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주거단지의 공간배치 구조와 사회연결망의 관계 분석 : 서울시 영구임대아파트를 중심으로 = The Association of Spatial configuration with Social Network in Housing Comple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912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cial Network is social relationship formed by 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 which is germane the quality of life. Especially. the Neighbourly Social Network formed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spaces in that peop...

      Social Network is social relationship formed by 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 which is germane the quality of life. Especially. the Neighbourly Social Network formed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spaces in that people share their primary living territory. This Social Network of Residential Environment directly affects to residents in negative ways, such as social pathology, when the Social Network is disbanded or weakened. This phenomenon worsens the weakness of Social Network and spreads to social issues finally causes a vicious circle. Therefore, the study on Social Network is dealt with significantly in the Spatial Field since it can be used in understanding of social life and taking action to social issues. However, most of the studies on Social Network of Residential Environment remain at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Social Relationships level. These still can’t analyze the Residents’ Social Relationship. Thus, to explain the social phenomenon by Social Relationship,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individuality which forms Social Network and the intensity of solidarity objectively.
      In addition, Seeing the Social Network from the view of the Relation between space and soc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haracteristic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Residents’ Social Network is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to explain the region's Social Configuration and Social Issues. Amo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Spatial Configuration is known as a primary factor which determines people’s Space usage behaviors. Recently, many scholars have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onfiguration and Social Network in interaction space(Sailer and Penn, 2007; Wineman et al., 2009). Though, the Study on Social Network focused on Residential Environment is nonexistent. Since a Residential Space is different from an Interaction Space in Social Interaction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a Residential Spa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ocial Network needs a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s research on Interaction Behavior of Residential Area through Spatial Configur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ocial Network Relevanc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grade of the Residents’ Social Network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nfiguration of Unit, which is regarded as the Residential Space. The Unit is a unique space which is characterized as a personal territory and it is important as a fundamental space since the interaction begins to occur. The case of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in Seoul is the subject site of this study. As the Social Network of the area concentrated by a neglected class of people changes easily for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is considered appropriate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Social Network.
      Therefore, this study goes on research analysis based on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figuring out the Spatial Configuration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which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ide housing complex, the unit, and the interaction space. The Axialline Analysis and the VGA(Visual Graph Analysis) based on the theory of Space Syntax are used as the method of analysis. The second is identifying the Residents' Social Relationship in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which includes analysis of neighbourly intimacy, neighbourly relationship, Interaction Space usage behaviors and housing satisfaction. The NetMinet based on Network Science -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he factor analysis, and the description analysis - have adopted as the method of analysis. Lastly, the Social Network is analyzed by Spatial Configuration of Residential Space from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case. Based on the result obtained earlier from analyzing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the Social Network,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Unit and the Social Network,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the use of frequency of the Interaction Space, and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Unit and the Interaction Behavior are analyzed. The ANOVA and the Crossover Analysis are applied to the method of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below. First,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has an unfavorable Spatial Configuration in residents’ interaction both internal and external of complex. Since the connection of the space network of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of the complex is weak, the internal of the complex has the isolated Spatial Configuration from surroundings. The Community Facilities in the internal of the complex is not only separated from the buildings but also restricted to Spatial Accessibility, so the Spatial Configuration seems to be unfavorable to the residents as the interaction space.
      Second,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has insufficient Social Network and lower Local Society Attachment. Yet, it shows the potential for improvements in the Social Network through the Official Acquaintance. The number of friendly neighbors is 1-2 families on average and the interest in neighbors and complex also appears to be low. While the public manager is at the center of the Social Network, he/she plays the hub administrator role in relations between neighbors. Therefore, in the majority of cases, the absent of the public manager causes the disbanding of the Social Network. However, the Official Acquaintance discussing the complex problems seems to maintain the basic connection system, it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connection in rebuilding the local community.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ocial Network according to Spatial Configuration of residential space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the residents living in the places which have the high spatial accessibility have lower interaction with neighbors unlike the pattern of common interaction space. In other words, when the Residential Space has the high spatial accessibility, the residents who live in that space experience unnecessary personal relationship and it causes the evasion of interaction. This phenomenon is understood to mean the weakened relationships between neighbors. Whereas the residents who live in the place which has the low spatial accessibility feel detached from neighbors, which brings the desire of interaction. As the result, the residents in that situation show the intentional interaction behavior. It mea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ocial Network is opposite of the Common Interaction Space.
      Fourth, the result from analyz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Interaction Space and Interaction Behavior, the Interaction Behavior of the Residents in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can be explained.
      Since there are limits and restrictions in Residents’ External Activities, the residents usually interact with a limited number of people in their private houses. As a consequence of high frequency in Spatial Accessibility and interaction in passage way and elevator, the Residents prefer natural interaction by an accidental meeting with neighbors. In addition, the purposeful interaction and the deliberate interaction, such as activities in community center and following the trail, can be shown by using the Community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the Management Office and Stores inside the Complex can’t perform the function of the Interaction and the playground and the Recreation Center are verified as the useless facilities in the Interaction.
      When all the studies above are combined,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and the Characteristic of Social Network are basically verified. As the result, ultimately, the Social Network var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Spatial Configuration and it i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h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mmon Interaction Space. From this result, the Residents’ Interaction Behavior can be explained by reinterpreting the Characteristic of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and the Social Network. Therefore, this Study has scientific significance in that it primarily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Residents’ Social Networ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연결망은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에서 형성되는 사회적 관계로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주거환경에서 형성되는 이웃 간의 사회연결망은 사람들의 주요 생활영역을 공유한다...

