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통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0708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17. 2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72.2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Study on the Recogni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for Inclusive Education

      • 형태사항

        vi, 60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류성창
        권말 부록 수록
        참고문헌: p. 48-51

      • 소장기관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통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황정아 유아교육전공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

      국문초록

      통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황정아
      유아교육전공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별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통합 교육에 대한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통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어린이집교사 100명과 유치원교사 100명으로 총 200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남지아(2009), 전은옥(2005)의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본 연구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으며, 이렇게 완성된 설문지를 유아교육 전문가 3인에게 검증을 받았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와 t-검증을 실시하였고, 확보된 설문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연령에 따른 통합교육 대한 인식은 어린이집 교사는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통합교육의 교육적 효과 인식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유치원 교사는 연령이 높을수록 교사노력의 요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경력에 따른 통합교육 대한 인식은 어린이집 교사는 경력이 많을수록 통합교육의 개념과 통합교육의 일반적 인식, 전체적 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유치원 교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의 전공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학력에 따른 통합교육 대한 인식은 어린이집 교사는 학력이 높을수록 통합의 개념, 통합교육의 일반적 인식, 통합교육의 교육적 효과와 전체적인 인식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유치원 교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어린이집 교사의 자격증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서는 통합교육의 일반적 인식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교사가 보육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교사들 보다 높은 인식 수준을 보였다.
      여섯째, 어린이집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차이에서는 교사노력의 요구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얻게 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통합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통합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방법을 잘 알지 못한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이루기 위해서는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Study on the Recogni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for Inclusive Education Hwang, Jung-A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e purpose of this ...

      ABSTRACT

      Study on the Recogni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for Inclusive Education

      Hwang, Jung-A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stablish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daycare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on integrated education with following questionnaires;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of the integrated educa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by background variables?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integrated educa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integrated education, a total of 200 teachers, 100 daycare teachers and 100 kindergarten teachers in city of Seoul, Goyang were participated survey, which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studies of Nam Ji-Ah (2009) and Jeon Eun-Ok (2005), and the completed questionnaire was verified by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calculated frequency and figured in percentage, also verified with ANOVA and T-test were conducted along with the survey data has been analyzed by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integrated educa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the recognition of the educational effect of integrated education as the teacher age of the daycare teachers was higher. And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integrated education is significant only in the individual’s effort and endeavor as age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was higher.
      Second, the percep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careers of childcare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integrated education, general recognition, and overall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with more career, There was no difference.
      Third, there was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ccording to major of childcare teachers.
      Fourth, the percep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of childcare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cept of integration, general perception of integrated education, educational effect of integrated education, and overall recognition level.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Fifth, recogni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qualifications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general recognition of integrated education. Teacher with qualifications of kindergarten teacher showed higher recognition than teachers with teacher certification.
      Six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teachers' effort demand in the difference of the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daycare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The implications of this conclusion are as follows. Most teacher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but they do not know the specific way of teaching integrated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a teacher education program should be prepa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ⅴ
      • Ⅰ. 서론 1
      • 목 차
      • 국문초록 ⅴ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통합교육의 개념 5
      • 2.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9
      • 3. 선행연구 고찰 12
      • Ⅲ. 연구 방법 17
      • 1. 연구대상 17
      • 2. 연구도구 21
      • 3. 연구절차 22
      • 4. 자료분석 23
      •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24
      • 1. 어린이집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24
      • 2. 어린이집 교사의 배경변인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27
      • 3.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35
      • 4.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37
      • 5. 어린이집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차이 43
      • Ⅴ. 논의 및 제언 44
      • 1. 논의 44
      • 2. 제언 47
      • 참고문헌 48
      • 영문초록 52
      • 부 록 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