • 3. 학습행동전략과 강점지능 38
      • 가. 강점지능 집단별 학습행동전략 지수 38
      • 나. 성별에 따른 강점지능 집단별 학습행동전략 지수 41
      • 다. 강점지능 집단 내 강점지능 수준별 학습행동전략 지수 48
      • 라. 강점지능 집단과 학습행동전략과의 상관관계 59
      •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63
      • 1. 요약 63
      • 2. 결론 65
      • 3. 제언 67
      • 참고문헌 68
      • Abstract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