      사회연결망은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에서 형성되는 사회적 관계로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주거환경에서 형성되는 이웃 간의 사회연결망은 사람들의 주요 생활영역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어느 공간보다도 중요하다. 이러한 주거환경의 사회연결망은 해체되거나 약화될 때 사회병리현상과 같은 부정적인 문제가 주민들에게 직접 영향을 미친다. 이는 다시 사회연결망 약화를 심화시키고 사회문제까지 확대되어 악순환이 된다. 이처럼 사회연결망 연구는 사회생활을 파악하고 사회문제를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주거환경에서 사회연결망을 분석하는 대부분의 연구는 사회적 관계 현상만 파악하고 있어 주민 간의 연결 관계를 분석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현상을 사회적 관계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사회연결망을 형성하고 있는 개인의 특성과 결속 강도를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간과 사회의 관련성 관점에서, 주거환경의 공간적 특성과 사회연결망의 관계는 그 지역의 사회구조와 사회문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다. 공간적 특성 중에도 공간구조(Spatial Configuration)는 사람들의 공간이용 행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Hiller et al., 1992). 따라서 최근에는 여러 학자들이 교류공간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의 관련성을 논의하고 있다(Sailer and Penn, 2007; Wineman et al., 2009 등). 그러나 주거환경 분야에서는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의 관련성을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거주공간에서의 교류행태는 일반적인 교류공간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교류와 다르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거환경의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과의 관계 규명은 공간·사회 분야에서 중요한 시각을 마련래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과의 관련성을 입증하고 거주공간의 교류행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근본적인 연구의 목적은 거주공간인 주호의 공간구조 특성에 따라 주민의 사회연결망 정도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주호는 개인의 생활영역을 특성 지을 수 있는 고유한 공간이며, 교류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기초 공간으로서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이에 사례대상지는 서울시 영구임대아파트를 대상으로 한다. 소외계층의 사회연결망은 주거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차원에서,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의 관계를 분석하기에는 소외계층이 밀집한 영구임대아파트가 적합하다.
      이에 본 연구는 3단계로 분석을 진행한다. 첫째, 영구임대아파트의 공간구조를 파악하는 것으로 단지내부, 주호, 교류공간의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 방법은 스페이스신택스 이론을 기반의 축선분석과 VGA를 진행한다. 둘째, 영구임대아파트 주민의 사회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으로 이웃친밀감, 이웃관계망, 교류공간 이용행태, 주거환경 만족도를 분석한다. 분석 방법은 네트워크 과학을 기반으로 한 사회연결망분석(넷마이너)과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을 한다. 셋째, 거주공간의 공간구조에 따른 사회연결망을 분석한다. 앞서 분석한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주호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 교류공간의 공간구조와 이용 빈도, 주호 공간구조와 교류행태,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의 계획적 특성 등을 분석한다. 분석방법은 ANOVA, 교차분석 등을 적용한다.
