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영재교육 연수를 통한 영재와 영재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변화 = The Changes in Teachers' Perception toward Gifted Children and Gifted Education by Study and Trai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2375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영재교사 연수 전과 후를 비교 분석하여 영재교사 연수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이에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영재 교사 연수의 방향을 제시하여 영재교육...

      본 연구는 초.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영재교사 연수 전과 후를 비교 분석하여 영재교사 연수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이에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영재 교사 연수의 방향을 제시하여 영재교육 교사의 전문성을 효율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인천광역시 교육청 위탁으로 인천대학교에서 실시한 영재교육연수에 2005년도부터 2007년도까지 참가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사들은 모두 인천시에 소재한 초.중등학교에 근무하고 있으며, 총 160부의 설문지 중 무응답이 많은 9부를 제외한 151부의 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이다. 설문지는 인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연구소에서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고, 문항별 생각을 묻는 5점(1: 전혀 아니다, 5:매우 그렇다) Likert 척도와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수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연수 첫날에 영재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 설문 검사를 실시했으며, 연수 마지막 날 사후 설문 검사를 통하여 연수 전과 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에서 살펴 본 연구와 본 연구의 유사점은 영재교육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을 연구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영재교육 연수 이수와 관계없이 교사들의 인식을 연구한 반면, 본 연구의 대상이 된 교사들은 모두 영재교육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두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영재 교육에 대한 일반 학교에서의 시사점을 발견할수 있을 것이다.
      연구에서 조사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먼저, 조사대상인 영재 교사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학교급과 연수 참여 교과, 그리고 교직경력에 따른 교사의 자질에 대한 인식과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에 대한 인식, 교수학습방법, 연수에 대한 평가 등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해 t 검정과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일원변량분석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는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수 참여전과 후의 교사의 자질에 대한 인식과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에 대한 인식, 교수학습방법 등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에 의거하여 도출된 연구 결과를 우선 영재교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수준에 대한 인식을 배경변인에 따라 연수 전과 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영재 교육관련 지식수준은 연수를 받기 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한 결과는 5점 만점에 평균 2.91점으로 보통 이하의 지식을 갖고 있다는 반응을 보여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학교 급간이나 교과에 따라서 지식수준의 차이는 비슷했으나,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교직경력이 16년 이상의 교사들(3.09)이 5년 이하의 교사들(2.65)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영재 교육과 관련된 지식수준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영재 교육관련 지식수준은 연수 참여 전(2.91)에 비해 연수참여 후(3.46)에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현철(2006)도 영재교육 교원 연수가 영재교육 기초이론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다고 보고했는데, 이것은 영재 교육관련 연수가 교사들에게 영재 교육에 관한 이해 확산과 관련 자질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사들은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으로 어떤 것을 중요시하는지를 연수 전의 설문을 통해 조사하여 분석하였을 때,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 수준은 3.42점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별로는 교수관련 신념(3.60)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교사 자신에 대한 신념(3.50), 학습자관 관련 신념(3.27), 교과와 교육과정 관련 신념(3.19) 등의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의 하위 영역별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영재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 문제에서도 역시 교육경력이 16년 이상인 교사들(3.27)이 교육경력이 5년 이하인 교사들(2.95)에 비해 높은 신념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적인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에 대한 지각 수준은 연수 참여 전(3.42)에 비해 연수 참여 후(3.55)에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재교육관련 연수가 교사들의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 강화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사들은 영재 교수 학습 방법으로 어떤 것을 선호하는지에 대한문제에 대해 연수 전의 자료를 분석하였을 때, 교사들은 배경 변인에 관계없이 실생활과 관련된 수업(3.64)을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다양한 수업내용(3.50), 다양한 연구방법에 대한 연구(3.35)등으로 응답하였으며, 추상적(2.42)이고 복잡한 내용(2.56)에 대한 수업은 