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노인복지시설 간호부서종사자의 일·가정 갈등, 조직몰입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Impact factors on duty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in nursing department for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reference to work & family conflict and duty commit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462466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대구한의대학교, 2014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38.632 판사항(5)

      • DDC

        362.6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iv, 89장 ; 26 cm

      • 일반주기명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장 68-7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구한의대학교 향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노인 의료서비스 제공의 주최인 간호부서 종사자들의 일과 가정 관계에서 초래되는 문제와 관련된 조직 몰입과 기관에서의 업무적 지원이 직무 만족도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이 연구는 노인 의료서비스 제공의 주최인 간호부서 종사자들의 일과 가정 관계에서 초래되는 문제와 관련된 조직 몰입과 기관에서의 업무적 지원이 직무 만족도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간호 종사자들의 자존감을 높이고 능률적이고 효과적인 업무 처리로 인해 적극적이고 내실 있는 시설운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 지역의 노인장기요양시설로 지정되어 있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간호부서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2013년 8월 1일부터 2013년 9월 31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총 330부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305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과 AM)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사일로 인한 일·가정 갈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월 평균 수입과 직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가정일로 인한 일·가정 갈등은 월평균 수입과 직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조직 몰입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지원제도의 인식은 연령, 학력, 자녀수, 월평균 수입, 직급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만족도에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력, 월평균 수입, 직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연구대상자들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보수, 애착, 동일시, 근속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즉 보수가 높고 조직몰입이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회사일과 가정일이 지원제도와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한 결과, 지원제도와 조직몰입에 대한 표준화된 경로계수는 임계치(CR)가 ±1.96 이상으로 유의한 영향회사일과 가정일은 지원제도와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회사일, 가정일, 지원제도 그리고 조직몰입이 직무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 회사일의 하위변수인 “회사일”로 인한 갈등 요인(β=_2.554), “가정일”로 인한 갈등 요인(β=2.633)과 가정일의 하위 요인인 “회사일”로 인한 갈등 요인(β=_1.742), “가정일”로 인한 갈등요인(β=.1.784)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회사일과 가정일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직몰입과 업무적 지원제도가 매개효과 역할을 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조직몰입과 업무적 지원제도를 통한 간접효과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총 효과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인 관점에서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탄력적 근무시간을 도입하여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근무조건 마련과 업무적 지원제도로 배움의 장을 마련하여 개인의 발전과 성취감을 위하여 활용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둘째, 노인요양시설 간호부서 종사자는 대부분 야간 근로가 없다. 따라서 일반 병원 종사자와는 다르게 야간근로 수당이 없으므로 병원과 비교하여 임금이 낮을 것이다. 하지만 업무 특성상 퇴근 후에도 언제나 응급상황에 대비해 긴장을 갖고 있어야 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임금에 대한 체계적인 인사평가제도의 도입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직장 내 일-가정균형 프로그램들을 통해 가족의 삶의 질 향상 및 근무만족도 극대화를 꾀하고, 가족캠프, 적극적 휴가사용권장(청원휴가, 안식년 휴가 등), 가족 사랑의 날(정시퇴근으로 가족 간 유대강화), 학자금지원(학비지원을 통한 자기개발격려), 자기주도 학습비 지원 등을 통해 일-가정 촉진과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직원 상호간에 쉽게 의사소통 할 수 있도록 돕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hope this research would be of assistance to enhancing the self-esteem of social workers working in the nursing department, the subject of elderly healthcare services, by understanding the impact of duty support and duty commitment related to the w...

      We hope this research would be of assistance to enhancing the self-esteem of social workers working in the nursing department, the subject of elderly healthcare services, by understanding the impact of duty support and duty commitment related to the work and home conflict of social workers on duty satisfaction and to the active and substantial management of facilities thru the efficient and effective business process.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in reference to the impact on duty satisfaction from the 1st of August 2013 till the 30th of September 2013 among social workers attending to the nursing department of elderly care facilities designated as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Daegu, Gyeongbuk region. 305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out of 330 distributions by SPSS 18.0 and AMS 18.0 programs.
      Conclusion and suggest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general features of research targets, work and home conflicts due to the job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s per the average monthly income and job position and the work and home conflicts due to home affai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s per the average monthly income and job position as well, in terms of duty commitment, the older people showed the higher degree of commitment, and the recognition on support syste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education, number of children, average monthly income and job position.
      Second, according to the general features of research targets, duty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education, average monthly income and job position.
      Third, when it comes to the impact factors, payment, attachment, identification and longevity significantly impacted the duty satisfaction of research targets, that is to say that people with the higher payment and duty commitment showed the higher duty satisfaction.
      Fourth, with respect to the impact of work and home affairs on support system and duty commitment, standard path coefficient for the support system and duty commitment showed significant impact with CR higher than ± 1.96, thus work and home affairs appeared to directly impact the support system and duty commitment.
      Fifth, in terms of the hypothesis which reads 'work and home affairs, support system and duty commitment will directly affect the duty satisfaction', the conflicts (β=_2.554) due to 'work affairs' & conflicts (β=2.633) due to 'home affairs' as the sub-variable of work affairs and the conflicts (β=_1.742) due to 'work affairs' & conflicts (β=.1.784) due to 'home affairs' as the sub-variable of home affairs significantly affected the duty satisfaction.
      Sixth, as to the hypothesis which reads 'duty commitment and support system will have the mediation effect in reference to the impact of work and home affairs on duty satisfaction', indirect effect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otal effect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s from social welfare perspective.
      First, it is recommended to provide working conditions for flexible working hour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lifestyle and education program for individual development and accomplishment.
      Second, unlike the general hospital workers, no allowance is paid to the night duty of social workers working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elderly care facilities, thus it is advised to introduce the systematic personnel evaluation system in reference to the payment considering that they should stand by for emergency situations even after work due to the nature of the duty.
      Third, work-family balance program would be helpful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maximizing the duty satisfaction such as family camp, vacation(by application or given sabbatical), family day(closing at fixed time, enhancing family bond), tuition fee support(self development), costs support for self-initiated learning or communication thru Social Network Service(S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4
      • II. 이론적 배경 6
      • I.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4
      • II. 이론적 배경 6
      • 1. 일․가정 갈등 6
      • 2. 업무적 지원 11
      • 3. 조직몰입 16
      • 4. 직무만족도 18
      • III. 연구방법 24
      • 1. 연구모형 24
      • 2. 가설 설정 25
      • 3.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27
      • 4. 연구 도구 및 요인분석 27
      • 5. 자료 분석방법 37
      • IV. 연구결과 및 고찰 38
      •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사 대상자의 분포 38
      •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사일로 인한 갈등 40
      •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정일로 인한 갈등 43
      •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 45
      •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업무적 지원 47
      •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만족도 50
      • 7.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2
      • 8. 지원, 몰입,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5
      • 1) 관련 변인의 정규성 검정 55
      • 2) 관련변인들의 상관관계 56
      • 3) 측정 모형의 적합도 57
      • 4) 연구모형의 분석 59
      • 9.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효과분석 63
      • V. 결론 및 제언 64
      • 1. 요약 64
      • 2. 결론 및 제언 65
      • 3. 연구의 한계점 67
      • 참고문헌 68
      • 국문초록 78
      • Abstract 80
      • 부록(설문지) 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