      이에 따른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구임대아파트의 단지 내·외부 공간연결 관계는 주민들이 교류하는데 불리한 공간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단지 내·외부의 공간네트워크는 연결성이 약하여 단지 내부가 주변지역으로부터 고립되는 공간구조로 나타난다. 단지 내의 부대복리시설은 주동과 분리되어 있고 공간적 접근성도 낮아 주민들이 이웃을 찾아가기에 어려운 공간구조로 되어있다. 이는 이웃과의 자연스러운 교류에 불리한 환경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영구임대아파트는 사회연결망이 열악한 수준이며 지역 애착도 낮지만, 공적 연락관계망을 통해 사회연결망을 회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었다. 친한 이웃의 수는 평균 1~2가구 수준으로 사회적 관계가 낮고 이웃 및 단지에 관한 관심도도 부정적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사회연결망 중심은 주민이 아닌, 공공관리자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관리자가 부재하면 대부분의 사회연결망은 해체되는 현상이 나타난. 단, 단지 문제를 상의하는 공적 연락관계망은 기초적인 연결 체계를 유지하고 있어 지역공동체를 회복하는데 중요한 관계망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주민의 사회연결망은 거주공간의 공간구조적 접근성이 높으면 낮아지고, 공간구조적 접근성이 보통이거나 낮으면 교류가 양호해지는 패턴으로, 일반적인 교류공간의 패턴과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즉, 거주공간의 공간적 접근성이 높으면 주민들은 불편한 대인 접촉을 경험해야 하므로 교류회피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이웃 간의 연결 관계가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거주공간의 공간적 접근성이 낮으면 주민들은 고립감을 느끼고, 이에 따라 교류욕구가 발생함으로써 의도적인 교류 활동이 보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영구임대아파트의 주민들은 신체적 활동영역에 한계가 있어 내집 또는 이웃집, 복도 및 엘리베이터에서 이웃과 교류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복도 및 엘리베이터에서 교류하는 빈도가 높은 것은 주민들이 우연히 이웃을 만나는 자연스러운 교류를 선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부대복리시설 중에는 복지관과 산책로에서 교류행태가 주로 나타나는데, 이는 목적성 교류나 의도적 교류로 이해된다. 반면 관리사무소나 상가는 교류기능이 없는 시설이며, 놀이터나 운동시설은 교류활동에 활용되지 못하는 시설로 확인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기본적으로 영구임대아파트의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의 관계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거주공간의 공간구조 특성에 따른 사회연결망과 교류행태는 일반적인 교류공간에서 발생하는 교류행태와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는 영구임대아파트의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의 계획적 특성을 논의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공간구조와 주민의 사회연결망 관계를 최초로 규명하였다는 점에 학술적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 사회연결망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거주공간에 주목하여, 개인의 사회연결망 강도를 분석한 것은 공간과 사회적 특성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접근한 시도에 의미가 있다. 이는 주거환경 연구 분야의 새로운 시각을 마련해 주고 향후 확대 연구가 가능한 기반을 마련해 준 중요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구임대아파트의 주거환경과 사회연결망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사회·공간적 통합 방안을 제시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특히 영구임대아파트의 새로운 모델을 모색하는 시점인 만큼 단지의 사회연결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획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5