크게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및 학생 산출물 영역의 경우 교수전략의 다양한 변화(3.46)와 실제문제 중심(3.44), 그룹협동성(3.44)을 고려한 수업을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환경은 학생들의 의견과 생각을 존중하는 수업진행(3.66)과 개방적인 수업진행(3.48)을 많이 하고 있었으며, 외부기관 및 지역사회의 시설을 활용한 수업진행(2.82)은 많이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선호도는 초등교사와 중등교사 간의 선호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육내용 영역 중에서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과 평가 및 학생 산출물 관련 영역의 선호도 항목에서는 교직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습 환경관련 영역에서는 개방성과 특정 교실이나 실험실에서 수업 진행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개방성의 경우에는 교직경력인 6-10년 사이의 교사들(3.70)이 교직경력인 5년 미만의 교사들(3.18)에 비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정 교실이나 실험실에서의 수업 진행 역시 교직경력인 6-10년 사이의 교사들(3.73)이 교직경력이 5년 미만의 교사들(3.52)에 비해 많이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수 전과 후의 영재 교수학습 방법의 선호도 변화를 비교하면, 교육내용 영역의 경우 추상성.복잡성과 관련된 수업방식의 선호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데, 추상성과 복잡성에 대한 선호에서 모두 연수 참여 전에 비해 연수 참여 후 그 선호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방법 영역의 경우에는 그룹상호작용과 속도의 적합성을 고려한 수업방식의 선호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 및 학생 산출물 영역의 경우 발표방법의 선택과 교수전략의 다양한 변화를 적용한 수업방식에 대한 선호도가 연수 참여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환경 영역의 경우에는 수업진행의 개방성과 특정 교실이나 실험실에서 수업 진행에 대한 선호도가 연수 참여 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부분에서도 교사들이 선호했던 영재교수학습방법이 연수 전과 비교했을 때, 연수 후에는 교육 내용에 있어 복잡성과 추상성을 추구했으며, 교수 학습 방식에 있어서도 그룹 상호 작용이나 속도의 적합성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박영근(2004)은 영재 교육 담당자의 자질로 영재교육에 대한 지도능력이 가장 중요하다는 조사 결과를 얻었다고 보고했는데, 위의 결과는 이러한 전문가적 자질을 함양하는 데는 교사 연수의 기여도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서혜애(2006)의 연구에서도 연수의 효율성 평가 중 교육내용을 평가한 항목에서 연수가 영재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천하는데 필요한 방법.전략을 이해하고 모색할 기회를 제공했다는 문항을 높게 평가한 결과를 얻었다. 이렇듯이 교사들은 영재 교육 연수를 통해 영재의 특성을 이해하고 파악하게 되며, 교수 전략에 있어서도 영재의 특성에 맞는 수업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과 같이 전문가적 자질을 신장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영재교육 연수에 대한 평가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전체적인 영재교육 연수에 대한 평가는 5점 만점에 3.67점으로 비교적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영역별로는 연수의 종합적 효과에 대한 평가가 3.8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수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강사의 수업내용에 대한 평가(3.72), 강의내용 구성(3.72) 등의 순으로 높았고, 행정적 운영(3.53)에 대한 평가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수 후에 실시한 영재교사 연수의 방향과 효과를 묻는 개방형 질문을 분석한 결과, 일반 교사들은 첫째 영재 교사 연수를 통해 영재의 특성에 대해 알게 되어 영재를 이해하는 마음이 생겼으며, 둘째 영재와 영재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졌고, 셋째 영재 교육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했다. 그리고 연수에 참가한 교사중 실제 영재 수업에 참여하고 있던 교사들은 연수를 통해 자기 성찰의 기회가 되었고, 막중한 책임감을 느꼈으며, 더 노력을 해야겠다는 의지와 심화연수를 받아 더 다양한 수업으로 자신감을 갖고 가르치겠다는 답변이 많았다. 이런 결과는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영재 지도 경험의 유무와는 무관하게 연수를 통하여 영재교육에 대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를 갖게 되었다고 본다. 그런데 이승헌(2001)의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영재 지도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견이 참여하겠다는 의견보다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재교육을 밖에서 바라볼 때와 영재교육 연수를 받으면서 영재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 교사들의 태도 변화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연수 내용 중에서 필요했던 강의 내용으로는 창의적 학습 프로그램의 분석과 실제를 다룬 강의를 자신의 필요에 가장 부합한다고 답변했으며, 이유로는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였다고 했다. 또한 영재교육 연수에 우선적으로 포함시킬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도 영재수업 참관 및 창의적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제 적용 방법, 교수 학습 방법 등을 꼽았는데, 교사들은 실제 수업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연수를 통해 배우기를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비슷한 결과로 이승헌(2001)도 교사들이 원하는 영재교육 담당교사 연수의 방향은 영재교육에 적합한 교수방법의 시범및 실습 위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했다. 정현철(2006) 역시 연수에 포함시켜야 할 프로그램으로써 교사들이 가장 우선적으로 원하는 것은 실제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개설이고 그 외에 영재교육 사례 소개, 심화 과정 개설 등임을 제시했다. 이러한 결과들은 교사들이 영재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가장 어려움을 겪는 것이 어떤 부분인지를 알려 주며, 영재교사 연수 프로그램으로 어떤 내용을 필요로 하는 지를 제시해 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before and after a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studied on effects of the gifted children teacher training program. Therefore, its purpose is to present a right di...

