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하지 정맥류의 임상적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2145783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전남대학교, 199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 1996

      • 발행연도

        199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13.19 판사항(3)

      • DDC

        616.131 판사항(19)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22장; 26cm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하지정맥류는 인류의 문명 발달과 함께한 흔한 만성 질환중의 하나로 치료에는 수술과 압박경결 요법중 어느 방법이 더 좋은 가에 대한 의견이 다양하다. 이에 저자는 1988년 1월부터 1993년 12...

      하지정맥류는 인류의 문명 발달과 함께한 흔한 만성 질환중의 하나로 치료에는 수술과 압박경결 요법중 어느 방법이 더 좋은 가에 대한 의견이 다양하다. 이에 저자는 1988년 1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하지정맥류로 진단하고 치료한 환자 86명의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후향적 조사를 하여 분석하였다. 환자의 연령 분포는 10대에서 70대까지 다양했으며, 30대와 40대가 각각 29명(33.7%), 26명(30.2%)으로 많았다. 유발요인은 장시간 서서 일하는 직업이 42명(48.8%), 임신 12명(14%), 선천적 4명(4.7%), 외상 3명(3.5%), 혈관종 2명(2.3%), 원인불명(26.7%) 23명으로 나타났다. 병력기간은 6-10년이 28명(32.5%), 1-5년이 26명(30,2%)으로 많았으며, 1년 이하는 단지 6명(7%)뿐이었다. 하지정맥류의 분포는 우측하지 29명(33.7%), 좌측하지 40명(46.5%), 양측 17명(19.8%)이었고, 대복재정맥에 43명(50.0%), 소복재정맥에 40명(46.5%), 양 정맥에서 발생한 경우가 3명(3.5%) 순이었다. 86명의 모두에서 혈관의 울혈성 확장을 볼 수 있었다. 치료는 80명의 환자중 saphenofemoral reflux가 확인되거나 정맥류의 지름이 5.0 mm 이상인 50명의 환자는 수술적 방법으로 고위결찰 및 정맥박리(High ligation and vein stripping)을 시행하였고, 모세관확장증(Telangiectasia)과 reticular vein 둥을 보인 36명은 외래에서 5% ethanolamine oleate를 정맥류내 주사하여 압박경결요법을 시행하였다. 합병증은 수술군에서 잔류정맥류 5명, 혈종 2명, 창상열개 1명, 혈전성 정맥염 1명이었고, 압박경결요법군에서는 잔류 정맥류 10명, 피부경화 및 착색 1명이었다. 추적조사한 결과 추가치료가 필요하지 않는 환자는 수술군에서 40명(80%)인 반면, 압박경결요법군에서 16명(44.4%)이었다. 추가치료를 한 환자는 수술군에서 잔류정맥류를 보인 5명(10%)으로 압박경결요법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압박경결요법군에서 잔류정맥류를 보인 10명(27.8%)이 추가적인 압박경결요법을 시행받았다. 나머지 환자는 수술군에서 5명, 압박경결요법군에서 10명으로 압박요법을 시행하였다. 결론적으로 수술군이 압박경결요법군보다 더 높은 치유율을 나타냈으나, 5% ethanolamine oleate를 이용한 압박경결요법도 앞으로 적절한 적응증에 시행하고 숙련된 기술이 축적되면 하지정맥류의 치료의 한 분야로 널리 이용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period from 1988 to 1993, 86 cases of varicose vein in lower extremity were treated at Department of General surgery, Chonnam University Hospital. 36 outpatients treated by compression sclerotherapy and 50 inpatients treated by surgery. Th...

      During the period from 1988 to 1993, 86 cases of varicose vein in lower extremity were treated at Department of General surgery, Chonnam University Hospital. 36 outpatients treated by compression sclerotherapy and 50 inpatients treated by surge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prevalent age group were 4th and 5th decade.
      2) The predisposing factors of varicose vein were profession requiring long time standing (48.8%), pregnancy (14%) and hereditary (4.7%), in order.
      3) Varicose veins were located in the greater saphenous system (50%), the lesser saphenous system (46.5%) and both (3.5%).
      4) The cardinal symptoms and signs were tortuosity of veins(100%), aching pain(29.1%), leg heaviness(14.0%), walking discomfort(8.1%) and leg edema(7.0%).
      5) The used sclerosing agent was 5% ethanolamine oleate in compression sclerotherapy group and the operation method in surgery group was high ligation and vein stripping. 44.4% of patients treated initially by compression sclerotherapy and 80% of those treated surgically were given no further treatment.
      6)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 in surgery group were recurred or remained varicosity (5 cases), hematoma(2 cases), recurrent ulcer(1 case), wound dehiscence(1 case) and thrombophlebitis(1 case).
      7) The complication in sclerotherapy group were recurred or remained varicosity(10 cases), induration and bluish discoloration(1 ca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4
      • 서론 = 6
      • 대상 및 방법 = 7
      • 관찰 결과 = 8
      • 고안 = 10
      • 국문초록 = 4
      • 서론 = 6
      • 대상 및 방법 = 7
      • 관찰 결과 = 8
      • 고안 = 10
      • 결론 = 14
      • 참고문헌 = 19
      • 영문초록 = 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