      •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5
      •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
      • 1. 연구 범위 6
      • 2. 연구 방법 7
      • 3. 연구 구성 8
      • 제2장 이론적 고찰 11
      • 제1절 주거환경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 관련성 이론 11
      • 1. 공간과 사회의 관련성에서 본 주거환경과 사회연결망 11
      • 2. 공간구조 특성에 따른 교류행태 13
      • 3. 거주공간 접근성에 따른 교류행태 14
      • 제2절 영구임대아파트의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에 관한 연구 16
      • 1. 영구임대아파트의 공간구조와 교류행태 연구 16
      • 2. 영구임대아파트의 공간적 특성과 사회연결망에 관한 선행연구 23
      • 제3절 사회연결망 관점에서 본 계획적 특성 사례 고찰 29
      • 제4절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2
      • 제3장 분석 방법 35
      • 제1절 연구 모형 35
      • 제2절 분석 방법 및 지표 37
      • 1. 기본방향 37
      • 2. 영구임대아파트의 공간구조 특성 38
      • 3. 영구임대아파트 주민의 사회적 관계 41
      • 4. 공간구조 특성에 따른 사회연결망 분석 45
      • 제3절 설문조사 및 방법 47
      • 1. 설문조사 방법 47
      • 2. 설문지 문항 설계 47
      • 제4장 영구임대아파트의 공간구조 특성 49
      • 제1절 영구임대아파트의 물리적 주거환경 현황 49
      • 1. 물리적 주변 환경 49
      • 2. 단지 내 공간배치 51
      • 제2절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의 공간구조 53
      • 1. 단지 주변과의 연결 관계에서 본 공간구조 53
      • 2. 단지내 기능별 공간구조 55
      • 3. 단지내 교류공간 공간구조 57
      • 제3절 영구임대아파트 주호의 공간구조 60
      • 1. 개별 주호의 공간구조 60
      • 2. 동별 주호의 공간구조 62
      • 3. 층별 주호의 공간구조 63
      • 제4절 소결 64
      • 제5장 영구임대아파트 주민의 사회적 관계 67
      • 제1절 이웃친밀감 70
      • 1. 친한 이웃의 수 70
      • 2. 요인별 이웃친밀감 70
      • 제2절 이웃관계망 73
      • 1. 친분 단계별 연결망 형태 73
      • 2. 친분 단계별 사회연결망 특성 75
      • 3. 친분 단계별 주요연결망 속성 77
      • 제3절 주거환경 만족도 및 교류공간 이용 빈도 79
      • 1. 주거환경 만족도 79
      • 2. 교류공간 이용 빈도 82
      • 제4절 소결 84
      • 제6장 공간구조 특성에 따른 사회연결망 87
      • 제1절 거주공간 공간구조 특성에 따른 사회연결망 87
      • 1. 기초데이터 가공 87
      • 2. 거주공간 공간구조 특성에 따른 사회연결망의 연결성 88
      • 3. 거주공간 공간구조 특성에 따른 사회연결망의 근접성 92
      • 4. 거주공간 공간구조 특성에 따른 사회연결망의 매개성 96
      • 5. 입주자 특성별 공간구조 특성에 따른 사회연결망 97
      • 제2절 거주공간 접근성에 따른 교류 행태 104
      • 1. 교류공간의 공간구조와 이용 빈도 간의 특성 104
      • 2. 전체 응답자의 교류 행태 106
      • 3. 입주자 특성별 교류 행태 108
      • 제3절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에 따른 계획적 특성 112
      • 1. 주호 공간구조에 따른 계획적 특성 112
      • 2. 교류공간 공간구조에 따른 계획적 특성 114
      • 3. 사회연결망에 따른 계획적 특성 118
      • 제4절 소결 120
      • 제7장 결 론 125
      • 제1절 연구 결과 125
      • 제2절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128
      •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130
      • 참고문헌 131
      • 부 록 139
      • ABSTRACT 14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용학, 김영진, "「사회연결망분석」",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16

