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강백 희곡의 공간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22212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부산교육대학교, 200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812.5

      • 발행국(도시)

        부산

      • 형태사항

        iii, 61장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56-58

      • 소장기관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이강백 희곡에 나타난 공간 구조를 분석하고, 공간의 의미와 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강백은 등장인물의 성격이나 이데올로기, 작가가 가진 세계관을 담아내는 장치로 ...

      본 연구는 이강백 희곡에 나타난 공간 구조를 분석하고, 공간의 의미와 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강백은 등장인물의 성격이나 이데올로기, 작가가 가진 세계관을 담아내는 장치로 알레고리, 우화의 기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기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공간을 구성하고 의미를 확장한다. 이에 공간 구조의 특징과 공간의 의미를 밝혀 이강백 희곡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한다.
      희곡에서 공간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 설명된다. 배우의 몸짓과 행동이 이루어지고 관객이 구체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공간인 무대공간과 관객이나 독자의 상상에 의해 구현되는 드라마 공간이 그것이다. 각각의 공간은 인물 간의 갈등을 구조화하는 의미조직자의 기능을 담당한다.
      특히 초기 단편작은 이질적 자질을 가진 공간으로 이분화해서 인물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다. 「다섯」,「파수꾼」,「알」은 지배-피지배 계층 간의 대립을 수직적 공간 분할을 통해 보여준다. ‘무대 공간인 배 밑 창고’, ‘망루’, ‘박물관’은 피지배계층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폐쇄적이고 좁은 공간적 특성을 가진다. 반면, 드라마 공간인 ‘바다’, ‘황야’, ‘숲 속’은 지배계층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개방적이며 넓은 공간적 특성을 가진다. 이는 자아가 상실되어 가는 인간을 그린 「셋」,「보석과 여인」에서도 마찬가지다. 폐쇄적이고, 외부와 단절된 ‘뜨거운 햇살 아래 자극적 긴장이 있는 도시’, ‘보석세공인의 방’에서 실존을 자각하는 비극적 공간을 존재적 공간과 대비시키고 있다. 또한 「미술관에서의 혼돈과 정리」,「내가 날씨에 따라 변할 사람 같소?」에서는 대립적 자질을 지닌 현실적 공간과 이상적 공간으로 이분화해서 극을 이끌기도 한다.
      한편 이강백은 갈등 구조를 심화시키기 위해 공간을 이분화하는 것 외에 작가의 세계관을 드러내고 주제를 표출하는 장치로 공간을 이용한다. 즉 주요 공간 속에 사건이 발생하고, 해결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족보」에서 ‘지하실’이나 ‘올가미’는 종험 일가의 죄를 고발하는 공간으로 죄의식이 없는 인물에게 죄의식을 불러일으킨다. 「쥬라기의 사람들」이나 「호모세파라투스」의 ‘14번 갱’, ‘늪’ 또한 마찬가지다. ‘14번 갱’의 사고로 인해 심화된 갈등은 ‘14번 갱’에서 해소의 실마리를 가지게 되고, ‘늪’은 분단된 상황을 쉽게 빠져 나올 수 없음을 시사하는 공간으로 의미를 가진다. 「물거품」에서는 무형과 유형의 대립을 각각 ‘연못’과 ‘거울’을 통해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강백은 공간의 특성을 통해 인물과 사건의 성격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무대 공간뿐만 아니라 드라마 공간을 무대 공간과 대비시켜 인물의 특성을 고착화하기도 하고 작가의 세계관을 심화시켜 표현하기도 한다. 이강백은 현재에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만큼 그의 작품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있어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structure of space which appears in Lee Kang Baek's plays and studying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He uses techniques of apologue and allegory as the device to contain characters' personality, ideology or the wri...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structure of space which appears in Lee Kang Baek's plays and studying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He uses techniques of apologue and allegory as the device to contain characters' personality, ideology or the writer's view of the world. He constructs space and expands its meaning in order to use these techniques effectively. Accordingly, we are to open possibilities to look at his plays with new eyesight by clarifying features of space structure and its meaning.
      In the play, space is explained being largely divided into both ways: the stage space where actors(actresses)' gesture and behavior are done and the audience can perceive in the concrete and drama space embodied by the audience or readers' imagination. Each space plays a role of the organizer of meaning that structuralizes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Especially, his early short stories deepen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by dualizing into space with heterogeneous properties. 「Five」,「A guard」,「Eggs」show antagonism between the ruling-ruled classes through vertical space division. While ‘a storage under the ship’, ‘An observation tower’, ‘A museum’ are spaces where ruled classes exist and they are stage spaces which are provided as closed and narrow spaces, ‘The sea’, ‘The wasteland’, ‘Inside the forest’ are spaces where ruling classes exist and open and broad spaces, and they are provided as drama spaces, which are not reconstructed on the real stage but exist. The situations are like the preceding also in「Jewelry and women」,「Three」in which humans that the "I" is being lost, are described. Tragic space realizing existence and existential space are contrasted each other in 'the jeweler's room' 'a city of sensational tension under the hot sun, which is closed and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world'. And plays are developed divided into two parts of ideal space and realistic space with oppositive properties in「confusion and order in an art gallery」,「Do you really think I am such a person who changes according to the weather?」.
      Meanwhile, Lee Kang Baek uses space as the device to show the author's view of the world and express the theme besides dividing space into two parts in order to deepen the conflict structure. Namely, he shows the process that incidents occur and are settled in main spaces. In「A family record」‘the basement’ or ‘trap’ is the space where the crime of Jonghum's family is accused and they awake characters without a sense of sin to quilt feeling. 'The 14th drift', 'the swamp' are the same in「People in the Jurassic period」or 「Homoseparatus」. The conflict deepened due to an accident of 'the 14th drift' got to have a clue to be settled in 'the 14th drift'‘, ‘The swamp’ has the meaning as space to suggest that it is not easy to escape from the separated situation. In「The bubble」the contrast between immateriality and materiality is shown respectively through 'a pond' and ' a mirror'.
      As mentioned above, in many cases Lee Kang Baek limits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and incidents through peculiarities of space. And he fix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still more by contrasting drama space with stage space besides visualized stage space or expresses the author's view of the world deepening it. As he is currently showing positive activity in writing, it should be followed to study his work more ceaseless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 성과 = 2
      • 3.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 5
      • Ⅱ. 희곡과 공간 = 8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 성과 = 2
      • 3.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 5
      • Ⅱ. 희곡과 공간 = 8
      • 1. 공간의 분류 = 8
      • 2. 공간의 기능 = 10
      • 3. 공간에의 접근 = 11
      • Ⅲ. 갈등구조로서의 공간 = 13
      • 1. 계층 간의 대립 = 13
      • 1.1. 피지배자의 공간 = 14
      • 1.2. 지배자의 공간 = 20
      • 2. 자아의 상실 = 22
      • 2.1. 실존적 공간 = 23
      • 2.2. 존재적 공간 = 25
      • 3. 이상과 현실의 괴리 = 28
      • 3.1. 현실적 공간 = 29
      • 3.2. 이상적 공간 = 31
      • Ⅳ. 주제 표출로서의 공간 = 34
      • 1. 죄의식의 공간 = 35
      • 2. 갈등과 반목의 순환적 공간 = 39
      • 3. 유형과 무형의 대립적 공간 = 47
      • Ⅴ. 결론 = 52
      • 참고문헌 = 56
      • ABSTRACT = 5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