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역량기반 수행평가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및 음악성에 미치는 효과 : 기능기반 수행평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6579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Effect of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on Musical Emotion·Communication Competency and Musicality :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the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 형태사항

        xii, 208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지은림
        참고문헌: p. 159-169

      • UCI식별코드

        I804:11006-200000629212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식기반 사회, 제4차 산업 시대를 주도할 인재는 학습한 내용을 실재 맥락에 적용,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에 2015 개정 ...

      지식기반 사회, 제4차 산업 시대를 주도할 인재는 학습한 내용을 실재 맥락에 적용,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과 학습 경험의 질 개선을 통해 행복한 학습 구현을 추구하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 설계되었다.
      학교 교육 현장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도울 수 있도록 ‘평가 방법’을 개선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수업현장에서 실시되는 평가는 학생의 학습 수준의 확인은 물론 교수·학습 개선을 통한 교육의 질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수행평가’는 학생들이 과제를 직접 수행하여 행동 또는 산출물로 나타내기 때문에 역량을 평가하기에 가장 적절한 평가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각 교과에서는 역량 신장에 목표를 두는 수행평가, 즉 ‘역량기반 수행평가’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음악교과는 가창, 기악, 창작, 감상이라는 음악적 행동을 평가하기 때문에 수행평가가 본격 도입되기 이전부터 실시되어 왔다. 그러나 단편적 음악지식과 기능의 숙달에 목적을 둔 ‘기능기반 수행평가’가 실시되어 왔으므로 학생들의 음악적 역량을 신장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전통적으로 음악교과에서 실시되어 온 실생활과 분리된 탈맥락적 평가, 역량이 아닌 단편 음악지식과 실기 기능 숙달에 치중된 평가,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 간과, 비공식적이고 비계획적인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개선을 통하여 학생들의 음악적 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는 역량기반 수행평가를 실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2015b, p.3)에 제시된 6개의 역량 중 음악적 감성 역량과 음악적 소통 역량을 신장으로 하는 역량기반 수행평가를 개발하여 여중생 1학년 음악 수업에 적용하고 실제로 목표 역량이 신장되었는지, 나아가 음악교육 목표 중 하나인 음악성의 발달까지 유도할 수 있는지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역량기반 수행평가 결과의 의미를 잘 드러낼 수 있도록 기능기반 수행평가의 적용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음악교과에서 여중생 1학년에게 역량기반 수행평가 또는 기능기반 수행평가를 실시한 결과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나타난 변화는 어떠한가?
      - 수행평가 유형별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나타난 양적 변화는 어떠한가?
      - 수행평가 유형별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나타난 질적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음악교과에서 여중생 1학년에게 역량기반 수행평가 또는 기능기반 수행평가를 실시한 결과 음악성에 나타난 변화는 어떠한가?
      - 수행평가 유형별 음악성에 나타난 양적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음악교과에서 여중생 1학년에게 실시한 수행평가 유형,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음악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 수행평가 유형별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음악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과 음악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 수행평가 유형이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과 음악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A 여자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4개 학급, 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역량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2개 학급 46명, 기능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다른 2개 학급 43명으로 구성되었다. 각 집단에 따라 개발된 수행평가는 감상, 가창 영역에 대한 것으로 제재곡, 평가영역, 수업 기간 및 차수, 채점 시기는 동일하지만 각 수행평가의 유형에 따라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의 신장’ 또는 ‘음악지식 및 기능 숙달’을 목적으로 개발하였다. 음악교육 전문가 3인에 의한 2번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역량기반 수행평가로 『베토벤과의 가상 인터뷰 발표』, 『환경보호 캠페인송 랩 창작 발표』를, 기능기반 수행평가로 『베토벤의 삶과 교향곡 5번 1악장 실음지필평가 및 감상문 작성』,『‘지구를 지켜요’ 가창 발표』를 확정하였다.
