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주시 민간위탁업체 소속 환경미화원의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ral Health Behavior of Sanitation Workers in Jeon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53338

      • 저자
      • 발행사항

        익산 :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 보건학과 , 2013. 8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P66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흥수

      • 소장기관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색인 : 구강보건행태, 환경미화원, 산업구강보건, 전주시 연구목적 : 환경미화원의 구강보건관리 실태와 구강보건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환경미화원의 구강건강을 합리적으로 관리하는데...

      색인 : 구강보건행태, 환경미화원, 산업구강보건, 전주시

      연구목적 : 환경미화원의 구강보건관리 실태와 구강보건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환경미화원의 구강건강을 합리적으로 관리하는데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주시에 소재한 14개동(완산구 7개동, 덕진구 7개동) 민간위탁업체 소속에 있는 환경미화원 남녀 40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 조사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성적 :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다’라고 응답한 환경미화원은 61.9%로 구강건강에 관심이 높았고,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건강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41.0%로 ‘보통이다’(34.7%), ‘건강하지 않다’(24.3%) 보다 많았으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근무기간이 길수록 건강하지 못하다고 답하였다. 주관적 건강염려수준은 ‘걱정되지 않는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10.2%에 불과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근무시간 내 ‘잇솔질을 하지 못한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49.7%이었고, 근무시간 내 잇솔질을 할 수 없는 이유는 ‘칫솔, 치약이 없어서 힘들다’가 가장 많았다. 직장 내 구강검진 수검유무는 ‘있다’의 비율이 63.6%이었고, 최근 1년간 치과 진료를 이용한 환경미화원은 67.2%이었으며, 치석제거를 받은 환경미화원은 38.1%이었다. 구강병으로 인한 일상생활 지장 경험이 ‘있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45.8%이었고, 근무 지장 경험이 ‘있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28.0%이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정규직일수록 두 가지 모두의 경험률이 높았다. 근무로 인한 치아 관리에 어려움을 겪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24.8%이었고, 작업으로 인한 구강외상 경험은 10.2%이었다.

      결론 : 환경미화원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해서는 바람직한 구강보건행태를 함양하기 위한 산업구강보건 정책 및 사업이 활발히 전개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ey worlds : Industrial oral health, Sanitation workers, Oral health behaviors, Jeonju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oral health care and oral health awareness of sanitation workers and to la...

      Key worlds : Industrial oral health, Sanitation workers, Oral health behaviors, Jeonju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oral health care and oral health awareness of sanitation workers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rational oral health care for sanitation workers.

      Methods :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targeting 400 men and women sanitation workers who work at 6 contracting-out companies located in 14 dongs, that is, 7 dongs in Wansan-gu and 7 dongs in Deokjin-gu, in Jeonju.

      Results : 61.9 % of sanitation workers responded that they have high interest in their oral health, and regarding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41.0% responded that they are ‘healthy’, which showed higher rates than ‘mediocre’ (34.7%) and ‘not healthy’ (24.3%), however, those who are older and those who have worked for a longer period responded they are not healthy. Regarding concern about self oral health, only 10.2% responded they are ‘not concerned’. 49.7% of those surveyed responded that they cannot brush their teeth during work hours, and the most reason why they cannot brush their teeth was because they ‘don’t have toothbrush and toothpaste.’ Regarding an oral examination at work, 63.6% said they ‘had received’ an oral examination at work, and 67.2% said they visited dental clinic in the past year, and 38.1% of sanitation workers said they cleaned their teeth. 45.8% said that they had experienced their daily lives were negatively affected by dental diseases, and 28.0% said that they had experienced their work were negatively affected by dental diseases, and those who are older and those who are regular workers showed higher rates in those two experiences. 24.8% said they are ‘having difficulty’ in dental care because of work, and 10.2% said they ‘have experienced’ traumatic dental injuries while at work.

      Conclusion : Policy setting and the related business of industrial oral health to build up desirable oral health behaviors should be actively developed to promote the oral health of sanitation work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4
      • 1. 연구 대상 4
      • 2. 연구 방법 4
      • Ⅰ. 서론 1
      •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4
      • 1. 연구 대상 4
      • 2. 연구 방법 4
      • 3. 자료 분석 방법 5
      • Ⅲ. 연구 성적 6
      •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
      • 2. 환경미화원의 구강보건의식 8
      • 2.1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 8
      • 2.2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10
      • 2.3 주관적 구강건강염려수준 12
      • 2.4 주관적 구강보건지식수준 14
      • 2.5 구강건강문제의 중요도 16
      • 3. 환경미화원의 구강보건행동 17
      • 3.1 근무시간 내 잇솔질 여부 17
      • 3.2 근무시간 내 잇솔질 할 수 없는 이유 19
      • 3.3 출근시간으로 인한 잇솔질 제한 20
      • 3.4 잇솔질 시기 22
      • 3.5 잇솔질 방법 23
      • 3.6 사용 중인 보조구강위생용품 24
      • 4. 직장구강검진 실태 25
      • 4.1 직장구강검진 수검 여부 25
      • 5. 환경미화원의 치과진료 이용 여부 27
      • 5.1 최근 1년간 치과진료 이용 여부 27
      • 5.2 치과 방문 이유 29
      • 5.3 치과치료 필요 시 받지 못한 경험 30
      • 5.4 치료 받지 못한 이유 32
      • 5.5 최근 1년간 치석제거 경험 33
      • 6. 구강병으로 인한 장애 35
      • 6.1 구강병으로 인한 일상생활 지장 경험 35
      • 6.2 구강병으로 인한 근무 지장 경험 37
      • 6.3 근무로 인한 치아 관리에 어려움 39
      • 6.4 작업으로 인한 구강외상 경험 41
      • Ⅳ. 고 안 43
      • Ⅴ. 결 론 47
      • 참고문헌 4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