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시각장애인의 이러닝 사용성 향상을 위한 홈페이지 사이트맵 설계 = Site Map Design for Improvement of e-Learning Usab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280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화 사회에서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관련 기관들은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 (KWCAG 2.1)을 제정하여 사이트에 접근성을 높였으...

      정보화 사회에서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관련 기관들은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 (KWCAG 2.1)을 제정하여 사이트에 접근성을 높였으며, 제도 개선을 위해 각종 지침과 관련법을 제정하였다. 웹사이트에서 접근성을 준수해야 한다는 것은 웹 사이트를 개발하는 개발자와 사용자들에게도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접근성을 준수함으로써 시각 장애인과 노약자도 사이트를 이용할 때 사용상의 어려움이 감소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는 많은 시각장애인들은 웹 접근성을 지키는 사이트라고 할지라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는 전맹의 시각장애인과 저시력의 시각장애인들은 마우스 없이 키보드만으로 웹을 탐색한다.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그에 해당하는 페이지에 접근하기까지 많은 키보드의 동작을 거친다. 웹페이지에서 자세한 정보나 다른 페이지를 탐색할 경우, 새로고침 된 페이지 또는 새 탭에서 처음부터 탐색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검색을 통해 나타난 처음 접하는 페이지는 그 페이지의 구조와 위치를 찾아 이동하기 어려워 페이지 탐색을 포기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그 이유로는
      첫째, 시각장애인이 키보드를 통해 탐색하는 항목이 페이지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 파악할 수 없어 원하는 정보가 과연 그 페이지에 존재하는지 아닌지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둘째, 검색된 페이지의 정보를 읽고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정안인이 웹 페이지 탐색을 할 때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항목을 순차적으로 읽지는 않는다. 화면을 한눈에 파악하고 원하는 정보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되는데,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은 많은 키보드 동작을 통해 웹 페이지를 순차적으로 일일이 접근하여 읽음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단축하기 위해 스크린리더에서 제공하는 단축키를 사용해야 하고, 이마저도 적용이 되지 않는다면 페이지 탐색은 실패하거나 화면에 보여진 모든 항목의 링크로 이동하거나 텍스트를 거쳐 읽을 수밖에 없다. 초보 사용자의 경우 단축키 사용이 미숙하고, 적용하기 어려워 웹 사이트 첫 방문시 원하는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처럼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의 웹 페이지 탐색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의 웹 접근성 항목에서 권장하고 있는 사이트 맵이 아닌 사용성이 향상된 사이트 맵 페이지를 구현하였다. 사이트 맵은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탐색할 때 아래쪽 방향키로 페이지 탐색을 하듯이 아래쪽 방향키와 오른쪽 방향키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들은 웹 접근성이 지켜진 사이트도 탐색시 매우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다. 탐색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접근성 관련 하여 준수사이트를 선정하고, 그에 따라 인증마크를 부여하고 있지만 접근성 인증마크를 부여받은 사이트라고 해서 사용성이 편리하게 구성되어 있다고는 볼 수 없다. 시각 장애인의 웹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의 결과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는 시각 장애인이 구현된 사이트 맵을 통해 웹 사이트에 접근했을 때 사용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시각장애인의 이러닝 사용성 향상을 위한 홈페이지 사이트 맵을 접근성 인증 사이트와 인증 되지 않은 사이트에 적용되고 활용될 것을 전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have made a lot of efforts to improve the web accessibility of the visually impaired. Web accessibility was enacted to enhance accessibility to the site, and various guidelines and r...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have made a lot of efforts to improve the web accessibility of the visually impaired. Web accessibility was enacted to enhance accessibility to the site, and various guidelines and related laws were enacted to improve the system. This is part of the benefit of not only the visually impaired but also Non impaired person, and the developers and users who develop the website are continuously increasing the accessibility compliance site due to the change of the cognition. However, many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who use screen readers are experiencing a lot of difficulties even if they maintain web accessibility. Screen reader users navigate the web with a keyboard without a mouse. At this time, there are inconveniences to search from the beginning when a refresh screen or a new tab or a new window is opened. To solve this problem, we implemented a new sitemap page that is not included in existing web accessibility items. The features of the site map are designed so that users who use screen readers can navigate similar to when browsing an existing website, so that other items at the same level move to the down arrow key while the lower items move to the right arrow ke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 1.1 연구 필요성 1
      • 1.2 연구 목적 1
      •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 제1장 서론 1
      •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 1.1 연구 필요성 1
      • 1.2 연구 목적 1
      •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 2.1 연구 내용 2
      • 2.2 연구 방법 3
      • 3. 용어 정의 4
      • 3.1 사용성 4
      • 3.2 시각장애 5
      • 3.3 전맹인 5
      • 3.4 저시력인 5
      • 제2장 이론적 배경 7
      • 1. 웹 사이트의 접근성 7
      • 2. 웹 접근성과 사용성 13
      • 3. 스크린리더 16
      • 4. 선행 연구 분석 18
      • 5. 시사점 20
      • 제3장 홈페이지 사이트맵 설계 및 적용 22
      • 1. 이러닝 접근성 인증 22
      • 2. 사이트 맵 구성 및 웹 페이지 구현 23
      • 제4장 웹 페이지 평가 33
      • 1. 평가 방법 33
      • 1.1 배움나라 사이트 평가 항목 시간 측정 34
      • 1.2 사용성 평가 40
      • 2. 결과 분석 46
      • 제5장 결론 및 제언 48
      • 참고문헌 50
      • 부록 53
      • 영문초록 6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