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미지 메이킹 인식이 자아 존중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mage-making perception on the change of self-este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9467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 , 서비스경영학과 , 2017.2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58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ii, 65 p.: 삽도, 표;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이근재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진학과 취업을 앞둔 학생들에게 이미지 메이킹과 자아 존중감에 대한 인식을 이미지 메이킹 교육 전, 후의 결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미지 메이킹 교육을 통해 ...

      본 연구에서는 진학과 취업을 앞둔 학생들에게 이미지 메이킹과 자아 존중감에 대한 인식을 이미지 메이킹 교육 전, 후의 결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미지 메이킹 교육을 통해 자신의 가치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환기시키고 나아가 자아 존중감을 함양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올바르고 다양한 내용의 이미지 메이킹 교육의 확산 기회와 학문적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이미지 메이킹 교과목을 이수하였거나, 20시간 이상 이수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 대상자 200명을 선별하여 그들에게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선정된 175명 만을 통계처리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이미지 메이킹 교육 전과 후의 이미지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이미지 인식 전체 점수를 포함하여 관리능력, 인식태도, 표현자신감 하위영역 모두에서 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미지 인식에 대한 모든 가설은 채택되었다. 즉, 이미지 인식 전체 점수에서 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13.638, <.001), 교육 후 점수 4.35(±.60)가 교육 전 점수 3.64(±.71)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 존중감에 차이가 있었는지 알아본 결과, 자아 존중감 전체 점수에서 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
      는데( =-5.347, <.001), 교육 후 점수 4.02(±.51)가 교육 전 점수 3.70(±.75)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 존중감 차이는 자아 존중감 전체 점수를 포함하여 자존감, 긍정적 인식 등 하위영역에서 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에게만 가설이 채택되었고, 이미지 메이킹 교육 전과 후를 비교해 보았을때 자아 존중감의 자기 관리에 긍정적 인식에 보다 더 긍정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한편, 독립 변수별 하위 종속변수는 이미지 메이킹 교육을 이수한 사람들의 성별에 따른 이미지 인식과 자아 존중감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력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전문대 재학 집단이 고등학교 재학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교 재학 집단이 재학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원 이상 집단이 고등학교 재학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따른 이미지 인식과 자아 존중감의 차이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효과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리능력, 인식태도, 표현자신감과 자존 감, 긍정적 인식, 자기 관리에 대하여 높은 점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이미지 인식과 자아 존중감에 있어서 전체 교육 전, 후의 점수에서 학력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10.412, <.001), 전문대 재학 집단이 고등학교 재학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교 재학 집단이 고등 학교 재학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원 이상 집단이 고등학교 재학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차이는 표현자신감 과 자아 존중감 전체에서 교육 전과 교육 후 점수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학력이 높아질수록 이미지 메이킹 교육에 있어서 효과가 높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age-making and self-esteem perceptions before and after the image making education for the students who are going to enter the university. Therefore, it is to raise awareness and attitude about their val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age-making and self-esteem perceptions before and after the image making education for the students who are going to enter the university. Therefore, it is to raise awareness and attitude about their value through image making education and to raise self esteem. Through this, we tried to provide opportunities to spread the correct and diverse contents of image making education and academic basic dat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ose who completed the course of image making or completed 20 hours or more. For the study method, 200
      subjects were selecte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ained to them and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he differences in image recognition before and after the image making class showed that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in both the management ability, the recognition attitude, and the expression confidence sub - domain including the total image recognition score. Thus, all hypotheses about image recognition were adopted.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of image recognition was significant (t= -13.638, <.001), and the post-instructional score 4.35 (± 60) was higher than the pre-instructional score 3.64 (± 71).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self-esteem, the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of self-esteem was significant (t= -5.347, <.001). 75).
      Also, the difference of self - esteem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sub - domains such as self - esteem, self - esteem, and positive perception. Therefore, the hypothesis that only hypotheses were adopted for them, and that there is a more positive difference in positive perceptions of self - esteem lecture self - esteem compared to before and after image - making education was rejected.
      On the other hand, subordinate variables by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no difference in image recognition and self-esteem according to the gender of people who completed image making training.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attainment. The college attendance group showed higher than the high school attendance group, the college attendance group was higher than the college attendance group, and the post graduate college group was higher than the high
      school attendance group.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image recognition and self - esteem according to age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as age increased. That is, there was a high score difference between management ability, awareness attitude, expressive self - esteem, positive perception, and self - management. In other words, in the image recognition and self-estee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attainment before and after the whole education (t= 10.412, <.001), and the college attendance group was higher than the high school attendance group. Higher than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higher than the high school students.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showed differences in pre - and post -education scores in express self - esteem and self - esteem.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al attai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론 1
      •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제 2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4
      • 제 1장 서론 1
      •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제 2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4
      • 1. 연구방법 4
      • 2. 연구 흐름도 5
      • 제 2장 이론적 배경 6
      • 제 1절 이미지 메이킹 6
      • 1. 이미지의 개념 6
      • 2. 이미지 메이킹의 개념 9
      • 3. 이미지 메이킹의 특성 및 내용 11
      • 제 2절 자아 존중감 17
      • 제 3절 선행연구논문 고찰 20
      • 1. 이미지 메이킹 20
      • 2. 자아 존중감 24
      • 제 3장 연구방법 27
      • 제 1절 연구 대상 및 방법 27
      • 1. 연구대상 및 방법 27
      • 2. 연구 모형 28
      • 제 2절 설문의 구성 및 가설설정 29
      • 1. 설문지의 구성 29
      • 2. 가설 설정 30
      • 3. 자료 처리 및 분석 31
      • 제 4장 연구 결과 및 고찰 33
      • 제 1절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33
      • 제 2절 이미지 메이킹 교육 전과 교육 후의 이미지 인식및 자아 존중감 차이 35
      • 1. 이미지 인식 35
      • 2. 자아 존중감 38
      • 제 3절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이미지 인식 및자아 존중감의 차이 40
      • 1. 성별 40
      • 2. 학력 43
      • 3. 연령 48
      • 제 5장 결론 53
      • 제 1절 연구 결과 및 시사점 53
      • 1. 연구결과 53
      • 2. 시사점 55
      • 제 2절 연구의 한계점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