      2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논형, 서울: 논형, 2012

      3 강미나, "도시재생정책의 성공사례", 국토, 56-63, 2004

      4 남기철, "영구임대단지와 사회적 배제",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월간 복지동향(139), 42-46, 2010

      5 강정희(Jung Hee Kang), "영구임대주택의 주거환경 연구", 한국인지 및 생물심리학회, 주택연구, 23, 79-101, 2015

      6 손세욱, "집합주거의 근린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 1992

      7 조명희, "충청북도 노인의 욕구에 관한 연구", 서원대학교 미래창조연구원, 응용과학연구, 3(1), 127-137, 1994

      8 박현찬, 이성창,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리모델링 전략",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91), 1-20, 2011

      9 이소정(So-Chung Lee), "우리나라 노인의 사회참여 유형분석", 한국인구학회, 한국인구학, 32(1), 71-91, 2009

      10 안영진, "사회공간론: 사회지리학 이론 발달사", 서울: 한울, 2013

      1 김용학, 김영진, "「사회연결망분석」",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16

      2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논형, 서울: 논형, 2012

      3 강미나, "도시재생정책의 성공사례", 국토, 56-63, 2004

      4 남기철, "영구임대단지와 사회적 배제",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월간 복지동향(139), 42-46, 2010

      5 강정희(Jung Hee Kang), "영구임대주택의 주거환경 연구", 한국인지 및 생물심리학회, 주택연구, 23, 79-101, 2015

      6 손세욱, "집합주거의 근린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 1992

      7 조명희, "충청북도 노인의 욕구에 관한 연구", 서원대학교 미래창조연구원, 응용과학연구, 3(1), 127-137, 1994

      8 박현찬, 이성창,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리모델링 전략",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91), 1-20, 2011

      9 이소정(So-Chung Lee), "우리나라 노인의 사회참여 유형분석", 한국인구학회, 한국인구학, 32(1), 71-91, 2009

      10 안영진, "사회공간론: 사회지리학 이론 발달사", 서울: 한울, 2013

      11 김소임, 김수현, "『서울시 영구임대주택 주민의 생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2

      12 최윤경, "사회와 건축공간: 7 개의키워드로 읽는", 시공문화사, 2003

      13 박근석, 조민정, 박은규, "영구임대단지내 임대상가 활성화 방안", 대한 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2008

      14 진명숙, "주거빈곤층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학회, 지역사회연구, 13(3), 87-112, 2005

      15 하성규(Seong-Kyu Ha), 서종녀(Jong Nyeo Seo), "공공임대주택과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주택연구, 14, 159-181, 2006

      16 박상민, 이철우, "사회적 연결망의 연구동향과 공간적 함의",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 10, 163-194, 1998

      17 신화경, 조인숙,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 학회논문집, 26(3), 99-108, 2015

      18 양세화, 오찬옥, "장유신도시 주거환경에 대한 거주 후 평가",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 학회논문집, 22(5), 59-69, 2011

      19 오찬욱, "노인의 아파트 디자인에 대한 거주 후 평가",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 회 논문집, 19(5), 122-129, 2010

      20 이은주, "서울시 영구임대주택 도시빈민의 삶의 경험", 한국사회이론학회, 사회이론(36), 29-80, 2009

      21 이보혜,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사회적 관계망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환경대 학원 석사학, 2006

      22 김명한, 김재호, 김선희, "일본의 지역의료복지거점 시책 및 주요 사례", 국토, 433, 84-91, 2017

      23 한다혁(Han, Da-Hyuck), 이민석(Lee, Min-seok), "공공임대주택의 근린생활시설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주거학회, 한 국주거학회, 28(1), 9-17, 2017

      24 임재만, "영구임대주택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대구대학교 사 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10(1), 1-14, 2002

      25 김지환(Kim, Ji-Hwan), 구자훈(Koo, Ja-Hoon), 박청호(Park, Cheong-Ho), "분양ㆍ임대 혼합단지의 사회적 교류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8(1), 91-103, 2017

      26 박인숙, 조용경, 이수진, 윤영호, 박지영, 강현규, "주거복지 확대를 위 한 영구임대주택의 개선방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320), 115-126, 2008

      27 박관민, 이경진, 송명규, "임대아파트 단지에 대한 사회적 배제의 실증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22(3), 107-131, 2009

      28 김영욱, 김주영, "영구임대단지의 사회연결망 분석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8(2), 81-92, 2017

      29 이상영, "「자살위험도 결정요인 및 지역간 격차 요인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30 권현아, 김광현, "아파트 단지에서 나타나는 일상의 소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8(3), 11-18, 2012

