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분노표현방식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41611

      • 저자
      • 발행사항

        김해 : 가야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38 판사항(6)

      • DDC

        36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상남도

      • 형태사항

        viii, 87장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안상근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장 64-74

      • 소장기관
        • 가야대학교 분성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분노표현방식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고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분노표현방식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고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부모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오성심과 이종승(1982)이 제작하고 임선화(1988)가 재편성한 ‘부모 자녀 양육태도 지각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아탄력성 척도는 Block과 Kermen(1996)이 개발하고 유성경과 심혜원(2002)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노표현방식 척도는 전겸구 외(1997)가 한국판으로 개발한 상태-특성 분노표현척도(STAXI-K) 중에서 분노조절, 분노표출, 분노억제와 관련된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과 ANOVA, 상관관계 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모델에 근거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의 평균은 3.60점 이었으며, 자아탄력성의 평균은 2.72점이었다. 분노표현방식 점수는 분노조절 2.81점, 분노억제 2.40점, 분노표출 2.19점이었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 분노표현방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대부분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부모양육태도는 분노조절(p<.001), 분노표출(p<.001), 분노억제(p<.001)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즉 부모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β=.228) 분노조절이 높아지고, 부모양육태도가 부정적일수록(β=-.264) 분노표출이 높아지며, 부모양육태도가 부정적일수록(β=-.309) 분노억제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애정-적대, 자율-통제, 성취-비성취, 합리-비합리가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양육태도가 성취적(β=.249)이거나 합리적일수록(β=.266), 그리고 통제적일수록(β=-.157) 분노조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양육태도가 비합리적일수록(β=-.323) 분노표출이 증가하고, 부모양육태도가 비합리적일수록(β=-.204) 분노억제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양육태도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β=.332) 자아탄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은 애정적일수록(β=.203) 성취적일수록(β=.332) 자아탄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아탄력성이 분노표현방식인 분노조절, 분노표현, 분노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β=.332) 분노조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이 낮을수록(β=-.192) 분노억제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노표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일곱째,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 전체와 분노조절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양육태도(β=.122)가 긍정적일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β=.321) 분노조절이 높아지며, 분노조절을 설명하는 설명력(adjR2)은 13.8%로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과 분노조절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모양육태도가 성취적일수록(β=.171),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β=.319) 분노조절이 높아지며, 분노조절을 설명하는 설명력(adjR2)은 16.8%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양육태도와 분노표출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그리고 부모양육태도와 분노억제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부모들이 자녀양육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바람직한 양육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고등학생들이 분노상황에 노출되어도 스스로 분노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자아탄력성 강화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셋째, 청소년의 분노조절 장애로 심각한 사회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만큼 향후 청소년들의 분노표현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for an alternative that can improve the capability to control the anger of the senior high school students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ego­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at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for an alternative that can improve the capability to control the anger of the senior high school students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ego­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s as perceived by the se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anger expression styles.
      The Parent-Child Parenting Perception Questionnaire which had been produced by Oh and Lee(1982) and which had been reorganized by Im(1988), had been used to measur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the seni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ego-resilience scale, the scale that had been developed by Block and Kermen(1996) and that had been adapted by Yoo and Shim(2002) had been used. Regarding the anger expression styles scale, from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 which had been developed as the Korean version by Chun et. al.(1997), the questions that were related to the anger-control, anger-in, and anger-out had been used.
      For the analyses of the data,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22.0, the following had been carried out: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mediating model of Baron and Kenny(1986).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ly, the mean score of the parenting attitudes that are perceived by he senior high school students was 3.60 points. And the mean score of the ego­ resilience was 2.72 points. Regarding the scores of the anger expression styles, the anger-control was 2.81 points, the anger-in was 2.40 points, and the anger-out was 2.19 point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s, the ego-resilience, and the anger expression styles that are perceived by the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t was able to find out that most of the correlations among each variables were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on the level of p<.001.
      Thirdly, the parenting attitudes gave th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anger-control(p<.001), the anger-out(p<.001), and the anger-in(p<.001). Or, in other words, the more the parenting attitudes was positive(β=.228), the anger-control got higher. And the more the parenting attitudes was negative(β=-.264), the anger-out got higher. And, the more the parenting attitudes was negative(β=-.309), it appeared that the anger-in got higher.