      This research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before and after a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studied on effects of the gifted children teacher training program. Therefore, its purpose is to present a right direction of the training program that teachers need and to offer foundational data which is required to develop the training program that can efficiently improve specialties of gifted children teachers.
      To fulfill the purpos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up.
      First, what ar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knowledge level that ordinary teachers think gifted children teachers must have?
      Second, as belief which gifted children teachers should bear, what do the teachers place importance on?
      Third, as a method for teaching gifted children, what do the teachers prefer?
      Fourth, how do the teachers assess the training program?
      Research method was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used twice, one was before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other was after the training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151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ttending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at In-Cheon University from 2005 to 2007. The SPSS 12.0 statistic package was used to analyze the response, and followings are the result.
      First, teachers' knowledge level about gifted children education mostly marked higher points after the training program (3.46) than before the program (2.91), and this differences wa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Therefore, this result indicates that a teacher training program related to gifted children education is very effective statistically to improve teachers' qualifications concerning gifted children education.
      Second, teachers' perception level of belief that teachers should bear increased a little after the training program (3.55) than before the program (3.42), and this difference wa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too. Therefore, it shows that the training program is effective to reinforce the teachers' belief.
      Third, when methodology which teachers used after the training program was compared to other methodology used before the training program, the teachers pursued complexity and abstraction in the former contents. In addition, the teachers changed their teaching styles into other styles that consider group interactions and the fitness of their teaching speed. Thus, it indicates that the teachers understood and figur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and changed their teaching styles to be proper to the characteristics after the training program.
      Fourth, the teachers' overall assessment of the program was: the assessment of lecturers' instruction in the program (3.72), the assessment of construction of the program (3.72), and the assessment of the administrational management (3.53). The first and the second marked high point. The last relatively marked low points, but it was considered not bad entirely.
      Fif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opening questions asking the direction and effects of the program: First, teachers mostly got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so they could get a certain mind which try to understand gifted children. Second, their understanding about gifted children and gifted children education was broadened than before the program. Third, the program was the chance for the teachers to have a new perception of gifted children. In addition, the best qualifications which the teachers chose were specialty of subjects, and skills that can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and encourage gifted children, and the teachers wanted, as the most necessary contents in the program, certain contents which can be used helpfully in practical classes such as attending gifted children class, developing creative learning program and its application, and effective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gifted children teacher training program is required to expand the gifted children education base, and, in terms of its construction, the program should offer teacher various contents that can be applied and be useful in practical classes. Moreover, it's important to maintain the program, not just once, and it's required to make some beneficial changes in teachers' action or behavior through a stronger connection between teachers and the program. Finally, the education authority should provide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the program regularly in order to help teachers have consistent interest in gifted children education, and the authority should make special efforts to make connections between teachers and diverse programs to extend their special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 목적 = 4
      • 3. 연구 문제 = 4
      • 4. 용어의 정의 = 6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 목적 = 4
      • 3. 연구 문제 = 4
      • 4. 용어의 정의 = 6
      • 5. 연구의 제한점 = 7
      • Ⅱ. 이론적 배경 = 9
      • 1. 영재 담당 교사 = 9
      • 2. 영재교육 담당교사 양성 및 연수 = 11
      • 3. 영재 교육과 영재 교사의 역할 = 16
      • 4. 선행연구 고찰 = 19
      • Ⅲ. 연구방법 및 결과 분석 = 21
      • 1. 연구대상 = 21
      • 2. 연구 대상의 배경변인 분석 = 21
      • 3. 검사도구 = 22
      • 4. 분석방법 = 23
      • Ⅳ. 연구 결과 = 26
      • 1. 영재교사의 지식에 대한 인식 = 26
      • 2.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에 대한 인식 = 31
      • 3. 영재 교수학습 방법의 선호도 = 37
      • 4. 영재교육 연수에 대한 평가 = 45
      • Ⅴ. 결론 및 시사점 = 51
      • 1. 요약 및 결론 = 51
      • 2. 시사점 및 제언 = 57
      • 참고문헌 = 60
      • ABSTRACT = 63
      • 부록 =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