      31 김주영(Kim, Joo-Young), 김영욱(Kim, Young-Ook), "자살자의 거주지 유형에 따른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6(1), 85-99, 2015

      32 신경희, 이순희, "지역사회 여성단체 활동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서울도시연구, 4(1), 89-109, 2003

      33 홍인옥, "서울시 단독주택지역의 변화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지리학 논총 별호, 25. 1-185.Al-Sayed AM. Social Ethics of Islam: Classical Islamic-Arabic Political Theory and Practice. Vantage Press, 1982., 1997

      34 김무한, 탁영란, 유승현, 성종상, 김세훈, "노인 및 커뮤니티를 위한 건 강증진환경 조성방안 연구", 서울: 서울주택도시공사, 2017

      35 서수정, "“영국 캐슬 베일의 커뮤니티 주도형 주거지 정비사업”", 대한건축학회, 건축, 51(9), 2007

      36 이동훈 ( Lee Dong-hoon ), 손동욱(Sohn, Dong-Wook), 김형언(Kim, Hyeong-Eon), "공동주택 외부공간과 커뮤니티 활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5(1), 5-17, 2014

      37 김옥희, 박미하, "교류분석의 의사거래 유형과 Satir의 의사소통 유형 비 교", 한국교류분석학회, 교류분석연구, 2, 35-54, 2011

      38 조희은, "도시 빈민지역의 공간구조와 사회적 연결망에 관한 연구", 서울. 석사 학위논문,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39 남원석, 최예륜, 이선화, "공공임대주택 입주민의 지역사회 참여 활성 화 방안 연구", 서울: 서울주택도시공사, 2017

      40 김주현(Kim, Ju Hyun), 안용진(Ahn, Yong Jin), "사회적 커뮤니티 특성이 거주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개발학회,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3), 73-89, 2017

      41 김영욱, 김주영, "영구임대아파트와 판자촌의 공간구조와 자살률 비교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7(1), 135-146, 2016

      42 심영미, 오정석,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복지서비스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부동산학보, 41, 21-34, 2010

      43 신운경, "「주거단지의 사회통합을 위한 해외 건축계획 사례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4(2), 13-22, 2008

      44 진양교, "거주자의 주거만족에 대한 주거소유와 밀도의 인과적 영향", 국 토계획, 27(1), 115-130, 1992

      45 김준형(Kim, Jun-Hyung), 최막중(Choi Mack-Joong), 김성제(Kim Sung-Jea), "임대주택 사회적 혼합의 장애요인과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40(5), 153-163, 2005

      46 이영석, "공동주택단지 공유시설의 개발방향 및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0(1), 71-88, 2009

      47 강정희, 박범종, "부산지역 영구임대아파트 거주민의 실태와 인식에 관 한 연구", 한국시민윤리학회, 한국시민윤리학회보, 25(1), 1-25, 2012

      48 박현찬, 정상혁, 이성창, 서주옥, "서울시 장기공공임대주택 리모델링 을 위한 전략도출 및 모델개발", 서울연구원,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1-170, 2010

      49 김양호, "중년남성의 건강과 사회관계망 특성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1), 103-126, 2005

      50 이상이, 최윤경, "단위세대 연결방식에 따른 아파트의 공간구조적 특성 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9(12), 141-148, 2013

      51 이광영, 조진만, "공동체 문화 활성화를 위한 APT 단지 부대복리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9(2), 55-62, 2008

      52 김영욱, "Space Syntax를 활용한 공간구조속성과 공간사용패턴의 상호관련성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38(4), 7-17, 2003

      53 김동배, 이익섭, "영구임대주택 입주가구의 주거환경 및 가족기능에 관 한 시론적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세사회복지연구, 2, 46-85, 1995

      54 이미랑, 제해성, 이희정, 이재혁, "노후 영구임대아파트 건축계획 및 운영관리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5(5), 79-86, 2009