      본 연구는 고급 혼합연구 분석방법 중 하나인 수렴적 설계(convergent design)를 사용한 중재 혼합연구 설계(interventional mixed research design)를 적용하여 두 수행평가의 사전, 사후 결과에 대해 양적 데이터와 질적 데이터를 동시에 수집하였다. 우선 양적 분석을 위해 김소연, 지은림(2020, 2021)의 검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한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과 Müllensiefen 외(2014)의 ‘음악적 교양(Musical Sophistication)’을 본 연구대상에 맞게 번역한 ‘음악성’ 검사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사례에 있어서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대한 질적 분석을 위해 각 집단에서 4명을 의도적 표집하고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전사한 데이터는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각 수행평가는 3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양적, 질적 효과성을 검증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 대하여 양적, 질적 분석을 한 결과, 역량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기능기반 수행평가 집단보다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이 신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독립표본 t검증 결과 역량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기능기반 수행평가 집단보다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의 총 점수가 약 .30점 향상되어 역량 신장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각 역량의 하위요소에 대해 집단별 사전, 사후 대응표본 t검증을 한 결과 역량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음악적 감성 역량의 ‘이해력’, ‘수용력’, ‘적용력’이 .32~.42점, 음악적 소통 역량의 ‘음악지식’, ‘표현력’, ‘감상력’, ‘응용력’이 .62~.77점으로 향상되어 모든 하위요인에서 발전을 보였다. 하지만 기능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이해력, 적용력, 감상력, 응용력만이 .24~.34점 향상되는데 그쳐 음악을 수용하고 표현하는데 있어서 취약점을 드러내었다. 개별 문항별 사전, 사후 대응표본 t검증에서도 역량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의 거의 대부분의 문항이 .26~.98점으로 크게 향상되었지만, 기능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몇몇 문항들에서 .47점 이하의 향상을 보여 역량 신장이 거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행평가 유형별 그룹 인터뷰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에서 양적 결과에 대한 실질적 경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클래식 감상 영역에 대한 각 『수행평가 1』을 분석한 결과 역량기반 수행평가를 경험한 학생들만이 제재곡에 대한 ‘수용력’, ‘적용력’을 바탕으로 ‘감상력’, ‘응용력’을 발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기능기반 수행평가와 달리 비인기 장르인 클래식 교향곡에 대해 느낌, 공감을 생성할 수 있도록 ‘느낌의 시각화’, ‘표현의도 해석’ 등 평가 단계를 세분화하여 제시하였기 때문이다. 『수행평가 2』를 경험한 결과는 ‘표현력’과 ‘감상력’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나타냈다. 역량기반 수행평가를 경험한 학생들은 ‘플라스틱 쓰레기 줄이기’라는 맥락적 주제 하에 개사활동을 통해 자신들이 만들어낸 가사의 느낌, 감성을 표현하는데 집중하였지만, 기능기반 수행평가를 경험한 학생들은 제재곡을 정확하게 익혀야 한다는 가창의 정확성, 완성도에 집중하여 가창실력, 실수에 대한 걱정, 불안을 겪었고 표현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역량기반 수행평가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신장에 기여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은 1) 음악지식과 기능을 실생활에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문제를 제시해야 하고, 2) 정의적 역량인 음악적 감성 역량을 먼저 자극한 후 기능적 역량인 음악적 소통 역량으로 표출하도록 설계해야 하며, 3) 복합성을 띄는 과제일수록 평가 단계를 나누어 제시하고, 4) 과정 중심 평가로 피드백을 계획성 있게 활용하고, 5) 학생의 음악적 창의성과 개성을 존중하면서도 객관적 평가를 할 수 있는 루브릭을 개발하는 것, 그리고 6) 학생이 평가의 주체로서 모든 평가 활동에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연구문제 2]에 대해 대응표본 t검증을 한 결과 역량기반 수행평가는 음악성을 향상시키는데도 효과를 나타냈다. 음악성의 총 점수는 역량기반 수행평가만이 약 .23점 향상되었고 기능기반 수행평가는 유의한 점수 향상을 나타내지 못했다. 하위요인별로 보았을 때 두 수행평가 유형 모두 정도는 다르지만 음악성의 음악활동 참여, 음악 인지능력, 가창능력에서 유의한 점수 향상을 보였다.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음악성의 각 문항별 점수에서 나타났다. 역량기반 수행평가는 22문항 중 15문항에 대해 .33~1.02의 점수 향상을 보여 음악성의 다양한 측면이 고루 신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기능기반 수행평가는 단 9문항만이 .35~.86점 향상되어 상대적으로 음악성의 여러 면이 고루 신장되기 어려웠음을 알 수 있었다. 역량기반 수행평가만 유의한 효과를 보인 문항은 ‘음원을 듣고 정확한 음정으로 따라 부르기’, ‘처음 듣는 노래 파악’, ‘한 음악의 두 가지 버전의 차이점 파악’, ‘음악관련 정보 읽기, 검색’, ‘친구가 부르는 노래에 합류하기’로 나타났으며 평균 .50~.61점 향상되었다.
