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문화 가정의 문해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Activ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literacy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437991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평생교육 , 2011. 2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54 p. ; 26cm

      • 소장기관
        • 강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has steeped for the past decade, thus dramatically increasing the number of immigrants living in Korea. It implies that now, we can easily encounter the immigrants on daily basis. Although the growing number of th...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has steeped for the past decade, thus dramatically increasing the number of immigrants living in Korea. It implies that now, we can easily encounter the immigrants on daily basis. Although the growing number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has caught both the governmental and societal attention, the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new immigrants and our society has remained, therefore leaving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dire condition. This study will explain that in order to help the multi-cultural families become the full members of our society, the government must enlarge and improve the literacy education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Ou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is still by and large rudimentary.
      Even though our society has already changed into a multi-cultural one, the general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neighbors has not changed accordingly. In addition, the government has only focused on the basic level of their both human rights and welfare in the past five years. It is crucial now to transform the rudimentary welfare policy for the multi-cultural family and concentrate more on how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local citizens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우리사회는 세계화 물결에 따라 국내 거주 결혼 이민자 수가 매년 급속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제 외국인 이주민은 우리 주위에서도 쉽게 마주치고 만날 수 있다. 다문화...

      오늘날 우리사회는 세계화 물결에 따라 국내 거주 결혼 이민자 수가 매년 급속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제 외국인 이주민은 우리 주위에서도 쉽게 마주치고 만날 수 있다. 다문화 가정의 수가 증가하고 이들을 위한 한국어 및 한국 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부에서부터 시작하여 지자체 등에 이르기까지 이들을 위한 국가.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현재 추진되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보다 더 효율적이고 적응적인 의사소통과 실생활의 질을 높이고자 그러한 도구로 다문화가정의 비문해를 문해화 하는 것의 필요성을 전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사회의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어 교육은 아직도 도입단계로 보이고 있으며, 다문화 사회로의 불가피한 진입에 따른 다수자의 의식 변화와 내적 역량의 성숙에 따라 점점 더 다문화 모델에 가까운 정책과 제도로 또 하나의 새로운 사회구축 실현이 필요한 때이다. 변화라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변화는 우리의 삶이 되었다.
      우리 사회는 다민족화 되어 가는데 반해 아직 우리 사회는 외국인 및 이주민에 대해 관용적이라기보다는 적지 않은 이질감과 거리감을 느끼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새로운 정책 대상의 출현으로 인해 정부는 지난 5년간 다문화 정책으로 이주민의 인권 보호와 기본적인 복지 대책을 펼쳐오고 있었다.
      이제는 단순한 복지 정책과 적응이라는 통합지원 사업에서 벗어나 내국인과의 의사소통 및 교류증진을 위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때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다문화 가정의 문해교육 확산은 다문화 인식의 제고와 다문화 가정의 삶의 질 향상 및 소통이라는 보다 의미 있는 우리사회 구성원으로써의 다문화 가정 일원들의 적응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용어의 정의 4
      • Ⅱ. 이론적 배경 6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용어의 정의 4
      • Ⅱ. 이론적 배경 6
      • 1. 다문화 가정 6
      • 1) 다문화 가정의 의의 6
      • 2) 다문화 가정의 유형과 형성 8
      • 3) 다문화 가정의 현황 11
      • 4) 다문화 가정의 문제 17
      • 2. 문해교육 25
      • 1) 문해교육의 의미 25
      • 2) 문해교육의 현황 26
      • 3) Freire의 문해교육 29
      • Ⅲ. 연구 방법 및 결과 32
      • 1. 연구 방법 32
      • 1) 연구설계 32
      • 2) 연구 대상 34
      • 3) 자료분석 38
      • 2. 연구 결과 39
      • 1) 문해와 비문해교육의 양상 39
      • 2) 답변 빈도의 통합에 따른 추론 40
      • Ⅳ. 결론 및 제언 45
      • 1. 결론 45
      • 2. 제언 47
      • 참고 문헌 49
      • Abstract 52
      • 부 록 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