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모크 다큐멘터리의 표현 스타일에 관한 연구 : 공포 영화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9261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91.43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Expression Style of Mock-Documentary : Focused on Horror Film

      • 형태사항

        viii, 89 p.: 색채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영화의 위기를 거쳐 제작비 총액이 많이 줄어든 상황에서도 스타들의 인건비는 전체 제작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좋은 시나리오가 있다고 하더라도 스타가 캐스팅 되지 않는 ...

      한국 영화의 위기를 거쳐 제작비 총액이 많이 줄어든 상황에서도 스타들의 인건비는 전체 제작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좋은 시나리오가 있다고 하더라도 스타가 캐스팅 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투자도 녹 록 치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스타가 있으면 오히려 영화의 사실성에 문제가 되는 모크 다큐멘터리는 여러 대안 중 하나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특히 공포영화를 차용한 모크 다큐멘터리는 제작비에 비해 큰 성공을 거두며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공포영화를 차용한 모크 다큐멘터리의 표현 스타일에 대한 연구이다. 모크 다큐멘터리는 허구를 사실인 것처럼 착각하게 만들기 위해 다양한 표현스타일을 차용하고 있다. 그런 차원에서 우리는 모크 다큐멘터리의 표현 스타일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우리는 우선 상업적으로 성공한 모크 다큐멘터리인 <블레어위치 The Blair Witch Project>(1999), <파라노말 액티비티 Paranormal Activity>(2007), <알이씨 REC>(2007)와 기존 모크 다큐멘터리와 다른 표현 스타일을 보여주는 <포스 카인드 The Fourth Kind> (2009), 한국에서 모크 다큐멘터리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던 <목 두기 비디오 Mokdugi>(2003), 가장 최근에 개봉하였고 한국의 두 번째 모크 다큐멘터리인 <폐가>(2010)를 자료체 영화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 영화들의 표현 기법들을 자막과 시점, 촬영기법, 편집기법, 삽입자료, 후일담으로 나누어서 분석을 하였다. 영화를 분석해본 결과 공포 장르를 차용한 모크 다큐멘터리 영화들은 보는 관객이 그냥 보고 스쳐 지나갈 수 있는 작은 부분까지 허구를 사실인 것처럼 착각하게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표현 스타일을 구사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런 영화들은 사실을 지향하는 다큐멘터리의 표현 기법과 재구성, 시나리오의 구조를 통하여 픽션 영화의 표현 기법도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큐멘터리에서는 사실을 지향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현 기법들과 픽션 영화에서 관객들의 감정에 효과를 주기 위해 사용되는 표현 기법들이 모크 다큐멘터리에서는 철저하게 허구를 사실인 것처럼 착각하게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모크 다큐멘터리는 허구와 사실의 경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en a situation of reducing the total amount of film budget through the crisis of Korean film industry, the cost of movie star occupies more than a half of the overall budget. This is a reality that investment is not revitalized without casting of mo...

      Even a situation of reducing the total amount of film budget through the crisis of Korean film industry, the cost of movie star occupies more than a half of the overall budget. This is a reality that investment is not revitalized without casting of movie stars whatever there is good script or not. In this heavy actualities, mock documentary becomes the focus of attention as one of the alternative plans because the movie stars will interfere with the reality of this documentary. Especially, mock documentary which borrows horror film style proves itself that it can be good alternative idea though a massive commercial success compare with its film budget. This thesis is about these kinds of the expression style of mock documentary what borrowing horror film. Mock documentary borrows various expression styles to make a fiction to be seen a rea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its expression styles. First of all, we select the most successful mock documentary < The Blair Witch > (1999), < Paranormal Activity > (2007), < REC > (2007) and showing a dissimilar expression style < The Fourth Kind > (2009) and a pioneer of Korean mock documentary < Mokdugi > (2003) and not only the second but also a very recently released Korean mock documentary < An abolished house > (2010), then analyze their expression technique with classification into subtitle and view, photographing, editing, inserting materials and behind story.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mock documentary have diverse expression styles to make audience to be confused into thinking that the film is a real story by a detailed direction. Also, these kinds of film is possible to use an expression style of fiction film freely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real documentary and script structure. Consequently, mock documentary is situated in the boundary between fiction and reality that it absorbs the ways from both documentary what aiming at reality and fiction film what swaying sentiment to play a role as faking audi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 내용과 방법 2
      • Ⅱ. 본론 4
      • 1. 모크 다큐멘터리 정의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 내용과 방법 2
      • Ⅱ. 본론 4
      • 1. 모크 다큐멘터리 정의 4
      • 2. 공포영화 장르 차용의 당위성 8
      • 1) 제작비 8
      • 2) 사실성 10
      • 3. 모크 다큐멘터리 표현 스타일 12
      • 1) 자료체 영화 소개 12
      • (1) 블레어위치 The Blair Witch Project 14
      • (2) 목두기 비디오 Mokdugi 15
      • (3) 파라노말 액티비티 Paranormal Activity 15
      • (4) 알이씨 REC 16
      • (5) 포스 카인드 The Fourth Kind 17
      • (6) 폐가 17
      • 2) 표현 기법을 통한 허구의 사실 위장 18
      • (1) 자막 19
      • ① 오프닝 자막 19
      • ② 일반 자막 26
      • (2) 시점 30
      • ① 1인칭 주인공 시점 30
      • ② 3인칭 관찰자 시점 35
      • ③ 시점의 변화 35
      • (3) 촬영 기법 40
      • ① 화면 비율 41
      • ② 구도 44
      • ③ 핸드 헬드 촬영 48
      • ④ 몰래 카메라 기법 촬영 52
      • ⑤ 인터뷰 촬영 54
      • ⑥ 카메라 존재감 인지 60
      • (4) 편집 기법 66
      • ① 시간의 압축 66
      • ② 내레이션 69
      • ③ 음악 70
      • ④ 효과음 72
      • (5) 삽입 자료 73
      • ① 인터넷 자료 73
      • ② 기록 영상 75
      • (6) 후일담 77
      • III. 결론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