      Fourthly, As for the sub-factors for parenting attitudes, it appeared that the more the parenting attitudes was achieving-oriented(β=.249) or rationality-oriented(β=.266) and was control-oriented(β=-.157), the anger-control got higher. Also, the more the parenting attitudes was irrational(β=-.323), anger-out had increased. And, the more the parenting attitudes was irrational(β=-.204), it appeared that the anger-in had increased.
      Fif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parenting attitudes on the ego-resilience, the more the parenting attitudes was positive(β=.332), it appeared that the ego-resilience had gotten higher. As for the sub-factors for parenting attitudes, the more affection-oriented(β=.203) and the more achieving-oriented(β=.332), the ego-resilience had increased.
      Six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s of the ego- resilience on the anger-control, the anger-out, and the anger-in, which are the anger expression styles,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ego-resilience(β=.332), the higher the anger-control got. Also, it appeared that the lower the ego-resilience(β=-.192), the anger-in got higher.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garding the influence on the anger-out did not gi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ce.
      Seven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s and anger-control, it appeared that there had been the partially mediating effect. Or, in other words, the more the parenting attitudes(β=.122) is positive and the higher the ego-resilience is(β=.321), the anger-control had gotten higher. And the explanation power(adjR2) that explains the anger-control appeared at 13.8%.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ego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parenting attitudes and the anger control, the more the parenting attitudes is achieving-oriented(β=.171) and the higher the ego-resilience is(β=.319), the anger-control got higher. And the explanation power(adjR2) that explains the anger-control appeared at 16.8%. In contra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s and the anger-ou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go-resilience did not appear.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the anger-i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go-resilience did not appear.
      As a result, in order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parents regarding parenting attitudes and in order to enable them to possess the desirable parenting attitudes, the diverse parent education programs must be carried out. Also, even if the senior high school students are exposed to an anger situation, in order to enable them to control the anger by themselves, the program for strengthening the ego-resilience must be invigorated. In addition, to the extent that the serious, social problems have been taking place due to the impediment in anger-control on the part of the adolescents, in the future, there must be the supports by the systematic researches regarding the diverse factors that have the influences on the anger expression styles of the adolesc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문제 5
      • 목 차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문제 5
      • 3. 연구모형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부모양육태도의 개념과 유형 7
      • 2. 분노의 개념과 분노표현방식 10
      • 3. 자아탄력성의 개념과 구성요소 13
      • 4. 선행연구 고찰 15
      • 1) 부모양육태도와 분노표현방식 15
      • 2) 부모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 17
      • 3) 자아탄력성과 분노표현방식 19
      • 4)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과 분노표현방식의 관계 21
      • Ⅲ. 연구방법 23
      • 1. 연구대상 23
      • 2. 측정도구 24
      • 1) 부모양육태도 척도 24
      • 2) 분노표현방식 척도 25
      • 3) 자아탄력성 척도 26
      • 3. 자료분석 27
      • Ⅳ. 연구결과 29
      •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9
      • 2.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31
      •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 32
      • 4. 주요 변수의 상관관계 38
      • 5. 주요 변수의 영향관계 40
      • 1) 부모양육태도 전체와 하위요인이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40
      • 2) 부모양육태도 전체와 하위요인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43
      • 3) 자아탄력성이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44
      • 4) 부모양육태도와 분노조절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45
      • 5) 부모양육태도와 분노표출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50
      • 6) 부모양육태도와 분노억제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52
      • Ⅴ. 결론 56
      • 1. 요약 56
      • 2. 제언 61
      • 참고문헌 64
      • 부록 75
      • Abstract 83
      • 표 목 차
      • <표 Ⅲ-1> 부모양육태도 척도의 문항구성 25
      • <표 Ⅲ-2> 분노표현방식 척도의 문항구성 26
      • <표 Ⅲ-3> 자아탄력성 척도의 문항구성 27
      • <표 Ⅳ-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0
      • <표 Ⅳ-2>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31
      • <표 Ⅳ-3> 성별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차이 32
      • <표 Ⅳ-4> 성별에 따른 분노표현방식 차이 33
      • <표 Ⅳ-5> 아버지 학력에 따른 양육태도의 차이 34
      • <표 Ⅳ-6> 어머니 학력에 따른 양육태도의 차이 34
      • <표 Ⅳ-7> 부모동거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차이 35
      • <표 Ⅳ-8> 자녀수에 따른 분노표현방식 차이 36
      • <표 Ⅳ-9> 경제수준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차이 37
      • <표 Ⅳ-10>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39
      • <표 Ⅳ-11> 부모양육태도 전체가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41
      • <표 Ⅳ-12> 부모양육태도 하위요인이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 향 42
      • <표 Ⅳ-13> 부모양육태도 전체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43
      • <표 Ⅳ-14> 부모양육태도 하위요인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44
      • <표 Ⅳ-15> 자아탄력성이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45
      • <표 Ⅳ-16> 부모양육태도 전체와 분노조절의 관계에서 자아탄력 성의 매개효과 46
      • <표 Ⅳ-17>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Sobel 검정 47
      • <표 Ⅳ-18> 부모양육태도 하위요인과 분노조절과의 관계에서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정 48
      • <표 Ⅳ-19> 부모양육태도 하위요인의 매개효과에 대한 Sobel 검정
      • 49
      • <표 Ⅳ-20> 부모양육태도 전체와 분노표출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 성의 매개효과 51
      • <표 Ⅳ-21> 부모양육태도 하위요인과 분노표출과의 관계에서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정 52
      • <표 Ⅳ-22> 부모양육태도 전체와 분노억제와의 관계에서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53
      • <표 Ⅳ-23> 부모양육태도 하위요인과 분노억제와의 관계에서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정 54
      • 그 림 목 차
      • 〔그림 Ⅰ-1〕연구모형 6
      • 〔그림 Ⅳ-1〕부모양육태도 전체와 분노조절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47
      • 〔그림 Ⅳ-2〕부모양육태도 하위요인과 분노조절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5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