      55 사이람, "엮음. 『은자의 나라 문에서』.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자료연구회 옮 김", 넷마이너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기본과정 교육 자료, 2016

      56 김홍용, 한필원, 이주옥, 손명기, 박진옥, "노인의 주거요구 분석을 통 한 영구임대아파트의 리모델링 계획요소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3(12), 73-82, 2007

      57 신남수, 이라영, "공동주택단지의 물리적 환경 구성요소와 거주자의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5(3), 235-246, 2009

      58 김미희, 노세희, "다가구매입임대주택과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사회적 배제 실태조사 연구",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2(5), 91-100, 2011

      59 임재현, 한상삼, "“영구임대주택단지의 공동체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5(4), 33-52, 2011

      60 김택규(Kim, Taek-Gyu), 정석(Jeong, Seok), "사회연결망분석(SNA)을 활용한 공동체 프로그램 참여자의 이웃관계 변화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7(3), 71-88, 2016

      61 김주석, 임의선, 이연숙, "영구임대아파트의 사회물리적재생이 거주노 인의 사회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10(5), 31-41, 2010

      62 전병주 ( Byeongjoo Jeon ), 최은영 ( Eun Young Choi ), "노인의 사회적 배제 특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관계망의 완충효과", 경기연구원, GRI 연구논총, 16(3), 237-274, 2014

      63 오동훈, 이흥수, "노인친화적 주거시설 확충을 위한 서울시 영구임대아 파트단지 리모델링 방안", 한국부동산분석학회, 부동산학연구, 14(3), 17-34, 2008

      64 이진욱, 하재명, 최판길, "영구임대주택단지 주민의 생활양식에 근거한 단지 내 거주환경 개선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4(6), 69-76, 2008

      65 박인숙, 조용경, 이수진, 윤영호, 박지영, "노후 영구임대주택단지의 리 모델링을 위한 옥외공간 재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 계, 27(4), 223-230, 2011

      66 권태규, 최상헌, "공동주택 커뮤니티 시설 활성화를 위한 거주자 및 관리자 의식조사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11), 2009

      67 우희순, 장기연, "영구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장애인의 신체적 자기개념 및 취업 욕구와 구직 효능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장애와 고용, 22(4), 33-51, 2012

      68 최열, "“공동주택 단지설계요소 및 거주자특성이 공동체의식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3(5), 83-90, 2007

      69 이상록, "“소득계층간 주거지 분리의 거주지역 특성이 저소득빈 곤층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8(4), 277-302, 2012

      70 임정언(Lim, Jung-Eon), 성종상(Sung, Jong-Sang), "신도시 아파트 단지 내 텃밭활동에 의한 이웃주민 간 사회적 유대감 형성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7(3), 25-40, 2016

      71 김위정, "공공임대주택 주민들에 대한 사회적 배제 연구-주거지격리를 통 한 사회적 배제를 중심으로", 도시연구, 9, 87-114, 2004

      72 김주석, 임의선, 이연숙, "사회물리적재생을 통한 주거환경개선이 영구 임대아파트 주민의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2(1), 1-10, 2011

      73 손세관, 안미라, "소형 임대아파트 내부공간 개선에 관한 연구 : 아파 트 내부, 복도, 주동 내부공간을 중심으로", 환경과학연구, 6, 37-58, 1995

      74 권순정, 김효정, "영구임대아파트 거주 고령자의 단위세대 개선요구 조 사 연구-수원시 우만 주공 3 단지를 중심으로",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의료 복지 건축, 19(2), 51-59, 2013

      75 이경온, "영구임대주택 지역주민의 지역사회 인식 및 사회자본 정도에 관 한 연구-부천시 C 영구임대아파트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연구, 14(2), 5-63, 2011

      76 윤호, "인천시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환경과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 구 : 다가구매입임대주택과 영구임대주택을 중심으로", 한국부동산학회, 부동산학보, 41, 184-200, 2010

      77 강희경 ( Hee Kyung Kang ), 유병선 ( Byung Sun Yoo ), "노인빈곤가구의 공공임대주택정책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영구임대아파트와 민간주택 거주자 주거만족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