      [연구문제 3]에서 수행평가 유형별 점수, 사후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사후 음악성의 세 변인에 대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관계성을 알아보았다. 역량기반 수행평가는 음악적 소통 역량의 감상력, 응용력 그리고 음악성의 음악적 감성이라는 정서적 요인과 r=.30 정도의 낮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실제로 세 하위요인을 높일 수 있는 영향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기능기반 수행평가는 음악적 감성 역량의 이해력(r=.46), 음악적 소통 역량의 음악지식(r=.34)과 정적 관련성을 나타냈고 역시 이 요인들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밝혔다. 기능기반 수행평가는 역량의 인지적 측면과 관계될 뿐 음악성의 어떤 요인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과 음악성은 r=.973의 관계로 매우 밀접한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음악성의 개념이 전문가 수준의 예민한 청력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일반인이 음악적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지식, 기능, 태도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볼 때, 역량기반 수행평가는 음악성의 수준까지도 끌어올릴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역량기반 수행평가를 통해 음악적 역량을 꾸준히 향상시킬 수 있다면 음악교육의 목적 중 하나인 음악성의 수준까지도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볼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역량기반 수행평가를 음악교과에 적용하여 실시했을 때 실제적으로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및 음악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양적, 질적 방법으로 증명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마무리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출범을 목전에 둔 현시점에서 본 연구의 실제적 사례가 음악교육 현장에서 평가를 개선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의 6
      • 가. 역량기반 수행평가 6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의 6
      • 가. 역량기반 수행평가 6
      • 나. 기능기반 수행평가 6
      • 다.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7
      • 라. 음악성 7
      • II. 이론적 배경 9
      • 1. 역량기반 수행평가 9
      • 가. 역량기반 수행평가의 개념과 특징 9
      • 나. 음악교과 수행평가의 실태 및 개선방안 15
      • 2. 음악적 역량 30
      • 가. 음악적 감성 역량의 개념과 특징 30
      • 나. 음악적 소통 역량의 개념과 특징 38
      • 3. 음악성 48
      • 가. 단일영역 측정 50
      • 나. 다영역 측정 51
      • III. 연구방법 54
      • 1. 연구대상 54
      • 2. 연구모형 54
      • 3. 연구절차 56
      • 4. 수행평가 개발 58
      • 가. 역량기반 수행평가와 기능기반 수행평가의 개괄 58
      • 나. 수행평가 유형별 내용 및 특징 59
      • 다. 내용타당도 검증 70
      • 5. 측정도구 76
      • 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76
      • 나. 음악성 79
      • 6. 자료분석 방법 86
      • Ⅳ. 연구결과 88
      • 1. 집단 간 동질성 검증 88
      • 2. 수행평가 유형별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의 변화 분석 90
      • 가. 양적 분석 결과 90
      • 나. 질적 분석 결과 102
      • 3. 수행평가 유형별 음악성의 변화 분석 129
      • 가. 음악성의 총 점수 및 하위요인 점수 129
      • 나. 음악성의 문항별 점수 130
      • 4. 수행평가 유형,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음악성의 관계 137
      • 가. 수행평가 유형별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음악성과의 상관관계 137
      • 나.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과 음악성의 상관관계 138
      • 다. 수행평가 유형이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음악성에 미치는 영향 141
      • Ⅴ. 요약 및 결론 145
      • 1. 요약 145
      • 2. 결론 및 논의 149
      • 가. 수행평가 유형별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나타난 변화 150
      • 나. 수행평가 유형별 음악성에 나타난 변화 155
      • 다. 수행평가 유형,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음악성의 관계 156
      • 참고문헌 159
      • ABSTRACT 170
      • 부록 1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